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5119B1 - 미용장치 - Google Patents

미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5119B1
KR102045119B1 KR1020170089921A KR20170089921A KR102045119B1 KR 102045119 B1 KR102045119 B1 KR 102045119B1 KR 1020170089921 A KR1020170089921 A KR 1020170089921A KR 20170089921 A KR20170089921 A KR 20170089921A KR 102045119 B1 KR102045119 B1 KR 10204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nit
curved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9555A (ko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PCT/KR2017/00932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066814A1/ko
Publication of KR20180039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95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61H15/0085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25Digital circuitry features of electrotherapy devices, e.g. memory, clocks, proces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61N1/3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64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freely rotating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2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2Head
    • A61H2205/028Temp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및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장치{BEAUTY CARE APPARATUS}
본 발명은 미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미용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서 외모에 대한 관심은 점점 더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에 대한 관심은 더욱 증가되고 있는 상황이다. 얼굴 피부를 관리하기 위해, 영양분을 피부에 꾸준하게 공급하거나 피부에 쌓여 있는 노폐물 또는 독소를 제거할 수도 있고, 정체되어 있는 호르몬이 원활하게 순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얼굴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는 방법은 화장품 또는 비타민 등을 피부에 침투시키는 것이며, 노폐물 또는 독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화장품이나 마사지, 찜질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근래에는 피부를 좀 더 효과적으로 관리하게 위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피부 미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은 피부 미용 기기는 특정의 광원을 피부에 주사하는 기기,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마사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 또는 프로브에서 방사되는 이온 또는 전류를 이용하여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기기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얼굴 피부와 관련해서 다양한 화장품 및 미용 기기 등이 공지되어 있으나, 목, 이마 또는 눈가 등의 주름을 제거 또는 완화시키기 위한 화장품 또는 미용 기기의 효과는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목의 피부는 다른 피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다는 점에서, 목의 피부 탄력이 감소하여 목 주름이 생기거나 처진 턱살이 형성되기 쉽다. 또한, 한 번 감소된 피부 탄력에 의해 형성된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은 이를 회복시키거나 완화시키기가 상당히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83169호(공개일 2011년7월20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피부 노화에 따라 얼굴에 생기는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 등의 피부 노화를 제거 또는 억제시키기 위한 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및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상기 스트레칭부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상기 스트레칭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출력부;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전류 출력부의 전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용 장치는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결합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얼굴 부위에 대한 피부 신장 및 피부 수축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굴 부위의 피부 탄력을 회복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목 주름, 처진 턱살, 이마 주름, 눈가 주름 등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과 같은 피부 노화가 발생하는 부위의 진피층에 고주파 전류 또는 미세 전류 등을 인가함으로써, 진피층의 생체 전류를 활성화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처진 턱살이나 이중턱의 지방 세포를 분해시킬 수 있으며, 콜라겐 합성, 혈액순환 개선 및 내분비를 활성화하여 목 주름의 제거 또는 감소를 유도할 수 있다. 특히, 스트레칭부의 왕복 운동에 따라 목 부위의 피부를 신장 및 수축시키면서 동시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목 주름 또는 처진 턱살의 제거 또는 감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피부 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표시하고, 아울러, 피부 영상 위에 피부 노화 정도에 따른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피부 미용을 위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화면 상에 표시된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참조하여 미용 장치를 조작할 수 있므로, 피부 미용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막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우징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미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기판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막대 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8b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16은 전극부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들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7a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1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연결부를 구성하는 제2 연결체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카메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가 미용 장치의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0a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피부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피부 영상에 피부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가 중첩된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및", "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미용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용 장치(100)는 스트레칭부(110), 지지부(120) 또는 하우징(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미용 장치(100)는 지지부(120)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지부(120)는 미용 장치(100)의 필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1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트레칭부(110)와 하우징(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스트레칭부(110)와 하우징(130)이 나사 결합 방식 또는 삽입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용 장치(100)의 구성 요소로서,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과 함께 지지부(1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트레칭부(110)는 피부에 접하여 피부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킨다. 이를 위해, 스트레칭부(110)는 곡면 구조체 및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구조체는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 구조체는 피부 중에서 목 또는 얼굴의 피부를 감싸기 위해 굴곡을 이루는 형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는 목 또는 얼굴의 피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분할형 곡면체 또는 비대칭형 곡면체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체는 곡면 구조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는 후술할 다양한 스트레칭부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이 지지부(12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가 분리되고 다른 스트레칭부들이 지지부(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a)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a)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a)는 일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 및 결합 구조체(11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110a-11, 110a-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C자 형태 또는 U자 형태의 대칭형 곡면체일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양 단부들(110a-11, 110a-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S)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110a-11, 110a-12)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는 스트레칭부(110a)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a-11, 110a-12) 사이의 거리(D)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a-11, 110a-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a-2)와 결합되어 있다.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의 타측(예를 들어, 대칭형 곡면체(110a-1)의 중앙 부분)은 결합 구조체(110a-2)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나사 부재 또는 삽입 부재 등을 이용해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삽입 부재 또는 나사 부재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a-2)는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탈착 및 부착할 수 있는 결합 구조(110a-21)를 포함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구조체(110a-2)는 지지부(1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120)와 결합하기 위해 볼트 구조를 포함하거나, 삽입 결합을 위한 돌출 구조 또는 홈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구조체(110a-2)는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이외에도 원터치 방식에 의해 결합 및 분리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는 원기둥 형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사각 기둥, 육각 기둥 등 다양한 다각 기둥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a-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a-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b)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b)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b)는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 및 결합 구조체(110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110b-11, 110b-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의 양 단부들(110b-11, 110b-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110b)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마찬가지로 스트레칭부(110b)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b-11, 110b-12) 사이의 거리(D)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b-11, 110b-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b-2)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 구조체(110b-2)는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b-2)의 특징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b-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b-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c)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c)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 