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541B1 -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541B1
KR102045541B1 KR1020170165894A KR20170165894A KR102045541B1 KR 102045541 B1 KR102045541 B1 KR 102045541B1 KR 1020170165894 A KR1020170165894 A KR 1020170165894A KR 20170165894 A KR20170165894 A KR 20170165894A KR 102045541 B1 KR102045541 B1 KR 102045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nimap
cell
displayed
area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6295A (ko
Inventor
이범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7016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5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17/24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니맵을 화면에 표시하고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니맵을 이용하여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ON USING MINI-MAP}
본 발명은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서작성에 있어서 스크롤을 대신하여 미니맵을 이용하여 문서 내에서 자유롭게 작업영역을 탐색할 수 있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에서 콘텐츠를 받아들여, 이를 조작하고 디스플레이 한다. 스프레드시트는 GUI에서 다양한 포맷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애플리케이션은 숫자 표에서 계산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총칭이다.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은 개발 당시부터 지금까지 매우 다양하고 실용적인 용도를 제공하는 개인 또는 업무용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전에도 대형 컴퓨터 용으로 사용되었던 수식 관련 프로그램이 있었으나 세계 최초의 PC용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은 애플Ⅱ용으로 개발된 VisiCalc이다.
전형적인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들은 행과 열로 정렬된 데이터를 캡처하고, 디스플레이 하고 조작함으로써 실체적인 스프레드시트를 시뮬레이션 한다. 교차하는 행과 열들은 스프레드시트 내에서 많은 셀들을 생성한다. 전형적으로 각 셀은 데이터 아이템 및/또는 수학식을 내포한다.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에서 셀 단위로 자료를 입력하는 방식은 일반 문서 작성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모듈, 즉 워드프로세서에서 표기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 문서에서 표의 가로 및 세로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수십 개 정도의 셀을 다루어야 하지만, 기업 환경에서는 많은 셀을 포함하는 스프레드시트를 다루어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스프레드시트 상에서 셀이 차지하는 영역이 방대해서 사용자는 셀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미니맵은 전체 맵을 축소하여 보여주는 것을 뜻한다. 게임에서 미니맵은 전체 맵을 한 화면에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미니맵을 이용하여 전체 맵을 표시한다. 특히 미니맵은 실시간 전략 게임(real time strategy, RTS) 또는 시뮬레이션 등의 게임 장르에서 자주 보인다. 오락실용 게임이 널리 보급되었던 1980년에 미니맵은 남코에서 발매된 소위 방구차로 불리는 Rally-X라는 게임에서 사용된 바 있다.
게임 분야에서 사용되는 미니맵은 스포츠 방송, 웹 브라우저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스포츠 방송에서 사용되는 미니맵은 축구와 같은 스포츠 중계에서 축구 경기장 전체를 미니맵에 담아 중계되는 화면 프레임, 선수들 및 공의 위치를 표시하기도 한다.
모바일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미니맵은 작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주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프레임의 위치 표시 또는 화면 스크롤을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미니맵이 사용되는 예에서 알 수 있듯이, 미니맵의 기능성은 그 용어적인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전체 지도 내지 전체 화면 프레임을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담아내지 못할 경우에 발휘될 수 있다.
종전의 기술에 의하면 미니맵은 게임 영역에서 전체 맵을 축소하여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거나, 스포츠 중계 영역 또는 모바일 단말기 영역에서 주로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니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니맵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가 출력하는 화면을 스크롤하는 방법이 나타나 있다. 이 방법은 리모콘을 이용하여 TV 셋탑박스용 웹브라우저가 출력하는 화면을 미니맵을 이용하여 스크롤 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미니맵의 기능이 스크롤에 한정되고, 스크롤에 의해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셀 영역을 탐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는 특히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셀 영역을 탐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인 탐색기능 이외에 셀 영역의 크기에 맞게 미니맵을 확장하거나 축척 및 크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방대한 크기의 셀 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선행기술과 구별되는 기술로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01934호(2005.07.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맞게 미니맵의 크기 및 축척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미니맵이 나타내는 영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은,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니맵을 화면에 표시하고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니맵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에 따라 미니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 상에 표시될 셀의 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의 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정보들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을 미니맵 상에 나타내는 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축척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축척비는, 현재 미니맵 영역의 넓이와 새롭게 지정될 미니맵 영역의 넓이의 차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미니맵의 영역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일 방향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폴딩/언폴딩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폴딩된 미니맵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들이 표시된,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니맵의 설정, 생성 및 동작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셀들을 탐색하기 위해 미니맵에 관한 환경을 설정하고 미니맵을 생성 및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스프레드시트 상의 셀의 좌표 및 셀에 포함된 데이터에 관한 셀정보를 수집하는 셀정보수집 모듈; 미니맵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모듈; 및 셀정보 및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미니맵을 생성하고, 미니맵의 크기, 축척 변환 및 확장 동작을 제어하는 미니맵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니맵을 이용하여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맞게 미니맵의 크기 및 축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미니맵이 나타내는 영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미니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람 전용의 뷰어(viewer) 및 이에 이용되는 뷰잉 방법 그리고 표를 구성하는 셀을 편집, 디스플레이 및 프린트 기능을 수행하는 문서 작성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 환경은 사용자 단말(100)에도 해당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데이터를 표시 및 입력하는 장치로서 문서, 예를 들면 스프레드시트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문서출력 전용의 장치, 문서 에디터, 문서편집 장치, 전자 타이프라이터(electric type writer) 또는 문서의 작성 및 편집 이외에 범용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모듈 내에 포함된 컴퓨터 명령어를 실행하는 컴퓨터 장치, 단말기(terminal) 및 무선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파일 서버, 업데이트 서버, FTP 서버 및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각종 파일, 예를 들어 새로운 패치, 확장 프로그램 및 서비스 팩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파일 다운로딩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네트워크(400)는 LAN, WAN 형태의 유선 네트워크,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및 다양한 종류의 셀룰러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인스톨된 형태로 저장한다.