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903B1 -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903B1
KR102042903B1 KR1020170174182A KR20170174182A KR102042903B1 KR 102042903 B1 KR102042903 B1 KR 102042903B1 KR 1020170174182 A KR1020170174182 A KR 1020170174182A KR 20170174182 A KR20170174182 A KR 20170174182A KR 102042903 B1 KR102042903 B1 KR 10204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let
turntable
unit
c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1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72982A (en
Inventor
정인섭
Original Assignee
정인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섭 filed Critical 정인섭
Priority to KR102017017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903B1/en
Publication of KR2019007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29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9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하여,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anister manufactured by the canister manufacturing unit is taken over the canister deflected to either side and adjusted so that the inlet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for taking over the canister, the position of the inlet is adjusted next, and Since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takes over the canister and seals the inlet of the canister, injects air and checks for leakage of the canister, the leak inspection is performed by sealing only the inlet of the canister. Leak test equipment for the upper and lower joints joined by side welds and seaming and welded part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can be leaked together to detect defects caused by the upper surface welds, thereby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manufactured products. to provide.

Description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본 발명은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fter adjusting the inlet of the manufactured can container to b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sealing of the can container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so that the weld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And a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that performs a leak inspection on a joint or the like.

일반적으로 식품이나 음료를 충전한 통조림 및 캔 등의 용기는 내용물의 충전 후에 기밀 상태로 밀봉되는 것이 통상이며, 따라서 핀홀(pinhole)이나 권체(seaming) 불량 혹은 내용물의 변패 등의 이상이 있으면, 외기의 침입이나 가스의 발생 등에 의해 용기의 진공도가 저하되거나, 혹은 내부의 가스의 누설 등에 의해 내압이 저하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한다.In general, containers such as canned food and cans filled with food or beverages are usually sealed in a hermetic state after the filling of the contents. Therefore, if there is an abnormality such as a pinhole, a poor sealing, or a change in the contents, A situation may arise in which the vacuum degree of a container falls by the intrusion of a gas, the gas generate | occur | produces, or the internal pressure falls, for example, by leakage of the gas inside.

그래서 종래에는 내용물을 충전한 캔 용기 등의 용기에 대한 내압(누설)을 검사하여, 소위 불량품을 라인으로부터 배제하고 있다. Therefore, conventionally, the internal pressure (leakage) to containers such as can containers filled with contents is inspected to remove so-called defective products from the line.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공개특허 제10-2004-0041996호(2004.05.20)에서는 에어 공급원, 상기 에어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의 공급압을 조절하는 공급압력 조절부, 상기 압력게이지를 거친 에어가 저장되는 밀폐용기, 상기 밀폐용기와 상기 압력게이지 사이를 온/오프 하는 개폐밸브, 상기 밀폐용기와 상기 개폐밸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밀폐용기 내부의 압력 및 온도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 및 온도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하여 누설 상태를 판단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여, 밀폐용기 내부의 누설여부를 외부에서 제공된 에어를 주입하여 손쉽게 검사하는 밀폐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였다.Looking at the prior art, the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41996 (2004.05.20) is an air supply source, a supply pressure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supply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from the air source, the air through the pressure gauge is stored Closed container, on / off valve for switching on / off between the closed container and the pressure gauge, a detector installed between the closed container and the open / close valve to detect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state inside the closed container, the detection unit detects It wa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for comparing the data on the pressure and temperature conditions to determine the leakage state and display the leaked state, the sealed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device for easily inspecting the leakage inside the sealed container by injecting air provided from the outside.

그리고 공개특허 제10-2010-0053450호에서는 챔버에 보유 지지된 지지부재와,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챔버 내의 용기의 천장판 가장자리부를 전체 둘레에서 압박하는 무단의 링 형상을 갖는 천장판 가장자리부 압박 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챔버 내에 있어서 용기의 천장판 중앙부를 압박하는 천장판 중앙 압박 부재를 더 구비해도 된다. 지지 부재는 챔버의 상벽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 관통하여 상벽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지지봉과, 지지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연결 부재를 구비하고, 연결 부재에 의해 천장판 가장자리부 압박 부재 및/또는 천장판 중앙 압박 부재를 지지한다. 이에 의해, 용기의 천장판의 압박시, 그 압박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용기의 팽창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누설 검사장치를 제공하였다.An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0-0053450, the ceiling plate edge pressing member having a support member held in the chamber and an endless ring shape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and pressing the ceiling plate edge of the container in the chamber around the perimeter. It is provided. Moreover, you may further provide the ceiling plate center press member which is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and presses the ceiling plate center part of a container in a chamber. The support member includes a support rod inserted through the upper wall of the chamber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wall, and a connection member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and is connected to the ceiling plate edge pressing member and / or ceiling plate by the connection member. Support the central pressure member. This provides a leak tes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compression marks from remaining upon pressing the top plate of the container and preventing expansion of the container.

