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459B1 -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 Google Patents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459B1
KR102044459B1 KR1020180133914A KR20180133914A KR102044459B1 KR 102044459 B1 KR102044459 B1 KR 102044459B1 KR 1020180133914 A KR1020180133914 A KR 1020180133914A KR 20180133914 A KR20180133914 A KR 20180133914A KR 102044459 B1 KR102044459 B1 KR 10204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accommodation space
flanger
spring
inj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재
Original Assignee
이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재 filed Critical 이일재
Priority to KR1020180133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1/00Arrangements for supplying grease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Grease c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압력변동을 이용하여, 구리스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구체적으로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1수용공간(101)을 형성하며, 가압기(110)가 장착된 구리스저장기(100);,내부에 구리스가 수용된 제2수용공간(201)을 형성하며, 일측에 맥동공급기(210)가 장착된 구리스공급기(200);,상기 구리스공급기와 연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구리스배출구(300);,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를 연통하는 메인연통관(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구리스 자동주입장치{Apparatus for feeding grease}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압력변동을 이용하여, 구리스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특허발명 001은 그리스 펌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그리스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그리스가 저장된 그리스 저장통; 상기 그리스 저장통의 그리스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 측에 방사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그리스 저장통 내의 그리스를 펌핑하는 복수의 그리스 펌핑유닛; 상기 각 그리스 펌핑유닛측에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공급배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편심회전하고, 상기 복수의 그리스 펌핑유닛을 구동시키는 편심캠; 및 상기 편심캠을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한다.
특허발명 002는 진공 챔버 내 LM 레일상으로 챔버 개방 없이 그리스를 자동으로 공급 하는 그리스 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진공 챔버 내에 그리스 수용환경이 ATM 대기 상태를 가지도록 기밀이 유지되는 공급하우징을 설치하고 공급하우징 내에 그리스 공급수단을 설치하여 진공 환경 내의 LM 레일 상으로 그리스가 공급되도록 구성함으로써 LM 레일에 그리스를 도포하기 위해 진공 챔버를 개방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구리스 통 내부에 잔량 없이 공급 가능한 구리스 자동 주입장치를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구리스 통을 받쳐주는 구리스 통 받침판과; 상기 구리스받침판의 상면 일측에 위치되어 상방으로 일정 높이만큼 입설되어 있고 중공형 단면을 갖는 주입기컬럼과; 상기 주입기컬럼의 전면에 위치되어 상하로 일정 구간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수직 이송대와; 상기 수직 이송대의 상부측에 고정되어 수평 배치되어 있는 구동모터 취부대과; 하면에 수직 하방으로 형성된 구리스 흡입포트, 구리스 흡입포트에 직교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피스톤 작동실, 피스톤 작동실의 말단에서 연통되어 확장되어 있는 구리스압축실, 구리스압축실에 수직 상방으로 연통된 구리스 배출포트를 갖고 상기 구동모터 취부대의 하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피스톤 하우징과;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 중앙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있는 캠축과; 상기 구동모터 취부대에 장착되어 상기 캠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피스톤작동실에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캠축의 매 회전마다 피스톤 하우징의 반경 방향에서 진퇴운동하면서 구리스 흡입포트에 구리스흡입력을 구리스 압축실에는 구리스압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구리스 통보다 작은 직경과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피스톤 하우징의하면에 장착되어 있는 원통형의 스크류케이싱과; 상기 스크류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고, 동시에 캠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구동모터의 회전시 구리스통내의 구리스를 상방으로 펌핑시키는 구리스 펌핑스크류;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동모터와 연결된 링크의 구동에 의해 외통속에 삽입된 작동봉은 상하로 승강되면서 구리스를 공간부에 충전시킴과 아울러 공간부에 충전된 구리스는 압축 슬라이더와 밀폐 슬라이더의 작용에 의해 압축되면서 샤프트에 결합된 토출 캡을 통하여 구리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0888024 B1 (등록일자 2009년03월03일) KR 10-2012-0097019 A (공개일자 2012년09월03일) KR 10-2017-0025224 A (공개일자 2017년03월08일) KR 20-0380118 Y1 (등록일자 2005년03월19일)
