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646B1 -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646B1
KR102425646B1 KR1020220000672A KR20220000672A KR102425646B1 KR 102425646 B1 KR102425646 B1 KR 102425646B1 KR 1020220000672 A KR1020220000672 A KR 1020220000672A KR 20220000672 A KR20220000672 A KR 20220000672A KR 102425646 B1 KR102425646 B1 KR 102425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are
skin
care device
hands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한지호
Original Assignee
(주)이지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지템 filed Critical (주)이지템
Priority to KR1020220000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6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properties of tissue, e.g. by electro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12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oporation, e.g.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 A61M2037/0007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having means for enhancing the permeation of substances through the epidermis, e.g. using suction or depression, electric or magnetic fields, sound waves or chemical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통신에 의해 주변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피부미용기기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Cosmetic Absorption Promoting Device of Hands-free Typ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개별 신체부위 또는 신체부위별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동시에 동작이 가능하고 각 신체부위별 출력을 달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표피의 각질층이 피부를 보호하고 있어 손만 사용하여 피부에 도포하였을 시,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피부 깊숙이 침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화장품의 효과를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자적, 기계적 기술을 이용해 각질층을 통과하여 화장품의 유효성분이 피부침투를 할 수 있도록 돕는 화장품 흡수촉진 피부미용기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전기천공법(Electroporation)은 강하고 짧은 전기자극을 세포막에 인가하면, 세포막의 양단간 전위차가 발생하여 작은 구멍(Pore)이 세포막 표면에 생성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약물전달을 위해서 사용되기도 하지만 최근 화장품의 흡수촉진을 위해 활발히 사용되어지는 기술이다. 미세전류자극은 미세전류가 피부 아래의 근수축과 이완을 일으켜 근육에 탄력을 제공하고 이러한 근육의 펌핑동작으로 혈액순환이 자극된다. 이로 인해 대사촉진이 일어나 산소 공급량이 많아져 세포활동이 증가하고 섬유조직의 강화와 탄력성 증가 그리고 주름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대부분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들은 주로 얼굴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사용자에 따라서 얼굴의 특정부위(예: 눈가, 이마, 볼 등)에만 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럴 때에는 해당 부위에만 기기에 접촉해야 하고 정확히 사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거울을 확인하는 등의 부담감이 있다.
또한 최근 얼굴의 스킨 케어를 할 수 있는 화장품 제품 뿐만 아니라 몸매를 가꾸는 데 관심 있는 소비자가 증가하면서, 바디에 바르는 기능성 화장품이 증가하였다. 예를 들어 바디 보습 제품, 슬리밍 크림 등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이러한 피부미용기기들은 손을 기기에 들고 피부에 문지르는 행위를 해야 하므로 손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기기를 사용할 때 동시에 함께 할 수 있는 행동들이 매우 제한적이다. 이로 인해 바쁜 현대생활에서 따로 미용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06318호(2008.02.15)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9360호(2018.12.1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5679호(2020.05.06)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01446호(2021.01.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별 신체부위 또는 신체부위별 조합으로 선택적으로 동시에 동작이 가능하고 각 신체부위별 출력을 달리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주변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의 고주파 전압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위치의 신체 일부에 각각 착용되는 복수개의 피부미용기기가 감지될 때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피부미용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신체의 피부 민감도를 근거로 제1 피부미용기기의 출력과 제2 피부미용기기의 출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하여 복수의 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피부를 자극하며, 상기 복수의 단계에 의한 자극은 신체 부위별로 상이한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은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주변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의 고주파 전압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위치의 신체 일부에 각각 착용되는 복수개의 피부미용기기가 감지될 때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피부미용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각각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신체의 피부 민감도를 근거로 제1 피부미용기기의 출력과 제2 피부미용기기의 출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하여 복수의 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피부를 자극하며, 상기 복수의 단계에 의한 자극은 신체 부위별로 상이한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얼굴과 바디에 부착 혹은 착용하여 화장품의 흡수촉진을 돕는 피부미용기기로 손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용기기를 사용하면서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시간활용의 장점이 있으며, 얼굴뿐만 아니라 목이나 손에도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 다양한 부위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흡수촉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다양한 유형의 피부미용기기 및 이를 통합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피부미용기기의 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구성하는 제어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도 6은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구성하는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7은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흡수촉진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는 다양한 유형의 피부미용기기 및 이를 통합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도식화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은 피부미용기기의 기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흡수촉진 시스템(90)은 피부미용기기(100) 및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를 포함한다.
