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17B1 - 도어 스토퍼 - Google Patents

도어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117B1
KR102044117B1 KR1020190022870A KR20190022870A KR102044117B1 KR 102044117 B1 KR102044117 B1 KR 102044117B1 KR 1020190022870 A KR1020190022870 A KR 1020190022870A KR 20190022870 A KR20190022870 A KR 20190022870A KR 102044117 B1 KR102044117 B1 KR 10204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etachable
inclined portion
uni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금열
Original Assignee
유금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금열 filed Critical 유금열
Priority to KR1020190022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117B1/ko
Priority to PCT/KR2019/014889 priority patent/WO2020175763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1Feedback to user, e.g. tactile
    • E05Y2400/818Visua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larm System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의 하부면의 틈새에 끼워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을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끼워지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어의 하부면을 고정시키는 부재와, 도어의 측면을 도어틀과 이격시킬 수 있는 부재를 하나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 스토퍼{DOOR STOPPER}
본 발명은 도어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의 하부 틈새 및 개방된 측면에 삽입되는 스토퍼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종래의 도어스토퍼는 방문의 하부와 방바닥면의 사이에 쐐기를 끼워 넣어 방문의 닫침을 예방하는 쐐기식과, 통상적으로 말굽형이라고 칭하는 것으로 도어에 브래킷을 설치한 뒤에 그 브래킷에 막대형 지지대의 상부를 힌지식으로 설치하여 지지대의 저면에 설치된 고무팁이 바닥면에 지지되면서 문의 닫침을 예방하는 말굽형 도어스토퍼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출원인의 명의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0543호(2017년 11월 22일 공고)는 복수의 사용패턴을 갖는 도어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열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도어스토퍼로서, 상기 도어스토퍼는 육면체 형상이고, 상기 도어스토퍼는 제1 걸림부들; 및 제2 걸림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은 육면체를 평면으로 볼 때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중 어느 하나의 축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나머지 하나의 축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2 걸림부들은 상기 X축 및 Y축에 수직한 Z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걸림부들이 연장된 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배치위치가 점차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제1 걸림부들과 평행한 축방향은 상기 Z축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제1 단위블록과 제2 단위블록이 결합되어 있어 각각 별개로 사용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도어의 폭 사이즈에 따라 도어의 측면을 고정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도어의 하부면을 고정시키고, 도어의 측면을 도어틀과 이격시킬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시판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어의 측면 폭에 따라 가변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도어에 설치가 가능한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표시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는 도어 스토퍼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의 하부면의 틈새에 끼워지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을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끼워지는 착탈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표시정보를 가변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제1 레일이 형성되는 제1 날개부와, 제2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날개부와 대향하는 제2 날개부와,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의 일측과 탈착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의 타측과 회동결합할 수 있다.
또한, 주변의 주변의 조도,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따라 화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의 하부면을 고정시키는 부재와, 도어의 측면을 도어틀과 이격시킬 수 있는 부재를 하나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하부면을 고정시키는 것 외에 도어의 표면에 부착되어 표시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측면 폭에 따라 가변되어 다양한 사이즈의 도어에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여 표시내용을 변경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서 착탈부가 회동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 중 착탈부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 구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경사부(110) 및 착탈부(120)를 포함한다.
경사부(110)는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10)의 하부면의 틈새에 끼워진다. 경사부(110)는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110)는 상부면이 경사짐에 따라 도어(10)의 하부면과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끼워져 걸려지면서 도어(1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부(110)의 경사면의 각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경사부(110)의 바닥면은 논슬립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110)의 일측에는 돌출부(111)가 형성된다. 돌출부(111)는 경사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착탈부(120)에 삽입되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 돌출부(111)는 착탈부(120)와 연결되어 착탈부(120)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착탈부(120)의 삽입홈(121)에 끼워지도록 돌출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탈부(120)는 경사부(110)의 돌출부(111)에 결합 또는 분리되어 착탈된다. 경사부(110)의 경사면은 계단형으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요철부(11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사부(110)의 일면에는 제1 자성체(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체(113)는 착탈부(120)에 맞닿는 결합면에 형성되는 제2 자성체(122)와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22)는 서로 다른 극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체(113)와 제2 자성체(122)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부(110)와 착탈부(120)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하여 착탈부(120)의 이탈에 따른 분실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착탈부(120)는 경사부(110)의 일측에 착탈되며, 내측에 형성된 삽입홈(121)을 통해 도어(10)의 측면에 끼워진다. 착탈부(120)의 삽입홈(121)은 일측이 개방된 'U'자 형태의 홈으로 도어(10)의 측면에 삽입되어 도어(10)가 닫히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옷자락 등이 문틈에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 경우, 착탈부(120)는 경사부(110)에 형성된 돌출부(111)에 삽입홈(121)이 맞춰져 끼워지면서 결합할 수 있다. 착탈부(120)는 경사부(110)에 맞닿는 면에 제2 자성체(1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체(122)는 경사부(110)의 제1 자성체(113)와 다른 극성으로 형성되어 경사부(110)와 착탈부(120)의 결합을 더욱 공고히 할 수 있다.