본 발명은 유압발생장치의 유압압력변동을 이용하여, 구리스를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구체적으로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1수용공간(101)을 형성하며, 가압기(110)가 장착된 구리스저장기(100);,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2수용공간(201)을 형성하며, 일측에 맥동공급기(210)가 장착된 구리스공급기(200);, 상기 구리스공급기와 연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구리스배출구(300);,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를 연통하는 메인연통관(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통관(400)에 설치되는 제1체크밸브(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리스 배출구(300)에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6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110)는 상기 제1수용공간(101)내주연에 장착되는 제1플렌저(111);, 상기 제1수용공간을 일측을 폐쇄하는 캡(112);, 상기 제1플렌저 및 캡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프링(1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발명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맥동공급기(210)는 상기 제2수용공간 내주연에 장착되며, 제2수용공간을 양분하는 제2플렌저(211);, 상기 제2수용공간 중 일측에 연통되는 유압공급구(21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반복적인 외부압력을 이용하여 간헐적인 구리스공급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리스 교체 및 드레인과정 중, 구리스의 역류가 발생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구리스 점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외부에서 사용자가 구리스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내부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유압발생쟁치, 구리스사용장치의 관계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압력관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실시예의 인용관계는 기술적 이해를 돕고자 제시한 번호에 불과할 뿐이며, 기타 인용하지 않은 다른 실시예를 인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명시되지 않은 구성이어도 유사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에 명시하지 않은 하위개념 구성이어도 명시된 것으로 간주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1수용공간(101)을 형성하며, 가압기(110)가 장착된 구리스저장기(100);,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2수용공간(201)을 형성하며, 일측에 맥동공급기(210)가 장착된 구리스공급기(200);, 상기 구리스공급기와 연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구리스배출구(300);,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를 연통하는 메인연통관(4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1 참조>
본 발명은 구리스를 자동공급하는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 상기 장치는 구리스저장기 및 구리스공급기로 형성된다. 상기 구리스저장기 내부에는 구리스를 수용하는 제1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가압기를 장착한다. 상기 구리스공급기 내부에는 구리스를 수용하는 제2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에는 맥동공급기가 장착된다. 상기 제1수용공간에 수용된 구리스는 가압기로부터 연속공급되며, 연속공급된구리스는 맥동공급기에 의해 간헐적으로 구리스를 공급한다. 상기 맥동공급기는 브레이커와 같은 유압발생장치(222)의 밸브로부터 발생된 교번압력을 공급받으며, 상기 교번압력에 의해 맥동공급기를 작동시킨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구리스저장기(100)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200)는 일체형 하우징에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1-3]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는 각각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으로 분리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음>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는 일체형 및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하나의 케이스에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를 형성한다. 분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에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가 분리 형성된다. 분리형으로 형성될 경우, 통상의 구리스공급장치와 구리스공급기를 메인연통관(400)으로 체결할 수 있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3에 있어서,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은 체결수단으로 탈착가능한 것;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음>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체결을 사용하거나, 이와 균등한 대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5]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공간(101)타측에 형성되며, 개폐 가능한 드레인 홀(102);, 상기 드레인홀에 탈착되는 구리스닛플(103);, 상기 드레인 홀 및 구리스닛플은 나사 결합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제1수용공간에의 구리스를 배출 또는 공급하기 위해, 드레인 홀을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 홀은 구리스닛플로 폐쇄된다. 구리스의 외부방출을 위해, 구리스닛플을 개방하며, 제1플렌저(111)를 가압하여, 잔류된 구리스를 드레인 홀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1수용공간 내부에 구리스를 공급하기 위해 구리스닛플을 통해 구리스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홀 및 구리스닛플은 나사 체결됨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대상으로 치환하여 설치할 수 있다.
