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14B1 -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14B1
KR102045414B1 KR1020180042708A KR20180042708A KR102045414B1 KR 102045414 B1 KR102045414 B1 KR 102045414B1 KR 1020180042708 A KR1020180042708 A KR 1020180042708A KR 20180042708 A KR20180042708 A KR 20180042708A KR 102045414 B1 KR102045414 B1 KR 10204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rians
pedestrian
day
ti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9361A (ko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군월드 filed Critical (주)군월드
Priority to KR102018004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14B1/ko
Publication of KR20190119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4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using optical or ultrason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게시할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두 개의 지주부와, 지주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시물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에 있어서, 카운팅부가 지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며: 제어부가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며; 메모리부가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로부터 등록되는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며: 통신부가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Low height type multi-function placard hang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게시할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단형 게시대는, 두 개의 지주부와, 지주부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홍보물이나 게시물로 이루어져 홍보나 광고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주부는 지면 또는 바닥면에 직립으로 설치되는 본체기둥과, 본체기둥의 전후방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장식용 기둥을 포함하며, 본체기둥은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일정한 높이, 즉 보행자가 보거나 읽기에 적합한 높이로 지지해 준다.
한편, 보행자 통행을 위한 횡단보도 주변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통행을 안내하기 위한 교통신호등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러한 교통신호등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교통신호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작동하는 차량신호등과 보행신호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교통신호제어기에서는 차량신호등과 보행신호등을 단순히 일정한 주기로 점등하여 운전자 및 보행자에게 신호를 전달하고 있으나, 보행자가 많은 경우에도 보행신호등이 녹색신호로 점등될 때까지 일정한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보행자가 없을 경우에도 일정한 주기로 녹색신호를 부여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차량의 소통을 방해하고 운전자가 교통신호를 무시하는 요인을 제공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1474호(2010.03.30 등록)는 횡단보도 신호대기 보행자를 자동 감지하여 교통신호제어기를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밀도 감시 카메라가 조밀도 감시영역 내에 존재하고 있는 횡단보도 신호대기 보행자의 화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그에 내장된 밀도 판단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나서 획득한 화상 이미지에 소정의 조밀도 감시 영역 내의 보행자 밀도를 판단하여 그 판단의 결과치를 교통신호제어기로 전송해 줌으로써 교통신호제어기가 원활한 교통신호의 흐름을 운용하도록 하고, 내장 밀도 판단 프로그램은 매 주기마다 획득한 화상 이미지의 화소별 R,G,B 색상 값을 그레이 등급으로 색도 분석하는 단계와, 색도 분석 단계에서 얻은 화상 이미지의 화소별 그레이 색상 값에 대한 데이터 변환 값 중 "1"을 카운팅하여 카운팅 값에 대한 절대치를 평균하여 계산하는 단계와, 계산 단계에서 얻은 절대치의 평균값을 소정의 밀도 기준 값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 결과에 응하여 밀도 감시 카메라가 인터럽트요청신호를 주제어부에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밀도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횡단보도 신호대기 보행자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의 밀도정도를 판단한 결과치를 교통신호제어기로 제공하여 원활한 교통 흐름을 운영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 앞의 보행자 판단이 용이하고 소정의 조밀도 감시 영역의 보행자의 판단으로 인하여 통행자의 판단이 필요 없기 때문에 횡단보도 앞의 보행자 판단 에러율이 낮으므로 훨씬 더 원활한 교통신호의 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40478호(2014.09.04 등록)는 교차로 전후에서 센서가 차량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정보를 습득하고 이를 외부의 교통관제시스템에 제공하여, 교차로에서 차량이 정체되는 경우, 정체 여부를 감지하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신호등의 점등시간을 제어함으로써 효율적인 교통신호체계를 운영할 수 있는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차량정보를 이용하는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수, 차량의 속도 또는 횡단보도의 보행자수를 감지하기 위한 레이저센서; 교차로 전후의 차량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 레이저센서에 의해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차량신호등 또는 횡단보도신호등의 진행신호 또는 정지신호의 점등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차량의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 감시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신호를 사용가능한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신호처리부,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차량번호판을 인식하여 차량번호를 취득하는 문자인식부, 차량번호 또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교통관제시스템으로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거나 교통관제시스템으로부터 신호등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보행자신호모드와 지능형신호모드간 상호 전환시키며, 차량신호등 또는 횡단보도신호등을 점등시간에 따라 점멸하도록 제어하거나, 지능형신호모드에서만 감시카메라를 켜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콘트롤박스; 및 콘트롤박스로부터 유무선네트워크를 통해 차량번호 또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수신하거나, 감시대상DB를 구비하고 차량번호와 대조하여 체납자의 차량 또는 범죄 차량을 식별하거나, 운전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거나, 원격으로 콘트롤박스를 제어하여 차량신호등 또는 횡단보도신호등을 점멸시키는 교통관제시스템을 포함하되, 지능형신호모드는 먼저 진입한 차량의 차량 신호등의 진행신호를 먼저 점등하고, 보행자신호모드는 횡단보도신호등을 진행신호로 모두 점등하고, 차량신호등은 모두 정지신호로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저단형 게시대는 오직 홍보나 광고 등을 수행하는 역할만을 하여 기능의 다양성이 