또한, 착탈부(120)는 외표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123)가 형성된다. 엘이디(123)는 내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 내부전원은 1차전지, 2차전지 형태의 착탈형 건전지로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착탈부(120)는 경사부(110)와 결합시 경사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경사부(110)와 착탈부(120)는 결합시 접하는 면에 접속단자(도시하지 않음)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탈부(120)는 압전소자(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하여 엘이디(123)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도어(10)에 삽입되어 도어(10)가 열리고 닫힐 때 도어틀과의 충격이 발생시 전기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엘이디(123)에 전원을 공급하여 어두운 곳에 설치된 경우에도 사용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서 착탈부가 회동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경사부(110)의 일측에는 제1 돌기(114) 및 제2 돌기(115)가 각각 형성된다. 제1 돌기(114)는 볼(ball)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돌기(114)는 착탈부(120)와 연결되어 착탈부(12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착탈부(120)는 제1 돌기(114)와 연결된 상태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2 돌기(115)는 착탈부(120)와 결합되어 착탈부(12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돌기(115)가 착탈부(120)와 해제되면 착탈부(120)가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경사부(110)는 도 1에 표시한 돌출부(111)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착탈부(120)에는 제1 끼움홈(124) 및 제2 끼움홈(125)이 형성된다. 제1 끼움홈(124)은 제1 돌기(114)가 삽입되어 지지하는 홈이다. 제1 끼움홈(124)에 제1 돌기(114)가 삽입되어 경사부(110)와 착탈부(120)는 회동연결된다. 제2 끼움홈(125)은 제2 돌기(115)가 삽입되는 홈이다. 제2 끼움홈(125)은 일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어 제2 돌기(115)가 삽입되어 이동을 제한한다. 제2 끼움홈(125)에 제2 돌기(115)가 삽입되면 경사부(110)와 착탈부(120)의 회동은 제한되고, 제2 끼움홈(125)의 개구된 측으로 다시 이동하면 경사부(110)와 착탈부(120)는 서로 회동된다.
또한, 경사부(110)에는 제1 자성체(113)가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자성체(113)는 철제 도어(10) 등에 자성결합에 의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경사부(110)를 바닥에 놓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어(10)의 평면에 제1 자성체(113)를 통해 부착시켜 보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부(11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착탈부(120)에는 제2 자성체(122)가 형성되어 도어(10)에 부착하여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 중 착탈부의 폭이 가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착탈부(120)는 제1 날개부(120-1), 제2 날개부(120-2) 및 조절부(120-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날개부(120-1)에는 제1 레일(120-11)이 형성되고, 제2 날개부(120-2)에는 제2 레일(120-21)이 형성된다. 제1 레일(120-11)과 제2 레일(120-21)에는 돌출부재들이 형성된다. 제1 레일(120-11)과 제2 레일(120-21) 사이에는 조절부(120-3)가 맞물려 연결된다. 조절부(120-3)는 회전하면서 외표면에 형성된 돌출부재들이 제1 레일(120-11) 및 제2 레일(120-21)의 돌출부재들과 맞물리게 된다. 조절부(120-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날개부(120-1)와 제2 날개부(120-2)가 서로 이격되면서 착탈부(120)의 폭이 넓어진다. 조절부(120-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 날개부(120-1)와 제2 날개부(120-2)는 서로 접근하면서 착탈부(120)의 폭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도어(10)의 두께에 맞게 가변형으로 착탈부(120)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표시부(130) 및 제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는 경사부(110)의 경사진 상부면에 형성된다. 표시부(130)는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한다. 이 경우, 표시부(130)는 도어 스토퍼(100)의 내부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표시부(130)는 미리 설정된 내용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30)는 "사용중, 부재중, 외출중 등" 각종 상태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30)에는 동영상 형태의 광고콘텐츠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시부(130)는 액정디스플레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터치반응형 디스플레이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30)의 표시정보를 가변제어한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표시정보를 표시부(13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시간에 따라 표시정보를 자동적으로 가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표시부(130)에 점심시간(오후 12~1시)까지는 "점심식사중"이라는 표시정보를 출력하고, 저녁시간(오후 6시 이후)에는 "퇴근"이라고 표시정보를 자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경우에도 시간에 따라 표시정보를 가변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전원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50)는 태양전지 또는 건전지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부(130)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50)가 태양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경사부(110)의 경사면에 형성되어 외부의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전원부(150)가 1차전지 또는 2차전지로 구현되는 경우 경사부(110)의 몸체 내부에 착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전원부(150)의 전원상태에 따라 전원이 부족한 경우에는 "전원부족"이라는 경고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고신호는 표시부(130)를 통해 출력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 등의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30)에 배터리 게이지 형태로 전원량 상태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 스토퍼(100)의 전원량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감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60)는 경사부(110) 또는 착탈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주변의 조도, 가스, 온도, 기울기, 속도, 소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60)는 주변의 조도 변화에 따른 조도정보를 생성한다. 