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23B1 -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23B1
KR101999323B1 KR1020170140795A KR20170140795A KR101999323B1 KR 101999323 B1 KR101999323 B1 KR 101999323B1 KR 1020170140795 A KR1020170140795 A KR 1020170140795A KR 20170140795 A KR20170140795 A KR 20170140795A KR 101999323 B1 KR101999323 B1 KR 101999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agraph
document
spacing
marker
mark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7208A (ko
Inventor
서종성
김현경
윤준영
방지환
권유진
김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Priority to KR102017014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2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7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7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2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cursor appearance or behaviour, e.g. being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splaye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문서 내의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문서출력 방법에 따라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을 상기 모듈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문서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스페이싱을 표시하고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METHOD FOR OUTPUTTING DOCUMENT BY ALIGNING PARAGRAPH WITH VERTICAL RUL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간격을 조절하여 문서를 편집하고, 디스플레이하고, 프린트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각종 편집용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어 워드프로세서 및 이미지를 편집하는데 사용되는 리터칭 애플리케이션(retouching application)에서 텍스트, 그래픽, 표 또는 기타 요소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를 맞추는데 눈금자(ruler)가 사용된다.
특히 워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문서를 편집하는 경우 눈금자 상에는 문서의 각종 여백, 예를 들어 위쪽 여백(top margin), 아래쪽 여백(bottom margin), 머리말(header), 꼬리말(footer), 왼쪽 여백(left margin) 및 오른쪽 여백(right margin)을 표시하는 각종 아이콘들(icons)이 가로 눈금자(horizontal ruler) 또는 세로 눈금자(vertical ruler)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사용자는 문서의 왼쪽 여백 또는 오른쪽 여백 등을 조절하기 위해 여백 설정 대화 상자를 띄운 상태에서 숫자를 입력할 필요 없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가로 눈금자에 표시된 여백 조절자(margin resizer)를 통해 여백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가로 눈금자는 사용자 환경 설정을 통해 문서 편집 화면에서 감추거나 보이게도 할 수 있다.
세로 눈금자는 문서 편집 화면의 좌측에 놓이는 경우가 많다. 세로 눈금자도 사용자 환경 설정을 통해 편집 화면에서 감추거나 보이게 할 수 있다. 세로 눈금자 상에도 위쪽/아래쪽 여백 및 머리말/꼬리말 여백을 표시하는 아이콘 또는 숫자가 디스플레이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 눈금자 상에 왼쪽 여백 표시자(left margin marker)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표시자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세로 눈금자 상에도 위쪽 여백 및 머리말이 표시되어 있고, 위쪽 여백 조절자 및 머리말 조절자가 나타나 있다.
가로 눈금자 또는 세로 눈금자에 표시되는 각종 표시자(marker) 또는 조절자(resizer)를 이용하면 문서의 여백 및 들여 쓰기/내어 쓰기 기능이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처리될 수 있어 편리하다.
가로 눈금자에 표시되는 들어 쓰기/내어 쓰기 관련 각종 표시자 또는 아이콘들이 많이 사용되는 것과 비교하여, 세로 눈금자에 표시되는 아이콘 또는 표시자들의 활용도가 현저히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워드 프로세서에서 세로 눈금자에 표시되는 표시자 등이 여백과 관련된 기능에 한정되어 있고, 종래의 워드 프로세서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에서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세로 눈금자의 낮은 활용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세로 눈금자를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세로 눈금자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문서출력 방법 및 문서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세로 눈금자에 실용성 높은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자 등이 표시되는 문서출력 방법 및 문서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가 형성하는 스페이싱(spacing)이 세로 눈금자에 표시되는 문서출력 방법 및 문서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세로 눈금자에 표시된 실용성 높은 아이콘을 통해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을 조절할 수 있는 문서출력 방법 및 문서출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문서 내의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문서출력 방법에 따라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editor application module)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디스플레이가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을 상기 모듈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싱은,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 및 줄 간격(line spac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GUI로 나타나는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간격을 표시하기 위해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를 생성하는 문단 표시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캐럿 상태 또는 개체 선택 시에 문단 표시자가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s)는, 문단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단 시작 표시(paragraph start icon) 및 문단의 끝을 표시하는 문단 종료 표시(paragraph end ic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단 표시자는, 괄호(bracket) 형태이고, 특히 홑낫표(single corner bracket) 및 겹낫표(double corner bracket)가 문단 표시자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문단 시작 표시 또는 문단 종료 표시자가 선택된 때에, 커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커서 위치 표시(cursor position icon)를 생성하고 이를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하는 문단 표시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성 지정을 통해 문단 표시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디바이스가 프레임이 표시하는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새로운 창의 생성 없이 GUI를 이용하여 스페이싱(spacing)을 직접 