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인스톨되지 않은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저장된 미디어를 읽고, 이를 인스톨하여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미디어는 광학 저장 미디어, 예를 들어 CD-ROM 및 DVD-ROM을 포함한다. 또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은 서버(300)로부터 내려 받은(downloaded)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서버(300)로부터 각종 파일을 내려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1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120),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130), 저장 장치(storage device)(140),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150), 전원 장치(power device)(160) 및 제어부(control unit)(170)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110)는 문서 작성에 필요한 데이터 및 사용자 작업 환경의 각종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및 음성 입력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 디바이스(110)는 문자 및 개체를 문서 내에 입력한다. 여기서, 문자는 공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개체는 아이콘, 그림, 도형, 표 및 차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양식 개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는 문서 작성을 위한 편집 화면의 프레임 출력을 수행하는 브라운관(cathode-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디바이스(130)는 프린터, 플로터, 빔프로젝터,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ound, TTS) 장치와 스피커 및 이어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장치(140)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불가능한 모든 형태로서, 자기테이프, 자기드럼, 플로피 디스크, ZIP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자기 방식의 저장장치, SD 카드, USB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전기 방식의 저장장치 및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방식의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장치(150)는 네트워크(400)의 각종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 USB 모듈, 셀룰러 무선통신 모듈, 모뎀 및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장치(160)는 AC를 DC로 변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어댑터, SMPS와 리튬이온 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및 바이오에탄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와 1차 전지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어부(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프로세서(central processing unit, CPU)와, 운영체제 및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메모리 영역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명령어가 포함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 중에서 환경설정 모듈(171) 및 서식제어 모듈(172)을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이 구현되도록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가 입력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따른 문서 작성 프로세스, 작성된 문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화면 프레임의 출력 프로세스, 출력 디바이스(130)를 통한 작성된 문서를 종이 위에 출력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프로세스, 작성된 문서를 저장 장치(140)에 저장하는 프로세스, 작성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작성된 문서를 통신 장치(1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300) 또는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스 및 전원 장치(160)를 통한 파워 공급 프로세스를 제어부(170) 내에 구성된 프로세서(CPU), 운영체제(OS)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 메모리(531), 저장장치(532), 전원 장치(540), 프로세서(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560), 무선통신 장치(570) 및 버스(58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50)는 메모리(531) 및/또는 저장 장치(532)에 저장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31)와 저장 장치(5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5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5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가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의 실행을 통해 수행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도 3 및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S100)은 S110 내지 S146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가 수행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S100)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12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입력 디바이스(11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기반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어 셋 형태로 코드화될(coded)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한다(S110). 애플리케이션 모듈(17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이 컴퓨터 하드웨어, 예를 들어 프로세서 및 메모리(176)와 결합하여 수행되도록 코드화된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10)가 출력하는 화면의 프레임(10)이 예시적으로 나타나 있다. 화면의 프레임(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20)가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나타내는 영상을 의미한다. 화면 상단에 각종 메뉴, 메뉴바, 아이콘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형태로 표시되어 있고, 셀 영역(11)에 활성 셀(12)이 표시되어 있다. 도 7은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모습을 보이나,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입력 디바이스(110)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환경 설정 모듈(172)은 미니맵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한다(S120). 여기서 미니맵 파라미터는 미니맵의 위치, 크기, 축척, 폴딩/언폴딩 동작 및 확장 방법에 관한 것을 포함한다.
사용자의 입력 없이 미니맵의 파라미터 설정 전에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미니맵이 먼저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니맵은 기본 옵션에 의한 설정에 따라 생성된다.
