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7355A -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7355A
KR20180097355A KR1020170024239A KR20170024239A KR20180097355A KR 20180097355 A KR20180097355 A KR 20180097355A KR 1020170024239 A KR1020170024239 A KR 1020170024239A KR 20170024239 A KR20170024239 A KR 20170024239A KR 20180097355 A KR20180097355 A KR 2018009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user terminal
unit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4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준
전승규
김혜정
노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주식회사 아띠베뷰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주식회사 아띠베뷰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to KR1020170024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7355A/ko
Publication of KR2018009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3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2044/007Devices for determining the condition of hair or skin or for selecting the appropriate cosmetic or hair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Dermat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 가능하고, 모공, 주름 및 피부톤별로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피부상태에 대한 코멘트를 통하여 쉽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손쉽게 파악 및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온 진동 발생부와,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기 이전과, 이후에 피부 상태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피부 이미지를 전달 받아,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수치화한 피부 데이터와 피부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석된 피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통합 관리 서버는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수치화한 피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Skin care device and, skin diagnosis and care system f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조직은 최 외곽 층인 표피층으로부터, 진피층, 피하조직으로 이루어지고, 표피와 진피층에는 체내에서 생성된 이물질이 배출되는 모낭 공을 포함하는 피지 선과 땀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피부조직은 신진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끊임없이 이물질을 생성, 배출하게 되므로 이를 적절하게 제거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피부 관리를 진행하여야 건강한 피부를 유지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에 기인한 피부 트러블의 발생이 일반적이고, 여기에 더하여 각 개인별 유전적 특징이 피부 트러블에 기인한다는 사실도 과학적인 근거로서 입증되고 있다. 유전자 정보의 다양하고 심층적인 분석을 토대로 하여 특정 유전적 형질-유전자 정보가 인간의 피부 노화 내지는 피부 트러블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은 이미 입증되고 있다.
더 나아가, 환경 오염 및 이에 따른 알러지 발생, 스트레스 등이 피부 트러블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지고 있다. 즉, 산업의 발달은 인간에게 편리함과 생활수준의 향상을 가져다주었지만, 글로벌 시대의 치열한 경쟁에서 오는 인간의 스트레스,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등으로 인해 점점 많은 문제들이 새롭게 부각되고 새로운 질병들이 생겨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쉽게 적절한 피부 관리를 실행할 수 없고, 환경 오염과 각종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으며, 호르몬 분비의 불균형에 의한 자율신경의 이상, 영양섭취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기미, 검버섯, 주름, 노화, 피부의 건성 화 또는 지성 화 등과 같은 다양한 피부질환에 시달리고 있다.
따라서 이를 위해서 체질이나 피부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세면 법이나 피부 관리법 등이 제안되어 있으며, 근자에는, 피부에 유용한 성분을 함유하는 각종 미용 물(액상 및 점액질)을 피부에 도포하여 피부의 건강을 증진시키거나, 피부에 각종 자극을 인가하여 피부의 혈행을 촉진하고 모공을 확장시켜 노폐물의 분비를 촉진하도록 된 각종 피부 마사지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피부 마사지기들은 피부 타입에 맞추어 피부 관리를 해주는 것이 아니라, 단지 사용자 개인이 임의적으로 판단한 피부 특성에 따라 사용하는 것으로 피부 상태에 따라 피부 관리를 원하는 개인의 니즈(needs)를 충분히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한편, 인간의 피부 타입은, 피지의 분비량에 따라 건성, 중성 및 지성피부로 나뉘며, 이외에도 복합성, 민감성 피부 등이 있다. 이러한 피부 타입을 알아내는 방법으로서, 세안 후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약 15∼20분 정도 기다렸다가 전체적으로 얼굴이 당기는 느낌이 들면 건성, 피지가 나타나 번들거리기 시작하면 지성, 얼굴이 당기는 감이 없고 별다른 점을 발견 못하면 중성 피부로 나누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피부타입 분류는 자신의 느낌이나 추측에 의한 분류이기 때문에 비과학적이고 합리적이지 않고, 정확한 자신의 피부 관리 정보로써 활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온 진동 발생부를 통해 갈바닉의 이온과, 미세진동을 이용하여 피부 속 노폐물의 제거가 용이하고, 피부에 필요한 유용성분의 흡수를 도울 수 있으며, 이온 진동 발생부와 함께 LED 램프부를 통해 피부 상태별로 추가 케어가 가능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 가능하고, 모공, 주름 및 피부 톤별로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피부상태에 대한 코멘트를 통하여 쉽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손쉽게 파악 및 확인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분석을 일회성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기별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분석 조회가 가능하므로 피부상태의 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가 피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피부 개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온 진동 발생부와,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기 이전과, 이후에 피부 상태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피부 이미지를 전달 받아, 상기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수치화한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석된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수치화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 한 후, 촬영하는 피부 위치가 이마, 눈가, 볼, 턱 및 코 중에서 어느 위치인지 선택하고, 관리 전후를 선택 한 후 피부 상태를 촬영한 상기 피부 이미지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수치화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상기 피부 위치와, 상기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추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피부 위치와 상기 관리 전후를 선택한 후, 일정 주기에 대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피부 데이터들인 피부 분석 결과를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상기 추출 제공부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피부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수치화한 