조절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이동 표시줄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 및/또는 이동되는 경우, 현재의 문단 간격 및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문서 편집의 세로쓰기 상태에서 가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표시자, 이동 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및 툴팁에 관한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문서 내의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문서출력 방법에 따라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및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을 상기 모듈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것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싱은,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 및 줄 간격(line spac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GUI로 나타나는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간격을 표시하기 위해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캐럿 상태 또는 개체 선택 시에 문단 표시자가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s)는, 문단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단 시작 표시(paragraph start icon) 및 문단의 끝을 표시하는 문단 종료 표시(paragraph end ic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단 표시자는, 괄호(bracket) 형태이고, 특히 홑낫표(single corner bracket) 및 겹낫표(double corner bracket)가 문단 표시자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단 시작 표시 또는 문단 종료 표시자가 선택된 때에, 커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커서 위치 표시(cursor position icon)를 생성하고 이를 나타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하는 문단 표시자 설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문단 표시자 설정 단계는, 상기 속성 지정을 통해 문단 표시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입력 디바이스가 프레임이 표시하는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새로운 창의 생성 없이 GUI를 이용하여 스페이싱(spacing)을 직접 조절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이동 표시줄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 및/또는 이동되는 경우, 현재의 문단 간격 및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문서 편집의 세로쓰기 상태에서 가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표시자, 이동 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및 툴팁에 관한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서출력 장치 및 문서출력 방법에 있어서 세로 눈금자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문서출력 장치 및 문서출력 방법에서 세로 눈금자에 실용성 높은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문서출력 장치 및 문서출력 방법에서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가 형성하는 스페이싱(spacing)이 세로 눈금자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문서출력 장치 및 문서출력 방법에서 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세로 눈금자에 표시된 실용성 높은 아이콘을 통해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이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문서 편집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는 대화상자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문서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문서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열람 전용의 뷰어(viewer) 및 이를 이용하는 뷰잉 방법 그리고 편집, 디스플레이 및 프린트 기능을 수행하는 문서출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문서출력 장치(100)에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00), 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은 전자문서를 출력하는 장치로서, 문서를 작성하고 편집할 수 있는 문서출력 전용의 장치, 문서 에디터, 문서편집 장치, 전자 타이프라이터(electric type writer) 또는 문서의 작성 및 편집 이외에 범용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 단말기(terminal) 및 무선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무선단말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셀룰러 전화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스마트 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무선 모뎀,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컴퓨터,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촬영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게이밍(gaming) 장치,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지는 음악저장 및 재생 가전제품,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브라우징이 가능한 인터넷 가전제품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능들의 조합들을 통합하고 있는 휴대형 유닛 또는 단말기들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파일 서버, 업데이트 서버, FTP 서버 및 웹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업데이트를 위해 필요한 각종 파일, 예를 들어 새로운 패치, 확장 프로그램 및 서비스 팩을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의 접속을 허용하여 파일 다운로딩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네트워크(400)는 LAN, WAN 형태의 유선 네트워크, WiFi,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및 다양한 종류의 셀룰러 무선통신망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단말(1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을 구성하는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인스톨된 형태로 저장한다.
문서출력 장치(100)는 인스톨되지 않은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저장된 미디어를 읽고, 이를 인스톨하여 문서출력 장치(100) 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광학 저장 미디어, 예를 들어 CD-ROM 및 DVD-ROM을 포함한다. 또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서버(300)로부터 내려 받은(downloaded) 바이너리 파일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문서출력 장치(100)는 네트워크(400)를 통해서 서버(300)로부터 각종 파일을 내려 받아 상기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상기 문서출력 장치(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문서출력 장치(100)는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110), 디스플레이(display)(120), 출력 디바이스(output device)(130), 저장 장치(storage device)(140), 통신 장치(communication device)(150), 전원 장치(power device)(160) 및 제어부(control unit)(170)를 포함한다.
