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200A - 피부 케어 기기 - Google Patents

피부 케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200A
KR20180038200A KR1020160128990A KR20160128990A KR20180038200A KR 20180038200 A KR20180038200 A KR 20180038200A KR 1020160128990 A KR1020160128990 A KR 1020160128990A KR 20160128990 A KR20160128990 A KR 20160128990A KR 20180038200 A KR20180038200 A KR 201800382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substrate
skin care
skin
car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9766B1 (ko
Inventor
임귀삼
김희정
김나영
장윤영
김남진
강문성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66B1/ko
Priority to PCT/KR2017/002850 priority patent/WO2018066778A1/ko
Priority to US16/339,221 priority patent/US11383096B2/en
Publication of KR20180038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2Monitoring a patient using a global network, e.g. telephone networks, intern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1Measuring skin imped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1Skin evaluation, e.g. for skin disorder diagnosis
    • A61B5/442Evaluating skin mechanical properties, e.g. elasticity, hardness, texture, wrinkle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33Special features of optical sensors or probes classified in A61B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57Proxim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71Thermal or temperat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52Body part for treatment of skin or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7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8Radiating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2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59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infrar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피부 케어 기기에 있어서, 광 케어 및 열 케어를 하나의 기기로 수행하고, 피부 측정 센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 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된 열전달 브라켓, 상기 하우징 일단에 실장된 광원부, 광 투과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광원부를 커버하는 광전달 브라켓, 상기 광전달 브라켓에 형성된 제1 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피부 측정 센서 및 상기 광원부를 실장하고 상기 피부 측정 센서와 이격 구비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피부 케어 기기{SKIN CARE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된 피부 케어 기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 또는 치료를 위한 기기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된다. 피부는 미세한 자극을 받아 세포의 활동 등에 변화를 주게 되어 주름 개선, 미백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형태로 전기적인 자극을 피부에 주는 방식의 비침습 방식, 물리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의 침습 방식의 형태가 있다.
종래에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형태의 기기가 보급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개발, 부품의 소형화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휴대형 케어 기기가 많이 상용화 되고 있다.
전기적인 자극을 통해 피부를 케어하는 방식에는 고주파 대역의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 가시광선 영역의 자극을 주는 광학식, 열 에너지를 전달하여 자극을 주는 열 방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피부 케어 기기는 케어 방식, 즉 피부를 자극하는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당 하나의 효과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장치에 복수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거나 좁은 공간에 양 특징적 구성을 실장하기 위해 발생하는 발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피부 케어 기기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는 사용자의 피부 케어를 위한 자극을 넘어 피부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피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BIA 센서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다른 구성의 영향으로 노이즈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인 하나의 기기가 여러 가지 피부 케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 및 센서를 통한 피부 상태 측정이 다른 요인으로 인해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된 열전달 브라켓, 상기 하우징 일단에 실장된 광원부, 광 투과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광원부를 커버하는 광전달 브라켓, 상기 광전달 브라켓에 형성된 제1 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피부 측정 센서 및 상기 광원부를 실장하고 상기 피부 측정 센서와 이격 구비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피부 측정 센서는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상기 피부 측정 센서 및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구비된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부 측정 센서는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기판의 양측에 구비된 전도성 방열 접촉부 및 상기 제1 기판과 경사를 이루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방열 접촉부에 접하는 방열단자를 포함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적색의 가시광선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접촉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열전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일단의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달 브라켓은 상기 열전달 브라켓 내측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전달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빗살무늬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광원부는, 적색의 가시광선 영역에 대응되는 4개의 제1 광원부 및 근적외선 영역에 대응되는 8개의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제1 광원부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8개의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원부 사이에 상기 원형을 따라 2개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기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 케어 및 열 케어를 하나의 기기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피부 측정 센서에 발생할 수 있는 노이즈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광원부에 의한 빛 출사 효율을 극대화 하고 열 발생으로 인한 기기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사된 빛이 넓은 영역에 퍼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방향 단면도 일부이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 일부를 제1 면(에서 바라본 것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의 광원 배치에 관한 몇 가지 실시 예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에 관련하여 제1 면에서 바라본 광원의 출사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의 일부 후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의 일 실시 예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의 일부를 분해한 후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피부 미용 또는 치료를 위한 기기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구현된다. 피부는 미세한 자극을 받아 세포의 활동 등에 변화를 주게 되어 주름 개선, 미백 등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형태로 전기적인 자극을 피부에 주는 방식의 비침습 방식, 물리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의 침습 방식의 형태가 있다.