및 결합 구조체(11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대칭형 곡면체들(110a-1, 110b-1)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다만, 대칭형 곡면체들(110a-1, 110b-1)과 달리,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110c-11, 110c-12) 모두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로 형성된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110c-11, 110c-12)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4개의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110c-121, 110c-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양 단부들은 각각 3개 이상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경우에도 스트레칭부(110c)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c-11, 110c-12)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c-11, 110c-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때,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한쪽 단부(110c-11)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사이의 거리(D1)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다른쪽 단부(110c-12)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D2)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에서 단부들(110c-11, 110c-12)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은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또는 분할 단부들(110c-121, 110c-122) 각각의 신장 및 수축 방향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는 분할 단부들(110c-111, 110c-112, 110c-121, 110c-122)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측부의 일측에 절개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G)은 분할 단부들이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경우에 홈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 절개 홈(G)의 개수는 분할 단부들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c-2)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 구조체(110c-2)는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c-2)의 특징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c-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c-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110d)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110d)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110d)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 및 결합 구조체(110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110d)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110d-11, 110d-12)는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을 갖는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110d-11, 110d-12)은 각각 길이 방향으로 절개되어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4개의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110d-121, 110d-1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쪽 단부들이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되는 것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양 단부들은 각각 3개 이상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도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경우에도 스트레칭부(110d)의 왕복 운동을 시작하기 전의 대기 상태에서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d-11, 110d-12)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왕복 운동에 따른 동작 상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곡면체의 양쪽 단부들(110d-11, 110d-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때,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한쪽 단부(110d-11)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사이의 거리(D1)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다른쪽 단부(110d-12)를 형성하는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D2)도 대기 모드에서 최소가 되도록 수축 상태를 유지하고, 동작 모드에서 피부와의 접촉에 따라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가 신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에서 단부들(110d-11, 110d-12)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은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또는 분할 단부들(110d-121, 110d-122) 각각의 신장 및 수축 방향과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는 분할 단부들(110d-111, 110d-112, 110d-121, 110d-122)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측부의 일측에 절개 홈(G)을 포함할 수 있다. 절개 홈(G)은 분할 단부들이 피부와의 접촉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되는 경우에 홈 간격이 증감될 수 있다. 절개 홈(G)의 개수는 분할 단부들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의 타측은 결합 구조체(110d-2)와 결합되어 있다.
결합 구조체(110d-2)는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1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110d-2)의 특징도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지지부(1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110d-2)는 하우징(1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110d-2)는 하우징(1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곡면 구조체는 전술한 대칭형 곡면체 및 분할형 곡면체 이외에 비대칭형 곡면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대칭형 곡면체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한 면으로 구성되며, 면의 단부는 하나 또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단부들을 갖는 비대칭형 곡면체는 단부들이 비대칭의 형태일 수 있다.
전술한, 곡면 구조체들은 탄성 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 수지계 재질, 고분자 탄성 재질, 금속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곡면 구조체들의 재질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신장 또는 수축이 가능한 일체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다양한 곡면 구조체들의 양 단부들은 피부와 접촉하는 밀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밀착 부재의 소재는 금속 재질 또는 생체 적합성 재질일 수도 있다. 또한, 곡면 구조체들의 양 단부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롤러는 곡면 구조체가 제1방향으로 이동시에 정지하고, 곡면 구조체가 제2방향으로 이동시에 회전하는 프리휠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방향은 곡면 구조체가 목을 감싸는 이동 방향일 수 있고, 제2방향은 곡면 구조체가 목을 감싸는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이동 방향일 수 있다.
지지부(120)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있다. 막대 형태의 양 단부들이 각각 스트레칭부(110) 및 하우징(130)에 결합되어 있음으로 인해, 지지부(120)는 하우징(130)으로부터 스트레칭부(1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지지부(1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지지부(120)는 막대 본체(121) 및 회전 구조체(1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막대 본체(121)의 사시도이고,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122)의 사시도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스트레칭부(1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121-2)은 회전 구조체(122)와 결합될 수 있다.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스트레칭부(1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막대 본체(121)의 일단(121-1)은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스트레칭부(1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스트레칭부(110)와의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는 스트레칭부(110)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나사 방식, 삽입 방식, 원터치 방식을 포함하는 탈부착 방식을 사용해 스트레칭부(110)를 부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은 회전 구조체(122)와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은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 홀(121-21)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22)는 막대 본체(121)와 결합시에 지지부(1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막대 본체(12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조체(122)의 일단(122-1)은 막대 본체(121)의 타단(121-2)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 구조 즉, 제2 힌지 홀(1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조체(122)의 일단(122-1)은 제2 힌지 홀(122-11)에 삽입되어 막대 본체(121)의 제1 힌지 홀(121-21)과 결합하기 위한 제1 힌지 핀(1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22)의 타단(122-3)은 하우징(130)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122)의 타단(122-3)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하우징(130)과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막대 본체(121) 및 회전 구조체(12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막대 본체(121)의 회전을 위해 회전 구조체(122)는 다양한 회전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은 지지부(120)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하우징(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하우징(130)은 하우징 본체(131) 및 하우징 결합체(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 또는 막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에 우수한 그립감을 위해 손가락 굴곡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131)는 복수의 덮개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덮개 부재들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포함하는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131)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132)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하우징 결합체(132)는 하우징 본체(1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결합체(132)는 지지부(1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부재 또는 삽입 결합을 위한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7b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13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120)와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미용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하우징의 내부에 실장되는 PCB 회로기판(P)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미용 장치(200)는 스트레칭부(210), 지지부(220) 및 하우징(230), 전력 공급부(240),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전극부(270), 연결부(28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미용 장치(200)는 통신부(298)와 연결된 디스플레이부(300, 도 19 참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미용 장치(200)는 지지부(220)를 포함하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지지부(220)는 미용 장치(200)의 필수 구성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지지부(220)가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다른 구성요소들만으로 미용 장치(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미용 장치(200)의 구성 요소로서,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지지부(220)를 설명하기로 한다.