입력 디바이스(110)는 문서작성에 필요한 데이터 및 사용자 작업 환경의 각종 파라미터 설정을 위한 정보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터치스크린, 마우스, 전자펜 및 음성 입력장치,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질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통해 입력 디바이스(110)는 문자 및 개체를 문서 내에 입력한다. 여기서, 문자는 공백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개체는 아이콘, 그림, 도형, 표 및 차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양식 개체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20)는 문서작성을 위한 편집 화면의 프레임 출력을 수행하는 브라운관(cathode-ray tube, CRT),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다이오드 (light 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디바이스(130)는 프린터, 플로터, 빔프로젝터, 텍스트 음성 변환(text to sound, TTS) 장치와 스피커 및 이어폰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저장 장치(140)는 문서출력 장치(100)로부터 분리가 가능/불가능한 모든 형태로서, 자기테이프, 자기드럼, 플로피 디스크, ZIP 드라이브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와 같은 자기 방식의 저장장치, SD 카드, USB 메모리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SSD)와 같은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하는 전기 방식의 저장장치 및 CD-ROM 드라이브, DVD-ROM 드라이브,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방식의 저장장치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장치(150)는 유무선 통신망(300)의 각종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 모듈, 예를 들어 블루투스 모듈, WiFi 모듈, 이더넷 인터페이스 카드, USB 모듈, 셀룰러 무선통신 모듈, 모뎀 및 무선 공유기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 장치(160)는 AC를 DC로 변환하는 파워 서플라이, 어댑터, SMPS와 리튬이온 전지, 납축전지, 연료 전지 및 바이오에탄올 전지와 같은 2차 전지와 1차 전지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제어부(17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프로세서(CPU), 운영체제 및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메모리 영역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명령어가 포함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 중에서 문단 표시자 생성부(171) 및 문단 표시자 설정부(172)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이 구현되도록 문서출력 장치(100) 내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문서출력 장치(100)가 입력 디바이스(1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받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에 따른 문서 작성 프로세스, 작성된 문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화면 프레임의 출력 프로세스, 출력 디바이스(130)를 통한 작성된 문서를 종이 위에 출력하거나 음성으로 출력하는 프로세스, 작성된 문서를 저장 장치(140)에 저장하는 프로세스, 작성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작성된 문서를 통신 장치(150)를 이용하여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300) 또는 외부 단말에 전송하는 프로세스 및 전원 장치(160)를 통한 파워 공급 프로세스를 제어부(170) 내에 구성된 프로세서(CPU), 운영체제(OS) 및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에 관한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로드된 메모리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100)는 다른 실시 예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500)에 해당하는 문서출력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 메모리(531), 저장장치(532), 전원 장치(540), 프로세서(55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560), 무선통신 장치(570) 및 버스(580)를 포함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510)는 키보드(Keyboar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마우스(Mouse), 전자펜(Stylus Pen) 및 펜 태블릿(Pen Tablet)을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및 문서를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를 포함한다. 또한,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520)는 문서 내의 문자를 음성합성(Text to Speech, TTS) 엔진을 이용하여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Speaker), 헤드폰(Head-phone) 및 헤드셋(Head-set)을 포함한다.
프로세서(550)는 메모리(531) 및/또는 저장 장치(532)에 저장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에 관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고 있는 컴퓨터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55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531)와 저장 장치(532)는 휘발성 저장 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531)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 장치(570)는 근거리 무선통신, 무선 데이터 통신 및 무선 음성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문서출력 장치(5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58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설명한 문서출력 장치(100)가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포함하는 컴퓨터 명령의 실행을 통해 실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을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방법은 S110 내지 S162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입력 디바이스(1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한다(S110).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100)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키보드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문서의 콘텐츠 내에서 또는 메뉴 실행에 있어서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한다. 즉 입력 디바이스(110)는 문서 콘텐츠 내에서 문자를 포함하여 로컬 영역 또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외부로부터 표, 그림, 그래프, 수식, 도형 등의 개체를 불러와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120)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한다(S120).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문서출력 장치(100)의 출력 화면의 프레임 일부가 나타나 있다. 출력 화면의 왼쪽에는 세로 눈금자가 나타나 있다. 그리고 세로 눈금자 오른쪽에는 사용자가 작성 중인 문서의 콘텐츠가 나타나 있다. 여기서 상기 문서는 적어도 2개의 문단(paragraph)을 포함하고 있다.