조도정보는 주변의 사람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조도정보를 이용하여 조도가 낮은 경우 표시부(130)의 밝기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확인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주변의 조도정보가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60)는 주변의 가스정보를 생성한다. 가스정보는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가스정보를 통해 유해물질이 감지되거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표시부(130)를 통해 경고문자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사용자에게 도어(10)를 폐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외부의 유해가스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60)는 주변의 온도 변화에 따른 온도정보를 생성한다. 온도정보는 실내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온도정보를 기초로 일정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는 경우 표시부(130)를 통해 경고문자를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실내의 사용자에게 도어(10)를 폐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외부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조기에 감지하여 실내에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60)는 경사부(110) 또는 착탈부(120)의 기울기, 속도의 변화에 따른 이동정보를 생성한다. 이는 경사부(110) 또는 착탈부(120)의 설치방향 등 사용상태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경사부(110)가 바닥에서 사용중인지 도어(10)에 부착되어 사용중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경사부(110)가 바닥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표시부(130)를 오프시키고, 경사부(110)가 도어(10)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경우 표시부(130)를 온시켜서 구동시킬 수 있다. 경사부(110)는 바닥에 사용되는 경우 도어(1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고, 도어(10)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표시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경사부(110) 또는 착탈부(120)가 기 설정된 이동정보를 초과하여 이동하는 경우 도난정보를 생성하여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감지부(160)는 주변의 소리의 변화에 따른 소리정보를 생성한다. 소리정보는 주변의 사람의 근접 여부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주변의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스피커를 통해 "어서오세요"와 같은 인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접근함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음성정보를 출력하여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제어부(140)에 명령신호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중"이라고 음성으로 말한 경우 표시부(130)에 "외출중"이란 문자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도어 스토퍼(100)가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적으로 표시부(130)의 표시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서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경사부(110) 또는 착탈부(120)에 형성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외부의 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네트워크를 통해 근거리 통신이나 장거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도어 스토퍼(100)의 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통신부(170)를 통해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서버와 통신하면서 정보를 입력받거나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감지부(160)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발생에 대한 신호를 외부의 사용자 단말이나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신고하지 못한 경우에도 외부의 소방서, 경찰서로 화재신호가 위치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부재중에 방문한 방문자와 음성으로 대화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40)는 감지부(160)를 통해 방문자의 음성을 감지하면 외부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도어 스토퍼(100)의 스피커를 통해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30)를 통해 방문자에게 문자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개인 이동통신번호를 노출하지 않고도 원격에서 통화나 대화가 가능하다.
도 6은 도 1에 따른 도어 스토퍼에 구동부가 추가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구동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스토퍼(100)는 구동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80)는 경사부(110)에 형성되어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구동부(180)는 바퀴(181), 모터(182) 및 중심축(183)을 포함한다. 바퀴(181)는 한 쌍으로 경사부(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모터(182)는 전동으로 구동되며,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퀴(181)를 회전시킨다. 중심축(183)은 양 측의 바퀴(181)를 연결한다. 구동부(180)는 도어(10)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바퀴(181)가 구동되지 않고 잠금상태로 유지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감지부(160)를 통해 경사부(110) 주변 화재 발생 등의 상황이 발생하면 구동부(180)를 구동시킨다. 제어부(140)는 도어(10)가 닫히도록 도어(10)로부터 이탈하는 방향으로 경사부(110)를 이동하도록 구동부(180)를 제어한다. 제어부(140)는 표시부(130)를 통해 화재 등의 경고문구를 출력하면서 스피커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 단말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80)를 구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격에서 도어(10)를 폐쇄시키는 경우 사용자 단말을 통해 경사부(110)를 도어(1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를 포괄하도록 의도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해 해석되어져야 한다.
