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971A -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971A
KR20150129971A KR1020140056808A KR20140056808A KR20150129971A KR 20150129971 A KR20150129971 A KR 20150129971A KR 1020140056808 A KR1020140056808 A KR 1020140056808A KR 20140056808 A KR20140056808 A KR 20140056808A KR 20150129971 A KR20150129971 A KR 20150129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nformation
mobile device
stimulus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851B1 (ko
Inventor
지형용
안병학
유석원
박종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테크
Priority to KR1020140056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5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해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는, 모바일 기기의 일 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일부분이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자극제공부와, 모바일 기기에 접속되어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제어신호는, 자극제공부를 제어하는 신호로, 모바일 기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산출되어 자극제공부의 제어 패턴이 되는 피부자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Beauty apparatus controlled by smartphon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되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작동방식이 변환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조직은 제일 위층에 있는 표피층과, 기질 단백질로 이루어진 진피층, 및 지방세포로 구성된 피하지방층으로 이루어지며, 표피층의 중간에는 피부방어벽이 존재한다. 피부방어벽은 외부의 환경과 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동시에 영양 성분의 공급도 차단한다. 따라서, 손으로만 화장액을 바르는 경우, 표피층, 즉, 피부의 겉 표면에만 화장액이 스며들게 되며, 진피층에는 화장액의 영양 성분이 공급되지 않는다. 이러한 이유로, 여러 종류의 자극 방식을 이용하여 진피층까지 화장액을 공급할 수 있는 피부미용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피부미용기기는 초음파, 진동, 이온, 레이저 등의 자극이 표피층뿐만 아니라 진피층까지 침투하므로, 영양 성분이 효과적으로 스며들 수 있으며 노폐물과 이물질의 제거에도 용이하다.
그러나, 종래의 미용기기들은 단순히 사용자의 임의 선택에 의해 작동하므로, 일부 모드에만 집중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사용자의 현재 피부 상태에 요구되는 적절한 피부관리모드를 제공할 수 없어 효과적으로 피부를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127713호 2013. 11. 25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되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작동방식이 변환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되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작동방식이 변환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는, 모바일 기기의 일 측에 결합되는 본체와,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자극제공부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자극제공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자극제공부를 제어하는 신호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산출되어 상기 자극제공부의 제어 패턴이 되는 피부자극 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피부자극 패턴이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상태 정보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카메라가 촬영한 피부 영상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표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두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 외측을 돌출되는 제1 단자, 및 일 측에 상기 제1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1 단자와 형상이 다른 제2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모바일 기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극제공부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면이 형성된 회전접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접촉모듈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피부자극이 전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기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A) 단계와,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B) 단계와,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피부미용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부미용기기가 사용자의 피부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자극을 가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A) 단계의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어신호가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 이전에, 카메라로 피부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형성된 측정센서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영상, 상기 유분량, 상기 수분량 및 상기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추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피부미용기기는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부자극의 패턴 및 상기 피부자극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상기 피부미용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D)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극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연결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고,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되므로, 구성이 간단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작동방식을 변환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므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하여 최적의 피부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가 모바일 기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피부미용기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피부미용기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피부미용기기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이하, 피부미용기기라 함)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가 모바일 기기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는 모바일 기기(M)에 연결되어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고,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도 3의 A 참조)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제공받아 구동되는 장치로, 여기서, 모바일 기기(M)라 함은 통상의 스마트폰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는 사용자의 피부 상태와 더불어 인터넷 상으로 제공되는 각종 정보 중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변화시키는 날씨, 계절, 시간, 오염물질의 정보를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작동방식을 변환하고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므로,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대응하여 최적의 피부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피부미용기기(1)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피부미용기기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피부미용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일 측으로 노출되어 피부자극을 전달하는 자극제공부(110), 및 모바일 기기(M)에 접속되어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모바일 기기(M)의 일 측에 결합되는 통 형상의 부재로, 적어도 하나의 면이 모바일 기기(M)의 표면에 밀착된다. 도면 상에는 본체(100)의 형상이 사각통으로 형성되어 하면이 모바일 기기(M)에 밀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본체(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거나, 측면 또는 상면이 모바일 기기(M)에 밀착될 수도 있다. 모바일 기기(M)와 밀착되는 본체(100)의 일 면에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대(130)가 형성된다.