다음으로 문단 표시자 생성부(171)는 메인 윈도우 상에 GUI로 나타나는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간격을 표시하기 위해 문단 표시자를 생성한다(S130).
다음으로 문단 표시자 설정부(172)는 입력 디바이스(110)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한다(S140).
상기 S130 단계와 S140 단계는 시간적 순서가 다르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를 생성한 후에 그 속성을 처음 설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미리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설정한 후에 문단 표시자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할 수 있는 대화상자의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환경 설정 대화상자에서 제어부(170)는 기타/표시 항목에서 세로 눈금자에 문단 시작/끝 표시자의 on/off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옵션이 on인 상태에서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표시자들이 나타난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를 이용하여,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110)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을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실행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S150).
여기서,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도 1에 표시된 여백 및 머리말에 형성된 스페이싱을 가리킨다. 그리고 여백 이외의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은, 문서의 본문 내에서 형성되는 줄 및 문단에 의해 형성되는 스페이싱을 가리킨다. 간단히 설명하면, 문단 표시자는 문서 내의 여백이나 머리말 같이 비어 있는 공간 이외의 콘텐츠로 채워진 문단의 간격을 나타낸다.
또한, 줄 간격 또한 세로 눈금자 상에 표시될 수 있는데, 줄 간격은 줄 각각마다 표시되기 보다는, 문단 단위로 표시되되 이전 문단과 비교하여 줄 간격이 변화된 경우에 아라비아 숫자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단위, 예를 들어 mm, pt 또는 배수를 이용하여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줄 간격 및 문단 간격이 문서를 편집하는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아 육안으로 줄 간격 또는 문단의 간격이 변화된 경우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은 것이 문제였다. 특히 문단 상이에 공백이 추가된 경우에 일정 간격 이하의 경우 육안으로 파악되기가 힘들고, 더 나아가 문단 앞에 공백이 추가된 것인지 문단 뒤에 공백이 추가된 것인지 파악하기 힘든 것이 문제였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캐럿이 위치하는 문단의 상하 폭에 대응하는 세로 눈금자의 영역 상에 문단 표시자(1s) 및 문단 표시자(1e)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문단 표시자(paragraph indicator)는 문단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단 시작 표시(paragraph start indicator)(1s)와 문단의 끝을 표시하는 문단 종료 표시(paragraph end indicator)(1e)를 포함한다.
상기 문단 표시자로서, 괄호(bracket)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괄호는 소괄호, 대괄호, 중괄호, 화살괄호 및 낫표를 포함하고, 싱글 홑괄호와 중복 겹괄호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로 눈금자 상에서는 수치가 뉘어져 표시되듯이 괄호도 뉘어져 표시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겹낫표가 문단 표시자로 사용되었다. 특히, 세로쓰기 방식을 사용하는 나라의 언어, 예를 들면 일본어 또는 중국어에서 자주 사용되는 홑낫표(single corner bracket) 및 겹낫표(double corner bracket) 중에서 어느 하나를 문단 표시자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기호들은 세로 방향의 시작 지점 및 끝 지점을 알려주는데 가시성이 좋다. 더 나아가 문단 시작 표시자로서 좌괄호(opening bracket)가, 문단 종료 표시자로서 우괄호(closing bracket)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문단 표시자가 괄호 대신 밴등 형태로, 세로 눈금자의 색과 구별되게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 문단 표시자는 문단 앞에 추가된 공백(2b)과 문단 뒤에 추가된 공백(2a)을 구분하여 표시해 주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로 눈금자에 표시된 문단 표시자를 이용하여 문단 사이에 공백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이전의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문단 표시자로 나타낸 밴드의 처음(2s) 또는 끝(2e)을 클릭 및 드래그 함으로써 문단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가 이전 실시 예와 구별되는 되는 점은 문단 표시자가 하나의 문단의 처음과 끝을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문단 사이에서 이전 문단의 끝과 이후 문단의 처음을 표시해 주고 있다.