종래에는 개인이 휴대 가능한 형태의 기기가 보급되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무선 통신의 개발, 부품의 소형화 등이 가능해짐에 따라 휴대형 케어 기기가 많이 상용화 되고 있다.
전기적인 자극을 통해 피부를 케어하는 방식에는 고주파 대역의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방식, 가시광선 영역의 자극을 주는 광학식, 열 에너지를 전달하여 자극을 주는 열 방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피부 케어 기기는 케어 방식, 즉 피부를 자극하는 방식에 있어서 하나의 장치당 하나의 효과를 주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장치에 복수의 기능을 구현하는 경우 상호 간섭이 발생하거나 좁은 공간에 양 특징적 구성을 실장하기 위해 발생하는 발열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피부 케어 기기에서 발생하는 발열 문제는 사용자의 피부 케어를 위한 자극을 넘어 피부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피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센싱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피부의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BIA 센서 또는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센서가 다른 구성의 영향으로 노이즈가 발생하여 제대로 된 피부 상태를 측정하기 어려웠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피부 케어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30), 출력부(140), 인터페이스부(150), 메모리(16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피부 케어 기기(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피부 케어 기기(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피부 케어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피부 케어 기기(100)와 다른 외부 단말기 사이, 또는 피부 케어 기기(100)와 외부 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피부 케어 기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1), 근거리 통신 모듈(112), 위치정보 모듈(1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피부 케어 기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피부 케어 기기(100)와 다른 피부 케어 기기(100) 사이, 또는 피부 케어 기기(100)와 다른 피부 케어 기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외부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기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2)은, 피부 케어 기기(100) 주변에, 상기 피부 케어 기기(100)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상기 감지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기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2)을 통해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피부 케어 기기(100)는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전달받아 특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케어 기기(100)가 측정한 피부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이를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피부 상태 변화의 경향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다시 피드백 하여 피부 케어 기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케어 기기(100)에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의 근거리 통신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이 중, 피부 케어 기기(100)에 구비된 NFC 모듈은 10cm 안팎의 거리에서 단말 간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NFC 모듈은 카드 모드, 리더 모드 및 P2P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기 위해서, 피부 케어 기기(100)는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안 모듈이란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예컨대,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SIM(Universal SIM)), Secure micro SD 및 스티커 등 물리적 매체일 수도 있고, 피부 케어 기기에 임베디드되어 있는 논리적 매체(예컨대, embeded SE(Secure element))일 수도 있다. NFC 모듈과 보안 모듈 사이에는 SWP(Single Wire Protocol)에 기반한 데이터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NFC 모듈이 카드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피부 케어 기기(100)는 전통적인 IC 카드처럼 저장하고 있는 카드 정보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NFC 모듈이 리더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피부 케어 기기는 외부의 태그(Tag)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이때, 피부 케어 기기가 태그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는 NFC 포럼에서 정하는 데이터 교환 포맷(NFC Data Exchange Format)으로 코딩될 수 있다. 아울러, NFC 포럼에서는 4개의 레코드 타입을 규정한다. 구체적으로, NFC 포럼에서는 스마트 포스터(Smart Poster), 텍스트(Text),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및 일반 제어(General Control) 등 4개의 RTD(Record Type Definition)를 규정한다.