데이터와 그래프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피부 이미지가, 상기 피부 관리 장치로 피부 관리를 받기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일 경우에는,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피부 이미지가 상기 피부 관리 장치로 피부 관리를 받은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일 경우에는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와, 피부 관리를 받기 이전에 대한 피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부 관리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피부 체커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 관리 장치에서 분리된 상기 피부 체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부분에 장착되어, 피부 상태를 촬영할 때 상기 카메라 렌즈와 피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온 진동 발생부와,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기 이전과, 이후에 피부 상태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촬영한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피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위치와,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추출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의 피부에 관리를 위해 이온, 미세진동 및 LED를 제공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확인할 수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헤드부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이온과 미세 진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이온 진동 발생부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의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 전면 방향으로 레드, 블루 또는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와 상기 LED 램프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는 상기 제어 버튼부의 조작에 이해서 음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안티에이징 모드로 동작하거나, 양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클렌징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와, 상기 LED 램프부가 동작되고 있는 구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탈착이 가능한 피부체커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지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 패널은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가 구동될 때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지 패널과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 사이에 상기 사용자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미세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유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이온 진동 발생부를 통해 갈바닉의 이온과, 미세진동을 이용하여 피부 속 노폐물의 제거가 용이하고, 피부에 필요한 유용성분의 흡수를 도울 수 있으며, 이온 진동 발생부와 함께 LED 램프부를 통해 피부 상태별로 추가 케어가 가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 가능하고, 모공, 주름 및 피부톤별로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피부상태에 대한 코멘트를 통하여 쉽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손쉽게 파악 및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은 피부 분석을 일회성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기별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분석 조회가 가능하므로 피부상태의 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가 피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피부 개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서, 피부 관리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6은 피부 관리 장치에서 분리된 피부 체커에 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피부 진단 및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하부(beneath)", "아래(below)", "낮은(lower)", "상부(above)", "위(upper)"와 같은 공간에 관련된 용어가 도면에 도시된 한 요소 또는 특징과 다른 요소 또는 특징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이용된다. 이러한 공간에 관련된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공정 상태 또는 사용 상태에 따라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면의 요소 또는 특징이 뒤집어지면, "하부" 또는 "아래"로 설명된 요소는 "상부" 또는 "위에"로 된다. 따라서 "아래"는 "상부" 또는 "아래"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는 임의의 적절한 하드웨어, 펌웨어(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및 하드웨어의 적절한 조합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통합 관리 서버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은 하나의 집적회로 칩 상에, 또는 별개의 집적회로 칩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 상에 구현 될 수 있고,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인쇄 회로 기판, 또는 클라이언트, 서버와 동일한 서브스트레이트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의 다양한 구성 요소는,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 또는 쓰레드(thread)일 수 있고, 이는 이하에서 언급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고 다른 구성 요소들과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예를 들어, 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표준 메모리 디바이스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메모리에 저장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은 또한 예를 들어, CD-ROM,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당업자는 다양한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상호간 결합되거나, 하나의 컴퓨팅 장치로 통합되거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기능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벗어나지 않고,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들에 분산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100)은 미세진동, 이온 및 LED를 통해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장치(110), 피부 관리 전후로 피부 상태를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120) 및,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촬영된 피부 상태 데이터를 취합 및 관리하고,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요청하는 피부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130)을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합 관리 서버(130)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또한 피부 관리 장치(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피부 체커(116)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사용 여부에 따라 연계하여 피부 상태를 촬영 및 확인 할 수 있다.
