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3128B1 -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 Google Patents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3128B1
KR102043128B1 KR1020190087321A KR20190087321A KR102043128B1 KR 102043128 B1 KR102043128 B1 KR 102043128B1 KR 1020190087321 A KR1020190087321 A KR 1020190087321A KR 20190087321 A KR20190087321 A KR 20190087321A KR 102043128 B1 KR102043128 B1 KR 102043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ot air
steam
passage
rotating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석
Original Assignee
김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석 filed Critical 김종석
Priority to KR10201900873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06F58/08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63Gas heating equipment
    • D06F58/28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세탁물투입구와 연통된 건조공간을 제공하며, 외면에 다 수의 통공이 형성된 회전드럼; 회전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열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세탁물 건조 후 생성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 열풍 및 증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및 통로부를 열풍공급부와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유입통로 및 증기배출부와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배출통로로 분리하기 위해 통로부의 유로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하고, 열풍공급부에서 생성된 열풍이 유입통로를 통해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회전드럼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통공을 통해 건조공간으로 유입되고, 증기배출부가 동작하여 통공에서 배출된 증기가 이격공간 및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HIGH DRYING EFFICIENCY CLOTHES DRYER}
본 발명은 건조 효율이 높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의류건조기란 열을 사용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는 기기로써, 세탁기와 더불어 사용되는 가전제품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한 세탁물을 건조대에 널어서 세탁물을 말리는 방식이 주 건조 방식이었다면, 최근에는 의류건조기를 활용하여 열기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기존에는 업체나 조직에서 사용되던 의류건조기가 가정으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황사나 미세먼지 등 외부환경적 요인과 맞벌이가 늘어나고 있는 사회적 요인 힘입어 의류건조기의 활용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는 경우, 세탁 후 세탁물에 남아있는 먼지가 건조 과정에서 여과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건조대에 널어놓은 세탁물보다 잔여 먼지량이 훨씬 줄어들게 되고, 별도로 건조대에 세탁물을 널기 위한 별도의 시간투자가 필요없기 때문에 맞벌이에 익숙한 부부나 시간이 없는 1인가구 등에서 손 쉽게 빨래를 세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국내시장에서 의류건조기가 보급되기 시작한 2016년에는 약 10만대 가량 판매되었고, 2018년에는 2016년 대비 14배 정도 높은 140만대 가량이 판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의류건조기도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열풍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접촉함에 따라, 세탁물이 고온에서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면으로 이루어진 세탁물의 경우, 뜨거운 열풍이 세탁물이 직접 공급됨에 따라 크기가 줄어들거나 표면이 손상되는 등 의류 손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불, 수건, 양말, 잠옷 등 편한 옷들은 의류건조기를 사용하나 일반적으로 생활할 때 입는 생활복은 의류건조기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건조기의 사용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둘째, 열풍을 직접적으로 세탁물에 공급하지 않고 회전드럼 밖에서 열풍을 공급하여 회전드럼의 통공을 통해 유입된 열풍으로 세탁물을 건조하는 건조방식이 적용된 의류건조기의 경우, 의류손상의 문제는 적게 발생하지만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열풍이 유입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세탁물이 열풍에 의해 건조되는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열원공급 및 회전드럼 회전을 위한 전기세 및 가스비가 늘어나게 되고, 이는 의류건조기의 건조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셋째, 종래에 열풍이 회전드럼에 직접적으로 유입되면 세탁물이 손상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드럼 내부 건조공간에 열기가 직접 닿지 않는 부위까지만 세탁물을 넣어서 건조를 하였고, 이로 인해 1회의 건조에 건조될 수 있는 세탁물의 양이 크지 않아, 건조를 여러 번 진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의류건조기를 활용하여 세탁물을 건조할 때보다 옷감손상을 줄이면서 1회 건조에 건조되는 세탁물의 양을 늘림으로써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의류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세탁물투입구와 연통된 건조공간을 제공하며, 외면에 다 수의 통공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건조공간에 열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건조공간에서 세탁물 건조를 통해 생성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 상기 이격공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 및 상기 증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를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유입통로 및 상기 증기배출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배출통로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통로부의 유로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생성된 열풍이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증기배출부가 동작하여 상기 통공에서 배출된 증기가 상기 이격공간 및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ㅅ형상일 수 있고, 상세히, 상기 통로부의 상기 유로를 이등분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통로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이격공간에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플레이트 단부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공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출되는 증기를 상기 배출통로로 유도하는 제3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50도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의류건조기는 상기 회전드럼의 외벽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상어지느러미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이격공간에 공급된 열풍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에 유입되도록 열풍의 방향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외벽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이격공간에서 