피부미용기기(100)는 도 1 및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얼굴의 볼, 눈가, 이마에 착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기기를 포함한다. 또 몸이나 목, 손등에 착용하기 위한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부미용기기(100)는 사용자의 볼에 착용되는 제1 피부미용기기(101), 눈가에 착용하는 제2 피부미용기기(102), 이마에 착용하는 제3 피부미용기기(103), 목에 착용하는 제4 피부미용기기(104) 및 손등에 착용하는 제5 피부미용기기(105) 중 적어도 하나의 피부미용기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부미용기기(100)는 주변에 위치하는 핸즈프리 형태의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으며, 제품의 제조 비용 등의 측면을 고려하여 유선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미용기기(100)는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출력을 조절할 수 있다. 피부미용기기(10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에 자극을 제공하는 전극부(300)와, 피부 굴곡에 맞추어 전극부(300)의 전극을 피부에 밀착시켜 피부 골고루 흡수촉진이 작용하도록 하는 특수 실리콘 재질의 포켓(부)(310)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전극부(300)와 포멧(310)은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동작할 수 있으므로, 어디에 구성되어 동작하느냐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극부(300)에는 전극으로 일렉트로포레이션 작용을 위한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는 고주파 생성부와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고주파 생성부나 미세전류 생성부의 경우에도 피부미용기기(100)에 구성되어 동작할 수 있지만,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에 구성되어 동작할 수도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또한, 피부미용기기(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이나 해당 통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CPU 등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미용기기(100)는 장치 ID 등의 식별정보를 기저장할 수 있으며, 기기의 동작시에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로 해당 식별정보를 제공하여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에서 장치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현재 신체의 어느 부위에 피부미용기기(100)를 착용하고 있는지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피부미용기기(100)는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와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는 경우 서로 연결된 채널을 통해 제어신호 즉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각 부위의 피부미용기기(100)의 출력 즉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른 기기의 제어명령을 시리얼(serial)로 수신하여 자신에 해당되는 제어명령을 취득하여 취득한 제어명령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물론, 무선의 경우에도 유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피부미용기기(100)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복수의 피부미용기기(100)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하여 하나의 데이터 패킷 내에 복수의 피부미용기기(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피부미용기기(100)는 자신에 해당하는 제어신호를 취득하여 이를 근거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주변에서 인식되는 적어도 하나의 피부미용기기(100)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각 피부미용기기(100)를 개별적으로 제어하거나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전원이 켜지면 블루투스나 근거리 무선통신에 의해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를 인식하기 위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이의 과정을 통해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어떠한 기기가 사용자의 피부에 착용되어 있는지를 감지 즉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피부미용기기(100)를 자동 인식하여 적용 부위에 따라 기본적인 단계별 세기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피부가 예민한 눈가와 목은 자극을 약하게 하고 손은 조금 더 강력하게 자극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동작은 각 부위의 자극과 관련한 제어 데이터를 기저장한 후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해당 제어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이용할 수 있다. 물론,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와 이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는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에 룩업테이블(LUT)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적용을 위해 고주파 생성부를 제어하여 고주파 전압(예: 고주파 고전압이나 고주파 저전압, 또는 그 조합)이 전극을 통해 피부에 인가되도록 하여 천공을 형성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고주파 전압을 차단하고 미세전류를 제공하기 위한 미세전류 생성부를 동작시켜 미세전류에 의해 피부 흡수촉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어떠한 피부미용기기(100)가 착용되어 사용되고 있는지에 따라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전압의 특성과 미세전류의 특성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특성이란 전압의 세기나 크기, 또 미세전류의 세기나 전류량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 작용과 미세전류의 세기는 각각 3단계로 조절이 가능할 수 있으며, 각 피부 부위는 해당 단계 또는 3단계의 출력양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전극의 모양을 조절하기 위한 특수 실리콘 포켓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피부 굴곡에 맞추어 전극을 밀착시켜 피부 골고루 흡수촉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포켓 내에 에어펌핑을 통해 공기 주입량을 조절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연성을 갖는 포켓을 통해 피부의 굴곡에 맞추도록 하면 충분하므로, 별도의 에어펌핑은 생략될 수 있다.
