KR102046019B1 -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 Google Patents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019B1
KR102046019B1 KR1020180069427A KR20180069427A KR102046019B1 KR 102046019 B1 KR102046019 B1 KR 102046019B1 KR 1020180069427 A KR1020180069427 A KR 1020180069427A KR 20180069427 A KR20180069427 A KR 20180069427A KR 102046019 B1 KR102046019 B1 KR 10204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haft
piston
rail
actuato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9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대석
장보연
Original Assignee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화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명화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9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ments of the control apparatus, e.g. valve assemblies or snapfittings of valves; Arrangements of the control unit on or in the transmission gearbox
    • F16H61/0009Hydraulic control units for transmission control, e.g. assembly of valve plates or valve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0Hydraulic or pneumatic motors or related fluid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28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two or more final actuating mechanisms moving the same final output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간단하고 부품점수가 감소되어 구성이 간단하며 작동응답성이 개선된 탄성부가 구비된 피스톤을 포함한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립 위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전진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후진 위치로 레일축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챔버홈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챔버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축: 상기 레일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챔버홈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축에는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으로 인해 피스톤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경우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O 링 및 실링 링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바, 피스톤의 조립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실링효과도 개선되고 스토퍼와 충돌시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ACTUATOR INCLUDING RAIL AXIS WITH PENETRATED LINE}
본 발명은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스톤의 양측면의 유압 작용 면적이 동일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피스톤의 양측면에 작용하는 유압력이 동일하도록 하고, 양측 챔버의 체적이 동일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응답속도가 동일하도록 하며, 레일축이 중립위치, 일방위치, 타방위치로 간단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동기식과 비동기식을 모두 갖춘 복동식 클러치 메카니즘을 가지는 기어 변경 기계식 변속기는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899,607호, 제4,928,544호, 제4,936,156호, 제5,054,591호, 제5,193,410호, 제5,263,379호, 제5,272,441호 및 제5,329,826호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체 작동 액츄에이터 피스톤 조립체 및 이와 관련된 액츄에이터 시스템도 선행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기술의 액추에이터에서는 예컨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h)과, 상기 하우징(h)의 내부에 삽입되는 레일축(r)과, 상기 레일축(r)의 단부에서 설치되는 피스톤(p)과, 상기 하우징(h)의 단부에 설치되어 밀폐하는 커버(c)와, 상기 레일축(r)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슬리브(s)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피스톤(p)의 본체(p1)를 하우징(h)에 설치하기 위해 본체(p1)의 중간에 O 링(p2)과 실링 링(p3)을 삽입한 상태에서 하우징(h)에 조립하여야 하는 바, 조립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었다.
게다가, 스틸 소재의 피스톤(p)이 중립 위치(도 1a)에서 후진 위치(도 1b)로 이동하는 경우, 알루미늄 소재 하우징(h)의 보스형상의 스토퍼(h1)에 충돌 시 발생하는 소음 및 마모방방지를 위해 별도의 충격흡수수단(h2)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 피스톤(p)을 관통하는 레일축(r)의 단부에는 슬리브(s)가 고정되고 이 슬리브(s)가 상기 커버(c)의 내부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운동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레일축(r)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슬리브(s)와, 상기 슬리브(s)의 내부에 삽입되는 o-링(s1)과 상기 슬리브(s)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너트(n)가 요구되고, 슬리브(s)와의 실링을 위해 커버(c)에도 별도의 실링(c1)이 요구되는 바, 부품점수가 너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로 인해 액추에이터의 조립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액추에이터 제작의 작업성이 감소되고 제품 원가가 증가하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또한, 레일축(r)의 경우도 예를 들어 슬리브(s), 슬리브(s)의 내부에서 삽입되는 o-링(s1) 등과 여러 부품과의 조립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직경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단차부가 존재하도록 가공하여야 하는 바, 가공시간 및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있어서도 각각의 챔버(a1,a2)에서 유체가 유입 및 유출하는 데 시간이 소용되는 바, 액추에이터에 있어서 빠른 응답성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신속한 작동이 확보되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간단하고 부품점수가 감소되어 구성이 간단하며 작동 응답성이 개선된 액추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는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중립 위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전진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후진 위치로 레일축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챔버홈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챔버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축: 상기 레일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챔버홈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축에는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관통유로는 상기 레일축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되도록 X 자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레일축의 단부가 고정되는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직경방향 둘레를 둘러싸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는 