상기 열풍의 회전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 및 상기 히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공간에 공급되는 열풍의 이동속도보다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도록 상기 회전드럼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복 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류건조기는 상기 배출공간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풍력을 제공하는 배출팬,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배출팬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된 증기는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의류건조기의 통로부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이 직접적으로 세탁물에 공급되지 않고, 분리부에 의해 회전중인 회전드럼의 외주면에 슬라이딩하여 회전드럼의 통공에 일정각도로 유입됨에 따라, 세탁물을 안정적으로 건조시키면서 세탁물 손상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열풍이 건조기 내 이격공간을 360도가량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을 따라 유동하면서 회전드럼 통공으로 유입됨에 따라, 열풍의 유동과정에서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유입되는 열풍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건조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마찬가지로, 열풍이 회전드럼에 직접적으로 유입되지 않고 통공을 통해 유입됨에 따라, 1회의 건조를 위해 회전드럼 내부의 건조공간에 60% 이상으로 세탁물을 넣고 건조를 수행해도 세탁물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아, 1회 건조가능 세탁물의 양이 늘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부가 ㅅ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제2 플레이트 및 제3 플레이트가 각각 유입통로와 배출통로의 구분을 명확히 함으로써, 유입통로에서 이격공간으로 열풍이 효율적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이격공간에서 배출통로로 증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의 각도가 60도 내지 150도의 값을 가지도록 제작됨에 따라 열풍통로를 통해 이격공간으로 유입되는 열풍이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유입되지 않고 바로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가 유입통로에서 이격공간으로 유동하는 열풍의 유동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상어지느러미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유동하는 열풍이 가이드에 부딪히면서 그 저항에 의해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유동방향이 꺾이고, 이에 따라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유입되는 열풍량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열풍의 유동속도가 회전드럼의 회전속도보다 빠르게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에 의해 회전드럼의 통공으로 유도되는 열풍량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격공간의 일측에 배출통로가 유입통로와 존재함에 따라, 증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덕트를 추가함으로써, 증기의 폐쇄적인 유동공간을 확보하고 더 나아가 종래 의류건조기의 구조에서 통로부, 분리부와 덕트의 구조만 추가할 수 있게 설계하여, 본 발명의 의류건조기를 위한 새로운 생산설비를 구축할 필요없이 기존 생산설비에서 효율적인 의류건조기 제작이 가능하여, 생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후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회전드럼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후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상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조나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의류건조기에 비해 의류손상이 적으면서도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이러한 의류건조기를 간략하게 “의류건조기”로 호칭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의류건조기 상하전후좌우 방향에 대하여, 지면에 의류건조기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경우 의류건조기를 바라보는 기준으로, 빨래가 유입되는 도어가 있는 곳을 “전”그 반대쪽을 “후”의류건조기의 “전”면을 기준으로 “좌”와 “우”지면방향을 “하”그 반대쪽을 “상”으로 규정하고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는, 주로 세탁업체 등에서 사용되는 상업용 대형 의류건조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의류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아래 실시예에서는 의류건조기 건조방식이 가스히터를 활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열원이 가스히터뿐만 아니라, 전기식히터를 활용하여 의류를 건조하는 의류건조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의류건조기의 전면도이며, 도 3은 의류건조기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의류건조기의 후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회전드럼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전단면도이고, 도 7은 측단면도이며, 도 8은 후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의 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는 세탁물투입구(114)가 형성된 본체(110)와, 본체(110) 내부에 세탁물투입구(114)와 연통하도록 배치되고 회전가능한 회전드럼(120)과, 회전드럼(120)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부(130)와, 회전드럼(120)에 투입된 세탁물을 건조하고 유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140)와, 열풍공급부(130) 및 증기배출부(140)와 연결되어 열풍을 유입통로(151)를 통해 내부로 유입하거나 증기를 배출통로(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유로를 제공하는 통로부(150)와, 통로부(150)를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로 분리하는 분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는, 회전드럼(120)의 외벽에 배치되어 열풍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되도록 열풍 유동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170), 열풍공급부(130), 증기배출부(140) 및 회전드럼(120)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부(180) 및 회전드럼(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드럼(120)이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회전드럼(120)에 전달할 수 있는 구동모터(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사각박스 형상으로 외관을 형성하고 전면에 세탁물투입구(114)가 형성된 캐비닛(111)과, 캐비닛(111)의 전면에 배치되어 세탁물투입구(114)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도어(112)와,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조작을 통해 동작신호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는 조작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1)은 의류건조기(100)의 상,하,좌,후,전,후의 6면을 구성하는 합판일 수 있다. 상세히, 캐비닛(111)은 의류건조기(100) 내부에 공급되는 열풍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금속 또는 합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1)의 전면에는 세탁물투입구(114)가 형성될 수 있고, 상세히, 세탁물투입구(114)는 세탁물의 원활한 투입을 위해 원형상일 수 있다.