없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통신호등 신호체계 제어 방식은, 보행자의 유무에 따라 보행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하거나, 차량의 정체 여부에 따라 차량신호등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보행자 유무에 따른 신호등 제어의 경우에는 차량의 소통을 방해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차량의 정체 여부에 따른 신호등 제어의 경우에는 보행자의 통행에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147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4404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게시할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두 개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시물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등록되는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및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 방향과 횡단보도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설치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입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며, 보행자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출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보행자를 포커싱하여 포커싱된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보행자의 형태와 비교해서 보행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카운터를 이용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 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보행자를 인식하여 인식한 보행자인식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차량을 인식하여 인식한 차량인식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차량을 인식하여 차량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카운팅부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차량을 포커싱하고, 포커싱된 차량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차량의 형태와 비교해서 차량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또는 요일별로 보행자 수를 확인하고, 확인한 보행자 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등급을 확인하고, 확인한 등급에 대응하는 점등주기간격을 확인하며, 확인한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해 둔 주기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에 대한 통계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상기 메모리부에 업그레이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 아닌 상태에서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차량 수를 통보받아 기 설정해 둔 점등조건수보다 적으면 보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보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인 상태에서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차량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지 않은 상태라면 차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차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통보되는 보행자인식정보를 분석해서 성별, 나이를 예측하며, 예측한 성별, 나이의 정보와 상기 카운팅부로부터 통보받은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된 성별, 나이의 정보와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또는 요일별 보행자의 수, 성별, 나이의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보행자 수에 따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복수 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등급별로 이에 대응하는 점등주기간격을 미리 설정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등록되거나 업그레이드는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보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두 개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시물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카운팅부가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게시할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행자가 많이 없는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길게 하여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100)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는 두 개의 지주부(110)와, 지주부(110)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게시물부(120)를 포함하되, 카운팅부(130), 제어부(140), 메모리부(150), 통신부(16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지주부(110)는, 상가나 공원 주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운팅부(130)는, 지주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보행자 수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 방향과 횡단보도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입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또한 보행자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출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보행자 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이에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보행자를 포커싱하여 보행자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카운팅부(130)는, 보행자 인식 시에 해당 포커싱된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보행자의 형태와 비교해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카운터(예를 들어,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카운터를 이용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 수를 카운팅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보행자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차량을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차량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차량을 인식(또는, 식별)하여 차량의 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차량 수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때, 카운팅부(130)는, 차량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이에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차량을 포커싱하고, 해당 포커싱된 차량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차량의 형태와 비교해서 판단하여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0)는, 상가나 공원을 지나가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보행자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상가나 공원의 보행자 수를 카운팅할 수도 있다.