특히 제어부(170)는 캐럿 상태 또는, 예를 들어 도형, 그림, 표, 차트와 같은 개체가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된 경우에만 문단 표시자가 세로 눈금자 상에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을 다시 참조하면, 캐럿 상태, 즉 텍스트 입력 지점을 나타내는 입력 아이콘인 캐럿(1c)이 텍스트 내에 위치해 있는 상태에서, 문단 표시자(1s, 1e)가 캐럿이 위치한 문단의 처음과 끝을 나타낸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가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에 의해 선택된 경우, 커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위치 아이콘(cursor position icon)을 생성하고 이를 나타나게 문단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S151).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가 문단 표시자 중에서 어느 하나, 예를 들어 문단 시작 표시자(1s)를 선택한 경우, 문단 표시자 생성부(171)는 현재에 커서가 위치하는 지점을 파악하고, 커서 위치 아이콘을 이용하여 현재의 커서 위치(1c)를 세로 눈금자 상에 가로 바(1m)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이 경우, 커서가, 선택된 문단 표시자가 속하는 문단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70)는 커서의 위치를 선택된 문단 표시자가 속해 있는 문단 내 임의의 지점, 예를 들어 화면에 표시되는 문단 첫째 줄 상으로 옮겨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또 다른 입력 디바이스(110)인 키보드 입력에 따라 위치한 커서의 위치와 독립적인 마우스 스크롤링 후에 문단 표시자가 선택된 위치가 불일치하는 경우 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알려주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의 선택과 무관하게,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키보드의 방향키의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커서의 현재 위치(1c)를 나타내는 커서 위치 표시(cursor position icon)(1m)가 세로 눈금자 상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70)는 캐럿의 위치(1c)가 세로 눈금자 상에 현재 위치 아이콘(1m)으로 표시되게 한다. 사용자는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의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문서 내에서 내비게이팅을 하다가, 특정 위치에서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키보드의 방향키를 조작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캐럿이 위치한 지점이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 상에 없는 경우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이 엉뚱한 영역으로 급하게 변동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캐럿의 위치가 세로 눈금자 상에 표시되게 하고, 사용자는 캐럿의 위치가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프레임 내에 있는지 또는 없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프레임이 표시하는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새로운 창의 생성 없이 GUI를 이용하여 스페이싱을 직접 조절하는 입력 디바이스(110)를 제어한다(S160). S160 단계는 도 1에 나타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상태의 메인 윈도우 상에서 수행된다. 더 나아가 상기 스페이싱(spacing)의 조절은 메인 윈도우 위에 새로운 창,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에 의해 오픈되는 메뉴 또는 독립적인 대화상자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세로 눈금자 상의 문단 표시자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캐럿(1c)이 위치한 문단의 처음과 끝을 문단 표시자(1s, 1e)가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문단에 캐럿(1c)의 위치를 커서 위치 아이콘(1m)이 세로 눈금자 상에 나타낸다. 문단 시작 표시자(1s)가 마우스의 클릭에 의해 선택되고 위로 드래그 되면서 문단 간격이 이전보다 좁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이동 표시줄이 나타나게 제어한다. 즉 문단 표시자 생성부(171)는 이동 표시줄(3s-1)을 생성하고, 제어부(170)는 입력 디바이스(110)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3s-2)하는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S161). 이동 표시줄(3s-2)은 최종 단계를 표시한 것이고, 문단 표시자가 드래그 되는 동안 이동 표시줄(3s-1)은 문단 표시자(1s)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 및/또는 이동되는 경우, 현재의 문단 간격 및/또는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이 나타나게 제어한다. 즉 시스템적으로 문서 표시자 생성부(171) 또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된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의 툴팁 생성 모듈이 상기 툴팁을 생성하고, 제어부(170)는 상기 툴팁이 출력되도록 디스플레이(120)를 제어한다(S162).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문단 끝 표시자(1e)가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 클릭에 의해 선택된 경우 문단 아래 14.8pt의 문단 간격이 있음을 툴팁(4)이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마우스 클릭 시에 문단 간격이 설정된 단위, 예를 들어 mm, pt, 배수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툴팁(40)이 문단 아래 14.8pt로 나타나고, 문단 끝 표시자(1e)가 아래로 드래그 되는 동안 그 숫자는 점점 작아지고 이동 표시줄(3e-2)이 위치한 곳에서 문단 끝 표시자(1e)가 정지한 때에 최종 문단아래 간격이 임의의 숫자로 표시된다.