상기 도어(112)는 캐비닛(111)의 전면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세탁물투입구(114)를 개폐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112)는 일부가 의류건조기(100) 내부의 열풍에 의해 부식되지 않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 예로 투명한 유리 또는 합성아크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외부에서 내부의 세탁물 건조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13)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편하도록 캐비닛(111)의 전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113)에는 의류건조기(100)의 작동을 위한 조작버튼과 건조를 위해 남은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조작버튼은 조작부(113)에는 의류건조기(100)의 전원을 온/오프할 수 있는 전원버튼(113b), 의류건조기(100)에 유입되는 열풍의 온도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는 온도조절버튼(113c) 또는 풍량조절버튼(113d), 건조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시간조절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에는 세탁물이 건조되고 있는 온도, 풍량 및 잔여시간 등 건조환경이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건조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 내부에는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회전드럼(120)은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본체(110)의 내벽과 회전드럼(120)은 일정간격 이격될 수 있다. 본체(110)의 내벽과 회전드럼(120) 사이의 간격을 아래에서는 “이격공간(124)”으로 정의한다. 이격공간(124)의 단면은 링 또는 도넛 형상일 수 있다. 이는 중앙부분은 회전드럼(120), 바깥부분은 본체(110)의 내벽에 의해 둘러쌓이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로부(150)가 이격공간(124)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격공간(124)의 일측에 통로부(150)가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회전드럼(120)은 세탁물이 의류건조기(100)에 투입되는 경우, 세탁물이 건조될 수 있는 건조공간(121)을 제공하도록, 일 측이 개구된 원통형상일 수 있다. 회전드럼(120)의 개구된 부분이 세탁물투입구(114)랑 연통하여 세탁물이 건조되는 건조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120)은 외면에 다 수의 통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통공(122)은 드럼의 외면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다 수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열풍공급부(130)에서 생성된 열풍이 이격공간(124)으로 유입되는 경우, 회전드럼(120)의 다 수의 통공(122)을 통해서 열풍이 건조공간(121)으로 공급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드럼(120)은 내면에 축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내부 중심축 방향으로 돌출된 하나 이상의 걸림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걸림부(123)는 다 수개 배치될 수 있고, 더욱 상세히, 다 수의 걸림부(123)는 회전드럼(120)의 내면에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120)이 회전하는 경우, 내부 건조공간(121)의 세탁물이 회전하면서 걸림부(123)에 세탁물이 걸리면서 세탁물이 뭉치지 않아 단위시간 당 세탁물의 열 접촉면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130)는 본체(110) 내부공간에 열풍을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열풍공급부(130)는 이격공간(124)에 열풍을 공급할 수 있고, 더욱 상세히, 열풍공급부(130)는 후술할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급된 열풍은 회전드럼(120)의 다 수의 통공(122)을 통해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130)는 공기를 가열하여 열기를 생성하는 열기생성부(131)와, 열기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열기를 이격공간(124) 방향으로, 상세히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열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풍량을 제공하는 열풍팬(1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기생성부(131)는, 일 예로, 가스를 공급받아 열기를 생성하는 가스공급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이 경우, 열기생성부(131)는 가스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공기를 점화플러그로 발화시켜 열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열기생성부(131)는 전기를 공급받아 열기를 생성할 수 있는 전기공급방식의 히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열기생성부(131)가 가스공급방식의 히터를 예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열풍팬(132)은 열기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열기를 이격공간(124)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풍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열기생성부(131)에서 생성된 열기에 바람을 공급하여 열기가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유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풍공급부(130)는 공급되는 열풍이 외부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급되는 열풍의 유동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133)를 통해 열풍공급부(130)에서 공급되는 열풍은 이격공간(124)으로 