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38B1 -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38B1
KR102042938B1 KR1020180173448A KR20180173448A KR102042938B1 KR 102042938 B1 KR102042938 B1 KR 102042938B1 KR 1020180173448 A KR1020180173448 A KR 1020180173448A KR 20180173448 A KR20180173448 A KR 20180173448A KR 102042938 B1 KR102042938 B1 KR 102042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member
longitudinal direction
frame
expansion
tub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건희
김나현
정은수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7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38B1/ko
Priority to PCT/KR2019/015872 priority patent/WO2020141721A1/ko
Priority to CN201980087009.1A priority patent/CN113226578B/zh
Priority to US17/419,553 priority patent/US20220071654A1/en
Priority to EP19906825.5A priority patent/EP3907014A4/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74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catheter tip, e.g. openable, closable, expandable or deform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6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distal end, e.g. tips
    • A61M25/0082Catheter tip comprising a to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27Magnetic means; Magnetic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58Tip steering devices with magnetic or electrical means, e.g. by using piezo materials, electroactive polymers, magnetic materials or by heating of shape memory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B08B1/001
    • B08B1/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69Immobilising; Stabil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7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 B08B2209/0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for 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는 설정 길이를 가지고 유연성 소재로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는 자성 부재; 및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고, 팽창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적이 증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Tubular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관체에 효과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체 클리닝 장치는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말단에 카메라를 연결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좁은 관내 환경을 관찰하는 데 사용된다. 관체 클리닝 장치를 이용하여 항공, 발전소, 자동차, 기계설비, 선박, 중공업, 건설 등 산업 전반에 걸친 모든 분야에서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좁은 공간을, 해체, 절단하지 않고 점검, 진단할 수 있다. 또는, 인체의 내장, 혈관과 같은 체내 환경을 관찰하여, 질병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카테터(catheter)로써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관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대상 영역 주위에 효과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설정 길이를 가지고 유연성 소재로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는 자성 부재; 및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고, 팽창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적이 증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바디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는 작업 자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작업 자성 부재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팽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작업 자성 부재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안내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팽창 부재는 상기 안내 자성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팽창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전방 유체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작업 자성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팽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팽창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후방 유체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자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작업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프레임;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프레임; 및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보다 작게 제공되어,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부재는 링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연결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설정 길이를 가지고 유연성 소재로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작업 부재; 및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고, 팽창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적이 증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작업 부재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팽창 부재; 및 상기 작업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팽창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관체 클리닝 장치를 관체의 내의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관체 클리닝 장치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제공되는 전방 팽창 부재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전방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 상기 관체 클리닝 장치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관체 클리닝 장치가 펴진 상태가 되게 하는 단계; 및 상기 전방 팽창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된 후방 팽창 부재에 유체를 공급하여 상기 후방 팽창 부재를 팽창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팽창 부재와 상기 후방 팽창 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작업 부재를 회전시켜 관체를 클리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관체에 대해 효과적으로 클리닝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클리닝 대상 영역 주위에 효과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효과적으로 이동될 수 있는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관체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관체 클리닝 장치가 관체에서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관체 클리닝 장치의 전방 영역이 클리닝 대상 영역 주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관체 클리닝 장치가 관체에 대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후방 팽창 부재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 자성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관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 자성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관체 클리닝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바디(10), 자성 부재(20), 작업 부재(30) 및 팽창 부재(40)를 포함한다.
이하, 관체 클리닝 장치(1)가 작업 수행을 위해 관체(도 3의 T)의 내측에서 클리닝 대상 영역(도 3의 OP)으로 접근할 때, 관체 클리닝 장치(1)가 진행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바디(10)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10)의 전단은 테이퍼 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10)는 내측의 적어도 일 구간이 비어 있는 중공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바디(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내측이 비어 있는 튜브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바디(10)는 유연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성 부재(2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된다. 일 예로,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는 지지 부재(25, 26)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 부재(25, 26)는 바디(10)의 외측에 위치되고, 자성 부재(20)는 지지 부재(25, 26)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 홈(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다. 지지 홈은 바디(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자성 부재(20)는 지지 홈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지지 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홈은 지지 부재(25, 26)에서 바디(10)의 둘레 방향의 일 구간에 위치되게 형성되고, 자성 부재(20)는 지지 홈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되어, 지지 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 홈은 2개 이상이 바디(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지지 홈에 자성 부재(20)가 위치될 수 있다. 자성 부재(20)는 영구 자석일 수 있다. 자성 부재(2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자성 부재(2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되게 제 될 수 있다. 또한, 자성 부재(2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설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배열되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성 부재(20)는 안내 자성 부재(20a) 및 작업 자성 부재(20b)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 자성 부재(20a)는 바디(10)의 전방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안내 자성 부재(20a)는 바디(10)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안내 지지 부재(25)에 상술한 구조로 위치될 수 있다. 안내 자성 부재(20a)는 바디(10)에 대해 고정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자성 부재(20a)는 안내 지지 부재(25)에 고정되게 제공될 수 있다.