상기 통신망은 이동 통신망일 수 있으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상기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이동 통신망은 예컨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LTE망, 4G망, 5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 망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망은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합 관리 서버(130) 사이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내지 4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서, 피부 관리 장치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관리 장치(110)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 LED 램프부(112), 제어 버튼부(113), 표시부(114), 접지 패널(115), 피부 체커(116), 손잡이(117) 및 충전단자(11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버튼부(113)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제어 버튼부(113a)와, LED 램프부(112)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2제어 버튼부(113b)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부(114)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1표시부(114a)와 LED 램프부(112)의 구동 상태를 나타내는 제2표시부(114b)를 포함한다.
또한 피부 관리 장치(110)는 추가적으로 클렌징 기능을 할 때 이온 진동 발생부(110)에 솜(119a)을 장착하기 위한 고정틀(1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틀(119)에 의해서, 대략 평면 형상인 솜(119)이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외면을 감싸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틀(119)은 이온 진동 발생부(111)를 감싸며,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관리 장치(110)는 크게, 사용자의 피부에 관리를 위해 이온, 미세진동 및 LED를 제공하는 헤드부(110a)와 상기 헤드부(110a)의 구동을 제어 및 확인하기 위한 본체부(110b)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10a)는 상기 본체부(110b)의 상단에 구비된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 LED 램프부(112) 및 피부 체커(116)는 헤드부(110a)에 구비되고, 제어 버튼부(113), 표시부(114), 접지 패널(115), 손잡이(117) 및 충전단자(118)는 본체부(110b)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부(110a)는 헤드부(110a)에 구비된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LED 램프부(112)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본체부(110b)의 전면 방향으로 일정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체커(116)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LED 램프부(112)가 구비된 헤드부(110a)의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체커(116)는 피부 관리 장치(110)에서 탈착이 가능하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헤드부(110a)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서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서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안티에이징 모드와, 양이온을 발생시키는 클렌징 모드로 조작될 수 있으며, 안티에이징 모드와 클렌징 모드 모두에서 미세 진동도 함께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서, 안티에이징 모드와 클렌징 모드 모두에서 미세 진동량을 조절(피부 타입별로 조절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서, 민감성 피부 안티에이징 모드(저진동,음이온), 일반 피부 안티에이징 모드(고진동,음이온), 민감성 피부 클렌징 모드(저진동,양이온), 일반 피부 클렌징 모드(고진동,양이온)로 순차적으로 각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러질 때 마다 민감성 피부 안티에이징 모드(저진동,음이온), 일반 피부 안티에이징 모드(고진동,음이온), 민감성 피부 클렌징 모드(저진동,양이온) 및 일반 피부 클렌징 모드(고진동,양이온)로 순차적으로 4개의 구동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제어 버튼부(113a)를 조작하여,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표시부(114a)에는 4개의 표시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4개의 표시등은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4개의 구동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각각 표시하며, 상기 제1표시부(114a)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가 4개의 모드 중 어느 모드로 구동되고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구동을 안티에이징 모드와, 클렌징 모드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 안티에이징 모드일 경우,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가 음극이 되어 미세전류 및 미세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안티에이징 모드의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음이온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에 도포된 크림을 이온화 시켜 피부 진피층까지 흡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안티에이징 모드에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사용자 피부에 도포된 크림과 접촉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안티에이징 모드일 경우 10분 동작 후, 부저음을 통해 동작이 완료됨을 알린 후 종료 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전류란 1 내지 1000㎂인 전류로, 갈바닉 이온을 일으켜, 시간이 변화해도 전류의 방향과 크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미세진동이란 초당 200 내지 300번으로 일정하게 진동함을 의미한다.