NFC 모듈이 P2P(Peer-to-Peer) 모드로 운용되는 경우, 피부 케어 기기(100)는 다른 기기와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P2P 통신에는 LLCP(Logical Link Control Protocol) 가 적용될 수 있다. P2P 통신을 위해 피부 케어 기기(100)와 다른 외부 단말기 사이에는 커넥션(connection)이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생성되는 커넥션은 1개의 패킷을 교환하고 종료되는 비접속형 모드(connectionless mode)와 연속적으로 패킷을 교환하는 접속형 지향 모드(connection-oriented mode)로 구분될 수 있다. P2P 통신을 통해 데이터 및 블루투스, Wi-Fi 연결을 위한 셋업 파라미터 등이 교환될 수 있다. 다만, NFC 통신의 가용 거리는 짧으므로, P2P 모드는 크기가 작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정보 모듈(113)은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케어 기기(10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피부 케어 기기(10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2,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4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피부 케어 기기(100)에 구비된 카메라(121)는 특히 부착된 피부 표면 상태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가 구비된 경우 촬영된 피부 표면 상태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확인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2)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2)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피부 케어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2)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피부 케어 기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센싱부(130)는 피부 케어 기기(100) 내 정보, 피부 케어 기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30)는 근접센서(13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3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133, 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마이크로폰(microphone),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피부 케어 기기(100)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센싱부(130)는 피부 케어 기기(100) 내 정보, 피부 케어 기기(10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7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피부 케어 기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피부 케어 기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근접 센서(13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3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피부 케어 기기(100)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3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3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3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3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3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피부 케어 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 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4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피부 케어 기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4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7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70) 자체일 수 있다.
출력부(14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41), 음향 출력부(142), 햅틱 모듈(143), 광 출력부(14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피부 케어 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2)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피부 케어 기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1)는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41)는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피부 케어 기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5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5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피부 케어 기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60)는 피부 케어 기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피부 케어 기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피부 케어 기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피부 케어 기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피부 케어 기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70)에 의하여 상기 피부 케어 기기(10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메모리(16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과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피부 케어 기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80)는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피부 케어 기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8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피부 케어 기기(100)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부 케어 기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피부 케어 기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 형태의 피부 케어 중 광학식 및 열 에너지 전달 방식의 피부 케어가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자를 광 케어, 후자를 열 케어로 지칭한다.
하우징(1001) 일단에는 열 케어를 위한 발열부(210) 및 광 케어를 위한 광원부(220)가 구비될 수 있다.
발열부(210) 또는 광원부(220)는 하우징(1001)의 일단 제1 면(1002)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할 수 있다.
열전달 브라켓(211)은 발열부(210)에서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적으로 닿아 열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열전달 브라켓(211)은 하우징(1001)의 일단 외측 테두리를 따라 구비될 수 있다.
광전달 브라켓(221)은 광원부(220)에서 출사된 빛이 투과하여 사용자의 피부에 조사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광전달 브라켓(221)은 열전달 브라켓(211)의 내측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열전달 브라켓(211)까지의 열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열 에너지는 제1 기판(240)에 구비된 발열 패드(213)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제1 기판(240)의 발열 패드(213)에 의해 전기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전환된다.
발생된 열 에너지는 열전달 브라켓(211)으로 전달된다.
피부 케어 기기(100)에 구비된 온도 센서(212)는 피부 케어 기기(100)의 온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발생된 열 에너지에 의해 장치의 부품이 손상될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열이 전달되어 피부에 손상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한 온도의 측정이 요구된다.
온도 센서(212)는 제1 기판(240)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기판(240)에서 발열 패드(213)가 구비된 영역을 회피하여 열전달 브라켓(21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열 케어의 실질적인 작용 온도를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적용되는 온도를 정확하게 알기 위함이다.
광전달 브라켓(221)의 내측에는 광원부(220)에서 빛을 출사하는 광원(222)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222)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광전달 브라켓(221)의 중심에는 제1 홀(223)이 생성되어 피부 측정 센서(230)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피부 측정 센서(230)는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를 통칭한다.
피부 측정 센서(230)의 일 예로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센서가 있을 수 있다.
BIA 센서는 저항 값을 측정함으로써 체수분 및 지방량 등을 측정한다.
