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849B1 -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849B1
KR102045849B1 KR1020190072721A KR20190072721A KR102045849B1 KR 102045849 B1 KR102045849 B1 KR 102045849B1 KR 1020190072721 A KR1020190072721 A KR 1020190072721A KR 20190072721 A KR20190072721 A KR 20190072721A KR 102045849 B1 KR102045849 B1 KR 102045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zone
yarn
mixtur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동
Original Assignee
윤성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산업(주) filed Critical 윤성산업(주)
Priority to KR1020190072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03D15/12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Treatment of filament-forming or like material
    • D01D1/10Filtering or de-aerating the spinning solution or melt
    • D01D1/106Filter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8Melt spinning methods
    • D01D5/098Melt spinning methods with simultaneous stretch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01F1/106Radiation shielding agents, e.g. absorbing, reflect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에 의한 수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원사 제조단계; 및 상기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heat-resistant fabric}
본 발명은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열에 의한 수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제직된 폴리프로필렌 직물은 산과 알칼리에 견딜 수 있으며 표면이 소수성이어서 흡수성은 낮고 내열성 및 탄성이 우수하여 건축용, 포장용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1765호(2014.08.12. 등록)는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을 3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시켜 제조하는 제사공정; 상기 제사공정에서 제조된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여 직조하는 제직공정: 및 상기 제직공정에서 얻어진 천을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코팅하는 코팅공정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공정은 권취속도 80 내지 120 m/분, 다이스 온도 200 내지 300℃ 및 스퀴징 압력 0.5 내지 1.5kg/cm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6279호(2015.08.17 등록)는 난연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90 중량% 폴리프로필렌과 10 중량%의 난연제를 혼합하고 사일로에 투입하고 블렌딩하여 용융된 혼합물을 제조하며, 상기 혼합물을 압출하고 고화하여 시트를 제조하며, 상기 시트를 슬리팅하고 연신한 후 어닐링 하며, 위사와 경사로 구분해서 와인딩 하여 1200 데니어의 원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직조하여 천을 제직하는 단계; 및 상기 천을 폴리프로필렌과 난연제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코팅제로 권취속도 140 m/min, 다이스 온도 310℃ 및 스퀴징 압력 1.2 kg/cm2 에서 23 ㎛로 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난연제는 폴리프로필렌과 난연제의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인 6 중량부 및 브롬 7 중량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은, 제조시 또는 제조후 자외선, 열 등에 노출되는 경우에 본래의 크기보다 수축되어 상품성이 저하되며, 원단에 코팅된 코팅제가 벗겨지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3176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54627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에 의한 수축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원사 제조단계; 및 상기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단계를 포함하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는, 폴리프로필렌 65 ~ 75중량%,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23 ~ 30중량%, 자외선 안정제 1 ~ 2중량%, 칼펫트 1 ~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사 제조단계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켜 원사를 제조하는 압출과정;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연신하는 연신과정; 및 와인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와인딩하는 와인딩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출과정은, 압출기의 스크류가 내장된 실린더부가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 구역의 온도를 265℃, 상기 제2 구역의 온도를 285℃, 상기 제3 구역의 온도를 290℃, 상기 제4 구역의 온도를 295℃로 설정하는 실린더부 온도 설정단계; 압출기의 헤드부 온도를 310℃로 설정하는 헤드부 온도 설정단계; 압출기의 이물질 여과부 온도를 270℃로 설정하는 이물질 여과부 온도 설정단계; 및 압출기의 다이스부 온도를 310℃로 설정하는 다이스부 온도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압출과정은, 상기 제1 구역, 상기 제2 구역, 상기 제3 구역, 상기 제4 구역에 각각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를 각각 감지하는 온도 감지 단계; 상기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와 기 설정된 온도를 각각 비교하는 온도 비교 단계; 및 상기 제1 구역, 상기 제2 구역, 상기 제3 구역, 상기 제4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다른 구역의 온도를 상향 조정하는 온도 제어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연신과정은,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70℃, 146℃, 156℃로 설정된 1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연신하는 제1 연신단계; 및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137℃, 167℃로 설정된 2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재연신하는 제2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원단 제조단계 이후에, 상기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내열 보호성 코팅제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내열성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원단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과 신축성 및 염색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시 또는 제조후 자외선, 열 등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수축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축이상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종래의 폴리프로필렌 원단은 24시간 동안 70℃ 온도의 조건에서 2% 미만의 수축율을 가지는 반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내열성 원단은 이보다 더욱 고온의 조건인 75℃∼95℃의 온도에서도 2%(오차범위 ±0.1%) 미만의 수축율이 발생되는 매우 우수한 기술로서, 여러 가지 환경변화에도 최소의 수축으로 최대한 제품의 원형을 보존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사 제조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압출과정을 제1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압출과정을 제2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연신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우선,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S100).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투명하고 결정성이고 경량성 및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내열성도 있으나, 저온(-5℃ 이하)에서는 내충격성이 약하다. 또한, 전기특성이 뛰어나며, 내수, 내약품성에도 뛰어나다.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BOPP)) 필름용 조성물은, 무연신 폴리프로필렌을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연신(延伸)시켜서 만든 원료로서, 일반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강도, 열수축성, 투명성 등이 우수하다. 예를 들어, 필름용 호모 폴리프로필렌, 한화토탈의 HU300 Grade Resin이 사용될 수 있으며, HU300은 이축연신필름용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로서 탁월한 강성과 내열성을 특징으로 한다.
