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944B1 -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944B1
KR102135944B1 KR1020180137976A KR20180137976A KR102135944B1 KR 102135944 B1 KR102135944 B1 KR 102135944B1 KR 1020180137976 A KR1020180137976 A KR 1020180137976A KR 20180137976 A KR20180137976 A KR 20180137976A KR 102135944 B1 KR102135944 B1 KR 102135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ynamic
mask sheet
current stimulation
maj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556A (ko
Inventor
김시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플즈
Priority to KR1020180137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9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54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마스크 시트에 구현되고 서로 독립적인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피부 상태 결정부 및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상기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를 제공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수행하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미용 물질의 효과적인 피부 침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DYNAMIC IONTOPHORESIS APPARATUS FOR MASK SHEET}
본 발명은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 시트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미용 물질의 효과적인 피부 침투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를 구성하는 피부 상층의 표피는 화장품을 독소로 인지하여 화장품의 흡수를 방해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흡수되는 화장품의 양은 매우 적을 수 있다.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이러한 피부에서의 화장품이나 약물 등의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한 기술로서 피부에 미세한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화장품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도록 하는 방법에 해당할 수 있다. 최근에는 마스크팩 등에 적용되어 미용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49392(2008.07.24)호는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안면에 적용이 가능하고, 피부자극, 화학화상 및 전기화상의 염려가 없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소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USB 전원 또는 건전지를 사용하여 휴대성을 극대화하여 병원이 아닌 사무실, 가정, 옥외에서도 쉽게 사용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628946(2006.09.20)호는 미세 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 세트에 관한 것으로, 절연성 제1 백킹 레이어, 상기 제1 백킹 레이어에 접촉하며 전기 전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제1 전기 전도층, 및 상기 제1 전기 전도층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활성물질 함유층을 포함하는 마스크 팩,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지를 포함하는 전원 유닛 및 가요성 와이어링 유닛을 포함함으로써 활성물질을 마스크 팩에 도포하고 이 활성물질을 통하여 미세 전류가 흐르게 함으로써 활성물질의 피부 흡수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49392(2008.07.24)호 한국등록특허 제10-0628946(2006.09.2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마스크 시트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정보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미용 물질의 효과적인 피부 침투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얼굴의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 정보를 개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이를 기초로 결정된 유효성분에 따라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는 마스크 시트에 구현되고 서로 독립적인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피부 상태 결정부 및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상기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를 제공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수행하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동일 시간 구간 동안에 동일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결정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추정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수신하여 상기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확정하고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라 제공될 상기 마스크 시트의 유효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는 상기 결정된 유효성분에 따른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에 따른 전류자극 주기를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는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스마트폰에 스킨케어 히스토리로서 저장하는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는 상기 저장이 완료되면 기존의 스킨케어 히스토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는 얼굴의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 정보를 개별적으로 수집 및 분석하여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독립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는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 정보를 추정하여 이를 기초로 결정된 유효성분에 따라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을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와 마스크 시트가 연결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유효성분을 기초로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시스템(100)은 마스크 시트(11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는 얼굴 모양에 맞추어 제작된 시트를 이용하여 피부에 다양한 영양분과 수분 등을 공급할 수 있는 미용 제품에 해당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얼굴의 특정 부위만을 위한 용도로 한정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 시트(110)는 미세전극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미세전극은 마스크 시트(110)의 전체 또는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일정한 패턴을 형성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마스크 시트(110)의 특정 영역에 독립적으로 구분 배치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 시트(11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스크 시트(110)는 일면에 사용자 피부를 관통하는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이 구비될 수 있다. 