고정대(1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 형상의 부재로, 모바일 기기(M)를 사이에 두고 본체(100)로부터 돌출되어 모바일 기기(M)의 표면에 밀착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고정대(130)는 각각 본체(100)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일정 간격,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의 두께(도 1의 x 방향 길이를 의미함)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즉, 모바일 기기(M)는 한 쌍의 고정대(130) 사이로 삽입되어 하면과 전면 및 후면이 각각, 본체(100)의 일면과 한 쌍의 고정대(13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고정대(130)가 형성됨으로써, 본체(100)는 모바일 기기(M)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M)의 작동 시 본체(10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대(130)는 모서리 부분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M)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한 쌍의 고정대(130)가 본체(100)와 분리형으로 형성되고, 모바일 기기(M)의 두께만큼 이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대(130)는 본체(10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모바일 기기(M)의 너비(도 1의 y 방향 길이를 의미함)만큼 이격될 수도 있다.
본체(100)는 일 측에 자극제공부(110)가 형성된다. 자극제공부(110)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것으로, 금속 판 형태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본체(1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자극제공부(110)는 모바일 기기(M)의 표면에 밀착되지 않는 본체(100)의 일 면에 배치되어 용이하게 피부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하면이 모바일 기기(M)에 밀착되는 경우, 자극제공부(110)는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자극제공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모듈(111), 이온모듈(112), 원적외선모듈(113)과 같은 자극생성모듈을 포함한다.
진동모듈(111)은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여 진동을 전달하는 것으로, 전기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자에 의해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진동모듈(111)은 특정 진동수로 진동을 유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만 헤르츠(Hz, 초당 진동수) 이상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모듈(112)은 피부와 통전하여 피부에 양이온 또는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모듈(112)이 양이온을 공급할 경우, 피부의 노폐물 제거에 효과적이며, 반대로, 음이온을 공급할 경우, 피부의 혈액순환 및 영양 공급에 효과적이다. 이온모듈(112)은 교류전류에 의해 이온을 공급하도록 형성되거나, 갈바닉 전류로 불리는 저주파 직류전류에 의해 이온을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갈바닉 전류를 이용할 경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양이온 또는 음이온을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원적외선모듈(113)은 적외선 중 투과성능이 높은 파장대의 원적외선 광을 방사하여 피부의 내부까지 원적외선 광이 갖는 광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원적외선 광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피부에 침투되어 광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자극생성모듈은 이 밖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피부자극을 제공하는 또 다른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자극제공부(110)는 일 측이 인터페이스부(120)와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모바일 기기(M)에 접속되어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110)로 전달하는 것으로, PCB기판 등에 설치된 연산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일 측이 본체(100)의 내부에 수용되고 타 측은 본체(100)의 외부에 노출된다. 다시 말해, 인터페이스부(120)는 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단자(121)를 포함한다.