피부 측정 센서(230)를 통해 측정한 체수분 및 지방량 등을 통해 피부 케어 기기(100) 피드백을 받고, 그에 맞는 관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 케어 및 광 케어 각각의 구동 시간을 조절하거나, 서로의 구동 시간 비율 및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피부 측정 센서(230) 결과를 토대로 수동으로 발열부(210) 또는 광원부(220)를 선택적으로 기능하게 하거나 또는 동시에 양 구성이 기능하도록 제어부(17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측면도이다.
피부 케어 기기(100)의 하우징(1001)은 상기 구성들을 실장 또는 구비한다.
하우징(1001)은 일단이 전방을 포함하는 일 측방으로 휘어진 만곡부(1003)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영역인 파지부(1004)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우징(1001)의 일단이 휘어져 구비되어 제1 면(1002)이 파지부(1004)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A도 기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A도는 특히 45도가 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피부 케어 기기(100)의 파지부(1004)를 잡고 앞으로 손을 뻗을 필요 없이 적당한 얼굴 아래 영역 근처에서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도 2의 A-A' 방향 단면도 일부이다.
광전달 브라켓(221)의 내측에는 광원(222)을 포함한 광 케어를 위한 구조가 실장될 수 있다. 광원(222)은 제1 기판(240)에 실장되어 빛을 출사할 수 있다. 광원(222)을 통해 출사된 빛은 광전달 브라켓(221)을 통해 피부 케어 기기(100) 제1 면(1002) 밖으로 관통하여 출사될 수 있다.
광전달 브라켓(221)은 광 투과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투명 또는 반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광전달 브라켓(221)의 내측면은 빛이 내측으로 반사되지 않고 제1 면(1002) 바깥으로 출사되어 손실되는 광 에너지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내측에 광 가이드부(224)를 구비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24)는 외측으로 경사진 복수의 경사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광 가이드부(224)는 부채꼴로 펼쳐진 빗살 무늬 패턴으로 형성되어 출사된 빛이 사방으로 뻗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 일부를 제1 면(1002)에서 바라본 것이다.
경사 패턴은 제1 면(1002)을 정면으로 바라보았을 때 중심에서 외측으로 일정하게 뻗어나가는 부챗살 무늬로 형성되어 출사된 빛이 제1 면(1002)에 국한 되지 않고 더 넓은 면적으로 도달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의 광원(222) 배치에 관한 몇 가지 실시 예이다.
광원부(220)의 광원(222)은 파장을 달리하는 복수개의 광원(222)을 구비하여 다양한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서는 적색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의 두 가지 파장 영역대의 복합적인 광원부(220)를 가질 수 있다. 적색 광원은 630~670nm 범위의 파장을, 근적외선 광원은 800~1000nm 범위의 파장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적색 광원은 염증 치료, 자외선 저항력 등의 피부 케어 및 치료 효과를 갖고 있으며, 근적외선 광원은 피부 흉터를 방지하고 색소 침착 방지 등의 효과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적색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이 구비된 것을 예로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른 파장 영역의 광원(222) 또는 세 파장 영역 이상의 광원(22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적색 광원 및 근적외선 광원은 최소한의 개수로 구비되어 최대한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는 배치 및 개수가 고려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도 7(b)의 형태인 적색 광원인 제1 광원부(222a) 4개, 근적외선 광원인 제2 광원부(222b) 8개가 구비된 경우가 가장 효율적인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1 광원부(222a) 4개의 사이에 제2 광원부(222b) 8개 중 2개씩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 패턴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파장 범위가 상대적으로 특정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 다양한 파장대의 광원이 구비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높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광원을 제1 광원부(222a), 낮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광원을 제2 광원부(222b)로 일반화 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제1 광원부(222a) 또는 제2 광원부(222b)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100)에 관련하여 제1 면(1002)에서 바라본 광원(222)의 출사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a)은 도 7(b) 배열의 광원부(220) 중 적색 광원에 의해 도 8(b)는 도 7(b) 배열의 광원부(220) 중 근적외선 광원에 의해 출사된 광원(222)이 닿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나머지 비교군인 도 7(a), 7(c) 및 7(d)에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넓은 피부 영역에 광원(222)의 효과가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9는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100)의 일부 후면 사시도이다.