제어부(140)는, 지주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 수를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두며, 그런 후에 메모리부(150)에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둔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둔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할 때, 시간 또는 요일별로 보행자 수를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보행자 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등급을 확인함과 동시에, 해당 확인한 등급에 대응하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즉, 점등주기간격)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한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기 설정해 둔 주기(예를 들어,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 등)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둔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에 대한 통계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에 업그레이드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 아닌 상태에서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카운팅부(130)로부터 차량 수를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차량 수가 기 설정해 둔 점등조건수보다 적은 경우에 보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보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인 상태에서 카운팅부(130)로부터 차량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지 않은 상태라면 차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차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40)는, 얼굴인식모듈, 성별분석모듈, 나이분석모듈 등을 구비하여, 카운팅부(130)로부터 통보되는 보행자인식정보를 분석해서 성별, 나이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해당 예측한 성별, 나이 등의 정보와 카운팅부(130)로부터 통보받은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둘 수 있으며, 그런 후에 메모리부(150)에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둔 성별, 나이 등의 정보와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 또는 요일별 보행자의 수,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통계 분석하여, 상가나 공원 주변의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 정보를 통신부(160)를 통해 상가나 공원의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메모리부(150)는, 지주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제어부(140)로부터 등록되는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보행자 수에 따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복수 개의 등급(예를 들어, 5개의 등급)으로 나누고, 해당 나눈 등급별로 이에 대응하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즉, 점등주기간격)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예를 들어, 보행자 수가 1~3명인 경우에 1등급으로 하고 해당 1등급의 경우에 점등주기간격을 4분 30초로 설정하거나, 4~6명인 경우에 2등급으로 3분 30초로 설정하거나, 7~10명인 경우에 3등급으로 2분 30초로 설정하거나, 11~15명인 경우에 4등급으로 1분 30초로 설정하거나, 16명 이상인 경우에 5등급으로 30초로 설정하는 등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50)는, 제어부(140)로부터 등록되거나 업그레이드는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저장해 줄 수 있다.
통신부(160)는, 지주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예를 들어, 차량신호등 또는 보행신호등의 점멸 등)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140)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해당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도록 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에, 교통관제장치는, 보행자가 많이 없는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길게 하여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보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 아니더라도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 차량의 소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차량 수라면 즉시 보행신호등을 점등시켜 보행자의 통행에 더욱더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160)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더라도 차량이 있는 경우에, 보행자가 없는 상태라면 즉시 차량신호등을 점등시켜 차량의 소통을 보다 더 편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100)는, 게시물부(120)를 통해 홍보물이나 게시물을 게시할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가 카운팅부(130)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통계 분석해서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함으로써, 보행자가 많이 없는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길게 하여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지주부(110)를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하고, 해당 지주부(110) 사이에 게시물부(120)를 고정 설치시켜 홍보나 광고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때 지주부(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카운팅부(130)에서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보행자 수를, 지주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부(140)에 통보해 주게 된다(S301).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 방향과 횡단보도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입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또한 보행자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출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함으로써, 즉 횡단보도로 진입하는 보행자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하는 보행자를 구분하여 카운팅해 줌으로써, 횡단보도의 보행자 수를 보다 정확하게 카운팅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두고 카메라를 구비하여, 해당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보행자를 포커싱하여, 해당 포커싱된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보행자의 형태와 비교해서 보행자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카운터(예를 들어, 레이저센서, 적외선센서 등)를 구비하여, 해당 카운터를 이용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 수를 카운팅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보행자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차량을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차량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횡단보도를 지나가는 차량을 인식(또는, 식별)하여 차량의 수를 카운팅하고, 해당 카운팅된 차량 수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카운팅부(130)에서는, 차량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이에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차량을 포커싱하고, 해당 포커싱된 차량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차량의 형태와 비교해서 판단하여 차량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함에 있어서, 지주부(110)가 상가나 공원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카운팅부(130)에서는, 상가나 공원을 지나가는 보행자를 인식(또는, 식별)하여 해당 인식한 보행자인식정보를 제어부(140)에 통보해 줄 수도 있으며, 또한 상가나 공원의 보행자 수를 카운팅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보행자 수를 통보하게 되면, 제어부(140)에서는,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 수를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두게 된다(S302).