공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140)는 건조공간(121)에서 세탁물을 건조하면서 생성된 증기가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유출되면, 증기를 배출통로(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증기배출부(140)는 이격공간(124)에 유출된 증기가 배출통로(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배출팬(141) 및 배출통로(152)와 배출팬(141) 사이에 배치되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팬(141)은 일반적인 팬 형상으로 배치되고, 구동모터(190)에 연결되어 회전함으로써, 통공(122)을 통해 유출되는 증기가 덕트(14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증기를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덕트(142)는 캐비닛(111)의 후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통로부(150)의 배출통로(152)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가 흐르는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통로부(150)가 캐비닛(111)의 후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고, 덕트(142)는 증기가 후면 상측에서 하측으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팬(141)은 캐비닛(111)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류건조기(100) 대다수가 하측에 배출팬(141)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덕트(142)를 통해 종래의 의류건조기(100) 구조를 크게 변형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구동모터(190)는 회전드럼(12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회전드럼(120)이 회전하기 위한 구동력을 회전드럼(120)에 전달할 수 있다. 상세히, 구동모터(190)는 회전드럼(120)과 다 수의 기어 및 기어체인에 의해 끼움결함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구동모터(190)는 모터본체(191)와 모터축(192)을 포함할 수 있고, 모터축(192)과 회전드럼(120)에는 각각 제1 기어(193) 및 제2 기어(194)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어(193) 및 제2 기어(194) 사이에 제1 기어체인(195)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190)가 작동하면 모터축(192)이 회전하고, 제1 기어(193), 제1 기어체인(195) 및 제2 기어(194)가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드럼(120)이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기어(193), 제1 기어체인(195) 및 제2 기어(194)의 구성은 커버부(200)에 의해 커버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의류건조기(100)의 후면 외관이 미관상 깔끔해보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모터(190)는 배출팬(141) 및 열풍팬(132)과 다 수의 기어 및 기어체인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구동모터(190)는 회전드럼(120), 배출팬(141) 및 열풍팬(132)과 동시에 다 수의 기어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다 수의 기어 및 기어체인 간 기어비는, 회전드럼(120)의 회전속도가 열풍팬(132)에 의해 공급되는 열풍의 유동속도보다 느리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통로부(150)는 이격공간(124)의 일측에 배치되고, 열풍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열풍과 증기배출부(140)로부터 배출되는 증기의 유로를 공급하는 수단이다. 상세히, 통로부(150)는 이격공간(124)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열풍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열풍을 이격공간(124)으로 공급하는 유입통로(151) 및 증기배출부(140)에 의해 이격공간(124)에서 외부로 증기가 배출되는 배출통로(1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유입통로(151) 및 배출통로(152)는 분리부(160)에 의해 서로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부(160)의 구성이 없는 경우 하나의 유로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분리부(160)가 없는 경우, 통로부(150)는 하나의 유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110) 내부의 이격공간(124)이 회전드럼(120)에 대응되고 회전드럼(120)의 외면보다 일정간격 이격되어 조금 더 큰 원통형상의 공간일 경우, 통로부(150)는 이격공간(124)의 상측에 개구된 통로일 수 있다. 즉, 통로부(150)는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가 합쳐진 하나의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통로부(150)에서 열풍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열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열기입구, 열기가 이격공간(124)으로 배출되는 공간을 열기출구, 이격공간(124)에서 증기가 유입되는 공간을 배출입구, 유입된 증기가 증기배출부(140)로 배출되는 공간을 배출출구로 정의한다. 즉, 열기입구부터 열기출구까지의 공간이 유입통로(151)로 정의될 수 있고, 증기출구로부터 증기입구가 배출통로(152)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60)가 없는 경우 열기입구와 증기출구가 통로부(150)의 상단, 열기출구와 증기입구가 통로부(15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60)는 하나의 유로로 이루어진 통로부(150)를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로 구획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분리부(160)는 통로부(150)가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 두 개의 통로로 분리되도록 통로부(150)를 이분할 수 있다.