스트레칭부(210)는 피부에 접하여 피부를 신장 및/또는 수축시킨다. 이를 위해, 스트레칭부(210)는 곡면 구조체 및 결합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는 목의 피부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 비대칭형 곡면체 또는 분할형 곡면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 구조체는 곡면 구조체와 연결되어 있으며,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는 후술할 다양한 스트레칭부들 중 하나의 타입이 지지부(220)에 결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 8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가 분리되고 다른 스트레칭부들이 지지부(2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a)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b는 도 9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a)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a)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 및 결합 구조체(21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210a-11, 210a-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칭형 곡면체(110a-1)는 C 형태 또는 U 형태의 대칭형 곡면체일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제1 대칭형 곡면체(110a-1)와 달리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양 단부들(210a-11, 210a-12)에 전극부(270a)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a)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 구조체(210a-2)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a-2)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a-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a-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a-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a-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a-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a-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b)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b)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b)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 및 결합 구조체(210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플레이트 끝단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전술한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제2 대칭형 곡면체(110b-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대칭형 곡면체(110b-1)와 달리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의 양 단부들(210b-11, 210b-12)에 전극부(270b)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b)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 구조체(210b-2)는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b-2)는 제4 대칭형 곡면체(210b-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칭형 곡면체(210b-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b-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b-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b-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b-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b-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b-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c)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c)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c)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 및 결합 구조체(210c-2)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대칭형 곡면체들(210a-1, 210b-1)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210c-11, 210c-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양 단부들(210c-11, 210c-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단부 또는 양 단부들(210c-11, 210c-12) 모두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로 형성된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양 단부들(210c-11, 210c-12)은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4개의 분할 단부들(210c-111, 210c-112, 210c-121, 210c-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전술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제1 분할형 곡면체(110c-1)와 달리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분할 단부들(210c-111, 210c-112, 210c-121, 210c-122)에 전극부(270c)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c)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 구조체(210c-2)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와 연결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c-2)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c-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c-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c-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c-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c-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c-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스트레칭부(210d)를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에 도시된 스트레칭부(210d)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참조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스트레칭부(210d)는 또 다른 실시예의 곡면 구조체인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 및 결합 구조체(210d-2)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피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기 위해 플레이트 형태의 굴곡이 형성된 면(S)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에서 피부와 접촉하는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서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에서 한번 또는 2 이상 횟수로 곡률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B)된 후에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일 수 있다. 절곡 횟수 및 절곡되는 각도는 스트레칭부(210d)가 접촉하는 피부의 굴곡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 또는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을 갖는 곡면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양 단부들(210d-11, 210d-12)은 각각 2개의 분할 단부들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4개의 분할 단부들(210d-111, 210d-112, 210d-121, 210d-1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전술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제2 분할형 곡면체(110d-1)와 달리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의 분할 단부들(210d-111, 210d-112, 210d-121, 210d-122)에 전극부(270d)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극부(270d)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결합 구조체(210d-2)는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와 결합되어 있으며, 또한 지지부(220)와 결합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한다. 결합 구조체(210d-2)는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4 분할형 곡면체(210d-1)가 자유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d-2)는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외형 구조가 유사하다는 점에서, 결합 구조체(210d-2)의 외형 구조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210d-2)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결합 구조체(110a-2)와 달리 결합 구조체(210d-2)의 외주면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8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지지부(220)를 포함하지 않는 미용 장치인 경우에는 결합 구조체(210d-2)는 하우징(230)과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결합 구조체(210d-2)는 하우징(230)과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지지부(220)는 막대 형태일 수 있으며, 막대 형태의 양단부가 스트레칭부(210)와 하우징(230)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20)는 하우징(230)으로부터 스트레칭부(2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지지부(2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a를 참조하면, 지지부(220)는 막대 본체(221) 및 회전 구조체(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막대 본체(221)의 사시도이고, 도 13c는 도 13a에 도시된 회전 구조체(222)의 사시도이다.