상술한 단계 S302에서 보행자 수를 등록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얼굴인식모듈, 성별분석모듈, 나이분석모듈 등을 구비하여, 카운팅부(130)로부터 통보되는 보행자인식정보를 분석해서 성별, 나이 등을 예측할 수 있으며, 해당 예측한 성별, 나이 등의 정보와 카운팅부(130)로부터 통보받은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둘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보행자 수를 등록한 다음에, 제어부(140)에서는, 메모리부(150)에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둔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게 된다(S303).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시간 또는 요일별로 보행자 수를 메모리부(150)로부터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보행자 수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등급을 메모리부(150)로부터 확인함과 동시에, 해당 확인한 등급에 대응하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즉,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한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둘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기 설정해 둔 주기(예를 들어, 1주 단위 또는 1개월 단위 등)로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둔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에 대한 통계 분석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에 업그레이드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메모리부(150)에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해 둔 성별, 나이 등의 정보와 보행자 수 정보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하여, 상가나 공원 주변의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 정보(즉, 시간 또는 요일별 보행자의 수,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메모리부(150)에 등록해 둘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한 다음에, 제어부(140)에서는, 횡단보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켜, 지주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통신부(160)로 해당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입력해 주게 된다(S304).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을 메모리부(150)로부터 판독하고, 해당 판독한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 아닌 상태에서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카운팅부(130)로부터 차량 수를 통보받아, 해당 통보받은 차량 수가 기 설정해 둔 점등조건수보다 적은 경우에 보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보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인 상태에서 카운팅부(130)로부터 차량인식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카운팅부(130)로부터 보행자인식정보를 통보받지 않은 상태라면 차량신호등을 점등시켜 주기 위한 차량점등제어명령을 생성시켜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제어명령을 입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40)에서는, 상가나 공원 주변의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 정보(즉, 시간 또는 요일별 보행자의 수,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메모리부(150)로부터 판독하여 통신부(160)로 입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제어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통신부(160)에서는,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예를 들어, 차량신호등 또는 보행신호등의 점멸 등)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이때 제어부(140)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게 되면, 해당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기 위한 전송데이터로 변환시켜, 해당 전송데이터를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5). 이에, 교통관제장치는, 통신부(160)를 통해 전송되는 전송데이터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전송데이터에서 제어명령을 확인하고, 해당 확인한 제어명령에 따라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해 주게 된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전송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통신부(160)에서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시간 또는 요일별 이에 대응하는 등급 및 점등주기간격 대로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이에, 교통관제장치는, 보행자가 많이 없는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길게 하여 차량의 소통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보행자가 많은 시간이나 요일의 경우에는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주기 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보행자의 통행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전송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통신부(160)에서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보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 아니더라도 보행자가 있는 경우에, 차량의 소통에 방해가 되지 않는 정도의 차량 수라면 즉시 보행신호등을 점등시켜 보행자의 통행에 더욱더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전송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통신부(160)에서는, 제어부(140)로부터 입력받은 차량점등제어명령을 교통관제장치에 전송하여, 현재 보행신호등을 점등하는 시간이더라도 차량이 있는 경우에, 보행자가 없는 상태라면 즉시 차량신호등을 점등시켜 차량의 소통을 보다 더 편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5에서 전송데이터를 전송함에 있어서, 통신부(160)에서는, 제어부(140)로부터 상가나 공원 주변의 유동인구에 대한 분석 정보(즉, 시간 또는 요일별 보행자의 수, 성별, 나이 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상가나 공원의 운용자 또는 관리자에게 제공해 줄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110: 지주부
120: 게시물부
130: 카운팅부
140: 제어부
150: 메모리부
160: 통신부

Claims (5)

  1. 두 개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시물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지주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한 후에,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제어부: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등록되는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 및 상기 지주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운팅부는,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 방향과 횡단보도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설치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입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며, 보행자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출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보행자를 포커싱하여 포커싱된 보행자의 형태를 기 설정해 둔 보행자의 형태와 비교해서 보행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부는,
    카운터를 이용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를 감지하여 보행자 수를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5. 두 개의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 사이에 설치되는 게시물부를 포함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카운팅부가 보행자를 인식하여 보행자의 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카운팅부에서 카운팅한 보행자 수를 시간 또는 요일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등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시간이나 요일별 보행자 수를 통계 분석하여,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시간이나 요일별로 다르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시키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제어명령을 교통신호등의 신호체계를 제어하는 교통관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카운팅부는, 보행자의 횡단보도로의 진입 방향과 횡단보도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설치되어, 보행자가 횡단보도로 진입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입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며, 보행자가 횡단보도로부터 진출할 시에 보행자를 인식하여 진출보행자의 수로 카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의 운용방법.