제1 단자(121)는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 형태로 형성되어 모바일 기기(M)에 만입 형성된 연결단자부(H)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단자(121)는 모바일 기기(M)와 밀착되는 본체(10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므로, 한 쌍의 고정대(130)와 제1 단자(121)는 서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제1 단자(121)는 본체(100)와 모바일 기기(M)를 서로 연결하여, 자극제공부(11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 및 제어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단자(121)는 모바일 기기(M)의 내부에 형성된 전력부(P)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0)에 전력을 전달하고,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인터페이스부(120)에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전력 및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110)에 전달하여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가 피부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신호는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생성된다. 제어신호는 자극제공부(110)를 제어하는 신호로, 자극제공부(110)의 제어패턴이 되는 피부자극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자극 패턴은 모바일 기기(M)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플리케이션(A)은 피부 상태를 변화시키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자극생성모듈을 동작시키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제1 단자(121)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20)에 전달되며, 인터페이스부(120)는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110)에 전달한다. 전술한 대로, 제어신호에는 자극제공부(110)의 제어 패턴이 되는 피부자극 패턴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자극제공부(110)는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에 따라 자극생성모듈을 작동하여 진동 자극, 이온자극, 원적외선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자극생성모듈은 제어신호에 의해 서로 다른 피부자극 패턴을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피부에 다양한 효과를 주는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의 자극을 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날씨 정보는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Web: world wide web)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날씨 정보의 변화에 따라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이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A)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지수, 미세먼지나 황산화물, 이산화탄소 등의 대기 중 오염물질의 변동량에 대한 정보를 반영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피부 상태 정보는 본체(100) 및 모바일 기기(M)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카메라(140, C)가 촬영한 피부 영상과, 본체(100)에 형성되는 측정센서(150)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A)은 카메라(140, C)로부터 촬영된 피부 영상과, 측정센서(150)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하여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 측정센서(150)는 전기전도도 변화 측정, 광학식 측정, 초음파 측정 등 다양한 측정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피부 상태 정보가 카메라(140, C)로부터 촬영된 피부 영상과, 측정센서(150)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피부타입(중성, 건성, 지성, 복합성, 민감성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기본적인 피부타입은 어플리케이션(A) 상에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의 작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피부미용기기의 작동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피부미용기기의 작동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의 제어방법은, 모바일 기기(도 1의 M 참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A) 단계, 모바일 기기(M)가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B) 단계, 제어신호가 모바일 기기(M)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피부미용기기(도 1의 1 참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는 (C) 단계, 및 제어신호에 따라 피부미용기기(1)가 사용자의 피부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자극을 가하는 (D)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B) 단계 이전에 카메라(도 1의 C 또는 도 3의 140 참조)로 피부 영상을 촬영하거나, 피부미용기기(1)에 형성된 측정센서(도 3의 150 참조)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A')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피부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자극을 가하는 (D) 단계 이전에 모바일 기기(M) 및 피부미용기기(1) 중 적어도 하나가 (D) 단계에서 제공되는 자극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C')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모바일 기기(M)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집한다((A) 단계). 이 때, 날씨 정보는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이러한 날씨 정보의 변화에 따라 (B) 단계의 제어신호가 실시간으로 변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는 본체(100) 및 모바일 기기(M)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카메라(140, C)로 피부 영상을 촬영하거나, 피부미용기기(1)에 형성된 측정센서(150)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취득한다((A') 단계). 이 때, 피부 영상,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추이에 대응하여 제어신호가 변화할 수 있다.
환경 정보가 수집되고 피부 상태가 취득되면, 모바일 기기(M)는 환경 정보와 피부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B) 단계). 이 때, 제어신호는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도 3의 A 참조)으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모바일 기기(M)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피부미용기기(1)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며((C) 단계),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피부미용기기(1)가 사용자의 피부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자극을 가하며 피부 관리를 실행한다((D) 단계). 이 때, 피부미용기기(1)는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제어신호의 변화에 따라 피부자극의 패턴 및 피부자극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진동 자극은 진동모듈(도 3의 111 참조)로부터 유발되며, 예를 들어 2만 헤르츠 이상으로 진동을 전달하는 초음파 진동을 포함할 수 있다. 이온 자극은 이온모듈(도 3의 112 참조)로부터 공급되며, 교류전류 또는 저주파 직류전류에 의해 양이온 또는 음이온 중 적어도 하나를 피부에 공급할 수 있다. 원적외선 자극은 원적외선모듈(도 3의 113 참조)로부터 형성되며, 투광성능이 높은 원적외선 광이 갖는 광에너지를 피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원적외선 자극은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더라도 피부에 침투될 수 있다.
