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412B1 -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412B1
KR102045412B1 KR1020180036707A KR20180036707A KR102045412B1 KR 102045412 B1 KR102045412 B1 KR 102045412B1 KR 1020180036707 A KR1020180036707 A KR 1020180036707A KR 20180036707 A KR20180036707 A KR 20180036707A KR 102045412 B1 KR102045412 B1 KR 10204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tion device
information
recogni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or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6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4266A (ko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군월드 filed Critical (주)군월드
Priority to KR1020180036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412B1/ko
Publication of KR20190114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4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인식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작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안전모가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자를 구비하며; 인식장치가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관리자 접근 시에 안전모의 인식자를 인식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를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며; 작업 관리 서버가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Work management system, server and method}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식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작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 산업은 여러 가지의 건설 장비와 함께 많은 작업자가 투입되어 동시에 여러 작업이 진행되는 노동 집약적인 산업으로서, 투입되는 작업자에 대한 체계적이며 효과적인 관리 및 운용과, 투입 작업자에 대한 확실한 안전 관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리고 건설 현장은 본사와 거리적으로 떨어져 있으므로, 건설 현장의 관리는 본사 파견 관리자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건설 현장에는 다양한 분야의 작업자들이 배치되어 각자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자의 인원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관리자의 인원이 극히 적고, 실외 작업 시에 현장 관리자의 통제와 관리가 제한되는 영역에서는 작업자에 대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작업자에 대한 안전사고나 비효율적인 작업자 관리는 전체적인 공사비의 상승과 생산성의 저하 그리고 공사 기간의 연장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이러한 파견 관리자는 많은 작업자와 관련된 모든 정보 및 작업 상황을 일일이 확인하고 건설 현장의 업무 진척에 관한 보고를 본사로 직,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건설 현장의 작업량이나 스케일이 방대해질수록 투입되는 파견 관리자의 인원은 점점 늘어나게 되지만, 파견 관리자 수만 늘인다고 하여 파견 관리자들이 작업자들의 근태를 비롯한 인사 관리를 정확히 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며, 늘어만 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에는 역부족이고 작업 진척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여 분석 및 보고하기에는 시간적으로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불가능한 일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건설 현장의 작업자 관리 및 안전 관리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40144호(2007.07.10 등록)는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 현장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복수 작업자의 업무현장 위치를 무선으로 감지하여 원거리의 관리 서버를 통해 근태 및 업무 상태를 파악하는 건설현장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자 고유의 ID코드와 근무상태정보를 결합하여 특정 주파수로 무선 송신하도록 안전모의 소정 위치에서 감지센서를 구동시키도록 부착되어 있는 RFID태그와; RFID태그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받은 ID코드와 근무상태정보를 판독한 후 기 저장되어 있는 위치정보와 대응시켜 업무상태정보로 결합시키는 중계기와; 복수 개의 중계기로부터 판독되어 결합된 업무상태정보를 무선으로 전송받는 집중기와; 집중기로 전송된 작업자의 업무상태정보를 입력받고, 관리자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관리자의 응용프로그램을 수행시키는 관리서버와; 관리서버로 전송된 업무상태정보를 저장시키고 추출시키는 데이터베이스서버와; 관리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응용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화면상으로 출력시켜주는 원격관리조회단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작업자의 작업 배치 분포도와 근태 관리 및 건설 현장의 위험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977호(2012.09.03 공개)는 응급상황 발생 시에 빠른 조치를 통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작업자가 위험 지역에 출입하거나 제한 구역에 출입하는 경우, 해당 상황을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하여 작업자에게 알림으로써,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작업자의 지속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관리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작업자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의 안전모에 장착되어 작업자의 위치 및 안전 상태를 측정하고 측정된 감지정보를 인가하는 안전감지기; 안전감지기에서 인가된 감지정보를 전달하도록 작업 현장의 안전 가이드라인에 설치되는 복수의 정보전송기; 복수의 정보전송기로부터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작업자의 감지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기;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 배치되어 정보수집기의 감지정보로부터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파악하여 위험신호를 인가하는 현장관리기; 및 각 지역의 현장관리기로부터 위험신호를 취합하여 각 지역의 작업 현장에서 작업하는 전체 작업자의 안전 상태를 관리하는 