상기 설정에 따라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미니맵을 생성한다(S130). 상기 설명과 같이 S130 단계는 S120 단계 전에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니맵을 화면에 표시하고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한다(S140). 본 단계는 미니맵을 표시하는 단계와 표시된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화면 하단에 미니맵(40)의 설정에 따른 위치, 크기 및 축척에 맞게 생성되어 표시된다. 미니맵 내부에 작업영역(41)이 현재 화면의 프레임에서 표시되는 셀 영역(11)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자는 미니맵 아이콘(50)을 사용하여 미니맵(40)을 폴딩/언폴딩 할 수 있다.
이하 S140 단계가 선택적으로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포함할 수 있는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세부 단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셀정보수집 모듈(171)은 환경설정 모듈(172)에 의한 미니맵 설정에 따라 미니맵 상에 표시될 셀의 셀정보를 수집한다(S141). 즉 셀정보수집 모듈(171)은 미니맵 설정을 참조하여 미니맵을 이용하여 표시할 셀의 좌표, 셀에 포함된 데이터와 같은 셀정보를 수집한다.
또한, 셀정보수집 모듈(171)은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의 셀정보를 수집한다(S142). 여기서,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은 작업영역(41) 상에 표시되는 셀을 의미한다. 그리고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상기 위치정보들, S141 및 S142에서 수집된 셀정보들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을 미니맵 상에 나타내는 것을 제어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미니맵 영역(40) 내에서 작업영역(41-1, 41-2)의 이동이 나타나 있다. 즉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화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작업영역(41)이 미니맵(40) 상에서 다르게 표시되는 것을 제어한다. 반대로 미니맵(40) 상에서 작업영역(41-1)이 작업영역(41-2)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에 따라 화면 프레임이 작업영역(41-2)이 참조하는 영역에 연동하여 변화된다.
또한,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미니맵의 축척비를 조절한다(S143). 본 발명에서 미니맵의 축척비는 미니맵이 전체 셀 영역을 축소해서 미니맵 영역(40) 상에 표시하는 비율을 의미한다. 축척비는 환경 설정에서 축척비를 나타내는 수의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축척비는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면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서도 조절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미니맵 영역(40)이 나타나 있고, 미니맵 영역(40)의 내부에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좁은 가상의 미니맵 영역(50)이 그 외부에는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넓은 가상의 미니맵 영역(60)이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면 마우스를 이용하여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영역을 지정함으로써 미니맵의 축척비를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다. 영역(50)의 지정은 축척비를 확대시키고, 영역(60)의 지정은 축척비를 축소시킨다. 화살표(42, 43)는 미니맵 영역에 나타나지 않는 셀 영역이 더 존재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하는 방법에 의해 미니맵의 축척비는 현재 미니맵 영역의 넓이와 새롭게 지정될 미니맵 영역의 넓이의 차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한다(S144). 기본적으로 미니맵의 크기도 축척과 마찬가지로 환경 설정에서 크기를 나타내는 수의 입력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니맵의 크기는 마우스의 드래그 앤 드롭 동작에 의해 조절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미니맵(40)이 나타나 있고 미니맵의 테두리(40c)가 함께 나타나 있다. 사용자는 미니맵의 테두리(40c)에 마우스를 위치시키고 드래그 앤 드롭 작용을 통해 미니맵의 크기를 축소 또는 확대할 수 있다.
또한,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현재 표시되는 미니맵의 영역에서 어느 한 방향으로 영역을 확장한다(S145). 확장의 개념은 전체적인 크기 변화가 아닌 일 방향으로 미니맵이 표시하는 셀 영역을 추가시키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미니맵 영역(40)이 표시되어 있고, 이 영역 상에 표시되지 않은 셀 영역이 화살표 방향에 더 존재함을 알리는 화살표(42, 43)가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마우스의 동작, 예를 들어 화살표(42, 43)를 클릭하거나, 화살표 이외의 미니맵 영역(40) 상에서 더블 클릭함으로써 해당 방향에 존재하는 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미니맵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S145 단계의 결과가 나타나 있다. 사용자의 화살표(42) 클릭 동작에 따라 확장된 미니맵 영역(45)이 나타난다.