현재의 문단 간격 및/또는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세로 눈금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에 의해 문단 시작 표시자(2s)가 선택된 경우 위의 문단과 아래 문단 사이의 간격이 25.2pt임을 툴팁이 세로 눈금자 상에서 표시하고 있다. 선택된 문단 시작 표시자(2s)가 위로 드래그 되어 임의의 위치인 이동 표시줄(3s-2)의 위치에 정지한 때에 최종 문단 간격은 25.2pt보다 작게 표시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문서 편집의 세로쓰기 상태에서는 문단 표시자, 이동 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및 툴팁은 가로 눈금자 상에 표시 되도록 제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문서출력 장치의 출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입력 디바이스(110), 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에 의해 문단 끝 표시자(1e)가 선택된 경우 가로 눈금자 상에 이동 표시줄(3e-1) 및 툴팁(4)이 표시되고, 선택된 문단 끝 표시자(1e)가 왼쪽으로 드래그 되어 이동된 경우, 이동 표시줄(3e-2)이 옮겨져 표시되고, 툴팁은 처음보다 작게 표시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인 문서출력 장치(10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문서출력 방법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문서출력 장치(100)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방법에 의해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서에서 문단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서 내의 스페이싱(spacing)이 조절되는 것에 앞서, 스페이싱 자체가 세로 눈금자 상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스페이싱(spacing)은 개체 간의 간격으로서, 예를 들어, 문단 사이의 간격 및 줄 사이의 간격(line spacing)을 포함한다. 줄 사이의 간격은, 동일 문서 내에서 통일성이 유지되는 인자라는 점에서 조절에 의미가 있기 보다는 세로 눈금자 상에 마우스를 위치시킴으로서, 별도의 대화상자를 오픈하지 않고 팝업 되는 툴팁 또는 세로 눈금자 상에 표시되는 변화된 줄 간격 수치를 통해 그 수치를 숫자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편리성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8)

  1.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문서 내의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문서출력 방법에 따라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표시자를 이용하여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을 상기 모듈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자 중에서 문단을 나타내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된 때에, 커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위치 아이콘(cursor position icon)을 생성하고 이를 세로 눈금자에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싱은,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 및 줄 간격(line spac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GUI로 나타나는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간격을 표시하기 위해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를 생성하는 문단 표시자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캐럿 상태 또는 개체 선택 시에 문단 표시자가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s)는,
    문단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단 시작 표시(paragraph start icon) 및 문단의 끝을 표시하는 문단 종료 표시(paragraph end ic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단 표시자는,
    괄호(bracket) 형태이고, 홑낫표(single corner bracket) 및 겹낫표(double corner bracket)가 문단 표시자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7. 삭제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 디바이스(input devic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지정하는 문단 표시자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속성 지정을 통해 문단 표시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레임이 표시하는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새로운 창의 생성 없이 GUI를 이용하여 스페이싱(spacing)을 직접 조절하는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이동 표시줄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 및/또는 이동되는 경우, 현재의 문단 간격 및/또는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이 나타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4. 청구항 2 내지 6 및 8 내지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문서 편집의 세로쓰기 상태에서 가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표시자, 이동 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및 툴팁에 관한 프로세스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장치.
