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189B1 -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189B1
KR102045189B1 KR1020190071987A KR20190071987A KR102045189B1 KR 102045189 B1 KR102045189 B1 KR 102045189B1 KR 1020190071987 A KR1020190071987 A KR 1020190071987A KR 20190071987 A KR20190071987 A KR 20190071987A KR 102045189 B1 KR102045189 B1 KR 10204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construction
sedimentation tank
base frame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1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춘
Original Assignee
하나엔비텍(주)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나엔비텍(주),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나엔비텍(주)
Priority to KR1020190071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5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03Making of sedimentation devices, structural details thereof, e.g. prefabricated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5/00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 E04G15/06Forms or shutterings for making openings, cavities, slits, or channels for cavities or channels in walls of floors, e.g. for making chimneys
    • E04G15/061Non-reusabl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시멘트를 타설 양생하여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을 시공함에 있어, 조립이동 및 현장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모듈구성, 즉, 매립형 거푸집 구조물본체에 의해 간소화하여, 공사투입인력 및 부가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침전조 바닥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거푸집 철거작업을 배제시킨 매립형 시공구조에 의해 현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공효율 또한,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을 중심으로, 그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 외측면 둘레에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기초 프레임유닛을 연결 형성하되, 상기 기초 프레임유닛은, 수평프레임과,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높이구성 및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수직 설치되는 다단이격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단이격 프레임의 상부 내측면에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다단 타설격막을 결합 설치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of sedimentation tank using buried formwork}
본 발명은 침전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에 포함된 각종 슬러지 및 폐기물을 정화처리하기 마련되는 침전조에 있어, 그 침전조 바닥면을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시공방법, 예컨대, 시멘트 타설작업을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모듈구조, 즉, 매립형 거푸집에 의해 간소화하여 공사투입인력 및 불필요한 부가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시공의 안전성과 편리성, 그리고, 신속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전조라 함은, 유입폐수로에 설치되는 폐수 전처리시설로서, 이러한, 침전조는, 대용량의 폐수(오수 또는 하수 등)를 유입 충진시킨 상태하에, 그 폐수에 포함된 폐기물 및 각종 슬러지(모래 및 기타 침전 이물질 등)를 침적되게 하고, 침적된 폐기물 및 슬러지를, 스크레이퍼에 의한 스크레이핑 작용에 의해 수거처리하는 일종의 정수처리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용도로 구축되는 일반적인 침전조의 개략적인 일 예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예컨대, 저면 중앙부로 연결된 폐수유입관(10)을 통해 폐수 내지 하수를 충진수용되게 하는 용기구조의 수조본체(20)를 기초 구성으로 구축하고;
상기 수조본체(20) 중앙부에 직립된 구조물 형태로, 구동모터(30)와, 회전유도장치(40)가 구비된 수직 설치프레임(50)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 설치프레임(50)을 중심으로, 그 하단부에 스크레이퍼가 구비된 배출유도아암(60)이 형성되는 것이 대표적인 침전조의 구성 예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침전조는, 폐수유입관을 통해 폐기물 및 각종 슬러지가 포함된 폐수(오수 또는 하수 등)가 수조본체 내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폐수에 있어, 그 폐수에 포함된 폐기물 및 슬러지가 침전되어, 수조본체 바닥에 침적하게 되면, 그 침적된 폐기물 및 슬러지를 배출유도아암의 회전 스크레이핑 유도작용에 의해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처리하는 작용기능을 행하는 것인바. 