도 13b를 참조하면,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스트레칭부(210)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221-2)은 회전 구조체(222)와 결합될 수 있다.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은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와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 방식은 스트레칭부(210)와의 탈착 및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는 스트레칭부(110)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121)의 일측에 형성되어, 나사 방식, 삽입 방식, 원터치 방식을 포함하는 탈부착 방식을 사용해 스트레칭부(110)를 부착 또는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은 회전 구조체(222)와 힌지 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은 힌지 결합을 위한 제3 힌지 홀(221-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1 중공홀(2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1 중공홀(221-3)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는 일측에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22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221-4)은 막대 본체(221)의 외주면과 제1 중공홀(221-3)이 상호 관통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제1 관통 홀(221-4)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중공홀(221-3)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막대 본체(221)는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돌출 구조체(221-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구조체(221-5)는 막대 본체(221)의 외주면에 일정 두께를 갖는 링 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고정될 수 있는 일체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c를 참조하면, 회전 구조체(222)는 막대 본체(221)와 결합시에 지지부(22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막대 본체(221)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구조체(222)의 일단(222-1)은 막대 본체(221)의 타단(221-2)과 결합하기 위한 힌지 구조 즉, 제4 힌지 홀(222-1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조체(222)의 일단(222-1)은 제4 힌지 홀(222-11)에 삽입되어 막대 본체(221)의 제3 힌지 홀(221-21)과 결합하기 위한 제2 힌지 핀(222-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222)의 타단(222-3)은 하우징(230)과 결합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조체(222)의 타단(222-3)은 나사 결합 또는 삽입 결합 등의 결합 방식에 의해 하우징(23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회전 구조체(222)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제2 중공홀(22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제2 중공홀(222-4)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2 중공홀(222-4)을 통해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전술한,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된 막대 본체(221) 및 회전 구조체(222)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이며, 막대 본체(221)의 회전을 위해 회전 구조체(222)는 다양한 회전 결합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30)은 지지부(22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손잡이 역할을 담당한다.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하우징(2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하우징(230)은 하우징 본체(231) 및 하우징 결합체(23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본체(2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그립 형태 또는 막대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하였을 경우에 우수한 그립감을 위해 손가락 굴곡이 형성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복수의 덮개 부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덮개 부재들은 삽입 결합 또는 나사 결합을 포함하는 결합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 본체(231)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231)는 덥개 부재들의 내부 공간에 PCB 회로기판(P)을 실장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B 회로기판(P)은 전력 공급부(240),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또는 통신부(298)를 탑재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231)는 덮개 부재들의 외부 표면 상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232)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4b를 참조하면, 하우징 결합체(232)는 하우징 본체(231)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결합체(232)는 지지부(220)와 나사 결합을 위한 너트 부재 또는 삽입 결합을 위한 삽입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결합체(232)는 너트 부재 또는 삽입 부재의 중심 부분에 제2 관통홀(2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결합체(232)의 제2 관통홀(232-1)은 연결부(280)의 구성요소가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하며, 또한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가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담당한다. 다만, 도 14b에 도시된 하우징 결합체(232)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지부(220)와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 전력 공급이 필요한 모듈들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부(240)는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와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 또는 간접 연결되어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교류 전원 또는 직류 전원을 이용해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의 동작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교류 전원은 상용 교류 전원(예를 들어, 220[V] 또는 110[V])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직류 전원은 배터리 전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용 교류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부(240)는 상용 교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공급부(240)는 별도의 어댑터를 통해 변압된 전력을 수용하는 어댑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에, 전력 공급부(240)는 배터리, 배터리 소켓 및 배터리 충전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일회용 배터리 또는 충전용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충전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전원으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외부 전원으로서 상용 전원을 입력받는 경우에는 상용 교류 전원을 강압 및 직류화하여 배터리에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충전용 배터리는 USB 구조의 충전 단자 또는 무접점 충전기술을 사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40)는 어댑터 단자를 통해 수신되거나 충전용 배터리에 충전된 전력을 제어부(25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력 공급부(240), 전류 출력부(260), 카메라부(295) 또는 통신부(298)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적어도 일부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루틴, 명령어 세트 (sets of instructions) 또는 프로세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전류 출력부(260)에서 전극부(270)로 제공되는 전류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는 전력 공급부(240) 및 전류 출력부(2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이 전류 출력부(260)에 제공되도록 하기 위해,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 공급이 턴온 또는 턴오프되도록 하기 위한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로부터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턴온되거나 턴오프되는 트랜지스터 및 이러한 트랜지스터가 턴온 또는 턴오프됨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되는 신호를 전류 출력부(260)로 전송하는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제어를 위해 펄스 폭 변조(PWM)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25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 전류, 출력 주파수 및 출력 타이밍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로 공급되는 전력 공급부(240)의 출력 전류의 세기를 조정하여, 전류 출력부(260)에서 출력되는 고주파의 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극에 인가되는 전류를 사전에 설정된 안전 듀티 주기에 따라 온/오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극부(270)에서 일정 시간마다 단속적으로 전류가 출력되도록 전류 출력부(2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에서 생성된 전류가 전극부(270)로 단속적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감지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 보다 크면 구동 전압 공급모듈의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전류량을 감소시키고, 감지된 전류값이 기준 전류값보다 작으면 구동 전압 공급모듈의 출력전압을 제어하여 전류량을 증가시킨다. 또한, 제어부(250)는 소비 전력의 상한을 설정하고, 소비전력이 사전에 설정된 소비 전력 상한 이하가 되도록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소비 전력 상한을 설정함에 따라 전극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250)는 전극부(270)의 온도가 사전에 설정된 안전 온도 이하가 되도록 전류 출력부(260)의 출력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5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카메라부(29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295)가 사용자의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면,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통신부(298)을 통해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250)의 제어 연결단자(CP1)는 카메라부(295)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250)는 카메라부(295)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 연결단자(CP1)를 통해 수신하여 통신부(298)로 전달한다.
전류 출력부(260)는 전극부(270)에 제공하기 위한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전극부(270)로 출력한다. 전류 출력부(260)는 전력 공급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된 전력을 이용하여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또는 이온 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출력부(260)는 0.001Mhz 내지 1000Mhz의 고주파 전류, 0.1㎂~1000㎂의 미세전류 또는 이온 전류를 생성하며, 생성된 전류를 전극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 연결단자(CP2)는 연결부(280)의 구성요소와 연결되어 있으며, 전류 출력부(260)는 생성된 전력을 연결부(280)를 통해 전극부(270)로 공급한다.