또한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제1제어 버튼부(113a)의 조작에 의해 클렌징 모드일 경우, 양극이 되어 미세전류 및 미세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렌징 모드의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양이온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피부 또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에 장착된 솜(119a)에 도포된 클렌징 제품을 이온화 시켜 피부 깊숙한 노폐물까지 제거할 수 있다. 즉, 클렌징 모드에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사용자 피부 또는 솜(110a)에 도포된 클렌징 제품과 접촉된 상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111)는 클렌징 모드일 경우 2분 동작 후, 부저음을 통해 동작이 완료됨을 알린 후 종료 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부(112)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외주연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헤드부(110a)에 다수가 구비될 수 있다. 즉, 헤드부(110a)는 전면 중심에 이온 진동 발생부(111)가 구비되고, 그 외측으로 다수의 LED 램프가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 LED 램프부(1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LED 램프부(112)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의 돌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부(112)는 제2제어 버튼부(113b)의 조작에 의해서, 레드 모드, 블루 모드, 옐로우 모드 또는 오토 모드로 각각 레드, 블루 또는 옐로우 빛을 발산하거나 오프될 수 있다. 여기서 오토 모드는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빛을 순차적으로 조사하는 모드이다.
상기 LED 램프부(112)는 제2제어 버튼부(113b)의 조작에 의해서, 레드 모드, 블루 모드, 옐로우 모드 및 오토 모드로 순차적으로 각각 동작할 수 있다. 즉, LED 램프부(112)는 제2제어 버튼부(113b)가 사용자에 의해서 눌러질 때 마다, 레드 모드, 블루 모드, 옐로우 모드 및 오토 모드로 4개의 구동 모드가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2제어 버튼부(113b)를 조작하여, LED 램프부(112)의 구동 모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부(114b)에는 4개의 표시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4개의 표시등은 LED 램프부(112)의 4개의 구동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각각 표시하며, 제2표시부(114b)는 LED 램프부(112)가 4개의 구동 모드 중 어느 모드로 구동되고 있는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LED 램프부(112)는 레드 모드일 경우, 630nm 파장대의 레드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피부 진피층까지 침투해 진피 층 내에 있는 효소를 활성화하여 미토콘드리아의 대사와 콜라겐 생성 및 엘라스틴 생성을 도와주고 세포의 전반적인 대사 활동이 활발하여 세포의 재생과 재활하도록 하여, 주름개선 및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112)가 블루 모드일 경우, 430nm파장대의 블루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피부 소독 및 살균작용의 효과에 바탕을 두어 여드름 예방 목적에 사용되고 모낭충, 미세세균 억제 및 살균, 탈모, 미백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LED 램프부(112)가 옐로우 모드일 경우, 500nm파장대의 옐로우 빛을 발산하여 사용자의 피부가 맑고 투명한 피부를 만들어주고 미백효과가 있으며 주름감소, 주근깨, 잡티, 리프팅 기능과 피부탄력 및 광택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LED 램프부(112)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동시에 동작도 가능하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동되거나 오토 모드에 의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LED 램프부(112)는 10분 동안 빛을 조사한 후, 부저음을 통해 동작이 완료됨을 알린 후 종료될 수 있다. 여기서 LED 램프부(112)가 오토 모드일 경우,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빌을 각각 순차적으로 3분 20초씩 조사한 후, 부저음을 통해 동작이 완료됨을 알린 후 종료 될 수 있다.