이때, 특히, 침적된 폐기물의 원활한 스크레이핑 작용과, 스크레이핑 작용에 따른 폐기물 내지 슬러지의 용이한 흐름 배출을 위해 침전조의 바닥면 구성은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 둘레로부터 내측 중앙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아지는 구성, 예컨대, 원추형 경사구조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종래 침전조는 바닥면을 시공함에 있어, 그 시공되는 침전조 바닥면을 원추형 경사구조로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철근을 이용, 침전조 바닥면의 기초가 되는 뼈대를 구축하고, 구축된 철근뼈대를 지지수단으로하여 침전조내 외측면 둘레로부터 중심부를 향해 높이를 서로 달리하는 판넬형 거푸집을 단계적으로 연결 설치하며, 단계적으로 연결 설치된 판넬형 거푸집의 막힘된 내측 공간에 시멘트를 타설 양생한 후, 설치된 거푸집을 분리 제거하고, 재차, 상기 판넬형 거푸집의 단계적 설치 성형과정으로 인해 매끄럽지 못한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 표면을 마무리 미장 작업을 통해 마감처리하여 침전조 바닥면을 구축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침전조 바닥 시공방법은, 복잡 다양하게 분업화된 작업과정과, 개별 부품형태로 반입된 철근과 거푸집을 수조 내 공간에서 조합해야 하는 난해한 설치과정, 그리고, 비계 등의 임시가설물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작업을 수시로 반복해야는 부가공정으로 인해 과다한 시공인력과 보조장비를 필요로 하고, 그에 따라 시공 효율성과 경제성을 극히 저하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침전조 바닥 시공방법은,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 구축을 위해 반입된 다수종류의 부품 구성요소, 예컨대, 철근, 철사, 거푸집 등을 상호 조립 설치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밀폐된 수조 내에 투입된 상태하에 작업을 진행해야하고, 특히, 그러한 구성요소들의 조립 설치를 위한 임시가설물의 구축, 예컨대, 비계 등의 설치 및 해체 작업 또한 매우 복잡 난해하게 하여 작업환경이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는 것이며, 더 나아가, 이러한 취약한 작업환경은 바로 사고율 상승요인으로 작용하는 상당한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531087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828335호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침전조바닥 시공용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의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 바닥면을 구축하기 위한 일련의 시공방법, 예컨대, 시멘트를 타설 양생하여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을 시공함에 있어, 조립이동 및 현장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모듈구성, 즉, 매립형 거푸집 구조물본체 에 의해 간소화하여, 공사투입인력 및 부가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침전조 바닥 시공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거푸집 철거작업을 배제시킨 간소하고 편리화된 매립형 시공구조에 의해 현장 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시공효율 또한, 극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침전조 바닥 시공시 보조설비로 이용되는 임시가설물의 설치 구성을 단순히 비계발판에 한정하고, 그 한정된 비계발판을 별도 고정수단을 필요로함 없이 시공되는 매립형 거푸집 구조물본체의 기초 골격구성, 예컨대, 수평프레임의 발판거치대에 단순 안착시키는 정도의 설치구조만으로 이용 가능하게 하여, 침전조 바닥 시공을 위한 일련의 작업환경을 극히 간소화된 형태로 개선하고, 그와 같이, 개선된 작업환경에 의해 사고 발생률 또한 저하되게하여 시공 안전성을 극히 향상시킬수 있도록 한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원통형을 취하는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을 중심으로, 그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 외측면 둘레에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기초 프레임유닛을 연결 형성하되, 상기 기초 프레임유닛은, 상,하 2단 구조의 수평프레임과,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높이구성 및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수직 설치되는 다단이격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단이격 프레임의 상부 내측면에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다단 타설격막을 결합 설치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은, 조립이동 및 현장 설치가 용이한 조립형 거푸집 모듈, 예컨대, 매립형 거푸집 구조물본체을 이용하여,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 시공을 간소화되게 한 것으로, 이는, 간소화된 시공방법에 의해 공사투입인력 및 부가장비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그에 따라 시공비용을 절감되게 하며, 특히, 거푸집 철거작업을 배제시킨 매립형 시공구조로써, 현장 작업의 신속성과 효율성을 극히 향상되게 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은, 침전조 바닥 시공시 보조 설비로 이용되는 임시가설물의 구성을 비계발판으로 한정하고, 한정된 비계발판을 수평프레임의 발판거치대에 단순 안착시키는 정도의 설치형태로 이용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침전조 바닥 시공을 위한 일련의 작업환경을 간소화 형태로 개선하고, 그와 같이, 개선된 작업환경에 의해 사고 발생률 또한 저하되게 하여 시공 안전성을 증대되게 한 것으로,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는 종래 침전조의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의 평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초프레임 유닛의 요부확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의 시공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에 적용되는 거푸집 구조물본체의 이실시 시공예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도면을 참고로하여,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과, 기초프레임 유닛(2)과, 다단 타설격막(3)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먼저, 상기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에 있어,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은, 스크레이핑 작용에 의해 수거되는 침전조내 폐기물과 슬러지를 용이하게 흐름 유도하여 배출하는 수단, 예컨대, 침전조내 폐기물 유도홈을 형성하기 위해 마련되는 일종의 성형틀 구성인바, 이와 같은,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은 도 2 또는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면이 개방된 소정 높이의 원통형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에 있어, 기초 프레임유닛(2)은, 전술한,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을 중심으로, 그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도 2 또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을 이루며 연장 연결되는 