[실시예 1-6]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일체형하우징, 제1하우징, 제2하우징)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판(120);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1-7]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 내지 1-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일체형하우징, 제1하우징, 제2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열장치(130) 및 온도제어장치(140);를 포함한다. <도1 참조>
구리스는 외부온도에 따라 점성이 변화될 수 있다. 겨울철 점성이 낮은 경우, 구리스 배출이 원활하지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하우징 외부에는 단열판(120)을 장착하며, 또는 가열장치(130) 및 온도제어장치(140), 온도센서(15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온도센서 신호를 실시간으로 입력 받으며, 상기 가열장치를 필요에 따라 작동시킨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통관(400)에 설치되는 제1체크밸브(500);를 포함한다. <도1, 도3 참조>
상기 구리스는 메인연통관을 통해 구리스공급기로 이동된다. 구리스 역류 방지를 위해, 메인연통관에는 제1체크밸브를 형성한다. 따라서 구리스는 제1수용공간에서 제2수용공간으로만 이동 가능하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구리스연통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에 단차(512)가 형성된 제1밸브몸체(510);, 상기 단차내측에 걸쳐지는 볼(521);, 상기 볼을 지지하는 제1밸브스프링(522);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2-3]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내부에 구리스연통구(511)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에 단차(512)가 형성된 제1밸브몸체(510);, 상기 단차 내측에 걸쳐지는 제1밀폐플레이트(523);, 상기 밀폐플레이트와 일측과 결합된 제1힌지(524);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음>
구리스의 이동(제1수용공간에서 제2수용공간으로)을 위해, 제1, 2수용공간 사이의 메인연통관에는 제1체크밸브(500)를 장착한다. 상기 제1체크밸브 내부에는구리스 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는 단차를 형성하여 볼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볼은 제1수용공간의 압력이 제2수용공간의 압력보다 높을 경우, 연통구와 이탈되어 구리스를 공급한다. 반면 제2수용공간의 압력이 높을 경우, 연통구를 폐쇄하여 제2수용공간의 구리스가 제1수용공간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한다. 개방 및 폐쇄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제1밸브스프링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은 상기 제1스프링 이면과 접촉된 나사를 회전시켜, 나사의 진입정도에 따라 스프링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통구의 단차 일면에는 제1밀폐플레이트를 장착하며, 상기 제1밀폐플레이트는 제1체크밸브와 힌지결합된다. 상기 제1밀폐플레이트는 구리스의 흐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 연통구를 개폐할 수 있다. 이는 공간축소의 효과를 가지며, 상기 힌지에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장착하며, 코일스프링의 장력조절에 의해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구리스 배출구(300)에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600);를 포함한다. <도1, 도3 참조>
제2수용공간의 구리스는 구리스 배출구(300)를 통해 구리스사용장치(900)로 배출된다. 후술(실시예 5-1)되는 맥동공급기에 의해 주기적인 교번압력이 발생되며, 상기 교번압력에 의해 간헐적 배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배출은 제2체크밸브로부터 제어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내부에 구리스연통구(611)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에 단차(612)가 형성된 제2밸브몸체(610);, 상기 단차 일면에 걸쳐지는 볼(620);,상기 볼을 지지하는 제2밸브스프링(630);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3-3]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내부에 구리스연통구(611)가 형성되며, 상기 연통구에 단차(612)가 형성된 제2밸브몸체(610);, 상기 단차 일면에 걸쳐지는 제2밀폐플레이트(640);, 상기 밀폐플레이트와 일측과 결합된 제2힌지(650);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음.>
구리스의 배출을 위해,상기 배출구에는 제2체크밸브를 장착한다. 상기 제2체크밸브는 내부에 구리스연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연통구에는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단차내측에는 볼이 간섭되지며, 압력차에 의해 볼이 이동하여 구리스 배출을 제어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연통구의 단차 일면에는 제2밀폐플레이트를 힌지결합한다. 상기 제2밀폐플레이트는 구리스의 흐름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가 연통구를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110)는 상기 제1수용공간(101)내주연에 장착되는 제1플렌저(111);, 상기 제1수용공간을 일측을 폐쇄하는 캡(112);, 상기 제1플렌저 및 캡 사이에 위치하는 제1스프링(113);을 포함한다. <도1 참조>