제어신호의 변화에 따라 피부자극의 패턴 및 피부자극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되고, 서로 다른 피부자극의 패턴이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유기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에 복합적인 자극을 제공하여 효과적으로 피부관리를 할 수 있다.
한편, 피부에 자극을 가하는 (D) 단계 이전에, 모바일 기기(M) 및 피부미용기기(1) 중 적어도 하나가 (D) 단계에서 제공되는 자극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 단계에서 제공되는 피부자극의 내용은 모바일 기기(M)의 디스플레이화면(도 1의 D 참조)을 통해 문자, 도형, 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화면(D)에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의 주요 내용이 피부자극의 내용과 함께 표시될 수 있으며, 특히, 메시지/알림창 등을 통해 현재 설정된 피부자극의 내용을 설명하여 사용자에게 피부미용기기(1)의 작동과정이나 피부자극 실행과정 등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피부자극이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경우, 이전 자극, 현재 자극, 다음 자극의 시퀀스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설정된 피부자극은 사운드 알람을 통해 음성으로도 안내될 수 있다. 그러나, 피부자극의 내용이 모바일 기기(M)의 디스플레이화면(D)을 통해 표시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피부미용기기(1)에 형성된 별도의 디스플레이화면(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는 어플리케이션(도 3의 A 참조)이 측정된 피부 영상,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피부탄력도 및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피부미용기기(1)가 작동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A)은 카메라(C)로부터 측정된 피부 영상과 측정센서(150)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피부탄력도, 및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가 날씨 흐림(온도, 습도, 자외선 지수, 오염물질 농도 반영된 것일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는 서울, 현재 시각 오후 2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피부 상태 정보가 피부의 유분량이 수분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음, 피부탄력도 저하, 블랙헤드 및 각질의 비율 높음 등의 정보를 포함한 경우, 어플리케이션(A)은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피부관리모드(클렌징모드, 마사지모드, 영양공급모드, 리프팅모드, 미백관리모드, 주름관리모드) 중 클렌징모드와 영양공급모드 및 리프팅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피부관리모드는 피부자극 패턴이 서로 다르게 설정된다. 예를 들어, 클렌징모드는 진동 자극과 이온 자극만 실행되고, 마사지모드, 영양공급모드, 리프팅모드, 미백관리모드는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이 모두 실행되며, 주름관리모드는 이온 자극과 원적외선 자극만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날씨가 흐리고, 피부의 유분량이 수분량에 비해 높으며, 피부탄력도가 저하되고, 블랙헤드 및 각질의 비율이 높은 경우, 클렌징모드와 영양공급모드 및 리프팅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피부관리모드의 지속시간은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에 따라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으며, 각 피부관리모드 사이에는 휴지기를 설정하여 세안 및 화장액을 도포할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제1 단자(도 2의 121 참조)를 통해 피부미용기기(1)의 인터페이스부(도 3의 120 참조)에 전달되며, 인터페이스부(120)는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110)에 전달한다. 자극제공부(110)는 어플리케이션(A)으로부터 설정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자극을 제공한다. 이 때, 설정된 피부관리모드 및 피부자극의 내용을 모바일 기기(M)의 디스플레이화면(D)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은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부미용기기(1)가 모바일 기기(M)에 결합된 상태에 관계없이 디스플레이화면(D)에 표시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어플리케이션(A)이 피부 타입과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피부미용기기(1)가 작동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6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어플리케이션(A)은 사용자의 기본적인 피부타입과 환경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부터 수집된 환경 정보가 날씨 흐림(미세먼지 및 황사 나쁨, 오존 및 자외선 양호), 사용자의 위치는 서울, 현재 시각 오후 2시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피부 타입이 중건성인 경우, 어플리케이션(A)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피부관리모드 중 클렌징모드와 마사지모드와 영양공급모드 및 리프팅모드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각 피부관리모드의 지속시간은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피부 타입 정보에 따라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으며, 각 피부관리모드 사이에는 휴지기를 설정하여 세안 및 화장액을 도포할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생성된 제어신호는 제1 단자(121)를 통해 피부미용기기(1)의 인터페이스부(120)에 전달되고, 인터페이스부(120)는 제어신호를 자극제공부(110)에 전달한다. 자극제공부(110)는 설정된 피부관리모드에 따라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자극을 제공한다. 