구성인바, 이와 같은, 기초 프레임유닛(2)은,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상,하 2단 구조의 수평프레임(21)(2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프레임(21)의 길이구성을 도 3 또는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로 균등 분할하며,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이 위치한 내측 설치위치부터 외측 설치위치를 향해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높이구성 및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다수개의 다단이격 프레임(22)을 수직 설치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연장 연결되는 기초 프레임유닛(2)은, 그 기초 프레임유닛(2)을 형성하는 상부 수평프레임(21)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으로 직각절곡되며, 비계발판(5)을 안착구조로 받침 고정하는 발판거치대(211)를 더 형성한다,
또 다르게, 전술한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연장 연결되는 기초 프레임유닛(2)은, 그 기초 프레임유닛(2)을 형성하는 다단이격 프레임(22)의 하부면이, 도 2 또는 도 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변형방지프레임(4)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에 있어, 다단 타설격막(3)은, 전술한 다단이격 프레임(22), 예컨대,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을 이루며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4)의 외측면 둘레에 방사상으로 연결된 각 다단이격 프레임(22)의 상부 내측면에 단계적인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결합 설치되는 소정면적의 원형 밴드구조, 예컨대, 도 2 도는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결합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이용하여, 원추형 경사구조를 취하는 침전조 바닥면을 시공하는 것으로,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의 개략적인 공정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도 7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프레임구축공정(S1)과, 보조가설물 설치공정(S3)과, 매립형거푸집 구축고정(S4)과, 거푸집 운반설치공정(S4)과, 시멘트 타설양생공정(S5)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기초 프레임구축공정(S1)은, 원통형을 취하는 폐기물유도홈 성형관(1)을 중심부 구성으로하여, 그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 외측면 둘레에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단구조를 이루며 발판거치대(211)를 구비한 수평프레임(21)과,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이격 배치구성의 다단이격 프레임(22)을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법을 이용, 체결 조립하여,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구성으로 기초 프레임유닛(3)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은, 전술한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을 통해 조립 형성된 기초 프레임유닛(3)에 있어, 수평프레임(21)으로 구비된 발판거치대(211)에 다수개로 분할된 비계발판(100)을, 별도 체결수단을 필요함 없이, 도 5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 안착시키는 받침구조로 배열 설치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은, 전술한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을 통해 설치된 비계발판(5)을 일종의 안전 받침대로 하고, 그 안전 받침대인 비계발판(5)에 작업자가 위치되게 한 상태하에, 상기 다단이격 프레임(22)의 구성, 예컨대,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을 이루며 기초 프레임유닛(3)을 형성한 다단이격 프레임(22)의 상부 내측면에, 재차,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을 이루는 원형 밴드구조의 다단 타설격막(3)을 볼트결합 또는 용접결합방법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법을 이용, 체결 조립하여 완성된 조합체로서의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형성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푸집 운반설치공정(S4)은, 전술한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로부터 비계발판(5)을 분리 제거하고, 비계발판(5)이 제거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기중기 또는 크레인 등의 견인이동수단을 이용, 들어올려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부 바닥면으로 운반 안착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끝으로, 상기 다단 시멘트 타설양생공정(S5)은, 기초 프레임유닛(2)과 다단 타설격막(3)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에 있어, 상기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의 내측 구획공간부로부터 외측 구획공간부, 예컨대,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이 위치한 침전조의 내부 내측면으로부터 침전조의 내부 외측방향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인 다단 주입방식으로 시멘트를 타설하고, 상기 타설된 시멘트에 거푸집 구조물본체(100)가 매립된 상태 그대로 양생처리하여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을 시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을 구현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단계적 공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은, 상기한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과,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과,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을, 침전조의 외부기 아닌,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부에서 직접 이루어지게 하여, 거푸집 운반 설치공정(S4)을 배제할 수 있다.