하지만, 종래의 기술들은 용기의 상판 전체를 밀폐하여, 가스 또는 에어를 용기 내부에 주입하면서 누설을 검사하였는데, 이러할 경우 캔 용기 상판에 실시된 용접부 및 이음매에 대한 누설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entire upper plate of the container is sealed and leak is inspected while injecting gas or air into the container.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eak test on the welds and the seams of the can container top is not performed. It was.

본 발명은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고, 누설검사 전에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의 입구를 캔 용기를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 일률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인력을 동원한 입구 조정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수 있고, 캔 용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sealed and a leak test is performed, a leak test is performed on the joint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joined by seam and the seam of the can container and the welded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and the defective parts are caused by the upper surface weld. Also, the reliability of the manufactured product is improved, and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which is deflected to one side quickly and accurately by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before the leakage inspection is adjusted to be uniformly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rotating the can contain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that can accurately adjust the inlet of a can container more quickly than the inlet adjustment using the same, and prevents damage of the can container.

본 발명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입구위치조정부는 상기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 타측단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를 이송 대기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위치된 캔 용기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톱퍼에 의해 이송 대기하는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는 클램프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프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하는 입구위치판독수단이 포함되어,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한다.The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an container with the inlet manufactured by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deflected to one side, adjusts the inlet to b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n moves the can container whose position of the inlet is adjusted next.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to take over, and the leakage inspection unit for taking over the can container from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nd injecting air while sealing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o check the leakage of the can container. A stopper selectively appearing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part and waiting to transfer the can container transferred from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a turntable provided at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to rotate the can container loc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fter clamp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waiting to be transported by the stopper, the slab is moved upward to the turntable. And an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urntable, and reading an inlet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by photographing an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positioned on the turntable by the transfer of the clamp. Based on the inlet position of the canister read by the means, the turntable rotates the canister to adjust the canister inlet so that the inlet of the canister is located at that position.

삭제delet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클램프는 그 후방에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하는 푸쉬편이 연장 형성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에서 이탈시킨다.In addition,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behind the can container to selectively push the back piece of the can container, and pushes the can container after the inlet position adjustment is removed from the turnta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는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상부에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진입하는 캔 용기를 일렬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에서 이탈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들의 각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수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eak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transfer chain for transferring the can container taken ov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nd parallel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chain, to guide the incoming can container in a row A guide bar,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bar, a plurality of lift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chain, and lifted from the transfer chain by lifting a can container to be transpor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means disposed above each of the lifts and selectively injecting air into the can container lifted by the lift.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개구된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Here, the air inj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means, the length of the lifting means, the elevating plate selectively lifted by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ifting means, and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can open An air nozzle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terview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container, injects air while sealing the can container by interviewing the periphery of the can container by the lowering of the lifting plate, and is provid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plate, When the lifting plate is lowere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for interview and support around the can container.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banding par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ak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ing the normal can containers completed the leak inspection in the leak inspection unit to collect and band in the correspond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의 측면 용접부와 시밍으로 결합된 상판 및 하판의 이음매와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등에 대한 누설검사가 함께 이루어져, 상면 용접에 따른 불량품도 색출할 수 있어, 제조품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First, since the leakage inspection is performed by sealing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he leakage inspection is performed on the joints of the upper and lower plates joined by seaming and seam of the can container, and the wel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It can extract, and it has the effect that the reliability with respect to a manufactured product improves.