정리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흡수촉진 시스템(90)은 얼굴의 이마, 볼, 눈가, 목, 손에 부착하기 위한 (신체)부위별 파트(part) 즉 피부미용기기(100)와 각 파트를 개별적 또는 파트별로 조합하여 선택적으로 동시에 동작시키기 위한 본체 즉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로 구성되어 있다. 필요한 부위에 화장품을 도포한 후 각 파트(또는 파트의 피부미용기기)를 부착하고 본체와 연결(예: 유선 또는 무선으로)하여 사용한다. 따로 손을 이용하여 기기를 사용할 필요가 없이 착용한 상태에서 기기를 동작시키면 각 파트에 부착된 전극에서 일렉트로포레이션 작용이 일어나 화장품의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다. 각 파트는 기구물적으로(예: 도 3의 특수 실리콘 포켓 등) 사용자의 얼굴 형태에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는 부위별 파트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이 가능하다. 본체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작용과 미세전류자극을 위한 출력부, 파트별 자극의 세기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 현재 상태를 알리기 위한 표시부, 그리고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바디의 피부표면은 얼굴의 피부와 달리 보다 두껍고 거칠기 때문에 출력 세기를 다르게 한다. 따라서 본체에서 출력은 파트 부위별로 다르다.
다시 말해, 피부(혹은 신체) 부위별로 착용되는 제1 피부미용기기는 제1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으며, 제2 피부미용기기는 제2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와 미세전류를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제어신호와 제2 제어신호는 고주파 전압의 크기 및 미세전류의 세기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는 피부의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것이라 볼 수 있다. 물론 피부의 부위별로 민감도가 다르지만, 사용자별로도 민감도가 다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기기의 동작 이전에 전극 등을 통해 사용자의 각 부위를 민감도, 가령 피부 상태를 측정한 후 이를 근거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생성한 제어신호를 근거로 피부미용기기(100)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의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측 전극에서 전류를 출력하여 일정 간격에 위치하는 타측 전극에서 수용되는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피부의 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옴의 법칙을 통해 계산하거나 기설정된 데이터를 근거로 저항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여 그에 따라 피부미용기기(100)를 동작시키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얼굴과 바디에 피부미용기기(100)를 부착 또는 착용하여 화장품의 흡수촉진을 돕는 피부미용기기(100)로 손을 활용하지 않기 때문에 미용기기를 사용하면서도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어 시간활용의 장점이 있으며, 얼굴뿐만 아니라 목이나 손에도 사용 가능하게 만들어 다양한 부위에 적용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기구적으로 볼 때 전면 케이스(400), 윈도우(401), 버튼부(402, 403, 404), PCB(405), 센서캡(406), 배터리(407), 사이드 데코(408) 및 후면 케이스(409)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사이드 데코(408)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구성되거나, 센서캡(406)과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후면 케이스(409)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면 케이스(400)의 내부에서는 윈도우(401) 및 버튼부(402, 403, 404)가 체결되어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부(402, 403, 404)는 버튼데코(402), 버튼(403) 및 이너 버튼(404)으로 구성된다. 버튼데코(402)는 버튼(403)의 일측 가령 도면에서 볼 때 앞쪽에서 체결될 수 있고, 이너 버튼(404)은 버튼(403)의 뒤쪽에서 체결되어 해당 버튼의 일부가 전면 케이스(4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해당 버튼은 전원버튼, 피부미용기기(100)의 선택 버튼, 즉 파트선택 버튼, 출력조절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윈도우(401)는 LED 윈도우로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동작 상태를 외부에 보여주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LED 발광소자를 통해 광이 출력되는 경우 기기가 작동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전면 케이스(400)와 후면 케이스(409)의 사이에는 대표적으로 PCB(405)의 구동장치 또는 제어장치가 구성된다. PCB(405)상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를 동작시키기 위한 CPU 등이 구성될 수 있으며, 또 주변회로들이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주변회로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동작을 위한 고주파 발생부나 미세전류 생성을 위한 미세전류 생성부가 구성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와 미세전류 생성부에는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PCB(405)와 후면 케이스(409)의 사이에는 배터리(407)가 구성된다. 다시 말해, PCB(405)의 가장자리는 후면 케이스(409)에 체결되어 후면 케이스(409)의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해당 공간에는 배터리(407)가 수납된다. 물론 해당 배터리(407)는 전기적으로 PCB(405)에 연결되어 충전이 이루어진다.