또 다르게,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단계적 공정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은, 상기한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과,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과,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을 통해 형성되는 거푸집 구조물 본체(100)를, 도 8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균등 분할된 복수개의 부분 구조물로 형성하고, 상기 균등 분할구조로 형성된 부분 구조물을 기중기 또는 크레인 등의 견인이동수단을 이용, 각각 개별적 구성으로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으로 운반 연결하여 완성 조합형태의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구축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1 :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 2 : 기초프레임 유닛
3 : 다단 타설격막 4 : 변형방지 프레임
5 : 발판비계 21,21' : 수평프레임
22 : 다단이격 프레임 100 : 거푸집 구조물본체

Claims (6)

  1.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을 형성하고;
    상기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을 중심으로, 그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을 이루며 연장 연결되는 기초 프레임유닛(2)을 형성하되;
    상기 기초 프레임유닛(2)은, 상,하 2단 구조를 이루는 수평프레임(21)(21')과, 상기 수평프레임(21)의 길이구성을 다수개로 균등 분할하며, 내측 설치위치부터 외측 설치위치를 향해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상향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수직 설치되는 다단이격 프레임(22)으로 형성하고;
    상기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을 이루는 각 다단이격 프레임(22)의 상부 내측면에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결합 설치되는 원형 밴드구조의 다단 타설격막(3)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연장 연결되는 기초 프레임유닛(2)은, 그 기초 프레임유닛(2)을 형성하는 상부 수평프레임(21)에 "ㄴ" 형상으로 직각절곡되며 비계발판(5)을 안착구조로 받침 고정하는 발판거치대(211)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유도홈 성형관(1)의 외측면 둘레에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 구성으로 연장 연결되는 기초 프레임유닛(2)은, 그 기초 프레임유닛(2)을 형성하는 다단이격 프레임(22)의 하부면이 변형방지프레임(4)에 의해 고정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4. 원통형을 취하는 폐기물유도홈 성형관(1)을 중심으로, 그 외측면 둘레에 상,하 2단구조를 이루는 수평프레임(21)과, 단계적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이격 배치구성의 다단이격 프레임(22)을 볼트결합과 용접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법으로 체결 조립하여, 균등 분할된 다수개의 방사형 배치구성으로 기초 프레임유닛(3)을 형성하는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
    상기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을 통해 조립 형성된 기초 프레임유닛(3)에 있어, 상부 수평프레임(21)으로 구비된 발판거치대(211)에 다수개로 분할된 비계발판(100)을 안착 받침구조로 배열 설치하는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
    상기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을 통해 설치된 비계발판(5)을 안전 받침대로 하여,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을 이루며 기초 프레임유닛(3)을 형성한 다단이격 프레임(22)의 상부 내측면에 단계적 높이구성과 균등한 이격 배치구성으로 원형 밴드구조의 다단 타설격막(3)을 볼트결합과 용접결합 중 어느 하나의 결합방법으로 체결 조립하여 완성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형성하는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
    상기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을 통해 형성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로부터 비계발판(5)을 분리 제거하고, 비계발판(5)이 제거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견인이동수단을 이용, 들어올려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부 바닥면으로 운반 안착시키는 거푸집 운반설치공정(S4);