마이크로 니들(micro needle)은 인간의 감각기관이 통증을 느끼지 못할 정도의 미세한 크기의 마이크로 구조체에 해당하고 피하의 진피층까지 생리활성물질을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마스크 시트(110)는 얼굴의 주요 부위별로 마이크로 니들이 구비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마이크로 니들이 결합된 영역에 대해 미세전극을 배치하여 집중적인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수행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마스크 시트(110)를 통해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이를 분석하여 각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패턴을 동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온 토포레시스는 약물 경피 전달 방법 중 하나로서 미세전류를 이용한 피부 진피층 영상 성분 투입 기술에 해당할 수 있다. 특히, 이온 토포레시스는 기존 단순 확산에 의한 투과방법에 비해 수십 배의 피부 투과 효과를 제공할 수 있고, 일명 '바늘 없는 주사'로 불리며 독자적 펄스형 이온 영동 투입 기술로 피부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마스크 시트(110)와 유선 네트워크 또는 블루투스, WiFi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마스크 시트(1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마스크 시트(110) 또는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가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50)는 마스크 시트(110)로부터 수신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저장할 수 있고,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추정하여 생성된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를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 피부 상태 결정부(230),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마스크 시트(110)에 구현되고 서로 독립적인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는 주요 부위, 예를 들어, 이마, 눈, 코 및 입 등에 대해 독립적인 영역으로 구별된 미세 전극을 배치하여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을 구성할 수 있고,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각각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전극 패턴은 마스크 시트(110)에 포함되어 구현되고 배치된 형태에 따라 전류의 이동 경로, 전류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피부 위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전도성 필름 등 전도성 물질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동일 시간 구간 동안에 동일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전극 패턴으로부터의 수집 조건을 주요 부위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피부 임피던스 측정 결과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에 구현된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각 전극 패턴에 제공되는 전류의 세기, 시간 등의 조건을 동일하게 적용함으로써 주요 부위로부터의 피부 임피던스 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상호 이격된 전극 패턴 간에 흐르는 전류 또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에 배치되 전극 패턴은 주요 부위별로 독립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주요 부위에 대한 전극 패턴은 단일의 전극 패턴으로 구성되거나 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전극 패턴들로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주요 부위에 대한 전극 패턴이 복수의 전극 패턴들로 구성되고 각 전극 패턴은 서로 이격되어 있는 경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는 서로 다른 전극 패턴 사이에 흐르는 전류의 세기 또는 전압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된 전류 또는 전압은 피부 상태 결정부(230)에 의해 해당 주요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로서 수분도, 유분도, 색상, 탄력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피부 임피던스에 따른 피부 상태에 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사용자의 신체정보를 고려하여 피부 임피던스에 따른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동일한 피부 임피던스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피부 상태를 가질 수 있고,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피부 임피던스 만을 기초로 피부 상태를 결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신체 정보를 추가로 고려하여 피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추정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통합하여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결정할 수 있고,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와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이용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은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와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 정보 및 해당 사용자의 신체 정보 등을 포함하여 해당 사용자의 현재 추정된 피부 상태에 관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사전에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른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학습함으로써 피부 상태 결정부(230)가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로부터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추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수신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확정하고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피부 상태 결정부(230)는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확인 또는 수정 요청을 수신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에 대한 수정을 수행할 수 있다.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에 대한 수정은 사용자가 특정 주요 부위에 대한 측정 결과를 선택함으로써 해당 주요 부위에 대한 피부 상태 측정을 재수행하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사용자의 직접적인 입력을 통해 피부 상태를 갱신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를 제공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수행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이온 토포레시스를 위하여 실시간 또는 주기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부요 부위별로 형성된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전류자극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피부 상태 결정부(230)와 유기적으로 동작하여 주기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의 세기 및 시간을 전류자극 패턴으로서 생성하고 전류자극 패턴에 따른 전류 공급이 완료된 경우 피부 상태 결정부(230)를 통한 피부 상태의 재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재측정된 결과를 반영하여 전류자극 패턴을 재생성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해당 과정의 반복 수행을 통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라 제공될 마스크 시트(110)의 유효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유효성분은 마스크 시트(110)에 도포된 미용성분에 해당할 수 있고, 주요 부위 및 피부 상태에 따라 미용 효과가 달라지기 때문에 해당 조건에서 가장 효과적인 유효성분을 결정하여 마스크 시트(110)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결정된 유효성분을 기초로 