또한, 전면 케이스(400) 및 후면 케이스(409)가 서로 체결된 후의 결합 부위를 따라서는 사이드 데코(408)가 체결될 수 있으며, 일측 가령 전면 케이스(400)와 후면 케이스(409)가 결합된 하부에는 센서캡(406)이 체결되어 해당 센서캡(406)은 PCB(40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캡(406)은 USB와 같은 연결 포트(port)나 피부미용기기(1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로서 동작할 수 있지만, 무선통신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도 5는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구성하는 제어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 더 정확하게는 그 기기의 제어장치(405)는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 고주파 발생부(520), LED 표시부(530), 제어부(540), 파트 인식부(550), 파트 선택부(560), 출력 조절부(570), 전원 제어부(580), 외부 어댑터(585), 전원/레벨 스위치(590) 및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나 고주파 발생부(520) 등이 생략되어 제어장치(405)가 구성되거나 파트 인식부(55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파트 선택부(560)나 출력 조절부(57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전극부(500)는 도 1의 피부미용기기(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미용기기(100)에 도 3에서와 같이 포켓부(310)가 구성되는 경우 해당 부위에 전극부(500)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물론 앞서 언급한 대로 전극부(500) 등은 피부미용기기(100)에 구성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극부(500)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에는 양의 전압이, 또 제2 전극에는 음의 전압이 제공되거나, 제1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여 제2 전극에서 전류를 센싱하도록 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으로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전압이 인가되며, 해당 고주파 전압은 고주파의 펄스 전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천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통해서는 미세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에서 전류를 인가하고 제2 전극이 접지되는 경우 제1 전극의 전류는 제2 전극으로 흘러가는 등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전극부(500)에는 미세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미세전류 생성부(510)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또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전압을 생성하는 고주파 발생부(520)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일렉트로포레이션(EP)이란 세포 내에 대한 유전자 도입법의 하나로서, 세포에 전기장(혹은 고전압)을 가하여 막의 투과성을 증가하고 DNA를 세포 내에 도입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기존 일렉트로포레이션 기기 또는 이온도입기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 건조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흡수 촉진을 위한 주파수를 출력한다. 종래의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은 수백 또는 수킬로 볼트의 높은 전압을 사용하되 짧은 펄스 폭을 가지도록 하여 순간적으로 피부의 세포막 사이에 전기적인 천공을 유도하는 방식이라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얼굴 부위에 적용하기에는 통증을 동반한다. 나아가, 종래의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은 고전압을 피부에 가해야 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할시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이 커져 짧은 시간만 사용해야 하지만, 이러한 사항은 고전압 일렉트로포레이션을 가정용으로 사용할 때 사용자에 의해 잘 지켜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정용에 적합하지 않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피부에 구멍을 생성하기 위한 동작 초기에 일렉트로포레이션 전압은 하나 이상의 피크(peak to peak)를 갖는 복합 중주파수의 전압을 사용할 수 있다. 고주파 발생부(520)는 제어부(540)의 제어하에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은 피부 내에 도입되는 물질이 피부상에 공급된 후, 전압 펄스를 피부에 인가하는 방법으로, 전압 펄스를 인가하는 것은 피부 내에 미시적 구멍을 형성하기 때문에, 공급된 물질은 미시적 구멍을 통해 피부 내에 도입된다. 이로 인해 일렉트로포레이션 방법은 기존의 이온 도입법에 대비하여, 물질의 전기적 중성 분자를 피부 내에 도입하는 능력을 갖는다. 물질은 단지 침투 대신에 피부 내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도입되기 때문에, 이온 도입법과 비교하여 보다 큰 분자 질량을 갖는 분자가 도입될 수 있다.