자외선 안정제(Ultra Violet Stabilizer)는, 광안정제의 일종으로 폴리올레핀에 의한 분해를 해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자외선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이 있는 1,6-헥산아민, N, 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폴리머가 사용될 수 있다.
칼펫트(Calpet)는, 복합성형제품으로 무기화학물질인 CaCO3에 고온에서 열가소성 수지와 분산제, 산화방지제, 내열안정제 등을 용융하여 일정한 칩상태로 만들어 놓은 성형제이고 제품의 강성, 생산성, 내열성, 가공성, 인쇄성향상 등의 특징이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65 ~ 75중량%,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23 ~ 30중량%, 자외선 안정제 1 ~ 2중량%, 칼펫트 1 ~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폴리프로필렌의 비율이 65중량% 미만이면 원단의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고 75중량% 초과하면 원단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의 비율이 23중량% 미만이면 원단의 내열성 및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30중량% 초과하면 원단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가 용융된 상태에서 믹싱기를 통해 서로 혼합시켜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100에서 제조된 혼합물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한다(S200).
상술한 단계 S200에 있어서, 압출기, 연신기, 와인딩기가 구비된 제사기를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서 제조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조한다(S300).
상술한 단계 S300에 있어서, 제직기를 통해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교차시켜 제직함으로써, 건축용, 포장용 등의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지니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은,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고내열성 원단을 제조함으로써, 폴리프로필렌 원단 특유의 부드러운 촉감과 신축성 및 염색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제조시 또는 제조후 자외선, 열 등에 노출되는 경우에 발생되는 수축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수축이상 등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본래의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고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원사 제조단계를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합물을 압출시켜 원사를 제조한다(S210).
상술한 단계 S210에 있어서,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된 상태의 혼합물을 다이스의 방사구를 통해 압출하면서 공기 및 저수조의 냉각수로 냉각시켜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10에서 제조된 원사를 연신기를 이용하여 연신시킨다(S220).
상술한 단계 S220에 있어서, 연신기를 이용하여 일정 비율(예를 들어, 연신율이 500 내지 1000%)로 연신함으로써, 원사의 강도 및 신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00에서 연신된 원사를 와인딩기를 이용하여 와인딩시킨다(S230).
도 3은 도 2에 있는 압출과정을 제1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압출기의 스크류가 내장된 실린더부는 각각 다른 온도를 적용하기 위해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으로 구획되되, 제1 구역의 온도를 265℃, 제2 구역의 온도를 285℃, 제3 구역의 온도를 290℃, 제4 구역의 온도를 295℃로 설정한다(S211).
상술한 단계 S211에 있어서, 스크류가 내장된 실린더부는 투입된 혼합물을 혼합 압송하는 것으로,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4개의 구획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압출기의 입구에 근접한 부분부터 순서대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기의 헤드부 온도를 310℃로 설정한다(S212).
상술한 단계 S212에 있어서, 헤드부는 압출기 내부에 열을 전도하면서 혼합물이 통과 및 가열될 수 있도록 하여 혼합물의 용융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켜줄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기의 이물질 여과부 온도를 270℃로 설정한다(S213).
상술한 단계 S213에 있어서, 이물질 여과부는 실린더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개의 여과공이 구비되어, 불순물이나 이물질을 걸러줌으로써, 다이스부에 불순물이나 이물질이 끼어 막혀 압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출기의 다이스부 온도를 310℃로 설정한다(S214).