중앙관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4014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6977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식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작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자를 구비한 안전모;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관리자 접근 시에 안전모의 인식자를 인식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를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인식장치; 및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 관리 시스템은, 인식장치정보 및 작업현장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 또는 작업현장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모는, 인식자로서 기 설정된 색깔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모는, 인식자로서 기 설정된 무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안전모는, 각 작업자 또는 각 관리자를 구분하여 인식하기 위해서, 각 작업자 또는 각 관리자에 대응하여 각각 지정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색깔 또는 무늬를 가지는 인식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작업 현장으로의 진입 방향과 작업 현장으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 진입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여 진입인식정보를 생성시키며, 작업자 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부터 진출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여 진출인식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안전모의 형태나 안전모의 색깔을 인식자로 기 설정해 둔 경우에,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안전모를 포커싱하거나 기 설정해 둔 안전모의 색깔을 포커싱하여 인식자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인식장치는, 색식별기나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안전모의 색깔이나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인식정보 수신을 카운팅하며,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카운팅된 인원수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카운팅된 인원수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진입인식정보 수신을 진입인원수로 카운팅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진출인식정보 수신을 진출인원수로 카운팅하며, 진입인원수와 진출인원수를 비교해서,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진입 인원과 진출 인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확인하며, 확인된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근태나 출입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을 확인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장치와 통신 접속하며,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장치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인식정보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받은 인식정보로부터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서버를 제공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된 인식장치가, 작업자 또는 관리자 접근 시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를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작업 관리 서버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인식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작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한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 관리 및 제한 인원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가 작업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작업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의 입장에서 건설 현장에 배치된 작업자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거시적인 현장 업무 파악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간의 인력 투입량, 작업자 분포도, 작업 진척 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건설 현장의 작업자 관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지휘할 수 있어 인건비와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모에 인식자를 구비시켜 이를 인식장치가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인식자를 별도로 소지하거나 몸에 착용해야 할 번거로움이 없으며, 인식자의 소지나 착용에 따른 작업에 끼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전모 착용에 대한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여 안전모 미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에 스피커를 구비시켜 작업의 시작, 휴식, 종료 등과 같은 작업자 업무 상태나 비상사태를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으며, 또한 위급 상황이나 건물이 붕괴되어 작업자가 갇히게 되더라도 작업자의 신원과 위치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에 카메라를 구비시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 등을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파견 관리자들의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안전모(110), 복수 개의 인식장치(120), 작업 관리 서버(130), 데이터베이스(140), 네트워크(150)를 포함한다.
안전모(110)는,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에서 작업이나 관리 시에 안전을 위해서 사용하는 모자로서,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인식(또는, 식별)하기 위한 인식자(또는, 식별자)를 구비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모(110)는, 인식자(또는, 식별자)로서 기 설정된 색깔(예를 들어, 흰색, 파란색 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모(110)는, 인식자(또는, 식별자)로서 기 설정된 무늬(예를 들어, 체크, 물방울, 하트, 별 등의 무늬)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안전모(110)는, 각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구분하여 인식(또는, 식별)하기 위한 인식자(또는, 식별자)로서, 각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응하여 각각 지정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색깔(또는, 무늬)로 서로 다르게 가질 수도 있다.