해당 주요 부위에 대한 전류자극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마스크 시트(110)는 주요 부위별로 독립된 영역의 전극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해당 전극 패턴 마다 서로 다른 유효성분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라 가장 효과적인 유효성분을 결정함으로써 주요 부위별 최적화된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결정된 유효성분에 따른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결정하여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에 따른 전류자극 주기를 함께 결정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전류자극 패턴에 따른 전류자극 강도와 전류자극 주기를 포함하는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을 기초로 전류자극 강도 및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요 부위별 유효성분이 결정되면 유효성분에 따라 미리 정의된 복수의 전류자극 패턴들 중 어느 하나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전류자극 패턴을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에서 검색하여 대응되는 전류자극 강도 및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의 특성, 피부 상태, 신체 정보 등의 사용자 조건과 시간, 날씨, 온도 등의 환경 조건을 모두 고려하여 전류자극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는 사용자의 현재 신체 상태에 영향을 받을 뿐만 아니라 현재의 날씨나 주변 환경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사용자 주변의 환경적 요소까지 고려하여 최종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 중 주요 부위별 유효성분 흡수율을 산출하고 유효성분 흡수율이 특정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을 주요 부위별로 독립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유효성분 흡수율은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제공 시간, 전류의 강도 및 주기 등을 기초로 수학적으로 산출되거나 또는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의 변화 정도에 따라 추정하는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효성분이 피부에 흡수됨에 따라 피부 임피던스는 증가할 수 있고,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 임피던스 변화율은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점점 작아질 수 있다. 피부 임피던스 변화율이 임계값 이하로 내려가면 마스크 시트(110)의 유효성분이 피부에 대부분 흡수된 것으로 판단하여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해당 주요 부위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중단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독립적인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주요 부위별 유효성부 흡수율 또는 피부 임피던스 변화율을 산출하여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중단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스마트폰에 스킨케어 히스토리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가 스마트폰이 아닌 뷰티 디바이스로 구현된 경우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뷰티 디바이스는 마스크 시트(110)의 사용을 위한 전용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마스크 시트(110)의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 유효성분, 피부 상태 및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포함하는 스킨케어 히스토리를 저장하여 향후 동일 사용자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에 있어 활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는 저장이 완료되면 기존의 스킨케어 히스토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는 스킨케어 히스토리를 기초로 마스크 시트(110)를 통한 스킨케어 주기, 가장 최근 이용 시점 및 스킨케어 이후 개선 비율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현재 사용자에 대한 마스크 시트(110) 사용 결과로서의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산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는 주요 부위별, 얼굴 전체에 대한 피부상태 개선 여부에 대한 정보와 이를 수치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 피부 상태 결정부(230),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 및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210)를 통해 마스크 시트(110)에 구현되고 서로 독립적인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할 수 있다(단계 S31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피부 상태 결정부(230)를 통해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단계 S33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를 통해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를 제공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할 수 있다(단계 S35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270)를 통해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스마트폰에 스킨케어 히스토리로서 저장할 수 있다(단계 S370).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에 관한 수행 시간을 각각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피부 상태에 따라 제1 주요 부위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수행 시간은 10분으로 결정함과 동시에 제2 주요 부위에 대한 수행 시간은 5분으로 결정할 수 있다. 즉,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제1 주요 부위의 피부 상태가 제2 주요 부위의 피부 상태보다 더 나쁜 상황인 점을 고려하여 제1 주요 부위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더 오래 제공함으로써 제1 주요 부위에 대한 집중적인 관리가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피부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에 관한 수행 시간에 대해 해당 주요 부위의 피부 민감도에 따라 결정되는 관리 주기에 따라 복수의 관리 시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얼굴 부위 중 이마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하기 위한 수행 시간이 해당 부위의 피부 상태에 따라 10분으로 결정된 경우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이마의 피부 민감도에 따라 결정된 관리 주기인 1분 간격으로 분할하여 총 10개의 관리 시점들을 결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개시 시점부터 1분 간격으로 피부 임피던스 재측정, 피부 상태 재결정 및 전류자극 패턴의 갱신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 주기를 결정하는 피부 민감도는 외부 물질에 의한 영향을 받는 정도를 수치화한 것으로 얼굴의 주요 부위마다 사전에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마, 양쪽 볼, 코, 입 및 눈 부위 순으로 피부 민감도는 높아질 수 있다. 피부 민감도가 높을수록 해당 부위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관리 주기는 짧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피부 상태를 기초로 결정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에 관한 수행 시간에 대해 다음의 수학식을 통해 산출되는 관리 주기에 따라 복수의 관리 시점들을 결정할 수 있다.
[수학식]
Figure 112018111904212-pat00001
여기에서, Pi는 주요 부위 i에 대한 관리 주기를, Ti는 주요 부위 i에 대한 수행 시간을, k는 비례 상수를, Si는 주요 부위 i에 대한 피부 민감도를, n은 전체 주요 부위의 수를, Ni는 현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수행 중인 주요 부위의 수를 의미한다.