또한, 미니맵제어 모듈(173)은 미니맵의 폴딩/언폴딩을 수행한다. 여기서, 폴딩된 미니맵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146).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화면 프레임의 하단의 아이콘 표시줄에 미니맵 아이콘(50)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아이콘(50)을 클릭함으로써 미니맵을 폴딩(folding) 또는 언폴딩(unfolding)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인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10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미니맵을 이용하여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을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맞게 미니맵의 크기 및 축척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드시트에서 셀 영역의 크기에 따라 미니맵이 나타내는 영역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확장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장치
110: 입력 디바이스
12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0: 출력 디바이스
140: 저장 장치
150: 통신 장치
160: 전원 장치
170: 제어부
171: 환경설정 모듈
172: 서식제어 모듈
300: 서버
400: 네트워크
500: 컴퓨팅 장치
51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
52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531: 메모리
532: 저장장치
540: 전원 장치
550: 프로세서
56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570: 무선통신 장치
580: 버스

Claims (11)

  1.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 셋으로 구성된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미니맵을 화면에 표시하고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 상에 표시될 셀의 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의 셀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수집된 셀정보들을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에 표시되는 셀을 미니맵 상에 나타내고, 미니맵 상에 특정 방향에 표시되지 않은 셀 영역이 더 있는 경우 해당 방향에 셀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리는 표시 수단을 표시하고, 표시 수단을 클릭하여 해당 방향에 존재하는 셀 영역을 표시하도록 해당 방향으로 미니맵을 확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미니맵의 위치 및 크기를 포함하는 각종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에 따라 미니맵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축척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축척비는,
    현재 미니맵 영역의 넓이와 새롭게 지정될 미니맵 영역의 넓이의 차이에 따라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한 내비게이션 방법.
  8. 청구항 1에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현재 표시되는 미니맵의 영역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일 방향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는,
    미니맵의 폴딩/언폴딩 단계를 더 포함하고, 폴딩된 미니맵은 아이콘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1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셀들이 표시된, 스프레드시트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미니맵의 설정, 생성 및 동작 제어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 및
    상기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셀들을 탐색하기 위해 미니맵에 관한 환경을 설정하고 미니맵을 생성 및 미니맵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스프레드시트 상의 셀의 좌표 및 셀에 포함된 데이터에 관한 셀정보를 수집하는 셀정보수집 모듈과, 미니맵에 관한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모듈과, 셀정보 및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미니맵을 생성하고, 미니맵의 크기, 축척 변환 및 확장 동작을 제어하는 미니맵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미니맵제어 모듈은 미니맵 상에 특정 방향에 표시되지 않은 셀 영역이 더 있는 경우 해당 방향에 셀 영역이 존재하는 것을 알리는 표시 수단을 표시하고, 표시 수단을 클릭하여 해당 방향에 존재하는 셀 영역을 표시하도록 해당 방향으로 미니맵을 확장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11. 삭제
KR1020170165894A 2017-12-05 2017-12-05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045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94A KR102045541B1 (ko) 2017-12-05 2017-12-05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894A KR102045541B1 (ko) 2017-12-05 2017-12-05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95A KR20190066295A (ko) 2019-06-13
KR102045541B1 true KR102045541B1 (ko) 2019-11-15

Family

ID=6684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894A KR102045541B1 (ko) 2017-12-05 2017-12-05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5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6434A1 (en) * 2008-12-09 2010-06-10 Yahoo!, Inc. Minimap Navigation for Spreadshe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1934B1 (ko) 2003-03-21 2005-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니맵을 이용한 화면 스크롤 시스템 및 방법
KR101977075B1 (ko) * 2012-07-24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대 화면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선택방법
KR102145515B1 (ko) * 2013-04-24 2020-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60123068A (ko) * 2015-04-15 2016-10-25 노정화 스마트폰 단말기에서 미니맵 화면을 표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46434A1 (en) * 2008-12-09 2010-06-10 Yahoo!, Inc. Minimap Navigation for Spreadshe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295A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8217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column layouts in electronic documents
US10984169B2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providing a dynamic loupe for displayed information
US20160098250A1 (en) Application prototyping tool
JP200815876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当該情報処理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15526751A (ja) アプリケーション文字調整の方法、装置、端末、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4564263A (zh) 页面布局调整方法、装置
KR102045541B1 (ko)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JP607011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287498B2 (ja) 電子ホワイトボード装置、電子ホワイトボードの入力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34801A (ja) コンテンツ作成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閲覧装置
KR102014216B1 (ko) 데이터 표시 및 입력 방법과 장치
KR102189292B1 (ko) 차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04216626A (zh) 一种图像获取方法及电子设备
KR101999323B1 (ko)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KR102014215B1 (ko) 단위환산 방법 및 장치
WO2015045090A1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JP201621853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サーバ
JP201409274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086626A1 (en) Fluid design keyframes for contents
CN111782333B (zh) 游戏中的界面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与终端设备
JP2006331356A (ja) 業務処理プログラム、それを記録した記録媒体及び業務処理システム
KR102036914B1 (ko) 데이터 표시 및 입력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
CN112740165B (zh) 演示资料制作装置、演示资料制作方法和演示资料制作程序
JP2012123497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ならびにその動作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117319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