또한, 분리부(160)는 통로부(150)의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가 서로 다른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통로부(150)의 일측에 ㅅ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통로부(150)가 이격공간(124)의 상측에 배치된 경우, 통로부(150)의 상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다가 통로부(150)의 유로 상단에서 하단까지의 길이 이상이 되면 양 측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각각 설정각도만큼 벌어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분리부(160)가 ㅅ 형상인 경우,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유입되는 열풍이 배출통로(152)로 바로 빠지지 않을 뿐 아니라, 열풍이 이격공간(124)에서 회전드럼(120)의 외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통공(122)에 일정각도로 비스듬히 유입되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열풍이 닿지 않고, 간접적으로 유입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세탁물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분리부(160)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통로부(150)는 제1 플레이트(161), 제2 플레이트(162) 및 제3 플레이트(163)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ㅅ 형상에서 제1 플레이트(161)는 중앙상부에, 제2 플레이트(162)는 우측 하부에, 제3 플레이트(163)는 좌측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플레이트(161)는 통로부(150)의 유로 길이에 대응되는 폭을 가진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61)는 통로부(150)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통로부(150)를 이분하기 위해 통로부(150)의 유로 길이보다 긴 세로길이와, 유로의 폭과 동일한 가로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세히, 제1 플레이트(161)는 통로부(150)의 공간을 유입통로(151)와 배출통로(152)로 구획하기 위해, 통로부(150)의 유로를 세로로 양단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제1 플레이트(161)는 통로부(150)의 열기입구 및 증기출구 측에 제1 플레이트(161)의 일단이 배치되고, 통로부(150)의 열기출구 및 증기입구 측에 제1 플레이트(161)의 타단이 배치되어, 유입통로(151) 및 배출통로(152)를 구획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62)는 제1 플레이트(161)의 타단, 즉, 열기입구에서부터 열기출구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세히, 제2 플레이트(162)는 열기출구로부터 이격공간(124)으로 열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접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플레이트(162)는 공급되는 열풍이 이격공간(124)에서 회전드럼(120)의 외면을 따라 원호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열풍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구조를 통해 통로부(150)에 열풍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된 열풍은 제1 플레이트(161)와 제2 플레이트(162)에 의해 구획된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에서 회전드럼(120)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회전과정에서 통공(122)으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플레이트(163)는 제1 플레이트(161)의 타단, 즉, 증기출구 측에서부터 증기입구 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세히, 제3 플레이트(163)는 이격공간(124)으로부터 증기입구로 증기가 유동하는 방향과 접선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플레이트(163)는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증기가 회전드럼(120)의 외면을 따라 배출통로(15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의 유동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분리부(160)의 제1 플레이트(161) 및 제2 플레이트(162)에 의해 열기입구와 열기출구로 연장된 유입통로(151)가 구획될 수 있고, 제1 플레이트(161) 및 제3 플레이트(163)에 의해 증기입구와 증기출구가 연장된 배출통로(152)가 구획될 수 있다. 생성된 열기는 열기입구 및 열기출구를 통해 이격공간에 공급되고, 또한 세탁 후 증기는 증기입구 및 증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62) 및 제3 플레이트(163)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80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아래에서는 분리부(160)의 제2 플레이트(162) 및 제3 플레이트(163) 사이의 각도값에 따라 동일습기를 머금은 실험물의 건조시간이 얼마나 소요되는지에 대한 실험예를 기재한다. 실험에 사용된 실험물은 모든 조건에서 동일한 크기를 사용하였고, 면 재질로 1L의 물을 완전히 흡수한 상태에서 건조를 수행하였다. 건조온도는 60℃로 고정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도값 건조온도 흡수량 건조시간
30 60℃ 1L 48분
60 60℃ 1L 29분
90 60℃ 1L 27분
120 60℃ 1L 26분
150 60℃ 1L 29분
180 60℃ 1L 52분
210 60℃ 1L 63분
240 60℃ 1L 72분