고주파 전류는 인체 조직을 통전할 때 진동 폭이 매우 짧기 때문에 이온 운동을 거의 야기하지 않으며, 전기 화학적 반응 또는 전기 분해 현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고주파의 전기 에너지가 조직에 가해지면 전류의 방향이 바뀔 때마다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생체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고주파 전류는 감각신경 및 운동신경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인체 내에 열에너지를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열 에너지는 세포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5는 도 8b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26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회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전류 출력부(260)는 구동전압 공급모듈(261) 및 고주파 생성모듈(26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5에 도시된 전류 출력부(260)의 회로도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러한 회로도에 사용되는 전자 소자들을 다른 전자 소자들로 대체하여 전류 출력부(260)를 구현할 수도 있다.
구동전압 공급모듈(261)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원으로부터 직류 구동 전압을 생성한다. 구동전압 공급모듈(261)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교류 입력전압을 정류하여 직류 구동전압을 생성하고, 생성된 직류 구동전압을 고주파 발생모듈(262)에 제공하기 위해, 승압 모듈 및 정전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승압시켜 정전압 모듈로 공급한다.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류가 승압 코일에 흐르는 것을 제어하여 승압 코일에 유도 기전력을 유도함으로써 승압 전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승압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승압시키는 승압 코일, 및 승압 코일에서 승압된 전력을 정류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정전압 모듈은 승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정전압하여 고주파 생성모듈(262)로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정전압 모듈은 승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정전압화하는 레귤레이터, 트랜지스터, 코일, 다이오드, 저항, 캐패시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의 고주파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구동전압 공급모듈에서 제공되는 직류 구동 전압으로부터 고주파 신호를 생성한다. 즉,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제어신호에 따라 직류 구동전압을 스위칭 변환하여 소정 주파수의 고주파 전류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제어부(250)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발진 신호에 의해 고주파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고전압 저전류 형태의 고주파 전류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정전압 모듈에서 제공되는 정전압을 승압시키는 변압기, 고주파 전력이 고주파수를 갖도록 발진하는 발진기, 발진기에서 생성되는 발진 주파수에 대응하여 스위칭하여 변압기에서 승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주파 생성모듈(262)은 0.001Mhz 내지 1000MHz까지 가변 가능한 오실레이터(osaillator)를 사용하여 고주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 고주파 생성모듈(262)의 출력 주파수의 파형은 구형파, 삼각파, 정현파 및 계단파 등 다양한 파형을 포함할 수 있다.
전류 출력부(26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이온 전류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온 전류를 출력하는 전류 출력부(260)는 배터리의 전원을 승압시키는 직류 변환 모듈, 직류 변환 모듈의 출력 전원 레벨을 조절하는 전원 레벨 조절모듈, 직류 변환 모듈에서 출력되는 이온전류의 극성을 절환하는 이온 전류 극성 절환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출력부(260)의 이온 전류 극성 절환모듈은 전극부로 플러스 갈바닉 이온전류 및 마이너스 갈바닉 이온전류를 선택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극부(270)는 스트레칭부(210)를 구성하는 곡면 구조체의 단부에 배치되며,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에 전류를 인가한다. 전극부(270)는 피부에 인가하기 위한 전류를 연결부(280)를 통해 전류 출력부(260)로부터 제공받는다. 이를 위해, 전극부(270)는 연결부(2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극부(270)는 전류 출력부(260)로부터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또는 이온 전류 등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제공된 다양한 종류의 전류를 피부로 인가한다.
전극부(270)는 도 9a에 도시된 전극부(270a), 도 10a에 도시된 전극부(270b), 도 11a에 도시된 전극부(270c) 또는 도 12a에 도시된 전극부(270d)를 예시할 수 있다. 도 9a, 도 10a,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전극부들(270a, 270b, 270c, 270d)은 스트레칭부(210)의 곡면 구조체 단부에서 피부에 대향하도록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전극부(270)는 피부와 접촉하는 부분이 곡면 형상의 전극 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전극 면은 도전성의 금속(예를 들어, 백금)으로 도금될 수 있다. 전극부(270)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의 단면을 갖는 기둥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6은 전극부(270)를 구성하는 전극 부재들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6의 (a)는 전극부(270)의 단면이 원형인 것을 예시하고, 도 16의 (b)는 전극부(270)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예시한다. 다만, 도 16에 도시된 전극부(270)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a)는 전류를 피부로 전달하기 위한 서로 다른 극성(예를 들어, 양극, 음극 및 접지극)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 270a-3, 270a-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b)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b-1, 270b-2, 270b-3, 270b-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c)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70d)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270d-1, 270d-2, 270d-3, 270d-4)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은 서로 인접해 있음으로 인해, 양의 전극에서 전류를 피부에 흘리면 인접한 음의 전극 또는 접지 전극으로 환류될 수 있다. 전극 부재들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들이 교번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구조체가 도 9a에 대응하는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에 해당하는 경우에,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한쪽 단부(210a-11)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 이상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이 배치되고, 제3 대칭형 곡면체(210a-1)의 다른쪽 단부(210a-12)에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 이상의 전극 부재들(270a-3, 270a-4)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전극 부재(270a-1)과 전극 부재(270a-2)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며, 전극 부재(270a-3)과 전극 부재(270a-4)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10a의 전극 부재들(270b-1, 270b-2, 270b-3, 270b-4)의 경우에도 도 9a의 전극 부재들(270a-1, 270a-2, 270a-3, 270a-4)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곡면 구조체가 도 11a에 대응하는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에 해당하는 경우에,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은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한쪽 단부(210c-11)를 형성하는 제1 분할 단부(210c-111)와 제2 분할 단부(210c-112)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270c-1, 270c-2)가 각각 배치되고, 제3 분할형 곡면체(210c-1)의 다른 쪽 단부(210c-12)를 형성하는 제3 분할 단부(210c-121)와 제4 분할 단부(210c-122)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270c-3, 270c-4)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2a의 전극 부재들(270d-1, 270d-2, 270d-3, 270d-4)의 경우에도 도 11a의 전극 부재들(270c-1, 270c-2, 270c-3, 270c-4)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된 극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전극 부재들의 배열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예를 들어, 서로 다른 극성의 전극 부재들이 그룹을 이루어서 배열될 수도 있고, 하나의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의 주변에 다른 극성을 갖는 복수의 전극 부재들이 배열될 수도 있다.