상술한 단계 S214에 있어서, 다이스부는 방사구를 통해 혼합물을 방사하여 원사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원사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두께, 사폭(絲幅), 중량(바람직하게는, 500 ∼ 5,000denier) 및 다양한 색상으로 이루어지며,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뽑아낼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지니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은, 고내열성 및 고강성을 가지는 원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원사 제조단계 중 압출과정(S210)이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압출과정(S210)에서도 압출기의 구성 각각에 해당하는 최적의 온도로 정확하게 적용된 상태에서 수행되어야만 원사의 수축률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계를 가지는 압출과정은, 순서도에서 실린더부 온도 설정단계(S211), 헤드부 온도 설정단계(S212), 이물질 여과부 온도 설정단계(S213), 다이스부 온도 설정단계(S214)의 순서대로 진행되는 것처럼 도시되었으나 이들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고 아니면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압출과정을 제2 예로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린더부의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 각각에 구비된 온도센서를 통해 온도를 각각 감지한다(S215).
상술한 단계 S215에 있어서, 온도센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온도 감지센서 등 일 수 있으며, 온도센서의 감지 신호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15에서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와 기 설정된 온도를 각각 비교한다(S216).
상술한 단계 S216에 있어서, 메모리에 실린더부의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 각각에 해당하는 온도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216에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다른 구역의 온도를 상향 조정한다(S217).
상술한 단계 S217에 있어서, 제어부가 온도센서로부터 감지된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 각각의 온도를 전달받아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를 각각 비교하며,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인 경우에 다른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키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구동신호를 실린더부의 다른 구역에 전달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역에서 감지된 온도가 265℃ 이하인 경우에 제2 구역의 온도를 285℃ 보다 상향시킬 수 있으며, 제2 구역에서 감지된 온도가 285℃ 이하인 경우에 제3 구역의 온도를 290℃ 보다 상향시킬 수 있다.
실린더부의 각 구역의 온도를 정확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원사의 압출이 수행되어야 하나, 외부환경 등에 따라 실린더부의 어느 한 구역의 온도가 낮아지는 경우 다른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켜줌으로써, 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고내열성 및 고강도성을 가지는 원사를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게 감지된 해당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키지 않고 다른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키는 이유는 온도가 낮게 감지된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키도록 제어하더라도 온도가 바로 상향되지 않기 때문에 원사의 내열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다음 구역의 온도를 상향시켜 계속적으로 작업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적용하던 온도 보다 상승된 고온의 온도를 원사에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연신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70℃, 146℃, 156℃로 설정된 1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원사를 연신한다(S221).
상술한 단계 S221에 있어서, 1차 연신기는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3개의 구획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원사를 1차적으로 일정 배율로 연신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137℃, 167℃로 설정된 2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원사를 재연신한다(S222).
상술한 단계 S222에 있어서, 2차 연신기는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2개의 구획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원사를 재연신 처리함으로써 담금질하는 효과가 동반되어 원사의 강성 및 내열성이 향상된다.
즉, 상술한 단계 S221 및 상술한 단계 S222에서 각각 다른 최적의 온도로 적용된 1차 연신기와 2차 연신기를 통해 연신 작업함으로써, 원사의 수축률을 보다 감소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단계 S300 이후에,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에 내열 보호성 코팅제 도포한다(S400).