100 : 도어 스토퍼
110 : 경사부
111 : 돌출부
112 : 요철부
113 : 제1 자성체
114 : 제1 돌기
115 : 제2 돌기
120 : 착탈부
120-1 : 제1 날개부
120-11 : 제1 레일
120-2 : 제2 날개부
120-21 : 제2 레일
120-3 : 조절부
121 : 삽입홈
122 : 제2 자성체
123 : 엘이디
124 : 제1 끼움홈
125 : 제2 끼움홈
130 : 표시부
140 : 제어부
150 : 전원부
160 : 감지부
170 : 통신부
180 : 구동부
181 : 바퀴
182 : 모터
183 : 중심축

Claims (5)

  1. 상부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도어의 하부면의 틈새에 끼워져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고, 바닥면에 제1 자성체가 형성되어 상기 도어에 자성결합에 의해 부착되어 보관되는 경사부;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기 설정된 기호, 문자, 도형,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경사부의 기울기의 변화에 따른 이동정보를 생성하고, 주변의 조도, 가스 및 온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감지하는 감지부;
    외부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이동정보를 통해 상기 경사부가 바닥에 사용되어 상기 도어를 고정시키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오프시키고, 상기 경사부가 상기 도어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표시부를 온시키며, 상기 감지부의 감지정보에 따라 화재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표시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경고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도어 스토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을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끼워지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일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의 일측과 탈착결합하고, 타측 단부가 상기 경사부의 타측과 회동결합하는 도어 스토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일측에 착탈되며, 일측이 개방된 삽입홈을 통해 상기 도어의 측면에 끼워지는 착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제1 레일이 형성되는 제1 날개부;
    제2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날개부와 대향하는 제2 날개부; 및
    상기 제1 레일과 상기 제2 레일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도어 스토퍼.
  4. 삭제
  5. 삭제
KR1020190022870A 2019-02-27 2019-02-27 도어 스토퍼 KR10204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70A KR102044117B1 (ko) 2019-02-27 2019-02-27 도어 스토퍼
PCT/KR2019/014889 WO2020175763A1 (ko) 2019-02-27 2019-11-05 도어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870A KR102044117B1 (ko) 2019-02-27 2019-02-27 도어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117B1 true KR102044117B1 (ko) 2019-11-12

Family

ID=68577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870A KR102044117B1 (ko) 2019-02-27 2019-02-27 도어 스토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44117B1 (ko)
WO (1) WO202017576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73B1 (ko) * 2002-01-16 2005-04-2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수단을 구비한 문틈보호구
KR101298851B1 (ko) * 2012-02-24 2013-08-23 이학철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KR101853872B1 (ko) * 2016-12-09 2018-06-08 김서현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및 클라우드 기반의 비상문 자동개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10B1 (ko) * 2008-08-13 2009-03-3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홈오토메이션을 위한 스마트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5914557B2 (ja) * 2014-04-01 2016-05-11 株式会社ベスト 係止部材、戸当たり、及びロッド係止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073B1 (ko) * 2002-01-16 2005-04-20 케이디지전자 주식회사 발광수단을 구비한 문틈보호구
KR101298851B1 (ko) * 2012-02-24 2013-08-23 이학철 도어 및 서랍용 닫힘 방지부재
KR101853872B1 (ko) * 2016-12-09 2018-06-08 김서현 비상문 자동개폐장치 및 클라우드 기반의 비상문 자동개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75763A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687B1 (ko) 스마트 창호용 방범 시스템
KR101962205B1 (ko) 출입 통제 장치
KR102003101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스마트 창호 제어시스템
JP6560435B2 (ja) 駆動ローラ位置調節装置及びそれを含む障子自動開閉装置
US8554273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mobile system
KR101935982B1 (ko) 자동/수동 전환구조가 구비된 리프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창호
KR102113171B1 (ko) 창유리의 투명/불투명 제어가 가능한 스마트 창호
KR20170019503A (ko)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한 기능이 구비된 창호
KR101951981B1 (ko) 창짝 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한 스마트 창호
US20180283078A1 (en) Motorized door hinge system and method
JP2018077556A (ja) 据え置き型警備装置
KR102044117B1 (ko) 도어 스토퍼
US20230323717A1 (en) Door control system
KR102003100B1 (ko) 소음방지구조가 적용된 창짝 자동개폐장치
KR20210085445A (ko) 분말 소화기의 점검 알림장치
JP3117396U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8641199B2 (en) Projector
CA3060816C (en) Door control system
KR20210053568A (ko) 다용도 도어 스토퍼
KR102321015B1 (ko) 스카이워크 영상 제어시스템
KR20180130679A (ko)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한 키오스크
KR101597336B1 (ko) 커버 디바이스
KR20230171820A (ko) 학습용 스마트 단말기 거치대
JP2024022253A (ja) 自動ドア
JP2023110482A (ja) 自動ドア装置及び自動ドア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