구리스의 원활한 배출을 위해, 제1수용공간의 구리스는 일정한 압력 이상이 작용되어야 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수용공간 내부는 제1수용공간을 따라 이동하는 제1플렌저를 장착하며, 상기 제1플렌저 일측에는 제1스프링을 장착하여 제1스프링이 제1플렌저를 가압한다. 상기 제1플렌저는 캡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프링의 탄성회복력은 제1플렌저에 힘을 발휘하며, 상기 힘은 제1플렌저를 통해 구리스에 압력을 부여한다. 상기 스프링은 동일한 목적과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으로 치환될 수 있다. 구체적인 대상으로 에어튜브, 벨로우즈, 고무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캡에 형성되며, 관통형성된 에어벤트(114);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제1플렌저 이동에 따라 메인연통관 일측은 압력이 공급되지만, 타측은 체적이 증대되어 내부에 부압을 발생시킨다. 상기 부압은 제1플렌저의 이동을 저지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부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외부공기 진입용 에어벤트를 캡에 형성한다. 상기 에어벤트에 의해 제1수용공간 타측이 대기압 상태로 유지되며, 이는 제1플렌저의 이동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렌저 및 상기 제1수용공간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1실링(115);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4-4]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복수로 형성되며, 오링(115a)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음>
상기 제1플렌저 및 제1수용공간 내벽 사이에는 복수의 오링으로 실링한다. 이는 밀폐성을 유지하여 제1수용공간의 구리스가 압력에 의해 누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4-5]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실링은 내유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내유성 소재는 폴리클로로프렌고무, 니트릴고무, 다황화물계고무, 플루오로고무, 우레탄고무, 아크릴고무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은 구리스와 접촉된다. 따라서, 팽윤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실링은 내유성소재를 사용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미케니컬씰을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7]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렌저 원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수용공간 내측벽과 접촉되는 플렌저가이드(116)를 포함한다. <도1 참조>
제1플렌저는 상기 제1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동된다. 제1플렌저의 이동과정 중 수평위치가 균일하게 유지되어야 된다. 수평위치가 유지되지 않을 경우, 제1플렌저 또는 제1수용공간 내측은 마멸손상을 발생시키며, 또는 제1플렌저의 작동을 불가능하게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플렌저 및 제1수용공간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킬 필요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제1플렌저 일측에는 제1수용공간 내측벽과 접촉되는 플렌저가이드를 연장하여 형성한다.
[실시예 4-8]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플렌저에 연장 형성되는 연장봉(117);, 상기 캡에 관통되며, 상기 연장봉을 삽입하는 가이드홀(118);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실시예 4-9]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8에 있어서, 상기 연장봉에 형성된 표기(117a);를 포함한다. <도1 참조>
제1수용공간의 구리스량을 확인하기 위해, 연장봉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봉의 외부돌출 정도에 따라 구리스량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1플렌저에 연장봉을 형성한다. 상기 연장봉은 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연장봉에는 색 및/또는 눈금으로 표기하며, 제1플렌저의 이동 정도를 용이하게 가늠할 수 있다.
[실시예 4-10]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은 비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제1스프링은 반드시 비선형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효율성향상을위해, 비선형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비선형 스프링 사용에 대하여 제시한다. 물 및 공기와 달리 구리스는 점성체 이므로 유동성이 제한되며, 따라서 구리스 량에 따라 외부하중에 따른 내부압력의 차이가 존재한다. 즉, 제1수용공간 내부 구리스 량에 따라, 제1스프링의 작용하중은 비선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배출압력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1스프링은 비선형 스프링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1수용공간의 구리스는 구리스 량 변화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정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비선형 스프링은 권선간격을 상이하게 하거나, 다단스프링을 사용하거나, 스프링 외형직경을 원뿔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비선형 스프링을 대신하여 어에튜브를 사용하거나 또는 에어튜브 및 스프링이 겸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 및 판스프링의 조합으로 비선형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4-1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제1스프링은 생략될 수 있다.
구리스 점성으로 발생된 제1플렌저 밀착력이 제1실링(115)의 마찰력 이상의 경우에는 제1스프링을 생략할 수 있다. 즉, 상기 밀착력에 의해 제1플렌저가 이동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이때 제2수용공간(201)의 부압크기에 영향을 받는다.