이 때, 설정된 피부관리모드 및 피부자극의 내용을 모바일 기기(M)의 디스플레이화면(D)을 통해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A)은 화면 자동 회전 기능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화면(D)에 표시된 내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환경 정보 및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피부관리모드를 설정하고 진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최적의 피부관리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a)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a)는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a)는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고정대(130)와 본체(100) 중 어느 하나는 만입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돌출 형성되어, 고정대(130)는 본체(100)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며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따라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모바일 기기(M)의 두께라 함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x 방향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 본체(100)가 만입 형성되고 고정대(130)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체(100)는 하면에 내측으로 만입 형성되는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홈(101)이 형성되고, 한 쌍의 고정대(130)는 각각 상단부에 가이드홈(101)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돌기(131)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01)은 도 7의 x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측이 단턱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홈(101)은 서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가이드돌기(131)는 가이드홈(101)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전술한 대로, 가이드홈(101)은 내측이 단턱구조로 형성되므로, 가이드돌기(131)는 가이드홈(101)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M)의 두께가 얇은 경우, 가이드돌기(131)는 가이드홈(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을 감소시킨다.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감소되면, 제1 단자(121)를 연결단자부(H)에 삽입하여 피부미용기기(1a)를 모바일 기기(M)에 결합시킨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제1 단자(121)를 연결단자부(H)에 삽입한 후,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도 있다.
반대로,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기기(M)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가이드돌기(131)는 가이드홈(10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을 증가시킨다.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증가되면, 제1 단자(121)를 연결단자부(H)에 삽입하여 피부미용기기(1a)를 모바일 기기(M)에 결합시킨다. 한 쌍의 고정대(130)는 각각 모바일 기기(M)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본체(100)를 모바일 기기(M)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함으로써,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관계없이 피부미용기기(1a)가 모바일 기기(M)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대(130)가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 모바일 기기(M)의 두께에 따라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것으로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으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대(130)는 모바일 기기(M)와 접하는 내측면에 각각 탄성부재(도시되지 않음)와 밀착부재(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되고, 탄성부재의 수축 및 이완에 따라 밀착부재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어 고정대(130) 사이의 간격이 증가 또는 감소할 수도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b)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b)는 인터페이스부(120)가 제1 단자(121)와 모바일 기기(M)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2)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b)는 인터페이스부(120)가 제1 단자(121)와 모바일 기기(M)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122)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결합부(122)를 더 포함한다. 결합부(122)는 피부미용기기(1b)에 형성된 제1 단자(121)와 모바일 기기(M)에 형성된 연결단자부(H)가 서로 다른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제1 단자(121)와 모바일 기기(M)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결합부(122)는 일 측에 제1 단자(121)가 삽입되는 삽입부(123)가 형성되고, 타 측에 제1 단자(121)와 형상이 다른 제2 단자(124)가 형성된다. 이 때, 제2 단자(124)는 모바일 기기(M)에 형성된 연결단자부(H)와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되며,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전력과 제어신호를 삽입부(123)에 삽입된 제1 단자(121)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모바일 기기(M)의 종류에 따라 제1 단자(121)를 연결단자부(H)에 직접 연결하거나, 필요에 따라 결합부(122)를 결합하여 제2 단자(124)를 연결단자부(H)에 연결할 수 있다. 결합부(122)를 사용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기종의 모바일 기기(M)에 피부미용기기(1b)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c)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c)는 자극제공부(110)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접촉모듈(1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부미용기기(1c)는 자극제공부(110)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접촉모듈(160)을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되,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나머지 구성부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사항으로 대신한다.