피부 측정 센서(230)는 제1 기판(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 측정 센서(230)가 제1 기판(240)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실장되는 경우 제1 기판(240)에서 발생하는 열이 그대로 전달되어 센싱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도 있고, 부품의 내구도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발열부(210) 및 광원부(220)에 의해 제1 기판(240)에서 발생한 열이 피부 측정 센서(230)로 전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피부 측정 센서(230)의 내측 일단은 제1 기판(240)과 물리적으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격된 구조는 제1 기판(240)에서 발생한 열이 피부 측정 센서(230)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피부 측정 센서(230)는 도 2와 같이 제1 기판(240)에 고정되지 않고 전술한 광전달 브라켓(221)의 제1 홀(223)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피부 측정 센서(230)는 제1 기판(240)과 연결 도선(231)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도선(231)은 피부 측정 센서(230)의 일단면에 연결되어 제1 기판(240)에 형성된 제2 홀(241)을 지나 제1 기판(240)의 배면에 결합할 수 있다. 연결 도선(231)은 고정 스크류(232)를 통해 피부 측정 센서(230)와 고정될 수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피부 케어 기기(100)의 일 실시 예이다.
제1 기판(240)과 피부 측정 센서(230)가 서로 접하지 않도록 하는 또 다른 형태의 실시 예로서, 피부 측정 센서(230)는 제1 기판(240)이 아닌 제2 기판(250)에 실장될 수도 있다.
피부 측정 센서(230)는 제2 기판(250)에 결합하기 위해 제1 기판(240)의 제2 홀(241)을 관통할 수 있다. 도 9의 실시 예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이가 연장된 피부 측정 센서(230a)의 형태를 띨 수 있다.
제2 기판(250)은 전자적 부품을 실장하는 구조로서 제1 기판(240)과 유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피부 케어 기기(100)의 일부를 분해한 후면 사시도이다.
피부 케어 기기(100)의 온도 상승 원인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열 케어를 위한 발열 패드(213)에 의한 이유 및 광 케어를 위한 광원(222)의 구동에 의한 이유 등이 있다.
열 케어를 위한 발열 패드(213)의 온도 상승은 필요한 것이나, 광 케어를 위해 광원(222)을 구동하여 발생하는 열은 의도하지 않은 발열이 된다.
또한 열 케어를 위한 온도 상승의 경우에도 필요 이상으로 과열되거나 불필요한 영역에 열전달이 되는 것 또한 방지할 필요가 있다.
방열판(261)을 구비한 방열부(260)는 제1 기판(240), 특히 광원(222)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방열부(260)의 방열단자(262)는 열전달 브라켓(211)의 접합부(225)에 고정되고 제1 기판(240)의 방열 접촉부(242)에 접하여 제1 기판(240)에서 발생한 열을 방열판(261)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기판(240)은 특히 광원부(220) 중 적색 광원에 의한 온도 상승 요인이 높다. 적색 광원은 파장이 낮아 상대적으로 높은 열에너지를 낸다. 따라서 방열 접촉부(242)는 적색 광원이 위치한 지점의 배면 부근에 구비되어 가장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따라서 적색 광원이 도 7(b)의 실시 예와 같이 형성되는 경우, 방열 접촉부(242)는 제1 기판(240)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적색 광원에 대응되는 영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대적으로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파장 영역의 제1 광원부(222a)에 대응되는 영역에 방열 접촉부(242)가 형성될 수 있다.
방열단자(262)는 제1 기판(240)의 회로 등의 공간의 제약상 제1 기판(240) 전체 면적의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구비 가능하므로, 방열판(261)이 방열단자(262)보다 넓은 면적으로 구비되어 방열단자(262)로부터 전달 받은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할 수 있다.
전술한 발열 패드(213)는 열전달 브라켓(211)의 접합부(225) 또는 방열단자(262)와 접하지 않도록 회피되어 제1 기판(240)에 구비됨으로써 열 케어를 위한 열전달 브라켓(211)으로의 발열 경로와 광 케어로 인한 열 발생의 방열 경로를 최대한 분리시킬 수 있다.