연결부(280)는 전류 출력부(260)와 전극부(27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연결부(280)는 제1 연결체(281) 및 제2 연결체(28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연결부(280)를 구성하는 제1 연결체(281)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7b는 연결부(280)를 구성하는 제2 연결체(282)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제1 연결체(281)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제2 연결체(282)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1 연결체(281)는 제1 연결선(281-1), 제1 연결 단자(281-2) 및 단자 지지체(28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선(281-1)은 전선 또는 도전 패턴 등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일체의 연결선을 포함한다. 제1 연결선(281-1)의 일단은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고, 제1 연결선(281-1)의 타단은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선(281-1)의 일부는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기 위해 지지부(2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제1 연결선(281-1)의 다른 일부는 전류 출력부(260)와의 연결을 위해 지지부(220)의 제1 관통홀(221-4)을 따라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연결선(281-1)은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막대 본체(221)의 제1 중공홀(221-3) 및 회전 구조체(222)의 제2 중공홀(222-4)를 거쳐서 하우징(230)의 제2 관통홀(232-1)을 통과하여 전류 출력부(26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연결선(281-1)은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제2 연결체(282)로 전달할 수 있다.
제1 연결 단자(281-2)는 제2 연결체(282)와 연결될 수 있는 암수 단자 구조(281-2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연결 단자(281-2)는 제2 연결체(282)의 각 핀들과 연결될 수 있는 암수 구조의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결 단자(281-2)는 단자 지지체(281-3)의 일측에 형성된 단자 홈에 삽입되어 상하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는 돌출 부재일 수 있다.
단자 지지체(281-3)는 제1 연결 단자(281-2)의 돌출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단자 홈(281-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자 지지체(281-3)는 지지부(220)의 외주면을 따라 접할 수 있는 원통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7a에 도시된 단자 지지체(281-3)의 형상을 예시적인 것이며, 다각통 형태일 수도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제2 연결체(282)는 전류 출력부(260)의 전류를 전극부(270)로 전달한다. 이를 위해, 제2 연결체(282)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 등 전기적 연결을 위한 일체의 제2 연결 단자(282-1) 및 제2 연결선(28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282-1)는 제1 연결체(281)와 연결될 수 있는 암수 단자 구조(28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수 단자 구조(282-11)는 제1 연결체(281)의 제1 연결 단자(281-2)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연결 단자(282-1)는 전술한 스트레칭부(210)의 결합 구조체들의 일측에 내삽될 수 있으며, 또한, 스트레칭부(210)에 내삽되지 않고 독립적인 단자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연결선(282-2)은 스트레칭부(210)의 표면 또는 내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선(282-2)의 일단은 전극부(270)의 전극 부재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2 연결선(282-2)의 타단은 제2 연결 단자(282-1)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선(282-2)은 전극 부재들과 연결되기 위해, 예를 들어, 4개의 연결 분기선들이 4개의 전극 부재들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다만, 도 17b에서 제2 연결선(282-2)과 전극부(270)와의 연결 상태가 생략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연결선(282-2)은 전술한 스트레칭부(210)의 곡면 구조체들의 일측에 내삽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제어부(2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전류 출력부(260)를 통해 전극부(27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카메라부(295)의 영상 촬영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250)에 전달하기 위해, 제어부(2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키패드, 조그 셔틀, 터치 스크린, 입력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하우징(230)의 외주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부(295)의 동작을 위한 입력 버튼은 독립적인 모듈로 하우징의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른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각 구성 요소의 동작 상태를 영상 또는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오디오 출력 모듈은 전력 공급부(240)의 전력 공급 상태 정보 또는 전류 출력부(260)의 동작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90)에서 출력된 정보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제어부(25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카메라부(295)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피부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제어부(250)로 전달한다. 카메라부(295)는 피부에 대한 동영상 또는 정지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95)는 일반 광 모드에서는 피부 상태를 촬영하고, 편광 모드에서는 색소 침착 여부를 촬영하고, 자외선 모드에서는 피지 여부를 촬영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카메라부(295)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카메라부(295)는 카메라 본체(295-1) 및 카메라 연결선(295-2)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295-1)는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ISP (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쉬(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는 디지털 줌이 가능한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플래쉬는 일반모드, 색소모드 및 피지모드에 따라 각각 일반 광, 편광, 자외선을 조명할 수 있다. 일반 광 모드에서는 피부 상태, 모공, 주름, 각질 등의 상태를 알 수 있고, 편광 모드에서는 색소침착, 기미, 잡티 등을 알 수 있으며, 자외선 모드에서는 피지, 모공, 트러블, 여드름 등을 알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로부터 결상된 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이를 제어부(250)로 전송한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SP는 이미지 센서에서 감지한 영상 신호에 대해 이미지 밝기 조절, 색상 보간, 색상 보정, 색 공간 변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본체(295-1)는 전술한 지지부(220)의 막대 본체(221)에 형성된 제1 중공홀(221-3) 내에 삽입되어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본체(295-1)는 영상 촬영을 위한 렌즈 모듈이 막대 본체(221)의 제1 중공홀(221-3) 내에서 막대 본체(221)의 일단(221-1)에 전방을 향해서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연결선(295-2)은 일단이 카메라 본체(295-1)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제어부(25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카메라 연결선(295-2)은 지지부(220)의 막대 본체(221)에 형성된 제1 중공홀(221-3)과 회전 구조체(222)의 제2 중공홀(222-4)을 통해서 하우징(230) 내의 제어부(250)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부(298)는 제어부(250)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전송한다. 통신부(298)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서 디스플레이부(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은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 2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와이기그(WiGig), 무선 USB(Wireless USB), Wireless LAN,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98)는 유선 통신 프로토콜 또는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98)는 디스플레이부(300)와 유선 통신을 위해 유선 통신 단자 및 유선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단자는 USB 단자, HDMI 단자, RS-232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선 통신 단자들은 전술한 전력 공급부(240)의 어댑터 단자 또는 배터리 충전 단자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어댑터 단자 또는 배터리 충전 단자에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유선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단자는 하우징(230)의 일측에 외부로 노출된 단자 형태일 수 있다. 