    상기 기초 프레임유닛(2)과 다단 타설격막(3)에 의해 형성된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에 있어, 그 거푸집 구조물본체(100)의 내측 구획공간부로부터 외측 구획공간부에 이르기까지 순차적인 다단 주입방식으로 시멘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시멘트에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매립시킨 상태로 양생처리하여 원추형 경사구조의 침전조 바닥면을 시공하는 다단 시멘트 타설양생공정(S5)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과,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과,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은,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부에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프레임 구축공정(S1)과, 보조 가설물 설치공정(S2)과, 매립형거푸집 구축공정(S3)을 통해 형성되는 거푸집 구조물 본체(100)는, 균등 분할된 복수개의 부분 구조물로 형성하고, 상기 분할 형성된 부분 구조물을 견인이동수단을 이용, 각각 침전조의 수조본체 내부 공간으로 운반 연결하여 완성 조합형태의 거푸집 구조물본체(100)를 구축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KR1020190071987A 2019-06-18 2019-06-18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KR102045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87A KR102045189B1 (ko) 2019-06-18 2019-06-18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1987A KR102045189B1 (ko) 2019-06-18 2019-06-18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5189B1 true KR102045189B1 (ko) 2019-11-15

Family

ID=6857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1987A KR102045189B1 (ko) 2019-06-18 2019-06-18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5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919A (zh) * 2021-05-31 2021-08-10 江苏永创建设有限公司 可调式穿楼板套管固定架和穿楼板套管的安装方法
CN114570071A (zh) * 2022-03-15 2022-06-03 临沂龙泰建设工程有限公司 倒锥形污水处理沉淀池组合结构施工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30Y1 (ko) * 1990-01-19 1992-05-25 김순용 상수도 침전조의 경사판 설치장치
KR200231560Y1 (ko) * 2001-02-13 2001-07-03 윤창진 경사장치가 부설된 폐수처리용 침전조
KR101531087B1 (ko) 2013-03-26 2015-06-2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 침전조의 하수 배출구조
KR101828335B1 (ko) 2017-03-27 2018-02-12 이상재 원형 침전지의 연속 스컴 제거장치
KR101903658B1 (ko) * 2018-04-06 2018-10-02 하나엔비텍(주) 공기단축을 위한 침전조 시공방법
CN109736353A (zh) * 2018-12-28 2019-05-10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复合式单侧支模深基坑地下室外墙的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3330Y1 (ko) * 1990-01-19 1992-05-25 김순용 상수도 침전조의 경사판 설치장치
KR200231560Y1 (ko) * 2001-02-13 2001-07-03 윤창진 경사장치가 부설된 폐수처리용 침전조
KR101531087B1 (ko) 2013-03-26 2015-06-24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하수 침전조의 하수 배출구조
KR101828335B1 (ko) 2017-03-27 2018-02-12 이상재 원형 침전지의 연속 스컴 제거장치
KR101903658B1 (ko) * 2018-04-06 2018-10-02 하나엔비텍(주) 공기단축을 위한 침전조 시공방법
CN109736353A (zh) * 2018-12-28 2019-05-10 杭州江润科技有限公司 复合式单侧支模深基坑地下室外墙的施工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35919A (zh) * 2021-05-31 2021-08-10 江苏永创建设有限公司 可调式穿楼板套管固定架和穿楼板套管的安装方法
CN114570071A (zh) * 2022-03-15 2022-06-03 临沂龙泰建设工程有限公司 倒锥形污水处理沉淀池组合结构施工方法
CN114570071B (zh) * 2022-03-15 2023-01-03 临沂龙泰建设工程有限公司 倒锥形污水处理沉淀池组合结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46422B (zh) 一种桥梁预制空心墩柱后浇连接结构及施工方法
KR102045189B1 (ko) 침전조바닥 무근 타설용 매립형 거푸집 및 그 거푸집을 이용한 침전조바닥 시공방법
CN205688563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泵站进口用垃圾提升装置
KR101903658B1 (ko) 공기단축을 위한 침전조 시공방법
CN1048065C (zh) 混凝土筒体的建筑方法
CN210331780U (zh) 一种全桥式中心传动刮泥机
CN108316469A (zh) 一种预制装配式建筑系统及其施工工艺
CN214989508U (zh) 一种布置在高层电梯井道内可提升的洗泵管道冲洗系统
CA2987003A1 (en) Method for repairing an intake for a storage dam
CN210699148U (zh) 一种混凝土污水排放装置
CN205323369U (zh) 一种高层建筑污水收集处理再利用装置
CN213555558U (zh) 一种泵管清洗水收集过滤装置
US5271832A (en) Activation plant with funnel-shaped secondary sedimentation
CN105926632B (zh) 可拆卸式出土平台
CN209934150U (zh) 高效平流沉淀池
CN113323132B (zh) 一种大体积混凝土双层钢筋换撑安装施工方法
KR100827628B1 (ko) 그레이팅 및 이를 이용한 슬러지 흡입구 시공 방법
CN111074921A (zh) 装配式预制板免拆薄板胎膜预制圈梁加固体系及施工方法
CN213912712U (zh) 一种道路建设废水引流装置
CN206543436U (zh) 桁架式刮吸泥机
CN215026247U (zh) 混凝土泵、管清洗用水进行沉淀分离的装置
CN108396756A (zh) 快速安置及回收的快速排污降水装置及方法
KR20130071763A (ko) 저면 이격형 집수정 및 그 설치방법
CN217916063U (zh) 一种可循环利用的泥浆制备系统
CN214885471U (zh) 一种方形烟囱外筒壁施工时操作平台顶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