상술한 단계 S400에 있어서, 내열 보호성 코팅제는, 예를 들어, 아크릴 중간체(아크릴 Intermediate, 아크릴 IMA)와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메타아크릴산(MAA)의 자유 라디칼 공중합 반응으로 제조된 것 또는 테프론 코팅제 등 일 수 있으며, 원단의 일면 또는 양면이 코팅되어 내열성을 극대화시켜 고온에서도 수축율이 현저히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0 : 혼합물 제조단계
S200 : 원사 제조단계
S210 : 압출과정
S211 : 실린더부 온도 설정단계
S212 : 헤드부 온도 설정단계
S213 : 이물질 여과부 온도 설정단계
S214 : 다이스부 온도 설정단계
S215 : 온도 감지 단계
S216 : 온도 비교 단계
S217 : 온도 제어 단계
S220 : 연신과정
S221 : 제1 연신단계
S222 : 제2 연신단계
S230 : 와인딩과정
S300 : 원단 제조단계
S400 : 코팅제 도포단계

Claims (5)

  1.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자외선 안정제, 칼펫트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혼합물 제조단계;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원사를 제조하는 원사 제조단계; 및
    상기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조하는 원단 제조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원사 제조단계는,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혼합물을 압출시켜 원사를 제조하는 압출과정;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연신하는 연신과정; 및
    와인딩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와인딩하는 와인딩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압출과정은,
    압출기의 스크류가 내장된 실린더부가 제1 구역, 제2 구역, 제3 구역, 제4 구역으로 구획되되, 상기 제1 구역의 온도를 265℃, 상기 제2 구역의 온도를 285℃, 상기 제3 구역의 온도를 290℃, 상기 제4 구역의 온도를 295℃로 설정하는 실린더부 온도 설정단계;
    압출기의 헤드부 온도를 310℃로 설정하는 헤드부 온도 설정단계;
    압출기의 이물질 여과부 온도를 270℃로 설정하는 이물질 여과부 온도 설정단계; 및
    압출기의 다이스부 온도를 310℃로 설정하는 다이스부 온도 설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 제조단계는,
    폴리프로필렌 65 ~ 75중량%,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용 조성물 23 ~ 30중량%, 자외선 안정제 1 ~ 2중량%, 칼펫트 1 ~ 3중량%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과정은,
    3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70℃, 146℃, 156℃로 설정된 1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연신하는 제1 연신단계; 및
    2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각 구획별 온도가 137℃, 167℃로 설정된 2차 연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를 재연신하는 제2 연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KR1020190072721A 2019-06-19 2019-06-19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KR102045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1A KR102045849B1 (ko) 2019-06-19 2019-06-19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721A KR102045849B1 (ko) 2019-06-19 2019-06-19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849B1 true KR102045849B1 (ko) 2019-11-18

Family

ID=6872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721A KR102045849B1 (ko) 2019-06-19 2019-06-19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08A (ko) * 2004-08-31 2006-03-06 뉴테크케미컬 주식회사 농작물재배용 원단지의 제조방법
KR101431765B1 (ko) 2012-11-01 2014-09-23 (주)엠시피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KR101546279B1 (ko) 2013-07-11 2015-08-21 (주)엠시피 난연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KR20170079656A (ko) * 2015-12-30 2017-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원사의 제조방법, 폴리올레핀 기반의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208A (ko) * 2004-08-31 2006-03-06 뉴테크케미컬 주식회사 농작물재배용 원단지의 제조방법
KR101431765B1 (ko) 2012-11-01 2014-09-23 (주)엠시피 포장용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KR101546279B1 (ko) 2013-07-11 2015-08-21 (주)엠시피 난연 폴리프로필렌 천의 제조방법
KR20170079656A (ko) * 2015-12-30 2017-07-1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원사의 제조방법, 폴리올레핀 기반의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5142B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제조방법
US3502766A (en) Process for the improvement of polyamide films
US3639573A (en) Method for making a multicolored split polyolefin yarn
WO2018199397A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02119A (ko) 냉감성 원단과 이를 위한 폴리에틸렌 원사 및 폴리에틸렌 원사 제조방법
KR100439560B1 (ko) 고강도 피이 타포린의 제조방법
KR102045849B1 (ko) 고내열성 원단 제조방법
CN103737950B (zh) 一种低热收缩率聚烯烃扁丝的制造方法
KR20170079656A (ko) 폴리프로필렌 원사의 제조방법, 폴리올레핀 기반의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TWI705164B (zh) 熱塑性聚氨酯纖維及其製作方法
KR101761196B1 (ko) 내구성이 향상된 친환경 코팅사와 코팅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직조한 원단
WO2017115929A1 (ko) 고강도 특성을 가지는 폴리에틸렌 타포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8424B1 (ko)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고강력 폴리에틸렌의 복합 용융 방사를 통한 고강도 직조 필름 제조 방법
KR101427819B1 (ko)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타이어코드용 폴리에스테르 원사의 제조방법
KR20050079896A (ko) 직물의 제조 방법
KR100992398B1 (ko) 생분해성 나노복합 수지를 활용한 생분해성 복합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과 제품
CN114350073A (zh) 一种bopp消光料及其制备方法和bopp消光膜
KR102000537B1 (ko) 폴리에틸렌 플랫얀을 이용한 직조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직조필름
JP2557094B2 (ja) 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樹脂製フラットヤーン及びその製造法
KR102602212B1 (ko)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7200121A1 (ko) 고강도 폴리에틸렌 멀티필라멘트 섬유 및 제조방법
JP3030128B2 (ja) ポリエチレン系二軸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JP2782376B2 (ja) 延伸テープの製造方法
TWI710677B (zh) 耐水解熱塑性聚氨酯纖維及其製作方法
TWI819389B (zh) 具有改善收縮率的高強度聚乙烯紗線以及其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