작업 자성 부재(20b)는 바디(10)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작업 자성 부재(20b)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바디(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작업 자성 부재(20b)는 작업 지지 부재(26)에 상술한 구조로 위치되고, 작업 지지 부재(26)는 바디(10)에 대해 회전 되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작업 지지 부재(26)에는 지지 홈이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작업 자성 부재(20b)는 이에 대응하여 링 형상으로 제공되어, 지지 홈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작업 부재(3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바디(10)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바디(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작업 부재(30)는 작업 자성 부재(20b)에 연결되어, 작업 자성 부재(20b)와 함께 바디(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 예로, 작업 부재(30)는 작업 자성 부재(20b)의 외면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부재(30)는 링 구조로 제공되어 작업 자성 부재(20b)의 외측 둘레에 위치되거나, 아크 구조로 제공되어 작업 자성 부재(20b)의 외측 둘레의 일부 구간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작업 부재(30)는 작업 자성 부재(20b)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복수 제공될 수도 있다. 이 때, 작업 부재(30)는 작업 자성 부재(20b)와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업 부재(30)는 작업 자성 부재(20b)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만들어 진후, 작업 자성 부재(20b)에 부착된 것일 수 있고, 작업 자성 부재(20b)의 일부가 형상 가공되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작업 부재(30)는 전방 단부보다 후방 단부가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작업 부재(30)의 외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제공될 수 있다.
작업 부재(30)의 외측면에는 작업부(31)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부(31)는 홈, 요철, 나선 구조의 돌기 등과 같이 거칠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관체(T)의 내면에 접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관체(T)의 내면에 부착된 물질을 제거하거나 관체(T)의 내면을 깎는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팽창 부재(40)는 바디(10)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팽창 부재(40)는 바디(10)의 둘에 링 형상으로 제공되거나, 둘레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되는 돌기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팽창 부재(40)는 팽창되어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적이 증가될 수 있다.
팽창 부재(40)는 전방 팽창 부재(40a) 및 후방 팽창 부재(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 팽창 부재(40a)는 바디(10)의 전방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 팽창 부재(40a)는 작업 자성 부재(20b) 및 작업 부재(30)보다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 팽창 부재(40a)는 안내 자성 부재(20a)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전방 팽창 부재(40a)는 전방 유체 안내부(51)와 연결될 수 있다. 전방 유체 안내부(51)는 전방 팽창 부재(40a)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한다. 팽창을 위한 유체는 생리 식염수 등과 같이 인체 내 투입에 대해 안정성을 갖는 액체일 수 있다. 도 2에는 전방 유체 안내부(51)가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10)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전방 유체 안내부(51)의 구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방 유체 안내부(51)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바디(1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거나, 바디(10)의 내측면에 위치되거나, 바디(10)의 내측에 배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후방 팽창 부재(40b)는 전방 팽창 부재(40a)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된다. 후방 팽창 부재(40b)는 작업 자성 부재(20b) 및 작업 부재(3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후방 팽창 부재(40b)는 후방 유체 안내부(52)와 연결될 수 있다. 후방 유체 안내부(52)는 후방 팽창 부재(40b)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한다. 팽창을 위한 유체는 생리 식염수 등과 같이 인체 내 투입에 대해 안정성을 갖는 액체일 수 있다. 도 2에는 후방 유체 안내부(52)가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유체 안내부(51)의 외측면에 위치되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었다. 그러나, 후방 유체 안내부(52)의 구성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방 유체 안내부(52)는 바디(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 유체 안내부(51)와 영역을 달리하여 바디(10)의 외측면에 위치되거나, 바디(1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거나, 바디(10)의 내측면에 위치되거나, 바디(10)의 내측에 배관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의 관체 클리닝 장치가 사용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관체 클리닝 장치가 관체에서 클리닝 대상 영역으로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관체 클리닝 장치의 전방 영역이 클리닝 대상 영역 주위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관체 클리닝 장치(1)는 관체(T) 내의 클리닝 대상 영역(OP)으로 이동된 후, 전방 영역이 클리닝 대상 영역(OP)의 주위에 고정될 수 있다. 클리닝 대상이 되는 관체(T)는 생체의 혈관일 수 있다. 관체 클리닝 장치(1)가 관체(T) 내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힘은 자성 부재(2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체(T)의 외부에서 자성 부재(20)에 자기장이 인가되면, 자성 부재(20)에는 자기장과의 작용으로 인해 힘이 작용한다. 또한, 자기장은 자성 부재(20)에 토크가 발생하는 형태로 인가되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 되어 드릴링 운동을 하면서 관체(T)의 내측을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자성 부재(20)에 발생되는 토크는 다음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8132224254-pat00001
(자기장: Be, Te: 자성 부재(20)에 발생하는 토크, m: 자성 부재(20)의 자기모멘트)
또한, 드릴링 운동 발생을 위해, 자기장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인가될 수 있다.