미세전류 생성부(510)는 크림과 같은 유효성분의 흡수 촉진 동작 이외에 리프팅 동작을 위해 동작할 수 있다. 피부에 미세전류를 인가함으로써 피부의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미세전류 생성부(510)는 양의 직류전압에 의한 전류를 발생하여 전극부(50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로 미세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세전류 생성부(510)는 제어부(540)의 제어하에 제2 전극이 접지된 후 제1 전극으로 전류를 흘려 피부로 전류가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미세전류를 이용하는 방법은 1000㎂ 미만의 전류를 말하고, 인체 내에 40 ~ 60㎂에 해당하는 생체 전류가 생리적인 활동을 위해 상시 흐르고 있다. 외부에서 인체 내로 강제적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신체능력의 회복을 돕는 다양한 치료방법이 개발되어 왔으며, 특히 모발 치료와 관련해서는 50㎂의 전류의 강도를 가지고 두피를 자극하면 모발 손실을 막고 모발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류 생성부(510)는 미세한 전류가 사용자 피부, 더 정확하게는 피부의 민감도가 높은 얼굴의 볼, 눈가, 이마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또 민감도가 다소 낮은 몸의 목, 손등에 전달될 수 있도록 전극에 전류 파형과 출력 세기 등을 제어부(540)의 제어하에 조절하여 출력한다.
LED 표시부(530)는 도 4에서와 같이 LED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전원이 켜지는 경우 이의 상태를 표시해 주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도 5의 미세전류 생성부(510), 고주파 발생부(520), LED 표시부(530), 파트 인식부(550), 파트 선택부(560), 출력 조절부(570), 전원 제어부(580), 외부 어댑터(585), 전원/레벨 스위치(590) 및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담당한다. 여기서, 파트는 신체부위나 해당 신체부위에 착용된 피부미용기기(100)를 의미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제어부(540)는 도 1의 피부미용기기(1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피부미용기기(100)가 사용자의 어느 신체 부위에 착용되어 있는지를 판단한 후에 그에 상응하여 미세전류 생성부(510)와 고주파 발생부(5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피부미용기기(100)를 동작시키고자 할 때 제어신호를 복수의 피부미용기기(100)로 전송하여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40)는 각 파트 즉 피부미용기기(100)별 개별적 사용 및 선택적 조합에 의해 파트별로 동시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체 즉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에서는 각 파트별로 출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각 파트가 부착되는 부위에 따라 피부에 적절한 조절을 할 수 있다. 또한, 각 파트별로 피부에 장착되면 본체에서는 장착된 파트를 자동 인식하여 각 파트에 대한 단계별 출력모드가 상이하게 설정되어 있어 이에 따라 제어한다. 예를 들어, 각 파트별 단계별 출력모드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눈아래 파트와 손목 파트가 동일한 1단계를 선택하더라도 서로 다른 출력모드로 동작시킨다. 이는 피부의 민감도가 다르기 때문에 조절 단위는 1 내지 3단계이지만 각 단계별 출력모드는 상이하여 각 파트가 장착되는 피부에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파트 인식부(550), 파트 선택부(560) 및 출력 조절부(570)는 사용자의 신체부위에 착용된 각 피부미용기기(100)를 인식하고 인식결과에 따라 각 신체부위에서 최적의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동작한다. 파트 인식부(550), 파트 선택부(560) 및 출력 조절부(570)는 이러한 동작에 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트 인식부(550)는 사용자의 피부에 착용된 피부미용기기(100)가 어느 부위에 부착 즉 착용되어 있는 기기인지 확인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기의 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식별정보의 비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파트 선택부(560)는 피부미용기기(100)가 사용자의 어느 부위에 부착된 기기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손등에 부착된 피부미용기기(100)라는 것을 결정하거나, 얼굴에 부착된 피부미용기기(100)라는 것을 결정하여 제어부(540)에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조절부(570)는 1단계에서 3단계에 해당하는 제어신호 즉 기설정된 제어 데이터를 제어부(540)에 출력한다. 가령, 제1 피부미용기기(101)에 해당하는 1단계에서 3단계의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고, 또 제2 피부미용기기(102)에 상응하는 1단계에서 3단계의 제어 데이터를 출력한다. 각각의 제어 데이터는 제1 피부미용기기(101)나 제2 피부미용기기(102)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가령, 도 5에서와 같이, 미세전류 생성부(510)와 고주파 발생부(52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제어부(540)는 해당 제어 데이터를 근거로 미세전류 생성부(510)와 고주파 발생부(520)를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동작 방식과 관련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동작이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피부미용기기(100) 내에 도 5에서와 같은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 및 고주파 발생부(520)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각각의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미용기기(100)가 동작한다고 볼 수 있다. 제어부(54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작용과 미세전류의 세기는 3단계(예: 각 파트는 단계의 출력양이 상이함)로 조절 가능하다. 또한, 본체에 연결되는 부위별 파트의 종류를 자동 인식하여 적용 부위에 따라 기본적인 단계별 세기를 조절(예: 피부가 예민한 눈가나 목은 약하게, 손은 조금 더 강력하게 출력)한다.