오목하게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축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레일축의 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축에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레일축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공간부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돌출 탄성부는 레일축 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직경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돌출 탄성부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에서, 상기 탄성부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축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피스톤을 하우징에 조립하는 경우에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O 링 및 실링 링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는 바, 피스톤의 조립성이 대폭적으로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실링효과도 개선되고 스토퍼와 충돌시 소음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레일축의 단부가 피스톤에서 최종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바, 레일축의 단부가 슬리브에 의해 지지되는 종래기술에 비해 부품점수가 감소하고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원가가 절감되고 중량이 감소되며 조립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는 레일축의 이동을 위해 제1챔버나 제2챔버에 유체를 공급하는 경우 레일축에 형성된 관통유로를 통해서도 유체가 유동하게 되는 바, 피스톤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의 응답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어 변경 기계식 변속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일측 방향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타측 방향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피스톤 조립체의 단면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는, 중립위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전진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후진 위치로 레일축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이다.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 피스톤 조립체는, 동일한 작동 원리로 작동되는 한 쌍의 레일축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레일축에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예시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는, 하우징부(100), 레일축(200), 피스톤(300), 커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하우징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우징부(100)는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가 유압에 의해 상기 레일축(200)을 중립 위치에서 전진 위치로 가변시키거나 중립 위치에서 후진 위치로 가변시키기 위한 유압 작동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하우징부(100)는 내부에 챔버홈(101a)이 형성된 하우징(101)과 상기 챔버홈(101a)의 일측은 폐쇄하는 커버(10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1)의 챔버홈(101a)의 타측에는 하우징(101)을 관통하는 관통홀(h)이 형성되고 챔버홈(101a)의 내부로 돌출되도록 보스형상의 스토퍼(101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103)는 상기 하우징(101)의 챔버홈(101a) 외측 내벽에 구비된 스냅링(SR)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상기 챔버홈(101a)의 입구측에 조립될 수 있고, 상기 커버(103)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101)의 내주면 사이에는 오링(O)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03)가 조립되는 상기 챔버홈(101a)의 입구측에는 단차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103)가 스냅링(sr)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로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103)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스톤(300)의 일측 방향 이동위치를 제한하는 커버 스토퍼부(103S)가 일체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는 한 쌍의 레일축(200)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1)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챔버홈(101a)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챔버홈(101a)을 각각 폐쇄하기 위한 한 쌍의 커버(103)가 구비된다.
하우징부(100)는 피스톤(300)에 의해 제1챔버(110S)와 제2챔버(120S)로 구획되고, 각 챔버(110S, 120S)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제1,2유로(110h, 120h)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는 경량화를 위하여, 상기 하우징(101)이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되고, 커버(103), 레일축(200), 피스톤(300)의 일부 구성 등은 스틸 재질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레일축(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레일축(200)은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중립 위치, 전진 위치, 후진 위치이 가변됨에 따라 타측 단부에 구비된 포크(F)를 슬라이딩시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부분이다.
레일축(2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의 축 형상으로 형성된 부재로서, 축부(210) 및 상기 축부(210)의 일측 단부에는 피스톤(300)의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축부(21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소경부(2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소경부(220)에는 스냅링(sr1)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홈(221)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홈(221)은 피스톤(300)에 소경부(220)가 삽입되었을 때 스페이서(230)의 두께만큼 축방향으로 이격된 거리에 형성된다.
따라서, 레일축(200)은 피스톤(300)의 지지부(3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스페이서(230)가 삽입된 다음 스냅링(sr1)이 상기 삽입홈(221)에 삽입됨으로써 피스톤(300)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레일축(200)의 단부가 지지부(3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한편, 소경부(220)에는 경사진 방향으로 축부(210)로 관통하는 관통유로(222)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유로(222)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공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서로 레일축(2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여 측면에서 볼 때 서로 교차되도록 X 자로 대칭되도록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피스톤(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300)은 레일축(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310)와, 상기 지지부(310)의 직경방향 둘레를 둘러싸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320)로 이루어진다.
지지부(310)는 스틸 등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반적으로 환형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는 레일축(200)의 소경부(220)에 대응하는 지지홀(311)이 형성된다.