실험예를 보면, 제2 플레이트(162)와 제3 플레이트(163) 사이의 각도값이 60 내지 150도 이하인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30분 미만으로 측정되었으나, 각도값이 60도 미만 또는 150도 초과하는 경우에는 최소 1.5배에서 2.4배까지 건조시간이 오래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제2 플레이트(162) 및 제3 플레이트(163) 사이의 각도값이 60도 미만이거나 180도를 초과하는 경우, 열기출구를 통해 유입된 열기가 건조공간(121)을 거치지 않고 증기입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제1 플레이트(161)가 통로부(150)의 유로 길이 이상의 길이를 가지고, 제2 플레이트(162) 및 제3 플레이트(163)가 제1 플레이트(161)의 타단에서 서로 다른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유입공간에서 유입되는 열풍이 분리부(160) 너머의 배출공간으로 바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가이드(170)는 회전드럼(120)의 외벽에 배치되어 열풍공급부(130)를 통해 유입되는 열풍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세히, 가이드(170)는 회전드럼(1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바 형상으로 회전드럼(120)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드럼(120)이 회전하는 경우, 회전방향으로 회전드럼(12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이격공간(124)에 존재하는 열풍이 통공(122)안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열풍의 유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가이드(170)가 회전드럼(120)에 연결된 부분을 하단, 반대단을 상단으로 정의한다. 가이드(170)는 회전드럼(120)의 회전방향, 즉 열풍의 회전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70)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170)는 단면이 상어 지느러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가이드(170)의 상단에서는 열풍이 두 방향으로 나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이드(170)의 열풍 접촉면을 전면(170a)과 후면(170b)으로 구분한다. 여기서 전후의 구분은 열풍이 이격공간(124)에 회전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정의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170)의 구조에 따르면, 열풍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열풍이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을 따라 회전하는 경우, 열풍이 가이드(170)의 전면(170a)과 후면(170b)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열풍은 가이드(170)의 후면(170b)에 의해 유동이 저항되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 방향으로 유동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70)의 전면(170a)을 따라 유동하는 열풍은 전면(170a)을 따라 미끄러지도록 유동하면서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170)의 형상에 따라 회전드럼(120)의 내부 건조공간(121)에 유입되는 열풍량이 증가하여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의 구성들이 어떻게 상호적으로 연계하여 동작하는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는 의류건조기(100)의 도어(112)를 개방하여 회전드럼(120)의 건조공간(121)에 세탁물을 넣은 뒤, 도어(112)를 닫고 조작부(113)를 조작하여 의류건조기(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모터(190)가 회전모터, 열풍공급부(130)의 열풍팬(132) 및 증기배출부(140)의 배출팬(14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열풍공급부(130)의 열기생성부(131)가 작동하면서 열풍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열풍의 유동속도가 회전드럼(120)의 회전속도보다 빠를 수 있다.
상기 열풍공급부(130)로부터 공급된 열풍은 분리부(160)의 제1 플레이트(161) 및 제2 플레이트(162)에 의해 구획된 통로부(150)의 유입통로(151)를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격공간(124)으로 유입된 열풍의 유입속도보다 회전드럼(120)의 회전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유입된 열풍은 회전드럼(120)의 가이드(170)에 의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될 수 있다. 즉, 회전드럼(120)이 회전하면서 열풍이 지속적으로 다 수의 가이드(170)에 의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세히, 이격공간(124)으로 유입된 열풍 중 일부는 가이드(170)의 후면에 부딪히는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열풍의 유동방향이 가이드(170)의 후면과의 저항에 의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방향으로 바뀌면서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열풍은 가이드(170)의 전면의 연장방향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유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풍이 회전드럼(120)의 통공(122)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통공(12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드럼(120)의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된 열풍은 건조공간(121) 내의 세탁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증기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세탁물을 건조시키면서 생성되 증기는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건조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생성된 먼지 역시 증기와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증기와 먼지 등을 모두 통합하여 배출증기로 정의한다.