도 5에서는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 및 고주파 발생부(520)를 하나로 구성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복수 개를 구성하고 전극부(500)가 신체 부위의 어느 부위에 접촉하고 있는지를 인식하여 미세전류 생성부(510) 및 고주파 발생부(520)의 출력을 제어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이의 경우에는 각 피부미용기기(100)에 전극부(500) 등을 별도로 구성하지 않아도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구성만으로 얼마든지 원하는 피부미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 및 고주파 발생부(520)가 어디에 구성되고 또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는지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전원 제어부(580)는 외부 어댑터(585)를 통해 제공되는 DC 전압을 제공받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또는 내부에서 전원전압(Vcc)으로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통상 CPU 등의 IC칩은 소자 구동을 위한 바이어스 전압을 필요로 하므로, 이러한 바이어스 전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전원은 외부 어댑터를 통해 공급받거나 배터리를 사용한다.
전원/레벨 스위치(590) 및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는 도 4에서와 같이 버튼(403)을 의미할 수 있다. 전원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기기가 동작할 수 있으며, 또한 동작 레벨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레벨은 어느 부위의 피부미용기기(100)를 동작시킬지에 관계될 수 있다. 또한,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는 미세전류 동작을 위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전원/레벨 스위치(590) 및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는 전원 버튼, 파트선택 버튼, 출력 조절 버튼 등이 될 수 있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전극부(500), 미세전류 생성부(510), 고주파 발생부(520), LED 표시부(530), 제어부(540), 파트 인식부(550), 파트 선택부(560), 출력 조절부(570), 전원 제어부(580), 외부 어댑터(585), 전원/레벨 스위치(590) 및 미세전류 동작스위치(595)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6은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를 구성하는 제어장치의 다른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제어장치(405')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출력자동조절부(620) 및 저장부(6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6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제어장치(405')가 구성되거나 출력자동조절부(6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6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600)는 무선의 경우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를 취득하여 제어부(61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출력자동조절부(620) 및 저장부(6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610)는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를 저장부(630)에 임시 저장한 후 불러내어 출력자동조절부(620)를 통해 제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물론 여기서의 제어 데이터는 피부미용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라 볼 수 있으며, 해당 데이터는 피부미용기기(100)는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전압과 미세전류에 관련되는 데이터이다. 제어부(610)는 해당 제어 데이터를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로 전송하거나, 유선의 경우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출력자동조절부(620)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정보 등을 통해 피부미용기기(100)가 착용된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가령 얼굴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매칭되는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어 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한다는 것은 기설정된 제어 데이터들 중에서 얼굴에 관련되는 데이터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기준 데이터를 근거로 새롭게 생성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부관리를 위해 신체부위 중 얼굴과 볼 부위에 피부미용기기(100)를 착용한 경우, 해당 부위에 각각 착용되는 피부미용기기(100)로 제어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원격 제어하여 그에 상응하는 다시 말해 해당 부위의 피부 민감도에 상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통해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각 부위에 적합한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에 의한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의 과정에서, 해당 부위의 피부관리가 종료하고 다시 얼굴의 이마에 목에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는 경우, 출력자동조절부(620)는 해당 부위를 다시 인식하고, 그에 부합하는 제어 데이터를 근거로 피부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되는 피부미용기기(100)를 통해 신체의 어느 부위의 피부 관리 동작을 수행할지를 인식하게 되며 인식 결과를 근거로 그에 부합하는 제어 데이터를 이용하여 피부관리를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형 피부미용기기(100)를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생활이 바쁜 직장인들의 경우 피부 관리를 위한 시간을 많이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장부(630)는 제어부(6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나 정보를 임시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피부미용기기(100)의 종류와 