상기 접지 패널(115)는 본체부(110b)의 양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손잡이(117)부분을 따라 끝단까지 연장되도록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지 패널(115)은 도전성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온 진동 발생부(111)를 사용할 경우 손(피부)이 접촉되어야 한다. 상기 접지 패널(115)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사용자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미세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유도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체커(116)는 헤드부(110a)에서,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LED 램프부(112)가 구비된 전면의 반대면인 후면의 장착부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피부 체커(116)는 사용을 위해서 상기 헤드부(110a)로부터 분리되어 사용자 단말기(120)에 장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체커(116)는 렌즈 접촉부(116a), 피부 접촉부(116b), 탄성 절곡부(116c) 및 고정부(116d)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 접촉부(116a)와 피부 접촉부(116b)는 피부 체커(116)의 일단에 구비되고, 고정부(116d)는 피부 체커(116)의 타단에 구비되며, 탄성 절곡부(116c)는 렌즈 접촉부(116a)와 고정부(116d)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체커(116)는 사용자 단말기(120)의 카메라(121) 렌즈가 구비된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피부 체커(116)의 구성을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렌즈 접촉부(116a)는 대략 도넛 형상으로 카메라(121) 렌즈가 노출된 사용자 단말기(120)의 후면에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렌즈 접촉부(116a)의 대략 중심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카메라(121)의 렌즈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접촉부(116b)는 렌즈 접촉부(116a)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피부 접촉부(116b)는 렌즈 접촉부(116a)로 부터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렌즈 접촉부(116a)와 같이 도넛 형상으로 대략 중심부에 개방된 부분을 갖는다. 이때 피부 접촉부(116b)의 개방된 원형상이 렌즈 접촉부(116a)의 개방된 원형상보다 더 클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장착된 피부 체커(116)의 피부 접촉부(116b)에 사용자의 피부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카메라(121)를 통해 피부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절곡부(116c)는 렌즈 접촉부(116a)와 고정부(116d) 사이를 연결하며, 대략 180도 절곡될 수 있다. 즉, 렌즈 접촉부(116a)와 고정부(116d)는 서로 이격되며 대향할 수 있다. 즉, 피부 체커(116)는 탄성 절곡부(116c)의 탄성에 의해서, 고정부(116d)와 렌즈 접촉부(116a)가 사용자 단말기(12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관리 장치(110)의 피부 체커(116)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피부 상태 촬영 시 피부와 카메라(121) 렌즈 사이가 항상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피부 체커(116)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조건에 동일성을 부여하여, 통합 관리 서버(130)에 저장되는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충전단자(118)는 본체부(110b)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에 접속된 충전 케이블과 결합되어 피부 관리 장치(110)를 충전시킬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피부 관리 장치(110)의 본체부(110b) 내부에는 충전단자(118)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배터리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충전단자(118)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으며, 피부 관리 장치(110)를 구동시키는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피부 관리 장치(110)는 헤드부(110a)에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으며, 초음파 발생부에서 제공되는 초음파를 피부에 제공하여 피부의 처짐 및 재생이 보다 용이하도록 할 수 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피부 관리 장치(110)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움직임이나 피부 관리 장치(110)가 피부에 접촉했는지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기울기, 경사, 가속도, 피부 접촉 여부 등을 체크하기 위한 3축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또는 정전용량식 접촉 센서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20) 및 통합 관리 서버(130)는 센서부를 통해 획득된 정보로부터 사용자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110)의 사용 주기 및 사용 습관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는 통합 관리 서버(130)에서 제공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하"전용 프로그램")을 설치 및 실행 하고,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카메라(121)를 통해 촬영한 후 상기 통합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통합 관리 서버(130)에 저장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해 데이터를, 설정한 일정 기간 동안 피부 상태 변화 데이터로 제공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20)는 다양한 개방형 운영체계를 탑재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개방형 운영체계로는 예컨대, 노키아(NOKIA)사의 심비안, 림스(RIMS)사의 블랙베리, 애플(Apple)사의 아이오에스, 마이크로소프트사(MS)의 윈도즈모바일, 구글(Google)사의 안드로이드, 삼성전자의 바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개방형 운영체계를 사용하므로 폐쇄적인 운영체계를 가진 휴대폰(일명 "피처폰(feature phone)")과 달리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관리할 수 있다.