Figure 112018132224254-pat00002
(B0: 자기장의 세기, f: 회전 주파수, N: 회전축의 단위 벡터, U: 회전축과 수직한 단위 벡터)
이 때, 자성 부재(20)에 작용하는 자기장의 위치, 방향, 크기 등을 조절하여, 관체 클리닝 장치(1)가 관체(T) 내에서 이동하여 클리닝 대상 영역(OP)으로 진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은 안내 자성 부재(20a)와 작업 자성 부재(20b)에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된 상태로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 자성 부재(20a)에 가해지는 힘과 작업 자성 부재(20b)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작업 대상 영역으로 이동과 함께, 이동 과정에서 바디(10)가 관체(T)의 형상에 맞춰 구부러지게 제어될 수 있다.
작업 부재(30)가 클리닝 대상 영역(OP) 주위에 위치되게 이동되면, 전방 유체 안내부(51)를 통해 유체가 공급되어, 전방 팽창 부재(40a)의 팽창이 이루어져, 관체 클리닝 장치(1)의 전방 영역이 고정된다. 이 때, 전방 팽창 부재(40a)는 고정된 위치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관체(T)의 내면과 서로 가압 하는 상태가 되는 정도로 팽창이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관체 클리닝 장치가 관체에 대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후방 팽창 부재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관체 클리닝 장치(1)의 전방 영역이 고정되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관체(T)에 대해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관체 클리닝 장치(1)의 전방 영역이 고정되었을 때, 작업 부재(30)의 회전 축의 방향은 작업 부재(30)가 위치된 영역의 관체(T)의 길이 방향과 틀어진 상태 일 수 있다. 관체 클리닝 장치(1)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바디(10)가 팽팽하게 펴진 상태가 되고, 이 때, 작업 부재(30)의 회전 축이 관체(T)의 길이 방향과 틀어진 정도가 보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후방 팽창 부재(40b)를 팽창시켜 관체 클리닝 장치(1)를 추가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후, 작업 자성 부재(20b)에 가해지는 자기장을 통해 작업 자성 부재(20b)에 토크가 발생되게 하여, 작업 자성 부재(20b) 및 작업 부재(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체(T)의 내면은 작업 부재(30)에 의해 클리닝이 이루어 지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관체 클리닝 장치(1)는 관체(T) 내의 클리닝 대상 영역(OP)으로 이동된 후, 팽창 부재(4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 부재(30)가 회전되면서 관체(T)의 클리닝이 수행될 때 등과 같이 의도하지 않은 시점에서, 관체(T)를 흐르는 유체에 의한 힘, 작업 과정에서 작업 부재(30)에 작용하는 힘 등에 의해 관체 클리닝 장치(1)가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방 팽창 부재(40a) 및 후방 팽창 부재(40b)에 의해 작업 부재(30)의 회전축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체(T)의 클리닝이 이루어 질 때 작업 부재(30)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작업 부재(30)의 회전축이 향하는 방향이 임으로 변경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 자성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관체 클리닝 장치에 있어 자성 부재가 위치되는 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1a)에 있어 자성 부재(21)가 위치되는 부분 외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의 관체 클리닝 장치(1)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반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이에 따라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바디(10a)는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110)은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은 유연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정 값 이상의 깊이를 갖는 제1 삽입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삽입부(111)는 길이 방향으로 설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1 프레임(110)은 튜브 구조로 제공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 공간이 제1 삽입부(111)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제1 프레임(110)에 대응되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은 유연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20)의 일측 단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설정 값 이상의 깊이를 갖는 제2 삽입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삽입부는 길이 방향으로 설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프레임(120)은 튜브 구조로 제공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내측 공간이 제2 삽입부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연결부(13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유연성 소재로 제공될 수 있다. 연결부(13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 보다 작게 제공된다. 링 구조로 제공되는 자성 부재(21)는 연결부(130)에 끼워지고, 연결부(130)의 일측 단부는 제1 삽입부(111)에 끼워져 제1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연결부(130)의 타측 단부는 제2 삽입부에 끼워져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성 부재(21)는 외측 둘레가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자성 부재(21)는 연결부(130)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전술한 안내 자성 부재(20a)로 제공되거나, 연결부(1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전술한 작업 자성 부재(20b)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1a)는 자성 부재(21)의 외측 둘레가 바디(10a)의 외측 둘레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체 클리닝 장치(1a)의 외측 둘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체 클리닝 장치(1a)는 자성 부재(21)가 유연성 소재로 제공되는 바디(10a)에 직접 연결되는 상태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관체 클리닝 장치(1a)의 유연성이 증가되고, 관체 클리닝 장치(1a)가 구부러 지는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130)는 제1 프레임(110)의 일측 단부에서 연결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110)은 연결부(130)가 자성 부재(20)에 끼워진 상태로 제2 프레임(120)의 삽입부에 삽입되는 구조로 제2 프레임(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바디 20: 자성 부재