맥동공급구(212)에 최소압력(P3')이작용되면, 제2스프링(213)의 탄성력은 제2플렌저(211)를 이동시키며, 이때 제2수용공간(201)의 체적이 증가되어 부압을 형성한다. 상기 부압은 제1밸브스프링(522)을 압축시켜 구리스연통구(511)를 개방하며, 구리스연통구 개방은 제1수용공간(101)의 구리스를 제2수용공간(201)으로 이동시킨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맥동공급기(210)는 상기 제2수용공간 내주연에 장착되며, 제2수용공간을 양분하는 제2플렌저(211);, 상기 제2수용공간 중 일측에 연통되는 유압공급구(212);를 포함한다. <도1, 도3 참조>
제2수용공간은 제2플렌저로 양분되며, 일측은 구리스를 수용하며, 타측은 오일을 수용한다. 상기 구리스는 제1수용공간으로부터 진입되며, 상기 오일은 오일발생장치와 연통되어 채워진 것이다. 상기 제2수용공간의 타측은 오일발생장치로부터 압력변동이 발생된다. 상기 압력변동은 제2플렌저를 이동시키며, 상기 제2플렌저의 이동에 따라 구리스는 구리스사용장치로 배출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201)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제2플렌저(211)와 접촉되는 제2스프링(213);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제2플렌저의 이동을 탄성회복시키기 위해 제2플렌저 일측에는 제2스프링을 장착한다. 따라서, 제2스프링은 제2플렌저를 왕복하게 한다. 상기 스프링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용공간에 체결되는 마개(214);, 상기 마개와 나사결합되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된 구리스토출조절나사(215);를 포함한다. <도1 참조>
제2수용공간(201) 일측은 구리스 및 스프링에 의해 압력이 작용하며, 제2수용공간(201) 타측은 유압발생장치로부터 공급된 오일에 의해 압력이 작용된다. 또한, 제2플렌저는 양측의 일정한 압력으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 상기 제2수용공간 일측 및 타측의 초기설정 압력과 구리스토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제2수용공간 타측에는 구리스토출조절나사를 위치시킨다. 상기 조절나사는 제2플렌저를 가압하며, 따라서, 제2스프링은 일정량 탄성 변형된다. 상기 제2스프링의 탄성량을 조절하기 위해 조절나사를 회전시키며, 나사의 리드에 따라 돌출량이 변화되며, 상기 돌출량은 스프링의 초기 탄성변형량을 변화시킨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제2플렌저(211) 및 상기 제2수용공간(201) 내벽 사이에 위치하는 제2실링(216);을 포함한다. <도1 참조>
상기 제2실링은 제2플렌저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제2수용공간 내면과 밀착된다. 따라서 제2수용공간 일측 및 타측은 구분된다. 이는 오일 및 구리스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유압공급구와 연통되는 유압공급관(221);, 상기 유압공급관과 연통되는 유압발생장치(222);를 포함한다. <도1, 도2 참조>
제2수용공간 타측은 오일로 채워진다. 상기 오일은 유압발생장치와 연통된다. 유압발생장치의 오일은 유압공급관을 통해 맥동공급구로 전달되며, 제2수용공간 타측에 채워진다. 상기 유압발생장치는 중장비와 결합된 브레이커의 경우, 브레이커 밸브와 결합된다. 또한 이와 상응하는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 5-6]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봉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제2플렌저에 고정되는 몸춤봉(217);을 포함한다.
상기 멈춤봉(217)은 제2플렌저의 이동범위를 제한한다. 멈춤봉이 존재하지 않는경우, 제2플렌저는 제2스프링을 과도하게 압착하여 제2스프링의 파손을 유발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멈춤봉이 형성된다.
상기 멈춤봉 길이에 따라 제2스프링의 압축하중이 설정되며, 상기 압축하중은 스프링의 재료한계값을 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로서, 돌출부가 제2수용공간 내주연에 형성되어 제2플렌저의 작동한계를 구현한다. 상기 돌출부는 링형상을 취하여 제2수용공간 내주연에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제2수용공간이 단차를 형성하여 상기 단차면에 의해 제2플렌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면 생락>
[실시예 6-1] 본 발명은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대한 것이며, 앞에서 제시한 발명들에 있어서, 제1수용공간의 구리스는 제1플렌저 면적(A1)에 작용하는 제1스프링 힘(F1)으로 압력(P1)을 발생시키며, 상기 압력(P1)은 메인연통관면적(A2)의 곱으로 구리스분출력(F2)을 발생시킨다.