둘째, 누설검사 전에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신속하고 정확하게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의 입구를 캔 용기를 회전시켜 해당 위치에 일률적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하여, 인력을 동원한 입구 조정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수 있고, 캔 용기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Second, adjus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deflected to either side quickly and accurately by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so that it can be uniformly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rotating the can container, so tha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more accurately than the inlet adjustment with manpower. Can be adjusted, and the damage of the can container is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의 전체 시스템을 간략하게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로 캔 용기가 이송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로 이송된 캔 용기를 클램핑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의 턴테이블로 캔 용기를 이송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에 의해 캔 용기의 입구가 조정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입구가 조정된 캔 용기를 배출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리프트에 캔 용기가 위치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의 에어주입수단이 캔 용기의 입국에 에어를 주입하면서 누설을 검사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에서 누설 검사를 마친 캔 용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briefly showing an entire system of a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n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of clamping the can container transferred to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n container is transferred to the turntable of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adjusted by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let is adjusted can discharge the can container in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eak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n container is located on the lift of the leakage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injection means of the leak inspec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pects the leak while injecting air into the entry of the can container.
1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n container after the leak test is discharged from the leak tes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having a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invention in the best way possible.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equivalent to replaceable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본 발명은 제조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let of the manufactured can container is adjusted to be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sealed so that a leak test is performed. Th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먼저, 캔 용기의 제조부에 의해 캔 용기가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통상 준비된 금속판재를 말아 관 형태를 유지한 체, 그 이음매를 용접하여 상, 하측이 개구된 원통의 캔 몸체를 제조하고, 다음으로 원통형의 캔 몸체를 각형으로 성형하며, 그리고 각형으로 성형된 캔 몸체의 상, 하단을 외향으로 절곡하는 프렌지 공정을 실시한 후, 하부에 준비된 캔 용기의 하판을 접한 후 시밍 공정으로 결합하고, 다음으로 준비된 캔 용기의 상판을 접한 후 시밍 공정으로 결합하여 캔 용기를 완성한다. First,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can container by the manufacturing unit of the can container, in general, rolled the prepared metal plate material to maintain a tubular shape, weld the joints to produce a cylindrical can body of the upper and lower openings, Next, after forming a cylindrical can body into a square, and performing a frenzy process of ben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anned body into an outward shape outwardly, contacting the lower plate of the can container prepared at the lower side, and then combined by seaming process, Next, after contacting the top plate of the prepared can container is combined by seaming process to complete the can container.

이때 캔 용기의 상판은 그 상면 중앙 측에 손잡이가 용접되어 결합되고, 내부와 연통하는 입구는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되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of the can container is coupled to the handle is welded to the cen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the inlet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is formed to be deflected to either side.

도 1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는 상기한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내부 누설을 검사하는 것으로, 캔 용기의 입구를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하는 입구위치조정부(200)와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300)를 포함한다.1 is a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aking over the can container manufactured by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inspecting the internal leakage of the can container,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Inlet position adjustment unit 200 to adjust the position and the leakage inspection unit 300 for injecting air while sealing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o check the leakage of the can container.

먼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입구위치조정부(200)를 살펴보면,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는 스톱퍼(210)와, 텐테이블(220)과, 클램프(230)와,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포함되어, 캔 용기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으로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 단계로 인계한다.First,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00 includes a stopper 210, a tentable 220, a clamp 230, and an inlet position reading unit 240. ), The canister manufactured by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100 is turned over to one side of the can container and is turned over by a conveying means such as a conveyor, so tha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position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n the position of the inlet is The adjusted can container is handed over to the next step.

여기서 상기 스톱퍼(210)는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 위치되고,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가 더 이상이송되지 않고, 대기하는 상태인 이송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Here, the stopper 210 is position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the tentable 220, and selectively appears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the ten table 220. The can container transferred from the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is no longer transferred, but is in a waiting state for transferring.

그리고 상기 스톱퍼(210)는 이송 대기 상태의 캔 용기가 클램프(230)에 의해 이송되면, 하측으로 사라져 상기 캔 용기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In addition, the stopper 210 disappears downward when the can container in a transfer standby state is transferred by the clamp 230, and thus does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can container.

따라서 상기 스톱퍼(210)는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의 타측단과 텐테이블(220) 사이에 위치되어, 선택적인 승강으로 출몰하여 캔 용기가 클램프(23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캔 용기를 이송 대기 상태가 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stopper 210 is loca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the ten table 220, and can be hauled by selective lifting so that the can container can be transferred by the clamp 230, The transfer waits.

그리고 상기 스톱퍼(210)의 타측에는 턴테이블(220)이 구비되는데, 상기 턴테이블(220) 상면에는 캔 용기가 놓이게 되고, 상면에 캔 용기를 놓인 상태에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면에 놓인 캔 용기를 회전시켜 입구의 위치를 조정한다.And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210 is provided with a turntable 220, the can table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 table 220, in a state in which the can container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Rotate the placed canist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inlet.

이때 상기 텐테이블(220)은 원판 형태의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하부에는 스텝모터 또는 액츄레이터가 구비되어, 각형의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할 시에는 상기 테이블이 한 스텝에 90°로 회전하여, 상기 테이블 상에 놓인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en table 220 is provided with a disc-shaped table and a lower part of the table, a step motor or an actuator. When adjusting the inlet of the square can container, the table rotates by 90 ° in one step. It is desirable to adjus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placed on it.