자극제공부(110)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면이 형성된 회전접촉모듈(160)을 포함한다. 도면 상에는 회전접촉모듈(160)이 3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회전접촉모듈(160)에 형성되는 면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이하, 회전접촉모듈(160)에 3개의 면이 형성된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회전접촉모듈(160)은 3개의 면으로 이루어져 삼각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면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재질 또한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진동 자극을 전달하고, 다른 하나의 면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되 이온 자극을 전달하며, 또 다른 하나의 면은 세라믹 재질로 형성되어 원적외선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면과 이온 자극을 전달하는 면의 금속 재질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접촉모듈(160)은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전달된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피부자극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달된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이 진동 자극인 경우, 회전접촉모듈(160)은 진동 자극을 전달하는 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한다. 이 때, 이온 자극을 전달하는 면과 원적외선 자극을 전달하는 면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도 9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접촉모듈(160)은 도 9의 y 방향으로 배치된 회전축(16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회전축(161)은 양단에 각각 결합된 종동기어(162)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기어(163)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기어(163)는 본체(100)의 내측에 결합된 구동모터(164)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또한,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이 이온 자극인 경우, 회전접촉모듈(160)은 이온 자극을 전달하는 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하고,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이 원적외선 자극인 경우, 회전접촉모듈(160)은 원적외선 자극을 전달하는 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회전한다.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면이 형성된 회전접촉모듈(160)이 제어신호에 포함된 피부자극 패턴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피부에 피부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1a, 1b, 1c: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100: 본체 101: 가이드홈
110: 자극제공부 111: 진동모듈
112: 이온모듈 113: 원적외선모듈
120: 인터페이스부 121: 제1 단자
122: 결합부 123: 삽입부
124: 제2 단자 130: 고정대
131: 가이드돌기 140, C: 카메라
150: 측정센서 160: 회전접촉모듈
161: 회전축 162: 종동기어
163: 구동기어 164: 구동모터
A: 어플리케이션 H: 연결단자부
M: 모바일 기기 D: 디스플레이화면
P: 전력부

Claims (13)

  1. 모바일 기기의 일 측에 결합되는 본체;
    일부분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고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 또는 비접촉하여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는 자극제공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자극제공부로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자극제공부를 제어하는 신호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달받은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통하여 산출되어 상기 자극제공부의 제어 패턴이 되는 피부자극 패턴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된 상기 피부자극 패턴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정보는,
    상기 본체 및 상기 모바일 기기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카메라가 촬영한 피부 영상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측정센서로부터 측정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표면에 밀착되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 사이의 간격이 상기 모바일 기기의 두께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본체 외측을 돌출되는 제1 단자, 및
    일 측에 상기 제1단자가 삽입되는 삽입부가 형성되고 타 측에 상기 제1 단자와 형상이 다른 제2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모바일 기기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제공부는,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복수 개의 면이 형성된 회전접촉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접촉모듈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피부자극이 전환되는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8. 모바일 기기가 외부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날씨 정보, 계절 정보, 시간 정보 및 사용자의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환경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받는 (A)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환경 정보와 사용자의 피부 상태 정보를 종합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B) 단계;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결합되어 구동되는 피부미용기기에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전달되는 (C) 단계; 및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피부미용기기가 사용자의 피부에 서로 다른 패턴으로 자극을 가하는 (D)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상기 날씨 정보는 상기 유선 및 무선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온도 정보, 습도 정보, 자외선 정보 및 오염물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날씨 정보 변화에 따라 상기 (B) 단계의 상기 제어신호가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 이전에,
    카메라로 피부 영상을 촬영하거나, 상기 피부미용기기에 형성된 측정센서로 피부의 유분량, 수분량 및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상기 피부 상태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영상, 상기 유분량, 상기 수분량 및 상기 피부탄력도 중 적어도 하나의 변화 추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신호가 변화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미용기기는 진동 자극, 이온 자극, 원적외선 자극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피부자극을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신호의 변화에 따라 상기 피부자극의 패턴 및 상기 피부자극의 지속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화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13.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기기 및 상기 피부미용기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D) 단계에서 제공되는 상기 자극의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피부미용기기의 제어방법.