제1체크밸브(500)의 볼은 제1밸브스프링 탄성력(F3)를 받는다. 메인연통관의구리스분출력(F2)은 유압발생장치(222)가 작동하지 않은 때(System Off) 구리스 공급을 차단하기 위해, 제1밸브스프링 탄성력(F3)보다 항상 작아야 된다.
또한 제2체크밸브(500)의 볼은 제2밸브스프링 탄성력(F4)를 받는다. 상기 구리스분출력(F3)은 유압발생장치(222)가 작동하지 않을 때(System Off)는 구리스 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2밸브스프링 탄성력(F4)보다 항상 작아야 된다.
반면 유압발생장치(222)가 작동시(System On)는 오일압력(P4)은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고 반복적인 교번하중을 발생시킨다.
상기 교번하중 중 최대하중으로 발생되는 최대압력(P3)은 분출압력(P4)를 발생시키며, 상기 분출압력으로 발생된 분출력(F5)는 구리스 공급을 위하여 제2체크밸브의 제2밸브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하중(F4)보다 크게 작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교번하중중 최소하중으로 발생되는 최소압력(P3')은 분출압력(P4')을 발생시키며, 상기 분출압력으로 발생된 분출력(F5')은 구리스 공급을 차단하기 위하여 제2체크밸브의 제2밸브스프링에서 발생되는 하중(F4)보다 작게 작용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오일압력(P3)의 최소압력 및 최대압력의 변화에 따라 제2체크밸브의 작동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며, 이는 구리스를 간헐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 도3 참조>
100 : 구리스저장기 101 : 제1수용공간
102 : 드레인 홀 103 : 구리스닛플
110 : 가압기 111 : 제1플렌저
112 : 캡 113 : 제1스프링
114 : 에어벤트 115 : 제1실링
116 : 플렌저가이드 117 : 연장봉
118 : 가이드홀 120 : 단열판
130 : 가열장치 140 : 온도제어장치
200 : 구리스공급기 201 : 제2수용공간
210 : 맥동공급기 211 : 제2플렌저
212 : 맥동공급구 213 : 제2스프링
214 : 마개 215 : 멈춤나사
216 : 제2실링 217: 멈춤봉
221 : 유압공급관
222 : 유압발생장치 300 : 구리스배출구
400 : 메인연통관 510 : 제1밸브몸체
511 : 구리스연통구 512 : 단차
521 : 볼 522 : 제1밸브스프링
523 : 제1밀폐플레이트 524 : 제1힌지
600 : 제2체크밸브 610 : 제2밸브몸체
611 : 구리스연통구 612 : 단차
620 : 볼 630 : 제2밸브스프링
640 : 제2밀폐플레이트 650 : 제2힌지
900 : 구리스사용장치

Claims (5)

  1. 구리스 자동주입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구리스(G)가 수용된 제1수용공간(101)을 형성하며, 가압기(110)가 장착된 구리스저장기(100);,
    내부에 구리스가 수용된 제2수용공간(201)을 형성하며, 일측에 맥동공급기(210)가 장착된 구리스공급기(200);,
    상기 구리스공급기와 연통된 구멍을 형성하는 구리스배출구(300);,
    상기 구리스저장기 및 상기 구리스공급기를 연통하는 메인연통관(400);,
    하우징 외부에 형성되는 단열판(120);,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가열장치(130) 및 온도제어장치(140);,
    상기 가압기(110)는 상기 제1수용공간(101)내주연에 장착되는 제1플렌저(111);,
    상기 제1수용공간을 일측을 폐쇄하는 캡(112);,
    상기 제1플렌저 및 캡 사이에 위치하며 비선형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제1스프링(113);,
    상기 제1플렌저 및 상기 제1수용공간 내벽 사이에 위치하며, 내유성 소재로 형성되는 제1실링(115);,
    상기 맥동공급기(210)는 상기 제2수용공간 내주연에 장착되며, 제2수용공간을 양분하는 제2플렌저(211);,
    상기 제2수용공간 중 일측에 연통되는 유압공급구(212);,
    상기 제2수용공간(201)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제2플렌저(211)와 접촉되는 제2스프링(213);,
    봉형상이며, 일측이 상기 제2플렌저에 고정되는 몸춤봉(217);,
    상기 제2수용공간에 체결되는 마개(214);,
    상기 마개와 나사결합되며, 제2수용공간으로 돌출된 구리스토출조절나사(215);,를 포함하는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연통관(400)에 설치되는 제1체크밸브(500);
    를 포함하는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리스 배출구(300)에 설치되는 제2체크밸브(600);
    를 포함하는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3914A 2018-11-02 2018-11-02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KR10204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14A KR102044459B1 (ko) 2018-11-02 2018-11-02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914A KR102044459B1 (ko) 2018-11-02 2018-11-02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459B1 true KR102044459B1 (ko) 2019-12-02