도 2내지 도6에 도시된 피부 관리 장치(110) 및 피부 체커(116)의 형상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한 피부 상태 진단 및 확인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피부 진단 및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통합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피부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하 "피부 이미지")를 전달 받아 분석하는 분석부(131)와, 상기 분석부(131)에서 분석된 피부 상태에 대한 데이터(이하 "피부 데이터")와 피부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32) 및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피부 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추출 제공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20)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피부 체커(116)를 장착한 후, 사용자 단말기(120)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촬영(S1)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상태를 촬영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20)는 전용 프로그램 내에서 촬영 위치와,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인지 이후(이하 "관리 전후")인지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20)는 관리전후를 선택할 때,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으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촬영 위치는 이마, 눈가, 볼, 턱, 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동일한 외부 환경 조건하에서 피부 상태를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외부 환경 조건은 온도, 조명 및 습도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외부 환경 조건을 동일하게 유지할 경우, 통합 관리 서버(130)에 저장되는 피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피부 체커(116)의 피부 접촉부(116b)에 피부가 접촉된 상태로, 사용자 단말기(120)의 카메라(121)를 통해 피부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촬영된 피부 이미지는 통합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30)의 분석부(131)는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해주는 데에 가장 적합한 세 가지 요소인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한, 피부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촬영된 피부 이미지에 대한 분석 데이터인 피부 데이터를, 촬영 위치와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피부 이미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30)는 분석부(131)에서 분석된 피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S2)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에 피부 상태를 촬영(S1)하고, 통합 관리 서버(130)에서 피부 상태에 대한 피부 데이터를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S2) 받을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대한 피부 데이터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피부 데이터는 수치 또는 막대그래프 형태로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대한 피부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도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피부 데이터에 대한 코멘트는 사용자의 피부 데이터와 기준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데이터에서 모공이 기준 데이터 대비 더 작은 것으로 나왔을 경우, 모공 관리가 잘되고 있음을 코멘트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에 피부 상태를 촬영 및 확인 한 후, 사용자는 피부 관리 장치(110)를 이용하여 피부를 관리(S3)할 수 있다. 여기서 피부 관리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이온 진동 발생부(111)를 이용하거나, LED 램프부(112)를 이용한 피부 관리 중 어느 하나, 또는 이온 진동 발생부(111)와 LED 램프부(112)를 모두 이용한 피부 관리일 수 있다.
그리고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한 후에 사용자 단말기(120)는 피부 관리 장치(110)의 피부 체커(116)를 장착한 후, 사용자 단말기(120)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촬영(S4)할 수 있다. 그리고 피부 상태를 촬영하기 이전에 사용자 단말기(120)는 전용 프로그램 내에서 촬영 위치와, 피부 관리 장치(110)로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한 이후임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관리전후를 선택할 때,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한 후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촬영된 피부 이미지는 통합 관리 서버(13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통합 관리 서버(130)의 분석부(131)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촬영된 피부 이미지를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피부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30)는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전용 프로그램이 실행된 후 촬영된 피부 이미지에 대해 분석한 피부 데이터를, 촬영 위치와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촬영 이미지와 함께 데이터베이스(13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130)는 분석부(131)에서 분석된 피부 이미지에 대한 피부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20)로 제공(S5)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120)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한 후에, 피부 상태를 촬영(S4)하고, 통합 관리 서버(130)에서 피부 데이터를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S5) 받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피부 관리를 하기 이전과, 피부 관리를 한 이후에 피부 데이터와, 피부 이미지를 비교하여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통합 관리 서버(130)에 요청(S6)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20)에서는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원하는 위치와, 분석을 원하는 항목, 분석을 원하는 피부 상태 및 분석 주기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분석을 원하는 위치는 이마, 눈가, 볼, 턱, 코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분석을 원하는 항목은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으며, 중복 선택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분석을 원하는 피부 상태가 피부 관리 장치(110)를 사용하기 이전 또는 이후인지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주기는 사용자가 원하는 일정 주기(하루, 일주일, 이주일, 한달 등)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별도의 설정이 없을 경우 일주일 단위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합 관리 서버(130)의 추출 제공부(133)는 사용자 단말기(120)를 통해 요청된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데이터베이스(132)에서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S7)할 수 있다. 