또한,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한다. In addition, the clamp 230 clamp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which are in a waiting state for transportation by the stopper 210, and then slides the can container to the top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측에서 상기 턴테이블(220)을 사이에 두고 좌, 우에 각각 배치되어, 선택적으로 일측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는 한 쌍의 슬라이딩바(231)가 포함된다.The clamp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with the turntable 220 interposed therebetween on the upper side of the turntable 220, and selectively sliding reciprocating along the other direction from one side. A pair of sliding bar 231 is included.

이때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바(231) 각각의 상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고정블럭(2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블럭(232)에는 캔 용기를 좌, 우 방향으로 압박하여 클램핑되도록 하는 클램프바(233)가 구비되는데, 상기 클램프바(233)는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이 각각 파지되는 파지부가 오목하게 형성되며, 상기 캔 용기의 좌, 우 방향에서 캔 용기로 이동하여, 상기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을 압박하면서 클램핑하기 위해 상기 클램프바(233)는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에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fixed block 232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each of the pair of sliding bar 231, the clamp block for pressing the can contain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o clamp the fixed block (232) ( 233 is provided, wherein the clamp bar 233 is formed with a concave gripping portion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are gripped, respectively, and move to the can contain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n container, and the left side of the can container. In order to clamp while pressing the right side, the clamp bar 233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235 provided in the fixed block 232.

여기서 상기 실린더(235)를 중심으로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의 좌, 우에는 가이드봉(236)이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바(233)의 이동을 안내한다.Here, guide rods 236 ar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ylinder 235 provided in the fixed block 232 about the cylinder 235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clamp bar 233.

따라서 상기 클램프바(233)는 상기 고정블럭(232)에 구비된 실린더(235)의 피스톤로드 길이 신축으로 상기 캔 용기의 좌, 우 방향에서 캔 용기로 이동하여 상기 캔 용기의 좌, 우측면을 압박하면서 클램핑하고, 또한 상기 클램프바(233)의 타측방향으로 푸쉬편(234)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푸쉬편(234)이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놓인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서 이탈된 캔 용기가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lamp bar 233 moves to the can container from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n container by stretching the piston rod length of the cylinder 235 provided in the fixed block 232 to press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While clamping, and the push piece 234 is formed to extend in the other direction of the clamp bar 233, the push piece 234 is selectively interviewed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The can container, which has been adjusted at the inlet position, is pushed out of the turntable 220 so that the can container detach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for the next process.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클램프(230)는 상기 스톱퍼(210)에 의해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상기 클램프바(233)로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하면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먼저 놓인 캔 용기는 상기 클램프바(233)의 푸쉬편(234)이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켜,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Therefore, the clamp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mps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which are in a waiting state for transportation by the stopper 210, respectively, with the clamp bar 233, and then the turntable 220. The can container placed first on the top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while the can container is slid to the top surface of the) is pushed out of the turntable 220 by the push piece 234 of the clamp bar 233. Provided on container for next process.

그리고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부에는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은 상기 클램프(230)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한다.And the upper portion of the turntable 220 is provided with an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240, the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240 of the can container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by the transfer of the clamp 230 Take a picture of the top and read the inlet position of the canister.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220)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한다.Based on the inlet position of the canister read by the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240, the turntable 220 adjusts the canister inlet by rotating the canister so that the inlet of the canister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는 스톱퍼(210)와, 텐테이블(220)과, 클램프(230)와, 입구위치판독수단(240)이 포함되는데, 상기 스톱퍼(210)로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인계된 캔 용기가 이송 대기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고, 상기 클램프(230)로 이송 대기 상태인 캔 용기를 클램핑하여,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으로 캔 용기를 슬라이딩 이송하며,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240)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 놓인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그 캔 용기의 입구를 위치를 파악하면서, 해당 위치로 조정하기 위한 입구 조정값을 산출하여 상기 턴테이블(220)에 하달하고, 상기 턴테이블(220)은 하달된 입구 조정값을 토대로 회전하여 캔 용기의 입구를 조정한다. Therefore,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210, a ten table 220, a clamp 230, and an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240, and the stopper 210. The can container inherited from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is maintained in a transfer standby state, and the can container which is in a transfer standby state is clamped by the clamp 230 to slide the can container to an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The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240 photographs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and calculates an inlet adjustment value for adjusting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while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Thus, the turntable 220 is reached, and the turntable 220 is rotated based on the received inlet adjustment value to adjus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그리고 상기 클램프(230)는 다음 캔 용기를 상기 턴테이블(220)로 이송할 시, 상기 클램프바(233)의 푸쉬편(234)으로 상기 턴테이블(220)의 상면에서 입구 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220)에서 이탈시키면서 다음 공정을 위한 컨테이너 상으로 이송한다.When the clamp 230 transfers the next can container to the turntable 220, the clamp container pushes the can container after the inlet adjustmen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urntable 220 to the push piece 234 of the clamp bar 233. While leaving the turntable 220 is transported onto a container for the next process.