20a: 안내 자성 부재 20b: 작업 자성 부재
30: 작업 부재 40: 팽창 부재
40a: 전방 팽창 부재 40b: 후방 팽창 부재
51: 전방 유체 안내부 52: 후방 유체 안내부

Claims (14)

  1. 설정 길이를 가지고 유연성 소재로 제공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바디가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힘이 발생되게 하는 자성 부재; 및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 일 지점에 위치되고, 팽창되어 상기 바디의 외측으로 돌출된 체적이 증가 가능하게 제공되는 팽창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 부재는,
    상기 바디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바디에 대해 고정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토크가 발생되어 상기 바디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게 하는 안내 자성 부재; 및
    상기 바디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되고,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되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자기장에 의해 토크가 발생되어 상기 바디에 대해 회전될 수 있는 작업 자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부재는,
    상기 작업 자성 부재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안내 자성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전방 팽창 부재; 및
    상기 작업 자성 부재보다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팽창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 자성 부재의 외면에는, 상기 작업 자성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작업 자성 부재와 함께 상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바디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는 작업 부재가 위치되어,
    생체의 혈관에 투입되어 혈관의 내측에 대해 클리닝을 수행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팽창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전방 유체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팽창 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팽창 부재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으로 팽창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후방 유체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관체 클리닝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 프레임;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 프레임; 및
    설정 길이를 갖는 로드 형상으로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의 면적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 보다 작게 제공되어, 일측 단부는 상기 제1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 부재는 링 구조로 제공되어, 상기 연결부에 끼워진 상태로 위치되는 관체 클리닝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80173448A 2018-12-31 2018-12-31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102042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48A KR102042938B1 (ko) 2018-12-31 2018-12-31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PCT/KR2019/015872 WO2020141721A1 (ko) 2018-12-31 2019-11-19 관체 클리닝 장치
CN201980087009.1A CN113226578B (zh) 2018-12-31 2019-11-19 管体清洁装置
US17/419,553 US20220071654A1 (en) 2018-12-31 2019-11-19 Tube body cleaning apparatus
EP19906825.5A EP3907014A4 (en) 2018-12-31 2019-11-19 TUBE BODY CLEAN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48A KR102042938B1 (ko) 2018-12-31 2018-12-31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938B1 true KR102042938B1 (ko) 2019-11-11

Family

ID=68535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448A KR102042938B1 (ko) 2018-12-31 2018-12-31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4643A1 (en) * 2022-10-07 2024-04-11 ETH Zürich Steerable device for use inside of a mammalian body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2367A (ja) * 1992-10-12 1994-05-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管内ロボットの移動装置
JPH09285749A (ja) * 1996-04-22 1997-11-04 Sugino Mach Ltd 管内洗浄装置
JPH10103583A (ja) * 1996-09-25 1998-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内面の点検清掃装置
JP2008155140A (ja) * 2006-12-25 2008-07-10 Nidec Sankyo Corp チューブ清掃装置、液面計、流量計及びフロート式流量計
JP2009243257A (ja) * 2008-03-10 2009-10-22 Shonan Plastic Mfg Co Ltd 管内作業ロボット
KR20100125610A (ko) * 2009-05-21 2010-12-01 김경희 고로쇠 수액 채취관 세척장치
KR20110007917A (ko) * 2009-07-17 2011-01-25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지하 매설관 내 고형물의 파쇄 방법
KR20110116968A (ko) * 2011-01-31 2011-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관내를 이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로봇