방열판(261)은 도 4의 만곡부(1003)를 갖는 하우징(1001)의 형상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가급적 넓은 면적으로 구비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방열판(261)은 제1 기판(240)과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피부 케어 기기 1001: 하우징
1002: 제1 면 1003: 만곡부
1004: 파지부 210: 발열부
211: 열전달 브라켓 212: 온도 센서
213: 발열 패드 220: 광원부
221: 광전달 브라켓 222: 광원
222a: 적색 광원 222b: 근적외선 광원
223: 제1 홀 224: 광 가이드부
225: 접합부 230: 피부 측정 센서
231: 연결 도선 232: 고정 스크류
230a: 길이 연장 피부 측정 센서 240: 제1 기판
241: 제2 홀 242: 방열 접촉부
250: 제2 기판 260: 방열부
261: 방열판 262: 방열단자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일단에 구비된 열전달 브라켓;
    상기 하우징 일단에 실장된 광원부;
    광 투과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광원부를 커버하는 광전달 브라켓;
    상기 광전달 브라켓에 형성된 제1 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피부 측정 센서; 및
    상기 광원부를 실장하고 상기 피부 측정 센서와 이격 구비된 제1 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측정 센서는 BIA(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2 홀을 통해 상기 피부 측정 센서 및 상기 제1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하부에 구비된 제2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피부 측정 센서는 상기 제1 기판에 형성된 제2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제2 기판에 실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의 양측에 구비된 전도성 방열 접촉부; 및
    상기 제1 기판과 경사를 이루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방열 접촉부에 접하는 방열단자를 포함하는 방열부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의 가시광선 영역에 대응되는 제1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 접촉부는 상기 제1 광원부에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일단의 테두리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광전달 브라켓은 상기 열전달 브라켓 내측 영역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달 브라켓의 내측면에는 빗살무늬 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는,
    적색의 가시광선 영역에 대응되는 4개의 제1 광원부; 및
    근적외선 영역에 대응되는 8개의 제2 광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제1 광원부는 상기 제1 기판 상에 원형으로 배열되고, 상기 8개의 제2 광원부는 상기 제1 광원부 사이에 상기 원형을 따라 2개씩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부 및 상기 제2 광원부에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전압을 인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케어 기기.
KR1020160128990A 2016-10-06 2016-10-06 피부 케어 기기 KR10260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90A KR102609766B1 (ko) 2016-10-06 2016-10-06 피부 케어 기기
PCT/KR2017/002850 WO2018066778A1 (ko) 2016-10-06 2017-03-16 피부 케어 기기
US16/339,221 US11383096B2 (en) 2016-10-06 2017-03-16 Skin car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990A KR102609766B1 (ko) 2016-10-06 2016-10-06 피부 케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200A true KR20180038200A (ko) 2018-04-16
KR102609766B1 KR102609766B1 (ko) 2023-12-05

Family

ID=6183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990A KR102609766B1 (ko) 2016-10-06 2016-10-06 피부 케어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83096B2 (ko)
KR (1) KR102609766B1 (ko)
WO (1) WO201806677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433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아모센스 피부 미용기기
KR102343357B1 (ko) * 2020-11-24 2021-12-28 한국광기술원 Led 광패치와 이를 이용하는 피부케어 진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410B1 (ko) * 2017-06-19 2018-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부 관리 기기
USD999392S1 (en) * 2018-01-01 2023-09-19 Rooijakkers Huisman L S Vibrator
US11266345B2 (en) * 2018-07-16 2022-03-08 Swift Medical Inc. Apparatus for visualization of tissue
USD895828S1 (en) * 2018-07-24 2020-09-08 Ian Peter Marshall Vibrator
US20220203116A1 (en) * 2019-04-25 2022-06-30 Amosense Co., Ltd. Skin care device
USD914903S1 (en) * 2019-11-04 2021-03-30 Shenzhen Boyuan Intelligent Electronic Technology Co., Ltd Beauty instrument
USD950748S1 (en) * 2020-04-15 2022-05-03 Shenzhen Jingrui Technology Co., Ltd. Blackhead remover
USD983387S1 (en) * 2021-04-28 2023-04-11 Pollogen Ltd. Skin treatment device applicator