이때 피부 분석 결과는 수치 및 그래프등과 같이 사용자가 한눈에 확인 가능한 데이터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100)은 별도의 피부 진단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120)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편리하게 측정 가능하고, 모공, 주름 및 피부톤별로 분석하여 피부 상태를 수치화하여 제공하고, 피부상태에 대한 코멘트를 통하여 쉽게 자신의 피부 상태를 손쉽게 파악 및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100)은 피부 분석을 일회성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주기별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분석 조회가 가능하므로 피부상태의 추이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가 피부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피부 개선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200)은 미세진동, 이온 및 LED를 통해 피부 관리를 할 수 있는 피부 관리 장치(110)와 피부 관리 전후로 피부 상태를 촬영 및 확인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피부 관리 장치(11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피부 관리 장치(110)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20)는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합 관리 서버(130)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200)은 별도의 통합 관리 서버(130)를 구비하지 않고, 사용자 단말기(220)에 분석부(122), 데이터베이스(123) 및 추출 제공부(124)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직접 피부 이미지를 분석한 후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피부 분석 데이터도 사용자 단말기(220)에서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200)의 사용자 단말기(220)는 도 1에 도시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100)에서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합 관리 서버(130)를 통합한 수단으로, 사용자 단말기(120)와 통합 관리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기(220)의 분석부(222)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서버(130)의 분석부(131)와 동일하게 피부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20)의 데이터베이스(223)은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132)와 같이 피부 분석 데이터와 피부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20)의 추출 제공부(224)는 도 1에 도시된 통합 관리 서버(130)의 추출 제공부(133)와 같이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가 요청한 일정 기간에 대한 분석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200)의 사용자 단말기(220)의 각 구성별 동작은 도 1 내자 도 4에서 설명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100)의 사용자 단말기(120) 및 통합 관리 서버(130)의 각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 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200;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110; 피부 관리 장치 120, 220; 사용자 단말기
130; 통합 관리 서버

Claims (10)

  1.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온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 전 후에 피부 상태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는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촬영된 피부 이미지를 전달 받아, 상기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수치화한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저장하고, 분석된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피부 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수치화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 한 후, 촬영하는 피부 위치가 이마, 눈가, 볼, 턱 및 코 중에서 어느 위치인지 선택하고, 관리 전후를 선택 한 후 피부 상태를 촬영한 상기 피부 이미지를 상기 통합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여 수치화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상기 피부 위치와, 상기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제공하는 추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피부 위치와 상기 관리 전후를 선택한 후, 일정 주기에 대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피부 데이터들인 피부 분석 결과를 요청하고,
    상기 통합 관리 서버의 상기 추출 제공부에서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요청한 피부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수치화한 데이터와 그래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피부 이미지가, 상기 피부 관리 장치로 피부 관리를 받기 이전에 촬영된 이미지일 경우에는,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된 피부 이미지가 상기 피부 관리 장치로 피부 관리를 받은 이후에 촬영된 이미지일 경우에는 분석된 상기 피부 데이터와, 피부 관리를 받기 이전에 대한 피부 데이터와 비교하여 함께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관리 장치는 탈착이 가능한 피부 체커를 포함하며,
    상기 피부 관리 장치에서 분리된 상기 피부 체커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 부분에 장착되어, 피부 상태를 촬영할 때 상기 카메라 렌즈와 피부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7. 미세전류에 의한 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이온 진동 발생부와, 레드, 블루 및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피부 관리를 하기 이전과, 이후에 피부 상태를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한 후 촬영한 피부 이미지를 분석하여 수치화하여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피부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상태를 표현하기 위한 모공, 피부톤 및 주름상태에 따라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피부 데이터와, 상기 피부 이미지를 피부 위치와, 관리 전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서, 일정 주기에 대한 피부 분석 결과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추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8. 사용자의 피부에 관리를 위해 이온, 미세진동 및 LED를 제공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와 상단이 연결되고 상기 헤드부의 구동을 제어하고 확인할 수 있는 본체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전면의 중심으로부터 돌출되며 이온과 미세 진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이온 진동 발생부;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의 외주연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 전면 방향으로 레드, 블루 또는 옐로우 빛을 조사하는 LED 램프부; 및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와 상기 LED 램프부의 구동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버튼부를 포함하는 피부 관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는 상기 제어 버튼부의 조작에 이해서 음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안티에이징 모드로 동작하거나, 양이온과 미세진동을 발생시키는 클렌징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와, 상기 LED 램프부가 동작되고 있는 구동 모드를 표시해 주는 표시부;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 내에 삽입되어 장착되며, 탈착이 가능한 피부체커;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접지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 패널은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가 구동될 때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상기 접지 패널과 상기 이온 진동 발생부 사이에 상기 사용자가 폐회로를 이루도록 하여, 미세전류에 의해 사용자의 피부에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유도되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관리 장치.