JP4850429B2 (ja) * 2004-03-31 2012-01-11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インターベンション治療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KR20140026957A (ko) * 2012-08-24 2014-03-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KR101471526B1 (ko) * 2014-05-07 2014-1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및 이를 갖는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KR101543708B1 (ko) * 2015-01-19 2015-08-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몸통 구조의 마그네틱 나선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나선 로봇 시스템
KR101685325B1 (ko) * 2016-02-15 2016-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장착을 위한 마그네틱 풀리 장치
KR101782744B1 (ko) * 2016-08-10 2017-09-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튜브 시스템
KR101806081B1 (ko) * 2017-07-25 2017-1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전달 장치
KR101818400B1 (ko) * 2017-08-11 2018-0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로봇 시스템
KR101858904B1 (ko) * 2017-07-25 2018-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로봇

Patent Citation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2367A (ja) * 1992-10-12 1994-05-06 Chubu Electric Power Co Inc 管内ロボットの移動装置
JPH09285749A (ja) * 1996-04-22 1997-11-04 Sugino Mach Ltd 管内洗浄装置
JPH10103583A (ja) * 1996-09-25 1998-04-21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内面の点検清掃装置
JP4850429B2 (ja) * 2004-03-31 2012-01-11 シーメン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カッティングバルーンインターベンション治療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JP2008155140A (ja) * 2006-12-25 2008-07-10 Nidec Sankyo Corp チューブ清掃装置、液面計、流量計及びフロート式流量計
JP2009243257A (ja) * 2008-03-10 2009-10-22 Shonan Plastic Mfg Co Ltd 管内作業ロボット
KR20100125610A (ko) * 2009-05-21 2010-12-01 김경희 고로쇠 수액 채취관 세척장치
KR20110007917A (ko) * 2009-07-17 2011-01-25 주식회사 새미래환경이엔씨 지하 매설관 내 고형물의 파쇄 방법
KR20110116968A (ko) * 2011-01-31 2011-10-2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관내를 이동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로봇
KR20140026957A (ko) * 2012-08-24 2014-03-0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치료용 마이크로로봇 및 시스템
KR101471526B1 (ko) * 2014-05-07 2014-12-1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마이크로 로봇 및 이를 갖는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KR101543708B1 (ko) * 2015-01-19 2015-08-1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몸통 구조의 마그네틱 나선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마그네틱 나선 로봇 시스템
KR101685325B1 (ko) * 2016-02-15 2016-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장착을 위한 마그네틱 풀리 장치
KR101782744B1 (ko) * 2016-08-10 2017-09-2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튜브 시스템
KR101806081B1 (ko) * 2017-07-25 2017-12-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텐트 전달 장치
KR101858904B1 (ko) * 2017-07-25 2018-05-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로봇
KR101818400B1 (ko) * 2017-08-11 2018-01-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마그네틱 로봇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4643A1 (en) * 2022-10-07 2024-04-11 ETH Zürich Steerable device for use inside of a mammalian bod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741A (en) Robotic snake
JP4962750B2 (ja) 特に内視鏡検査及び/又は低侵襲手術用器具のための湾曲変形装置
US11648068B2 (en) Magnetic robot system
KR102042938B1 (ko)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KR101045377B1 (ko) 초소형 로봇 및 초소형 로봇의 구동 방법
KR102032674B1 (ko) 관체 클리닝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CN105283116A (zh) 内窥镜
CN113226578B (zh) 管体清洁装置
CN110325121A (zh) 用于身体通路导航和可视化的系统
KR102446541B1 (ko) 카테터 시스템
JPH0564627A (ja) 管内検査装置
CN102413755B (zh) 内窥镜装置
JP6393382B2 (ja) 医療装置
KR102295728B1 (ko) 마이크로 로봇 및 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로봇 시스템
KR102348773B1 (ko) 카테터 시스템
JPH06133925A (ja) 生体内挿入具誘導装置
JP6683725B2 (ja) 経路に沿って物品を進め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CN212972123U (zh) 清洁刷
WO2017199256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advancing an article along a path
US20220280182A1 (en) Catheter system
JP2003265614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WO2015125359A1 (ja) 摩擦駆動アクチュエータ
JP2010167003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H07113755A (ja) 管内自走装置
US20240050113A1 (en) Steerable and expandable aspiration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