그에 상응하는 제어 데이터를 LUT 형태로 저장한 후 출력자동조절부(620)의 요청에 따라 해당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출력자동조절부(620)에서 신체 부위에 착용된 피부미용기기(100)의 식별 정보를 근거로 신체부위를 인식한 경우 신체부위와 관련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그에 부합하는 제어 데이터를 출력해 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출력자동조절부(620) 및 저장부(6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6의 통신 인터페이스부(600), 제어부(610), 출력자동조절부(620) 및 저장부(6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6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6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의 동작 초기에 출력자동조절부(6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 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7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와 통신한다(S700).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통신에 의해 주변의 피부미용기기(100)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피부미용기기(100)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S710).
예를 들어, 제어신호에 의해 신체의 각 부위에 착용되는 피부미용기기(100)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동작과 미세전류 동작을 각각 수행할 수 있으며, 이때 피부에 자극되는 세기는 서로 다르다. 다시 말해, 제1 피부미용기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동작은 제2 피부미용기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이루어지는 일렉트로포레이션 및 미세전류 동작과 동작 상태가 상이하다.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7의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11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피부미용기기 110: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300: 전극(부) 310: 포켓부
600: 통신 인터페이스부 610: 제어부
620: 출력자동조절부 630: 저장부

Claims (10)

  1.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굴곡에 맞추어 전극부의 전극을 피부에 밀착시켜 흡수촉진이 작용하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포켓부를 갖는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로서,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주변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제1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제2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서 고주파 전압의 크기 및 미세전류의 세기에 차이가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각 부위의 피부 상태를 근거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피부미용기기를 동작시키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위치의 신체 일부에 각각 착용되는 복수개의 피부미용기기가 감지될 때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피부미용기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신체의 피부 민감도를 근거로 제1 피부미용기기의 출력과 제2 피부미용기기의 출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하여 복수의 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피부를 자극하며, 상기 복수의 단계에 의한 자극은 신체 부위별로 상이한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6.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굴곡에 맞추어 전극부의 전극을 피부에 밀착시켜 흡수촉진이 작용하도록 하는 실리콘 재질의 포켓부를 갖는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으로서,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피부 관리를 위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되는 주변의 피부미용기기와 통신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통신에 의해 상기 주변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사용자의 신체 부위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상응하는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제공하여 피부 관리를 위한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가, 제1 제어신호에 의해 제1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고,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제2 피부미용기기의 일렉트로포레이션을 위한 고주파 생성부 및 미세전류를 제공하는 미세전류 생성부의 출력을 각각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서 고주파 전압의 크기 및 미세전류의 세기에 차이가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사용자의 각 부위의 피부 상태를 근거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피부미용기기를 동작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위치의 신체 일부에 각각 착용되는 복수개의 피부미용기기가 감지될 때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복수의 피부미용기기를 동시에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각각의 피부미용기기가 착용되는 신체의 피부 민감도를 근거로 제1 피부미용기기의 출력과 제2 피부미용기기의 출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신체의 각 부위에 대하여 복수의 단계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피부를 자극하며, 상기 복수의 단계에 의한 자극은 신체 부위별로 상이한 자극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의 구동방법.