USD983982S1 (en) * 2021-04-28 2023-04-18 Pollogen Ltd. Skin treatment device applicator
USD983386S1 (en) * 2021-04-28 2023-04-11 Pollogen Ltd. Skin treatment device applicator
USD983385S1 (en) * 2021-04-28 2023-04-11 Pollogen Ltd. Skin treatment device applic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417B1 (ko) * 2013-08-16 2014-05-07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피부 미용기
KR20150129971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두테크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KR20160026234A (ko) * 2014-08-29 2016-03-09 (주)코스메디션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KR101705067B1 (ko) * 2015-10-19 2017-02-09 (주)네추럴리즘 피부관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13480B2 (en) * 2004-10-02 2012-11-20 Joseph Neev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disorders with thermal energy
KR200397736Y1 (ko) * 2005-07-26 2005-10-06 조현진 손발 피부 관리장치
JP2009542330A (ja) * 2006-06-27 2009-12-03 パロマー・メデイカル・テクノロジー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手持ち光美容装置
KR100787874B1 (ko) * 2006-08-24 2007-12-27 (주)나노테크 피부관리기
JP2009028267A (ja) * 2007-07-26 2009-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光照射美容器具
US20100196343A1 (en) * 2008-09-16 2010-08-05 O'neil Michael P Compositions,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skin care
US8435273B2 (en) * 2010-07-21 2013-05-07 Myk Wayne Lum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US20150112411A1 (en) * 2013-10-18 2015-04-23 Varaya Photoceuticals, Llc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compositions, methods and systems
KR101504885B1 (ko) * 2014-11-05 2015-03-23 조성찬 옥과 근적외선 엘이디를 구비한 피부 미용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2417B1 (ko) * 2013-08-16 2014-05-07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피부 미용기
KR20150129971A (ko) * 2014-05-12 2015-11-23 주식회사 두테크 모바일 기기 결합식 피부미용기기
KR20160026234A (ko) * 2014-08-29 2016-03-09 (주)코스메디션 다기능 경피 흡수 미용기기 및 피부 미용방법
KR101705067B1 (ko) * 2015-10-19 2017-02-09 (주)네추럴리즘 피부관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5433A (ko) * 2019-04-25 2020-11-04 주식회사 아모센스 피부 미용기기
KR102343357B1 (ko) * 2020-11-24 2021-12-28 한국광기술원 Led 광패치와 이를 이용하는 피부케어 진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WO2022114397A1 (ko) * 2020-11-24 2022-06-02 한국광기술원 Led 광패치와 이를 이용하는 피부케어 진단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766B1 (ko) 2023-12-05
WO2018066778A1 (ko) 2018-04-12
US11383096B2 (en) 2022-07-12
US20200046999A1 (en) 2020-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766B1 (ko) 피부 케어 기기
KR102628092B1 (ko) 피부 케어 기기
US10799697B2 (en) Skin care device
KR102196717B1 (ko) 피부 케어 기기
US10732574B2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2161645B (zh) 移动电子设备
KR20180016866A (ko) 와치타입 단말기
KR102656806B1 (ko) 와치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99709B1 (ko) 피부 케어 기기 및 그의 피부 측정 방법
US10595407B2 (en) PCB laminated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170010704A (ko) 와치 타입 단말기
KR20170114615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54595B1 (ko) 전자장치
KR20190008067A (ko) 이동 단말기
KR20180116188A (ko) 생체 센서 및 생체 센서를 포함하는 장치
KR102309293B1 (ko) 심전도 신호를 기초로 인증을 수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97506A (ko) 피부 측정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575590B2 (en) Input method and input apparatus
KR20180033976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00341543A1 (en) Wearable device
KR102597823B1 (ko) 먼지 측정 장치
WO2022045575A1 (ko) 광음향 특성에 기반한 위조 지문 판단 방법 및 장치
Zhang et al. Easily-add battery-free wireless sensors to everyday objects: system implementation and usability study
KR20230090104A (ko) 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190098377A (ko) 광모듈,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무선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