Family

ID=6884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914A KR102044459B1 (ko) 2018-11-02 2018-11-02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4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106A (ko) * 2003-06-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그리스 주입장치
KR200380118Y1 (ko) 2004-10-25 2005-03-25 홍국선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
KR100537082B1 (ko) * 2005-03-14 2005-12-19 이기호 플런저 펌프식 가압기를 가진 그리스 자동 주입장치
KR100888024B1 (ko) 2007-11-29 2009-03-10 정세용 그리스 펌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JP2010053952A (ja) * 2008-08-28 2010-03-11 Kubota Corp 作業車
KR20120097019A (ko) 2011-02-24 2012-09-03 브룩스오토메이션아시아(주) 진공 챔버 내 그리스공급장치
KR20170025224A (ko) 2015-08-28 2017-03-08 세진 윤활시스템(주) 구리스 자동 주입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5106A (ko) * 2003-06-05 2004-1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그리스 주입장치
KR200380118Y1 (ko) 2004-10-25 2005-03-25 홍국선 자동 구리스 주입장치
KR100537082B1 (ko) * 2005-03-14 2005-12-19 이기호 플런저 펌프식 가압기를 가진 그리스 자동 주입장치
KR100888024B1 (ko) 2007-11-29 2009-03-10 정세용 그리스 펌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급장치
JP2010053952A (ja) * 2008-08-28 2010-03-11 Kubota Corp 作業車
KR20120097019A (ko) 2011-02-24 2012-09-03 브룩스오토메이션아시아(주) 진공 챔버 내 그리스공급장치
KR20170025224A (ko) 2015-08-28 2017-03-08 세진 윤활시스템(주) 구리스 자동 주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7546B1 (ko) 재료 공급 장치
US4583920A (en) Positive displacement diaphragm pumps employing displacer valves
RU2006141599A (ru) Многоцилиндровый насос с гидроприводом
KR102323915B1 (ko) 점성 물질용 비움 장치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
US10502366B2 (en) Oil injection apparatus
AU754511B2 (en) Pump
KR102044459B1 (ko) 구리스 자동주입장치
KR100915519B1 (ko) 재료 공급 장치
US3314365A (en) Direct acting variable pump
US5032063A (en) Precision fluid pump
KR101063018B1 (ko) 공기 가압식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US6260577B1 (en) System for the transfer of reactive resins components from a remote source to the point of application
US2294705A (en) Barrel pump
US20200188950A1 (en) Fluid dispenser with zero displacement sealing device
KR100208414B1 (ko) 종자의 겔피복가공장치에서의 가공부
US20160231157A1 (en) Metering device for delivery of a liquid or viscous substance
CN107089632B (zh) 洗衣房液体分配器
RU90119U1 (ru) Насос-дозатор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CN112238035A (zh) 一种用于向工件内壁涂覆液体的装置及方法
KR200373914Y1 (ko) 저맥동 왕복동 펌프
KR100449966B1 (ko) 액상커피 디스펜서용 커피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08772B1 (ko) 윤활유 주입장치
KR100460985B1 (ko) 유압브레이커를 위한 윤활유 자동공급장치
US20130139682A1 (en) Single Sided, Dual Plunger Pump
KR100539024B1 (ko) 저맥동 왕복동 펌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