따라서, 주요 부위 i에 대한 관리 주기는 해당 주요 부위에 대한 수행 시간에 비례할 수 있고, 피부 민감도에 반비례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부위 i에 대한 관리 주기는 해당 주요 부위를 제외한 전체 주요 부위 중에서 현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수행 중인 주요 부위의 비율에 비례할 수 있다. 피부 민감도는 피부가 민감할수록 높은 값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피부 민감도가 높은 주요 부위에 대해서는 관리 주기가 짧게 산출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더 자주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에 관한 수행 시간에 대해 가장 긴 수행 시간과 가장 짧은 수행 시간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수행 시간의 차이가 임계 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가장 긴 수행 시간과 연관된 주요 부위에 대해 가장 짧은 수행 시간만큼 예비 이온 토포레시스를 제공한 후 전체 주요 부위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제공을 개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비 이온 토포레시스는 주요 부위별 독립적인 이온 토포레시스의 제공에 따라 수행 시간의 차이가 생김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부위별 이온 토포레시스의 단절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평균적인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보다 관리 주기나 제공 강도가 상대적으로 감소된 형태의 이온 토포레시스에 해당할 수 있다.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주요 부위별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수행 시간의 차이가 큰 경우 가장 긴 수행 시간과 연관된 주요 부위에 대해서 단독으로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함으로써 전체 주요 부위에 대해 제공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가능하면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얼굴 전체에 대한 집중적인 피부 관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수행되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과정을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마스크 시트(410)와 연동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마스크 시트(410)는 주요 부위별로 전극 패턴을 독립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각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에 제공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마스크 시트(41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거나 또는 마스크 시트(410)에 부착되는 별도의 디바이스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된 피부 임피던스 정보 및 피부 상태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 및 피부 상태에 관한 피부 상태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다양한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피부 상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고, 기계학습을 통해 피부 상태 분류 모델을 피부 상태 테이블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얼굴 전체에 대한 피부 상태를 추정할 수 있고,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 및 얼굴 전체에 대한 피부 상태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유효성분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유효성분은 마스크 시트(410)에 도포되는 미용물질에 해당할 수 있고, 마스크 시트(410)는 주요 부위별로 유효성분을 달리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주요 부위별로 결정된 유효성분에 따라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유효성분에 따라 피부에 흡수되기 위한 전류자극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사용자의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가장 최적의 유효성분을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유효성분의 흡수에 최적화된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유효성분별 전류자극 패턴에 관한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450)에 저장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다양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피드백 정보를 반영하여 유효성분별 전류자극 패턴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고, 기계학습을 통해 전류자극 패턴 모델을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로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은 유효성분별 전류자극 패턴에 대한 매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전류자극 패턴은 마스크 시트(410)에 도포된 전극 패턴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 시간 및 주파수 등에 관한 수치화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해당 값들로 구성된 전류자극 패턴 벡터로 표현될 수 있다.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주요 부위별로 결정된 전류자극 패턴에 따라 마스크 시트(410)의 전극 패턴별로 전류자극의 강도, 주기 및 주파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470)과 연동할 수 있고, 마스크 시트(410)에 대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정보를 스마트폰(47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는 스마트폰(470)과의 연동을 통해 기존의 스킨케어 히스토리와의 비교 분석 결과로서 사용자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스킨케어 히스토리와의 비교 분석은 스마트폰(470)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마트폰(47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430)와 연동하여 마스크 시트(410)로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가 수행되는 경우 사용자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자동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와 마스크 시트가 연결되는 방식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마스크 시트(110)와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그림 (a)). 또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마스크 시트(1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그림 (b)). 특히, 마스크 시트(110)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블루투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 시트(110)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와의 무선 통신을 위하여 별도의 통신 장치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통신 장치는 마스크 시트(110)에 도포된 전극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마스크 시트(110)에 전류자극 패턴을 제공할 수 있는 저주파 자극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로 구현될 수 있고, 저주파 자극기와 별도의 독립적인 디바이스로 구현되어 저주파 자극기와 연동함으로써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스마트폰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고, 이 경우 스마트폰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마스크 시트(110)의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과 각각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고, 각 전극 패턴과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들은 하나의 이어폰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에서 유효성분을 기초로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130)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를 통해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라 제공될 마스크 시트(110)의 유효성분을 결정할 수 있고,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결정된 유효성분을 기초로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을 활용하여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250) 사전에 전류자극 패턴 테이블(그림 (a))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들로부터의 피드백을 기초로 유효성분별 전류자극 패턴에 따른 피드백을 학습한 후 전류자극 패턴 모델(그림 (b))을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자극 패턴 모델에 사용되는 학습 데이터는 유효성분 및 전류자극 패턴 벡터로 구성될 수 있고, 전류자극 패턴 벡터는 전류자극 패턴을 구성하는 다양한 효소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그림 (a)에서 유효성분 1에 대한 전류자극 패턴에 대한 전류자극 벡터는 {시간, 강도, ...} = {10, 2, ...}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시스템