인식장치(120)는,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며, 해당 작업 현장에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또는, 식별자)를 인식(또는, 식별)하고, 자기 자신의 식별정보(즉,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해당 인식된 정보(즉,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네트워크(150)를 통해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120)는,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작업 현장으로의 진입 방향과 작업 현장으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 진입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여 진입인식정보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부터 진출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여 진출인식정보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120)는,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으며, 안전모의 형태나 안전모의 색깔을 인식자(또는, 식별자)로 기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이에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안전모를 포커싱하거나 기 설정해 둔 안전모의 색깔을 포커싱하여 인식자(또는, 식별자)로 인식할 수 있다. 이때, 인식장치(120)는, 인식자 인식 시에 해당 포커싱된 안전모의 형태나 안전모의 색깔을 기 설정해 둔 안전모의 형태나 안전모의 색깔과 비교해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인식장치(120)는, 색식별기나 무늬식별기(예로, 카메라 등)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색식별기나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안전모의 색깔이나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함)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인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카운팅하며,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해당 카운팅된 인원수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해당 카운팅된 인원수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각 작업 현장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진입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진입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진출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진출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해당 카운팅된 진입인원수와 해당 카운팅된 진출인원수를 비교해서,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진입 인원과 진출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각 작업 현장에 들어간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전부 다 나왔는지를 체크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근태나 출입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된 인식장치(120)에 관련된 정보(즉, 인식장치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또는, 작업현장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거나, 각 작업 현장에 대한 정보(즉, 작업현장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작업현장식별정보(또는, 인식장치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작업 현장별로 제한인원수를 미리 설정하여 작업현장식별정보(또는, 인식장치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관련된 정보(즉, 작업자정보(또는, 관리자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작업자식별정보(또는, 관리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베이스(140)는, 각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응하는 색깔(또는, 무늬)을 미리 설정하여 작업자식별정보(또는, 관리자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둘 수도 있다.
네트워크(15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여, 복수 개의 인식장치(120)와 작업 관리 서버(130)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형성시켜, 복수 개의 인식장치(120)와 작업 관리 서버(13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인식장치(120)에서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모(110)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함으로써, 작업자의 근태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 관리 및 제한 인원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120)에서 작업자의 안전모(110)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위치를 파악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의 입장에서 건설 현장에 배치된 작업자들에 대해 보다 효율적이고 거시적인 현장 업무 파악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간의 인력 투입량, 작업자 분포도, 작업 진척 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건설 현장의 작업자 관리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지휘할 수 있어 인건비와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모(110)에 인식자를 구비시켜 이를 인식장치(120)가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인식자를 별도로 소지하거나 몸에 착용해야 할 번거로움이 없으며, 인식자의 소지나 착용에 따른 작업에 끼치는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자의 작업 능률을 극대화할 수 있고, 안전모 착용에 대한 감시를 동시에 수행하여 안전모 미착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한 작업 환경에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120)에 스피커를 구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 작업의 시작, 휴식, 종료 등과 같은 작업자 업무 상태나 비상사태에 대한 정보를 인식장치(120)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음으로써, 인식장치(120)의 스피커를 통해 보다 정확하고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으며, 또한 위급 상황이나 건물이 붕괴되어 작업자가 갇히게 되더라도 작업자의 신원과 위치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신속한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시스템(100)은, 건설 현장의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식장치(120)에 카메라를 구비시켜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 여부 등을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파견 관리자들의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서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터페이스부(131), 작업관리부(132)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131)는, 네트워크(150)를 통해 인식장치(120)와 통신 접속하며, 각기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고유 식별정보(예를 들어, 인식장치식별정보 등)를 통해 해당 통신 접속된 인식장치(120) 각각을 식별하며, 그런 다음에 인식장치(120)로부터 인식정보를 수신받아 작업관리부(132)로 전달해 준다.