KR1020170024239A 2017-02-23 2017-02-23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KR201800973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39A KR20180097355A (ko) 2017-02-23 2017-02-23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4239A KR20180097355A (ko) 2017-02-23 2017-02-23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1124A Division KR102195117B1 (ko) 2020-01-30 2020-01-30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355A true KR20180097355A (ko) 2018-08-31

Family

ID=63407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4239A KR20180097355A (ko) 2017-02-23 2017-02-23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97355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88B1 (ko) * 2019-04-19 2019-07-11 장지영 모션 감지 기능을 구비한 복합형 피부 미용기기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WO2020242274A1 (en) * 2019-05-31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kin-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080069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마스크형 피부 미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965610A4 (en) * 2019-05-09 2023-01-11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TO SHOOTING DEVICE
USD1000624S1 (en) 2019-12-27 2023-10-0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9088B1 (ko) * 2019-04-19 2019-07-11 장지영 모션 감지 기능을 구비한 복합형 피부 미용기기
EP3965610A4 (en) * 2019-05-09 2023-01-11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TO SHOOTING DEVICE
WO2020242274A1 (en) * 2019-05-31 2020-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kin-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1647944B2 (en) 2019-05-31 2023-05-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skin-car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21080069A1 (ko) * 2019-10-25 2021-04-29 주식회사 지티지웰니스 광을 이용한 마스크형 피부 미용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D1000624S1 (en) 2019-12-27 2023-10-03 Thomas Nichols Personal care device with camera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7355A (ko) 피부 관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한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KR102195117B1 (ko) 피부 진단 및 관리 시스템
US103907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fatigued driving
KR101929360B1 (ko) 피부 진단 및 치료를 통합한 피부 미용 장치
US20150100002A1 (en) Skin care device with multiple functions
KR101705067B1 (ko) 피부관리장치
KR20170122226A (ko) 근육 전기 자극 장치
JP2010535595A (ja) 多重モジュール皮膚または身体治療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法
CN108888867B (zh) 美容器
TW201832786A (zh) 行動終端、香氣產生裝置、伺服器、香氣決定方法及程式
US20190231243A1 (en) Brain stimulation system and method to provide a sense of wellbeing
KR101713579B1 (ko) 피부의 리프팅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CN108135498B (zh) 有用信息呈现装置
KR101772689B1 (ko) 열을 이용한 피부 관리기
KR102301187B1 (ko) 피부관리 및 개선 시스템, 그리고 이를 이용한 피부관리 및 개선 방법
JP2002209873A (ja) 磁気共鳴装置を作動させ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204410814U (zh) 一种脑电生物反馈诊断治疗仪及系统
KR102538311B1 (ko) 통합 경두개 직류전류 자극기(tDCS)-근적외선 분광기(fNIRS) 기반 착용 가능 휴대용 뇌기능 활성화 증진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76249A (ko) 복합형 미용 관리장치
CN110382041B (zh) 信息处理装置、电治疗仪、系统以及程序
KR20210059258A (ko) 기능성 피부마사지 장치
KR102425646B1 (ko)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KR102294643B1 (ko) 피부미용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10069495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058362A (ko) 다기능 피부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