유선 케이블은 유선 통신 단자와 디스플레이부(300)을 연결하는 케이블로서, USB 케이블, HDMI 케이블, RS-232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통신부(298)로부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피부 영상을 화면 상에 표시하며, 또한, 표시된 피부 영상에서 부각되는 피부 노화 위치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또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피부 영상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부(300)가 미용 장치(200)의 본체와 연결된 상태를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300)가 미용 장치의 본체(200)와 유선의 통신부(298)으로 연결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300)는 미용 장치의 본체(2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에 대한 영상 표시 및 피부 노화 위치에 대한 특징점들을 표시하기 위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저장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용 서버, 일반 웹 서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서버로부터 피부 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또한, 서버가 아닌 별개의 기록매체로부터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300)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또는 영상 표시와 관련한 장치 관리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와 관련하여 디스플레이의 밝기, 해상도 등에 대한 조절 및 기타 기능들에 대한 턴온/턴오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기준치 이상의 농도를 가지는 픽셀의 계조값들, 밀도, 면적, 선형성을 포함하는 해석 데이터를 기초로 피부 주름, 기미 등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피부 노화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의 분포에 따라 피부에 대한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는 스트레칭부의 신장 및 수축 방향을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이미지이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그레이 스케일 영상으로 변환하거나 소정의 기준값에 따른 정규화(Normalization) 처리를 수행하며, 영상 데이터에 대한 각종 노이즈(Noise)를 제거하는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데이터로부터 빛의 주요 파장(dominant wavelength)을 나타내는 색상(Hue) 파라미터값, 빛의 강도(intensity) 또는 진폭(amplitude)을 나타내는 명도(Brightness) 파라미터값, 또는 빛의 순도(purity) 또는 대역폭(band width)을 나타내는 채도(Saturation) 파라미터값을 포함하는 영상 파라미터값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은 임펄스 노이즈(impulse noise) 제거 필터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 중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잡음이 제거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샤프닝 공간 필터(sharpening spacial filter)를 이용하여 잡음 제거에 따른 손실 에지(edge)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함으로써, 카메라부(295)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해, 영상 데이터의 한 프레임 내에서 각각의 픽셀들에 대한 픽셀 계조값들의 평균값을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평균값과 각 픽셀의 계조값들의 차를 산출하고, 산출된 차이값과 임계값을 비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픽셀들을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로 추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특징점 검출을 위해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알고리즘을 고속화시킨 SURF(Speeded-Up Robust features) 알고리즘과 같은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그 후, 디스플레이부(300)는 추출된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을 피부와 식별되는 색상으로 피부 영상 위에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00)는 산출된 차이값이 임계값을 초과하는 정도에 따라 특징점들에 대한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특징점들과 함께 피부에 대한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하는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피부 영상 위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는 삼각형 또는 화살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칭부의 스트레칭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 노화 정도에 따라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의 크기를 가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현재 촬영되는 피부 영상을 표시함과 동시에, 특징점들이 중첩된 이전의 피부 영상을 화면 분할을 통해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0a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피부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고, 도 20b는 도 20a에 도시된 피부 영상에 피부의 노화 정도를 나타내는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가 중첩된 영상을 예시하는 참조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부 미용을 위한 위치를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정확히 확인할 수 있고, 화면 상에 표시된 특징점들 및 스트레칭 방향 이미지를 참조하여 미용 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얼굴의 각 부분(예를 들어, 이마 부분, 목 부분, 턱밑 부분, 미간 부분, 눈밑 부분, 코와 입 주변 부분 등)별로 구분하여 피부 영상을 관리 및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영상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라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위치에 대응하는 특징점들로부터 해당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정보(예를 들어, 피부 나이, 노화 정도 그래프)를 생성 및 저장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얼굴의 각 부분에 대한 피부 노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생성된 피부 노화 정보를 기초로 하여, 얼굴 각 부분에 대한 미용 장치(200)의 구동 시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300)는 피부 노화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구동 시간 정보를 사전에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는 스마트폰 (smartphone), 태블릿 PC (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 (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 (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 (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 (netbook computer),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 (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 (head-mounted-device(HMD)),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또는 스마트 와치 (smart watc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200: 미용 장치
110, 210: 스트레칭부
120, 220: 지지부
130, 230: 하우징
240: 전력 공급부
250: 제어부
260: 전류 출력부
270: 전극부
280: 연결부
29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95: 카메라부
298: 통신부
300: 디스플레이부

Claims (43)

  1.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및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막대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 형태의 일단이 상기 스트레칭부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막대 본체와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막대 본체를 회전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회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피부를 감싸는 대칭형 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대칭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상기 피부를 감싸는 분할형 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양 단부들은 일정한 곡률에 의해 형성된 곡면이 연장되어 양 끝단들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이고, 상기 양 단부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부가 분할되어 복수개의 분할 단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부들 사이의 거리가 수축 및 신장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측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곡면 구조체는,