지지부(310)의 일측 내부에는 상기 지지홀(311)의 둘레에 내부가 오목하게 공간부(312)가 형성되고, 지지부(310)의 외측 둘레에는 탄성부(320)와의 고정을 위한 돌출부(313)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3)은 피스톤(300)의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원주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탄성부(320)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전반적으로 환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310)를 둘러싸면서 상기 지지부(310)에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320)의 축방향 두께는 지지부(310)의 축방향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320)에는 상기 돌출부(313)를 수용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수용부(321)와, 상기 수용부(321)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돌출탄성부(322)와, 상기 돌출 탄성부(322)의 바로 하부에 형성되는 홈(323)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돌출 탄성부(322)은 수용부(321)에서 레일축(200) 방향 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레일축 방향으로는 서로 수용부(321)의 단부에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직경방향으로는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는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돌출 탄성부(322)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측 단부가 원형이거나 또는 약간의 평면이 존재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홈(323)의 형상 역시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출 탄성부(322)에 대응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형성된 피스톤(300)이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별도의 오 링 및 실링 링을 설치하지 않고 하우징부(100)의 내부에 형성된 챔버홈(101a)에 바로 조립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 비해 피스톤(300)을 하우징부(100)에 조립하는 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조립 시 필요한 부품점수가 감소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피스톤(300)의 외측이 탄성부(320)로 형성되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하우징이 강도가 더 적은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별도의 충격흡수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부품점수가 감소되고 구성이 간단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레일축(200)의 일 단부가 최종적으로 피스톤(300)에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레일축의 일 단부가 슬리브에 조립됨으로 인해서 요구되는 슬리브, 슬리브 오 링, 체결 너트, 커버에서의 슬리브 실링 등의 다수의 부품이 불요하게 되어 조립성 개선, 원가 절감, 중량 절감의 효가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액추에이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챔버(110S)와 제2챔버(120S)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유로(120h)를 통해 제2챔버(120S)로 유체가 유입되면 피스톤(300) 및 레일축(200)이 제1챔버(110S) 측으로 이동하여 전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레일축(2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포크(F)가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제1챔버(110S)와 제2챔버(120S)에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는 중립 위치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로(110h)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피스톤(300) 및 레일축(200)이 제2챔버(120S)측으로 이동하여 후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레일축(200)의 타측 단부에 구비된 포크(F)가 전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피스톤(300)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는 데, 피스톤(300)의 탄성부(320)에는 레일축 직경방향으로 돌출되며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의 돌출 탄성부(323)가 형성되어 있는 바, 2개의 돌출 탄성부에 의해 축방향으로의 밀봉작용이 2중적으로 확보되므로 피스톤(300)과 하우징(101)의 밀봉이 확실하게 확보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피스톤(300)에서 돌출 탄성부(323)의 하부에 홈(323)이 형성된 경우 돌출 탄성부(323)의 탄성변형작용을 배가시켜 더욱 확실하게 밀봉작용을 확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돌출 탄성부에 의한 밀봉작용을 하기와 같은 점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종래기술에서는 레일축의 양단이 각각 보스 및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바, 중간에 위치하는 피스톤이 슬라이딩 이동시 수직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피스톤과 하우징 사이의 밀봉이 확보되는 작용을 하고 있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레일축(200)이 보스(101b)에 의해서만 지지되므로 피스톤(300)이 슬라이딩 이동시 수직상태유지가 곤란하여 피스톤(100)과 하우징(101) 사이의 밀봉이 문제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으나, 본 발명의 피스톤(300)에서 축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돌출 탄성부(323)의 작용에 의해 이러한 밀봉문제가 해결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피스톤(300)에서 탄성부(320)의 축방향 두께를 지지부(310)의 축방향 두께보다 더 크게 한 경우, 피스톤이 전진위치로 이동할 때는 피스톤(300)과 커버(103)의 커버 스토퍼(103S)와의 충돌 시 완충작용을 하며, 피스톤이 후진위치로 이동할 때는 보스(101b)와의 충돌 시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소경부(220)에 경사진 방향으로 축부(210)로 관통하는 관통유로(222)가 형성됨으로써, 액추에이터에 최초로 유체를 충진하기 위해 피스톤(300)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제1챔버(110S)나 제2챔버(120S)에 잔류하는 공기를 빼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레일축(200)의 이동을 위해 피스톤(300)을 이동시키는 경우레일축(200)에 형성된 관통유로(221)를 통해서도 유체가 유동하게 되는 바, 피스톤(300)의 빠른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의 응답성이 개선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하우징부 101:하우징