작업관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인식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관리부(132)는, 작업 관리 서버(130)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근태나 출입을 관리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작업관리부(132)는,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작업 관리 서버(130)는, 카운팅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카운팅부(133)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인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카운팅하며, 해당 카운팅된 인원수를 작업관리부(132)에 통보해 준다. 이에, 작업관리부(132)는, 카운팅부(133)로부터 인원수를 통보받고,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해당 통보받은 인원수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해당 통보받은 인원수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수를 제한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카운팅부(133)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진입인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진입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또한 인식장치(120)로부터 전송되는 진출인식정보를 인터페이스부(131)를 통해 수신받는 경우에 이를 진출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해당 카운팅된 진입인원수와 진출인원수를 작업관리부(132)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작업관리부(132)는, 카운팅부(133)로부터 진입인원수와 진출인원수를 통보받고, 해당 통보받은 진입인원수와 진출인원수를 비교해서, 인터페이스부(131)로부터 전달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진입 인원과 진출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각 작업 현장에 들어간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전부 다 나왔는지를 체크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을 관리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장치(120)에서는, 해당 작업 현장에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또는, 식별자)를 인식(또는, 식별)하고, 자기 자신의 식별정보(즉,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해당 인식된 정보(즉,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네트워크(150)를 통해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주게 된다(S301).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인식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작업 현장으로의 진입 방향과 작업 현장으로부터의 진출 방향을 구분하기 위한 방향성으로 가지도록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 진입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게 되면, 인식장치(120)는 진입인식정보를 생성시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작업 현장으로부터 진출할 시에 인식자를 인식하게 되면, 인식장치(120)는 진출인식정보를 생성시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인식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인식자(또는, 식별자)가 기 설정된 색깔(예를 들어, 흰색, 파란색 등)을 가지거나, 기 설정된 무늬(예를 들어, 체크, 물방울, 하트, 별 등의 무늬)를 가지는 경우에, 안전모의 형태나 안전모의 색깔을 인식자(또는, 식별자)로 기 설정해 두고 카메라를 구비하고 있는 인식장치(120)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해서 기 설정된 형태의 안전모를 포커싱하거나 기 설정해 둔 안전모의 색깔을 포커싱하여 인식자(또는, 식별자)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인식된 정보를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인식정보를 전송함에 있어서, 인식자(또는, 식별자)가 각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응하여 각각 지정됨과 동시에, 각기 다른 색깔(또는, 무늬)로 서로 다르게 가지는 경우에, 색식별기나 무늬식별기(예로, 카메라 등)를 구비하고 있는 인식장치(120)에서는, 색식별기나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안전모의 색깔이나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포함함)로 작업 관리 서버(130)로 전송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인식정보를 전송하게 되면,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인식정보를 수신받아, 해당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해 주게 된다(S302).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작업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또한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카운팅된 인원수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해당 카운팅된 인원수가 해당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의 안전을 위해서 각 작업 현장에 들어갈 수 있는 인원수를 카운팅하고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작업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는,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진입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를 진입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또한 인식장치(120)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송되는 진출인식정보를 수신받는 경우를 진출인원수로 카운팅할 수 있으며, 이에 해당 카운팅된 진입인원수와 해당 카운팅된 진출인원수를 비교해서,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진입 인원과 진출 인원을 관리할 수 있음으로써, 각 작업 현장에 들어간 작업자(또는, 관리자)가 전부 다 나왔는지를 체크하여 작업자(또는, 관리자)의 안전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작업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색깔이나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된 작업자(또는, 관리자)에 대한 근태나 출입을 관리할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2에서 작업 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 관리 서버(130)에서는, 인식장치(120)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확인한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을 데이터베이스(140)로부터 확인하여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작업 관리 시스템
110: 안전모
120: 인식장치
130: 작업 관리 서버
131: 인터페이스부
132: 작업관리부
133: 카운팅부
140: 데이터베이스
150: 네트워크

Claims (5)

  1.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자를 구비한 안전모;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관리자 접근 시에 안전모의 인식자를 인식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를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인식장치; 및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 관리 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모는, 인식자로서 기 설정된 색깔과 무늬를 가지며;
    상기 인식장치는, 색식별기와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상기 안전모의 색깔과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과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색깔과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확인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인식정보 수신을 카운팅하며,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카운팅된 인원수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카운팅된 인원수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인식장치정보 및 작업현장정보를 미리 설정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 또는 작업현장식별정보별로 데이터베이스화시켜 저장해 두는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3. 삭제
  4.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인식장치와 통신 접속하며,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통해 상기 인식장치 각각을 식별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인식정보를 수신받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수신받은 인식정보로부터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작업관리부를 포함하는 작업 관리 서버에 있어서,
    안전모는, 인식자로서 기 설정된 색깔과 무늬를 가지며;
    상기 인식장치는, 색식별기와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상기 안전모의 색깔과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과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색깔과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확인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인식정보 수신을 카운팅하며,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카운팅된 인원수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카운팅된 인원수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서버.