KR1020220000672A 2022-01-04 2022-01-04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KR1024256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72A KR102425646B1 (ko) 2022-01-04 2022-01-04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672A KR102425646B1 (ko) 2022-01-04 2022-01-04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646B1 true KR102425646B1 (ko) 2022-07-27

Family

ID=82701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672A KR102425646B1 (ko) 2022-01-04 2022-01-04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6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8862A (zh) * 2023-10-13 2023-11-14 深圳市宗匠科技有限公司 美容仪主机、美容仪控制座、美容仪及美容仪控制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318B1 (ko) 2006-09-08 2008-02-27 이항범 비만 및 피부치료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111945A (ko) * 2016-03-30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마사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
KR101929360B1 (ko) 2017-10-13 2018-12-19 진석 피부 진단 및 치료를 통합한 피부 미용 장치
KR20190130892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벡셀 미세전류 기반 초저분자 히알루론산 함유 하이드로겔 패드를 이용한 피부 개선 장치
KR20200045679A (ko) 2018-10-23 2020-05-06 (주)지닉스 노화방지 및 피부상태 측정과 미용케어를 위한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
KR20210001446A (ko) 2019-06-28 2021-01-06 김용덕 핸드용 피부 관리 장치
KR102318662B1 (ko) * 2021-08-12 2021-10-28 (주)이지템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318B1 (ko) 2006-09-08 2008-02-27 이항범 비만 및 피부치료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70111945A (ko) * 2016-03-30 2017-10-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마사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
KR101929360B1 (ko) 2017-10-13 2018-12-19 진석 피부 진단 및 치료를 통합한 피부 미용 장치
KR20190130892A (ko) * 2018-05-15 2019-11-25 주식회사 휴벡셀 미세전류 기반 초저분자 히알루론산 함유 하이드로겔 패드를 이용한 피부 개선 장치
KR20200045679A (ko) 2018-10-23 2020-05-06 (주)지닉스 노화방지 및 피부상태 측정과 미용케어를 위한 통합 플랫폼 관리시스템
KR20210001446A (ko) 2019-06-28 2021-01-06 김용덕 핸드용 피부 관리 장치
KR102318662B1 (ko) * 2021-08-12 2021-10-28 (주)이지템 슬리밍을 위한 일렉트로포레이션 패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58862A (zh) * 2023-10-13 2023-11-14 深圳市宗匠科技有限公司 美容仪主机、美容仪控制座、美容仪及美容仪控制方法
CN117058862B (zh) * 2023-10-13 2023-12-22 深圳市宗匠科技有限公司 美容仪主机、美容仪控制座、美容仪及美容仪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781B1 (ko) 패턴 형상의 전극이 배치된 마스크팩형 피부 미용 기기
US107658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ipheral nerve stimulation to treat tremor with detachable therapy and monitoring units
US9254395B1 (en) Multi-mode microcurrent stimulus system with safety circuitry and related methods
CN105934261B (zh) 用于改变或诱导认知状态的经皮电刺激设备和方法
US11318307B2 (en) Fingertip mounted microcurrent device for skin
CN108525124A (zh) 经颅直流电刺激设备
KR102425646B1 (ko)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US9427561B2 (en) Method for operating in a system for repetitive local puncturing of skin and system
CN110139691A (zh) 电治疗仪、系统和程序
CN110382041B (zh) 信息处理装置、电治疗仪、系统以及程序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059258A (ko) 기능성 피부마사지 장치
KR20140102879A (ko) 전기 침술 시스템
KR20190107816A (ko) 피부관리장치, 피부관리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135944B1 (ko)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KR20190103535A (ko) 분리형 카트리지를 구비한 피부미용 치료기
KR102396354B1 (ko) 다기능 피부마사지기
US20210196947A1 (en) Healthcare device using smart garment
US20210299438A1 (en) Alopecia Repair System
US20210290954A1 (en) Wrinkle Repair System
KR102381461B1 (ko) 기능성 피부미용기기
KR102558995B1 (ko) 미용효과를 향상시킨 마스크팩 장치
CN110090351B (zh) 可穿戴皮肤美容器件和可穿戴眼贴
KR101763927B1 (ko) 열을 이용한 미용기기용 헤드
KR20230088713A (ko) 브러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