101S:스토퍼 101a:챔버홈
103:커버 103S:스토퍼부
110h:제1유로 120h:제2유로
110S:제1챔버 120S:제2챔버
200:레일축 210:축부
220:소경부 300:피스톤
S:챔버

Claims (10)

  1. 중립 위치,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일측 방향으로 이격된 전진 위치 또는 상기 중립 위치로부터 타측 방향으로 이격된 후진 위치로 레일축을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로서,
    내부에 챔버홈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챔버홈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축:
    상기 레일축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챔버홈의 내부에서 슬라이딩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축에는 상기 피스톤을 전후로 관통하는 관통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유로는 상기 레일축의 중심축에 대해 대칭되도록 X 자 형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며,
    상기 피스톤은 상기 레일축의 단부가 고정되는 위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직경방향 둘레를 둘러싸면서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일측 내부에는 오목하게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레일축의 단부가 상기 지지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5.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레일축의 단부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축에 체결부재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레일축이 상기 지지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6.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는 스페이서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상기 공간부의 외측에 형성된 돌출부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돌출 탄성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8. 청구항 7 에 있어서,
    상기 돌출 탄성부는 레일축 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단부에서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직경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원주방향으로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서 상기 돌출 탄성부의 하부에 원주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축방향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축방향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KR1020180069427A 2018-06-18 2018-06-18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KR10204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27A KR102046019B1 (ko) 2018-06-18 2018-06-18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9427A KR102046019B1 (ko) 2018-06-18 2018-06-18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019B1 true KR102046019B1 (ko) 2019-11-19

Family

ID=68771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9427A KR102046019B1 (ko) 2018-06-18 2018-06-18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01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648U (ko) * 1975-01-20 1976-07-22
KR970062400A (ko) * 1996-02-06 1997-09-12 프랑크 엠 사죠벡 3위치 액츄에이터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시스템
KR200372064Y1 (ko) * 2004-10-11 2005-01-10 동양기전 주식회사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KR100816836B1 (ko) * 2007-01-08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JP2009275920A (ja) * 2009-08-26 2009-11-26 Koganei Corp 空気圧アクチュエータ
JP2010265936A (ja) * 2009-05-12 2010-11-25 Toyota Motor Corp 変速用油圧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1648U (ko) * 1975-01-20 1976-07-22
KR970062400A (ko) * 1996-02-06 1997-09-12 프랑크 엠 사죠벡 3위치 액츄에이터 피스톤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시스템
KR200372064Y1 (ko) * 2004-10-11 2005-01-10 동양기전 주식회사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KR100816836B1 (ko) * 2007-01-08 2008-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JP2010265936A (ja) * 2009-05-12 2010-11-25 Toyota Motor Corp 変速用油圧アクチュエータ
JP2009275920A (ja) * 2009-08-26 2009-11-26 Koganei Corp 空気圧アクチュエー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1540B (zh) 可调整的阻尼阀装置
EP2350413B1 (en) Damper
EP2009319A2 (en) Shock absorber
CN111536186B (zh) 阻尼器组件和用于阻尼器组件的活塞
KR102658775B1 (ko) 토크 컨버터 클러치 어셈블리
EP2096336B1 (en) Automatic transmission
KR102046019B1 (ko) 관통유로가 구비된 레일축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US20210164533A1 (en) Vibration damper with adjustable damping force
KR102046018B1 (ko) 탄성부가 구비된 피스톤을 포함한 액추에이터
KR102065385B1 (ko) 액추에이터
US9772631B1 (en) Water control valve
US11421768B1 (en) Torque converter having stamped pilot plate with cross flow to pressure chambers
US20100163355A1 (en) Shock absorber
KR870003413Y1 (ko) 유압 완충기
US6993991B2 (en) Gear selector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02622911B1 (ko) 토크 컨버터 클러치 시스템
WO2018163443A1 (ja) 圧力緩衝装置
US20060283677A1 (en) Hydraulic shock absorber
JP4692384B2 (ja) 電磁弁
US10451091B2 (en) Servo with increased release force
JP2018168910A (ja) 多方弁および弁装置
JP2017096453A (ja) 緩衝器
US10677334B2 (en) Torque converter
CN105715534B (zh) 静液压径向活塞机
JP2018505356A (ja) 圧力除去要素を備える封止装置と、中間領域圧力カスケードを生じさせるための該封止装置の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