KR1020140056808A 2014-05-12 2014-05-12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KR10161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08A KR101618851B1 (ko) 2014-05-12 2014-05-12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808A KR101618851B1 (ko) 2014-05-12 2014-05-12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971A true KR20150129971A (ko) 2015-11-23
KR101618851B1 KR101618851B1 (ko) 2016-05-10

Family

ID=54844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808A KR101618851B1 (ko) 2014-05-12 2014-05-12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5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8A1 (ko) * 2016-10-06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KR20180077400A (ko) * 2016-12-28 2018-07-09 장선균 햅틱 기반 스마트 마사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8182985A1 (en) * 2017-03-31 2018-10-04 L'oreal Cosmetic device system with a communication and power interface for a cosmetic device
KR102004357B1 (ko) * 2018-03-12 2019-10-01 주식회사 씨오아이 안구 건조 치료기
KR20190126745A (ko) * 2019-11-01 2019-11-12 김종호 미용장치
KR20200010187A (ko) * 2017-05-23 2020-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정보 처리 시스템
KR20210127605A (ko) * 2020-04-14 2021-10-22 (주)메딕콘 초음파 피부 미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483B1 (ko) * 2020-04-03 2020-07-14 주식회사 하우이즈 피부 상태 측정이 가능한 클렌징 디바이스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66778A1 (ko) * 2016-10-06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KR20180038200A (ko) * 2016-10-06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케어 기기
US11383096B2 (en) 2016-10-06 2022-07-12 Lg Electronics Inc. Skin care device
KR20180077400A (ko) * 2016-12-28 2018-07-09 장선균 햅틱 기반 스마트 마사지 장치 및 그 방법
WO2018182985A1 (en) * 2017-03-31 2018-10-04 L'oreal Cosmetic device system with a communication and power interface for a cosmetic device
CN110663241A (zh) * 2017-03-31 2020-01-07 莱雅公司 具有用于美容设备的通信和功率接口的美容设备系统
KR20200010187A (ko) * 2017-05-23 2020-01-3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정보 처리 장치, 프로그램,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04357B1 (ko) * 2018-03-12 2019-10-01 주식회사 씨오아이 안구 건조 치료기
KR20190126745A (ko) * 2019-11-01 2019-11-12 김종호 미용장치
KR20210127605A (ko) * 2020-04-14 2021-10-22 (주)메딕콘 초음파 피부 미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51B1 (ko) 201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8851B1 (ko)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KR101444940B1 (ko) 휴대용 복합기능 피부 미용기
KR101645928B1 (ko) 웨어러블 스마트 마사지기
KR100787874B1 (ko) 피부관리기
US20220023652A1 (en) Self-operating belt
CN113874066B (zh) 面部美容装置及其使用的面膜巾
JP6095053B2 (ja) 美容システム
KR101713579B1 (ko) 피부의 리프팅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KR101504885B1 (ko) 옥과 근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한 피부 미용기기
EP4094704A1 (en) Laser irradiation device
JP2011041705A (ja) 美容装置
JP6445105B2 (ja) 美容システム
JP3183321U (ja) 複合機能を有する皮膚美容機器
KR101748070B1 (ko) 스마트 피부마사지 장치
US20220134094A1 (en) Skin care device
KR200148926Y1 (ko) 이온 맛사지기
KR101412497B1 (ko) 복합 피부 마사지 장치
JP6199464B2 (ja) 美容システム
KR200330432Y1 (ko) 종합 피부 미용 관리기
KR20190103535A (ko) 분리형 카트리지를 구비한 피부미용 치료기
KR100358865B1 (ko) 초음파 이온 마사지기
KR102250230B1 (ko) 이온화된 앰플 주입형 미용기기
CN113710124A (zh) 皮肤美容仪器
JP3117166U (ja) 美容器具
KR200321393Y1 (ko) 피부상태 측정 겸용 피부 마사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