KR1020180042708A 2018-04-12 2018-04-12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KR10204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08A KR102045414B1 (ko) 2018-04-12 2018-04-12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708A KR102045414B1 (ko) 2018-04-12 2018-04-12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61A KR20190119361A (ko) 2019-10-22
KR102045414B1 true KR102045414B1 (ko) 2019-11-15

Family

ID=68420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708A KR102045414B1 (ko) 2018-04-12 2018-04-12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55B1 (ko) * 2010-06-25 2010-11-18 딕스비전 주식회사 보행자 영상감응식 교통신호장치 및 교통신호방법
JP2012177985A (ja) * 2011-02-25 2012-09-13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708B1 (ko) * 2006-04-05 2008-03-18 (주)도시발전연구원 보행자 검지 답판 센서 및 그를 이용한 보행자 카운터시스템
KR100951474B1 (ko) 2008-03-26 2010-04-07 (주)아이넥스텍 횡단보도 신호대기 보행자를 자동 감지하여교통신호제어기를 운영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982724B1 (ko) * 2008-04-17 2010-09-16 최상우 인공지능 보행자 신호등 제어장치
KR101066342B1 (ko) * 2008-10-20 2011-09-20 조덕수 횡단 보도 표시기
KR101440478B1 (ko) 2012-12-17 2014-09-22 주식회사 도래정보시스템 지능형 교통신호 제어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055B1 (ko) * 2010-06-25 2010-11-18 딕스비전 주식회사 보행자 영상감응식 교통신호장치 및 교통신호방법
JP2012177985A (ja) * 2011-02-25 2012-09-13 Sumitomo Electric Ind Ltd 交通信号制御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361A (ko) 201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01835A1 (zh) 信号灯状态识别方法、装置、车载控制终端及机动车
KR101146583B1 (ko) 주차장 내 차량 인식용 스마트 컴퓨터 카메라
KR100567725B1 (ko) 주차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739809A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系统
CN201307337Y (zh) 行人闯红灯自动报警监控装置
KR101200327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110115927A (ko) 차량 번호판 추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 번호판 추출 장치
KR101845943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61132A (ko) 차량번호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7730902B (zh) 车辆录像的录制方法、摄像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78765A (ko) 영상감지카메라를 이용한 교차로의 신호등 시스템
KR101917783B1 (ko)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00071656A (ko) 교통신호 제어 장치 및 방법
Hakim et al. Implementation of an image processing based smart parking system using Haar-Cascade method
KR20200141834A (ko) 영상기반 교통신호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526583B1 (ko) 딥러닝 기반 교차로 객체검지 및 자동 알람 시스템
CN114694385A (zh) 停车管理方法、装置、系统、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210615B1 (ko) 불법유턴 차량 단속 시스템
KR101310103B1 (ko) 주차장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인식방법
KR102092836B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KR102045414B1 (ko) 다기능 저단형 게시대 및 그 운용방법
JP2014048964A (ja) 駐車場システム
KR101717140B1 (ko) 단일카메라를 이용한 다차로상의 차량검지 및 차량번호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102078041B1 (ko) 정보 처리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5601981A (zh) 一种红绿灯辅助自动控制系统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