    탄성 재질, 실리콘 재질, 합성 수지계 재질, 금속 재질 및 생체 적합성 재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 구조체는,
    나사 결합, 삽입 결합, 원터치 결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합 방식에 의해 상기 지지부와 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1. 삭제
  12. 피부에 접하여 상기 피부를 신장시키는 스트레칭부;
    사용자의 손잡이로 기능하는 하우징; 및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스트레칭부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극부;
    상기 전극부에 상기 전류를 제공하는 전류 출력부;
    상기 전극부와 상기 전류 출력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전류 출력부의 전류 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막대 형태를 포함하며, 상기 막대 형태의 일단이 상기 스트레칭부와 결합하는 막대 본체; 및
    일단이 상기 막대 본체와 힌지 구조로 결합되어 상기 힌지 구조를 기준으로 상기 막대 본체를 회전시키고, 타단이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회전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칭부는,
    상기 피부와 접촉하여 상기 피부를 스트레칭시키는 곡면 구조체; 및
    일단이 상기 곡면 구조체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미용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막대 본체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1 중공홀;
    폭 방향으로 일측이 중공되어 상기 연결부가 관통할 수 있는 제1 관통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막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는 돌출 구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중앙 부분이 중공된 제2 중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5. 삭제
  2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스트레칭부를 구성하는 대칭형 곡면체 또는 분할형 곡면체의 일측 단부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대칭형 곡면체 또는 상기 분할형 곡면체의 타측 단부에도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전극 부재들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7.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류 출력부는,
    고주파 전류, 미세 전류 및 이온 전류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28. 삭제
  29.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류 출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전류를 전달하는 제1 연결체; 및
    상기 제1 연결체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전류를 상기 전극부로 전달하는 제2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0.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체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에 의해 상기 전류 출력부와 연결된 제1 연결선;
    상기 제1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전류를 상기 제2 연결체로 전달하기 위한 암수 단자 구조를 갖는 제1 연결 단자; 및
    상기 제1 연결 단자를 고정시키는 단자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연결 단자는 상기 단자 지지체의 홈을 따라 상하 왕복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선은,
    상기 스트레칭부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스트레칭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2. 삭제
  33. 청구항 29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체는,
    전선 또는 도전 패턴에 의해 상기 전극부와 연결된 제2 연결선; 및
    상기 제2 연결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연결체와 결합하여 상기 전류를 상기 제2 연결선으로 전달하기 위한 암수 단자 구조를 갖는 제2 연결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4. 청구항 33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선 또는 상기 제2 연결 단자는 상기 스트레칭부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5. 삭제
  3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동작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 장치.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KR1020170089921A 2016-10-08 2017-07-14 미용장치 KR10204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9327 WO2018066814A1 (ko) 2016-10-08 2017-08-25 미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30339 2016-10-08
KR1020160130339 2016-10-08
KR1020170052000 2017-04-23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ko) 2016-10-08 2017-04-23 미용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8633A Division KR102091360B1 (ko) 2019-11-01 2019-11-01 미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55A KR20180039555A (ko) 2018-04-18
KR102045119B1 true KR102045119B1 (ko) 2019-11-14

Family

ID=6208268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ko) 2016-10-08 2017-04-23 미용장치
KR1020170089921A KR102045119B1 (ko) 2016-10-08 2017-07-14 미용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000A KR20180039550A (ko) 2016-10-08 2017-04-23 미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8003955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B2 (ja) * 1993-06-11 2001-01-1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帰反射性シート
JP2013094176A (ja) * 2011-10-28 2013-05-20 Rise:Kk 低周波刺激美容ローラ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U (ja) * 2006-04-25 2006-07-27 株式会社マーナ 美容マッサージ器
KR101147811B1 (ko) 2010-01-13 2012-05-18 (주)드림시스 피부미용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93B2 (ja) * 1993-06-11 2001-01-1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再帰反射性シート
JP2013094176A (ja) * 2011-10-28 2013-05-20 Rise:Kk 低周波刺激美容ロー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9555A (ko) 2018-04-18
KR20180039550A (ko) 2018-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93401B2 (en) Wearable transdermal neurostimulator having cantilevered attachment
JP5057068B2 (ja) 電気触覚ディスプレイ
KR102091360B1 (ko) 미용장치
Kajimoto et al. Forehead electro-tactile display for vision substitution
KR101713579B1 (ko) 피부의 리프팅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US8244362B2 (en) Vision regeneration assisting apparatus
US20210162212A1 (en) Fingertip mounted microcurrent device for skin
KR20180097355A (ko)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KR20150129971A (ko)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WO2023082972A1 (zh) 一种基于柔性电极探针的视觉增强方法、装置及系统
KR102045119B1 (ko) 미용장치
US20070185573A1 (en) Load modulation communication circuit and visual restoration aid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11717658B2 (en) Skin care device
KR101962031B1 (ko) 다기능 페이스 미용기기
KR20160147391A (ko) 미용 및 전신안마 기능을 갖는 휴대용 미세전류 저주파 자극기
WO2018066814A1 (ko) 미용장치
KR20190071199A (ko) 마그네틱 파동과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미용기기
CN202033539U (zh) 一种提高学习与记忆能力的智力开发眼镜
KR20190062643A (ko) 안경타입 피부미용 장치
KR20210036430A (ko) 얼굴미용 어플리케이터, 전원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얼굴미용장치
CN105251118A (zh) 美容仪器及具有其的美容系统
CN109999336B (zh) 一种适用于半脸面瘫患者的辅助眨眼装置
JP2019058699A (ja) 美容システム
US20230035679A1 (en) Hair care appliance
JP2006068404A (ja) 人工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