  15.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문서 내의 문자 및/또는 개체를 나타내는, 문서출력 방법에 따라 실행되는 컴퓨터 명령을 포함하는 문서작성 애플리케이션 모듈이 실행된 화면의 프레임을 출력하는 단계; 및
    표시자를 이용하여 여백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 및 여백 이외의 입력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된 문자 및/또는 개체에 의한 스페이싱(spacing)을 상기 모듈의 메인 윈도우 상에 나타내는 제어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표시자 중에서 문단을 나타내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된 때에, 커서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는 커서 위치 아이콘(cursor position icon)을 생성하고 이를 세로 눈금자에 나타내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싱은,
    문단 간격(paragraph spacing) 및 줄 간격(line spacin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상기 메인 윈도우 상에 GUI로 나타나는 세로 눈금자 상에 문단 간격을 표시하기 위해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캐럿 상태 또는 개체 선택 시에 문단 표시자가 나타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문단 표시자(paragraph icons)는,
    문단의 시작을 표시하는 문단 시작 표시(paragraph start icon) 및 문단의 끝을 표시하는 문단 종료 표시(paragraph end ico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문단 표시자는,
    괄호(bracket) 형태이고, 홑낫표(single corner bracket) 및 겹낫표(double corner bracket)가 문단 표시자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1. 삭제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문서작성에 필요한 문자 및/또는 개체를 입력하는 입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입력 디바이스의 입력에 따라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문단 표시자의 속성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속성 지정을 통해 문단 표시자의 on/off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5.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프레임이 표시하는 화면의 메인 윈도우 상에 새로운 창의 생성 없이 GUI를 이용하여 스페이싱(spacing)을 직접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싱을 직접 조절하는 단계는,
    문단 표시자의 이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이동 표시줄이 나타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싱을 직접 조절하는 단계는,
    문단 표시자가 선택 및/또는 이동되는 경우, 현재의 문단 간격 및/또는 이동 가능 범위를 표시하는 툴팁(tool tip)을 나타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28. 청구항 16 내지 20 및 22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출력 방법은,
    문서 편집의 세로쓰기 상태에서는 가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 표시자, 이동 표시줄, 커서 위치 표시 및 툴팁에 관한 상기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출력 방법.
KR1020170140795A 2017-10-27 2017-10-27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KR101999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795A KR101999323B1 (ko) 2017-10-27 2017-10-27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795A KR101999323B1 (ko) 2017-10-27 2017-10-27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08A KR20190047208A (ko) 2019-05-08
KR101999323B1 true KR101999323B1 (ko) 2019-07-11

Family

ID=6658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795A KR101999323B1 (ko) 2017-10-27 2017-10-27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23049A (zh) * 2020-05-25 2021-11-30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文档内容间距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0000A1 (en) * 2001-02-15 2004-03-25 Denny Jaeger Method for formatting text by hand drawn inputs
US20070294644A1 (en) * 2004-09-28 2007-12-20 Yost David A System of GUI Text Cursor, Caret, and Sel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5733A (ja) * 1997-09-10 1999-03-30 Canon Inc 文書編集装置及びその文書編集方法並びに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60000A1 (en) * 2001-02-15 2004-03-25 Denny Jaeger Method for formatting text by hand drawn inputs
US20070294644A1 (en) * 2004-09-28 2007-12-20 Yost David A System of GUI Text Cursor, Caret, and Sel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7208A (ko) 2019-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104B2 (en) Text grid creation tools
CN108228287B (zh) 基于qt的用户界面控件的生成方法及装置
CN110300966B (zh) 增强的数据透视表的创建和交互
KR20060046735A (ko) 선택된 객체와 관련된 선택가능 소프트웨어 기능 컨트롤을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160110331A1 (en) Range adjustment for text editing
US11029836B2 (en) Cross-platform interactivity architecture
KR102199460B1 (ko) 단말기 및 단말기의 제어 방법
CA28089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document formatting based on source document
TW201525730A (zh) 註解提示顯示
US20230266870A1 (en) Glyph-aware text selection
KR20160064925A (ko) 필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99323B1 (ko) 세로 눈금자를 이용하여 문단을 조절하는 문서출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문서출력 장치
WO2014192156A1 (ja) 電子機器および処理方法
JP6330348B2 (ja) 情報処理装置
US11030388B2 (en) Live text glyph modifications
KR102030582B1 (ko) 스프레드시트 편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JP2015138494A (ja) 電子機器および方法
KR101977208B1 (ko) 문서작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서작성 방법
KR102014216B1 (ko) 데이터 표시 및 입력 방법과 장치
US1059208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fluid design keyframes on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045541B1 (ko) 미니맵을 이용하는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KR102036914B1 (ko) 데이터 표시 및 입력 방법과 이를 이용하는 장치
US11734492B2 (en) Manipulating diacritic marks
KR20190101601A (ko) 차트 표시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45547B1 (ko) 문서의 페이지 수 조절방법 및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