상기 통공(122)을 통해 이격공간(124)으로 배출된 배출증기는 분리부(160)의 제1 플레이트(161) 및 제3 플레이트(163)에 의해 구획된 통로부(150)의 배출통로(15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세히, 배출증기는 증기배출부(140)의 배출팬(141)의 회전력에 의해 배출통로(152) 및 덕트(142)를 거쳐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증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필터를 통과할 수 있고, 통과 과정에서 배출증기에 섞인 먼지 등 이물질이 필터를 통해 여과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류건조기(100)를 통해 세탁물 건조 프로세스에 따르면, 세탁물에 직접적으로 열풍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고 이격공간(124)을 거치면서 회전드럼(120)의 통공(122)을 통해 건조공간(121)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옷감이 열풍에 의해 직접적으로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이격공간(124)의 열풍이 가이드(170)에 의해 회전드럼(120) 통공(122)으로 유입되는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류건조기(100)에 비해 건조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100 : 의류건조기 110 : 본체
120 : 회전드럼 121 : 건조공간
122 : 통공 123 : 걸림부
124 : 이격공간 130 : 열풍공급부
131 : 열기생성부 132 : 열풍팬
133 : 감지센서 140 : 증기배출부
141 : 배출팬 142 : 덕트
150 : 통로부 151 : 유입통로
152 : 배출통로 160 : 분리부
161 : 제1 플레이트 162 : 제2 플레이트
163 : 제3 플레이트 170 : 가이드

Claims (8)

  1. 세탁물이 투입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내벽을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벽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격공간을 형성하고, 세탁물투입구와 연통된 건조공간을 제공하며, 외면에 다 수의 통공이 형성된 회전드럼;
    상기 회전드럼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드럼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
    상기 건조공간에 열풍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열풍공급부;
    상기 건조공간에서 세탁물 건조를 통해 생성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부;
    상기 이격공간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열풍 및 상기 증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통로부; 및
    상기 통로부를 상기 열풍공급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유입통로 및 상기 증기배출부와 상기 이격공간을 연결하는 배출통로로 분리하기 위해 상기 통로부의 유로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된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공급부에서 생성된 열풍이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회전드럼의 외면을 따라 흐르면서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으로 유입되고,
    상기 증기배출부가 동작하여 상기 통공에서 배출된 증기가 상기 이격공간 및 상기 배출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분리부는,
    상기 통로부의 상기 유로를 이등분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유입통로에서 공급되는 열풍이 상기 이격공간에 원호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유도하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단부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방향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통공을 통해 상기 이격공간으로 유출되는 증기를 상기 배출통로로 유도하는 제3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의류건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플레이트 사이의 각도는 60도 내지 15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의 외벽에서 상기 회전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측단면이 상어지느러미 형상인 하나 이상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유입통로를 통해 이격공간에 공급된 열풍이 상기 통공을 통해 상기 건조공간에 유입되도록 열풍의 방향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외벽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단면이 좁아지도록 돌출되고, 상기 이격공간에서 상기 열풍의 회전방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 및 열풍공급을 위한 히터팬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공간에 공급되는 열풍의 이동속도보다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속도가 더 빠르도록 상기 회전드럼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복 수개 배치되고, 상기 회전드럼의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 의류건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간에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풍력을 제공하는 배출팬;
    상기 배출공간과 상기 배출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증기가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덕트; 및
    상기 덕트와 상기 배출팬 사이에 배치되어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통로로 배출된 증기는 상기 덕트를 통해 상기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건조기

KR1020190087321A 2019-07-19 2019-07-19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KR102043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21A KR102043128B1 (ko) 2019-07-19 2019-07-19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321A KR102043128B1 (ko) 2019-07-19 2019-07-19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128B1 true KR102043128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321A KR102043128B1 (ko) 2019-07-19 2019-07-19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296A (ja) * 1992-08-20 1994-03-08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KR20030084068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류식 드럼 건조기
KR100651900B1 (ko) * 2005-12-05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296A (ja) * 1992-08-20 1994-03-08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KR20030084068A (ko) * 2002-04-24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횡류식 드럼 건조기
KR100651900B1 (ko) * 2005-12-05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00581B1 (en) Dryer
KR100662473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KR101276819B1 (ko) 건조기
KR100774217B1 (ko) 건조기
US8250777B2 (en) Device of supplying water for laundry dry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80025519A (ko) 건조기
EP1995371B1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20090030899A (ko) 세탁장치
CN208857551U (zh) 一种衣物护理机
CN113152025B (zh) 桶体组件和衣物处理设备
CN106322968A (zh) 一种用于制茶的燃气烘干机
US2506517A (en) Laundry drier
KR102043128B1 (ko)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KR100662472B1 (ko) 스팀발생장치를 이용한 건조기
EP2280114A1 (en) Clothes dryer having liquid injection nozzle
JP2005140481A (ja) 乾燥装置
US2673727A (en) Drier
KR101880589B1 (ko) 건조기
CN111041797A (zh) 多功能柜式热泵干衣机
CN113832642B (zh) 直排式波轮洗干机
CN204509819U (zh) 一种干衣机
CN104711829A (zh) 一种干衣机
CN219568330U (zh) 一种电气一体式摇粒机
CN212103386U (zh) 多功能柜式热泵干衣机
KR100429251B1 (ko) 의류 건조기 겸용 가스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