  5. 각 작업 현장에 설치된 인식장치가, 작업자 또는 관리자 접근 시에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안전모에 구비된 인식자를 인식하여 인식장치식별정보를 인식정보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작업 관리 서버가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인식정보에서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 또는 관리자에 대한 작업 관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안전모는, 인식자로서 기 설정된 색깔과 무늬를 가지며;
    상기 인식장치는, 색식별기와 무늬식별기를 이용해서 상기 안전모의 색깔과 무늬를 식별하여 인식정보로 상기 작업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 관리 서버는, 상기 인식장치로부터 수신받은 인식정보에서 색깔과 무늬의 정보와 인식장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확인된 색깔과 무늬의 정보에 대응하는 작업자 또는 관리자를 확인하며; 상기 인식장치로부터의 인식정보 수신을 카운팅하며,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제한인원수정보를 체크하며, 카운팅된 인원수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비교해서, 카운팅된 인원수가 체크된 제한인원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인식장치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작업 현장의 제한 인원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방법.
KR1020180036707A 2018-03-29 2018-03-29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45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07A KR102045412B1 (ko) 2018-03-29 2018-03-29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6707A KR102045412B1 (ko) 2018-03-29 2018-03-29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66A KR20190114266A (ko) 2019-10-10
KR102045412B1 true KR102045412B1 (ko) 2019-11-15

Family

ID=68206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6707A KR102045412B1 (ko) 2018-03-29 2018-03-29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4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1332B1 (ko) * 2019-10-11 2020-04-16 박민식 작업자 확인 방법
KR102361798B1 (ko) * 2020-03-02 2022-02-10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호이스트를 이용한 공종별 작업자 투입 현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02B1 (ko) *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0144B1 (ko) 2005-05-30 2007-07-18 삼성물산 주식회사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KR20120096977A (ko) 2011-02-24 2012-09-03 (주)바소콤 작업자 안전관리시스템
KR20170111579A (ko) * 2016-03-29 2017-10-12 주식회사 코브 인터내셔날 식별용 컬러밴드가 구비된 안전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802B1 (ko) * 2011-11-04 2012-11-05 김인희 안전모 및 그를 이용한 관리시스템
KR101549599B1 (ko) * 2014-06-02 2015-09-02 고권태 안면인식과 태그인식을 이용하여 접근자의 신분확인 및 동선추적이 가능한 제한구역 출입 경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4266A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0740144B1 (ko) Rfid태그 부착 안전모를 이용한 건설현장 안전관리시스템
CN103995507B (zh) 变电站设备检修安全监控系统及方法
TWI421787B (zh) 人員定位追蹤及管理系統及其方法
CN111341069A (zh) 智慧工地人员安全实时监测系统
CN206100061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电梯维保监管系统
KR101212657B1 (ko) 지능형 안전관제 시스템
CN103116926A (zh) 一种基于rfid安全帽的实时监控系统及其应用方法
KR100779727B1 (ko) Rfid를 이용한 작업장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45412B1 (ko) 작업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CN106331630A (zh) 一种施工现场施工人员检录及实时监控信息系统
KR101094657B1 (ko) 건설공사 현장의 안전모를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KR20150047656A (ko)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DK2527226T3 (en) Delimitation of rail section using a portable terminal
CN111165986A (zh) 智能安全帽
KR101995631B1 (ko) 안전모 부착형 웨어러블 기기로서, 안전모에 부착하여 인원관리 및 안전관리를 할 수 있게 만드는 장치.
KR102361552B1 (ko) 스마트 안전플랫폼 시스템
KR100664370B1 (ko) 선박 승선 인원 자동파악 및 안전관리 시스템
JP6832289B2 (ja) 原子力発電所格納容器に係わる作業のサーバとクライアントを用いたリアルタイム遠隔操作管理
CN109754142A (zh) 一种石化企业作业人员定位追踪及异常处置系统及方法
KR20220011869A (ko) 공사 안전 관리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60053551A (ko) 작업 인력 관리 장치
CN114973477A (zh) 一种人机交互的船舶人员管理系统
KR20100013135A (ko) 수동형 알에프아이디 태그를 이용한 안전위험개소 출입정보제공
CN115470938A (zh) 车辆检修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