110: 마스크 시트 13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230: 피부 상태 결정부
250: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 270: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
290: 제어부
410: 마스크 시트 430: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450: 데이터베이스 470: 스마트폰

Claims (8)

  1. 마스크 시트에 구현되고 서로 독립적인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전류를 인가하여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기초로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결정하는 피부 상태 결정부; 및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상기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인가되는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를 제공하여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수행하는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 생성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에 따라 제공될 상기 마스크 시트의 유효성분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유효성분과 함께 (a)주요 부위별 특성, 피부 상태 및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조건과 (b)시간, 날씨 및 온도를 포함하는 환경 조건을 고려한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결정하여 상기 주요 부위별 전류자극 강도에 따른 전류자극 주기를 함께 결정하며, 상기 전류자극 주기마다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에 따른 전류 공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피부 상태 결정부를 통한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의 재측정 결과를 반영하여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재생성하면서 주요 부위별 유효성분 흡수율에 따라 상기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의 수행을 주요 부위별로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임피던스 측정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전극 패턴에 동일 시간 구간 동안에 동일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결정부는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기초로 얼굴 전체의 피부 상태를 추정하여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결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수신하여 상기 추정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수정하여 사용자 피부 프로파일을 확정하고 상기 주요 부위별 피부 상태를 최종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적 전류자극 패턴을 스마트폰에 스킨케어 히스토리로서 저장하는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킨케어 히스토리 처리부는
    상기 저장이 완료되면 기존의 스킨케어 히스토리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용자 피부상태 개선의 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KR1020180137976A 2018-11-12 2018-11-12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KR102135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76A KR102135944B1 (ko) 2018-11-12 2018-11-12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976A KR102135944B1 (ko) 2018-11-12 2018-11-12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56A KR20200054556A (ko) 2020-05-20
KR102135944B1 true KR102135944B1 (ko) 2020-07-21

Family

ID=7091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976A KR102135944B1 (ko) 2018-11-12 2018-11-12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9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58129A (zh) * 2023-10-31 2023-12-22 深圳市宗匠科技有限公司 促渗控制方法、促渗美容仪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6B1 (ko) 2005-04-04 2006-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미세 전류를 이용한 마스크 팩 세트
KR100849392B1 (ko) 2007-05-31 2008-07-31 전자부품연구원 이온 도입용 패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한증 치료 장치
KR20180048932A (ko) * 2015-09-04 2018-05-10 더블유비 테크놀로지스 사람의 얼굴에 대한 분석 및 활성화 및/또는 국부적 방출을 위한 시스템
KR101914251B1 (ko) * 2016-04-06 2018-11-01 유한실 이온 영동이 가능한 전기 자극 마스크팩 및 그 제어 방법
KR101771361B1 (ko) * 2016-07-12 2017-08-24 조정호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892816B1 (ko) * 2016-10-31 2018-08-2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피부 상태 측정 장치, 그를 이용한 피부 상태 정보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946271B1 (ko) * 2017-01-25 2019-02-13 홍정택 스마트 미용마스크를 이용한 피부미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556A (ko) 202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59B1 (ko) 사용자의 피부의 저항률에 기초하여 전압을 가변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전기 자극 및/또는 이온 영동 디바이스
US11318307B2 (en) Fingertip mounted microcurrent device for skin
US20220023652A1 (en) Self-operating belt
CN106029163B (zh) 具有独立的电流管理的离子电渗装置
CN107684664A (zh) 一种智能复合波形经颅电刺激系统
KR101771361B1 (ko)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마스크팩
CN207071165U (zh) 一种智能复合波形经颅电刺激系统
EP3393573A1 (en)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having multipurpose electrodes
KR101720416B1 (ko) 마스크팩을 이용한 피부 상태 측정 관리 방법
JP2017502722A (ja) 脳波測定及び脳刺激システム
EP3125993B1 (en) System for transcranial stimulation of a subject
JP2020185207A (ja) 美容器、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35944B1 (ko) 마스크 시트의 동적 이온 토포레시스 수행 장치
US11648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tation enhancement
KR102425646B1 (ko) 핸즈프리형 화장품 흡수촉진기기 및 그 기기의 구동방법
KR20140102879A (ko) 전기 침술 시스템
Chen et al. An investigation of stimuli-current thresholds on the non-steady contact condition
JP2018068469A (ja) 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デバイスおよびエレクトロポレーションデバイス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CN208865038U (zh) 一种用于疼痛治疗的便携式经颅直流电刺激系统
US10596371B1 (en)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GVS) systems, devices and methods
KR102558995B1 (ko) 미용효과를 향상시킨 마스크팩 장치
CN109316661A (zh) 一种用于疼痛治疗的便携式经颅直流电刺激系统
KR20200056079A (ko) 브러쉬 형태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KR20150132801A (ko) 생체신호 기반의 맞춤형 광고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