상기한 입구위치조정부(200)에 의해 해당 위치로 입구가 위치하도록 입구가 조정된 캔 용기들은 다음 누설검사부(300)로 제공되는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누설검사부(300)는 이송체인(310)과 가이드바(320)와, 위치센서(330)와, 리프트(340)와, 에어주입수단(350)이 포함된다.The can containers whose inlet is adjusted so that the inlet is position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by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00 are provided to the next leak inspec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The leak test unit 300 includes a transfer chain 310, a guide bar 320, a position sensor 330, a lift 340, and an air injection unit 350.

상기 이송체인(310)을 먼저 살펴보면, 상기 이송체인(310)은 컨베이어와 같이 전동장치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메인스프로킷이 일측에 배치되고, 거리를 두고 타측에는 종동스프로킷이 배치되며, 그리고 체인이 상기 메인스프로킷 및 종동스프로킷을 감싸면서 무한궤도로 연결되어, 상기 메인스프로킷의 회전에 체인이 이동하면서 종동스프로킷이 회전하면서 체인 상에 놓인 물체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 Looking at the transfer chain 310 first, the transfer chain 310 is a main sprocket that is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such as a conveyor is disposed on one side, the driven sprocket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with a distance, and the chain The main sprocket and the driven sprocket surround the main sprocket and are connected to the endless track. As the chain moves in rotation of the main sprocket, the driven sprocket rotates to transfer an object placed on the chain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따라서 상기 이송체인(310)은 상기 입구위치조정부(200)에서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한다.Therefore, the transfer chain 310 transfers the can container taken over by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00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이송체인(310)의 상부에는 가이드바(320)가 구비되는데, 상기 가이드바(320)는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한 쌍의 가이드바(320) 사이에 캔 용기를 진입시켜, 한 쌍의 가이드바(320) 사이로 진입하는 캔 용기가 일렬로 안내된다.In addition, a guide bar 32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transfer chain 310, and the guide bar 32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pair parallel to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pair of guide bars 320. By entering the can containers in between, the can containers entering between the pair of guide bars 320 are guided in a line.

이때 상기 가이드바(320)의 상측에는 복수 개의 롤러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진입된 캔 용기가 미끄러져 안내되도록 하고,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320)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33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위치센서(330)는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두고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이동하는 캔 용기의 위치를 감지한다.In this case, a plurality of rollers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the guide bar 320 to allow the can container entered along the guide bar 320 to slide and guide the lower side of the guide bar 320. A position sensor 330 is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33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bar 320 to detect a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moving along the guide bar 320. .

상기 위치센서(330)에 의해 감지된 캔 용기의 위치는 복수 개의 리프트(340)에 각각 하달되는데, 상기 복수 개의 리프트(340)는 상기 이송체인(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상기 이송체인(310)에 의해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310)에서 이탈시킨다.The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sensed by the position sensor 330 is delivered to a plurality of lifts 340,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lifts 340 are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chain 310, the transfer The can container conveyed by the chain 310 is lif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and separated from the conveying chain 310.

또한, 상기 리프트(340)는 캔 용기의 누설 검사가 완료되면, 다시 하강하여 누설검사를 마친 캔 용기를 상기 이송체인(310)에 복귀시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leak test of the can container is completed, the lift 340 is lowered again to return the can container having completed the leak test to the transfer chain 310 to be transferr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그리고 상기 리프트(340)들의 각 상부에는 에어주입수단(350)이 각각 배치되는데,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은 리프트(340)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한다.In addition, air injection means 350 is disposed at each upper portion of the lifts 340, and the air injection means 350 selectively injects air into the can container lifted by the lift 340.

이때 주입되는 에어의 누설을 측정하여 상기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한다.At this time, the leakage of the injected air is measured to inspect the leakage of the can container.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에어주입수단(350)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는 승강판(351)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Looking at the air injection means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air injection means 350 is provided with a lifting plate 351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eans is stretched length, the lifting The length of the means is selectively elevated by stretching.

그리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측에는 에어노즐(352)이 구비되는데, 상기 에어노즐(352)은 개구된 상기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한다.An air nozzle 352 is provided below the lifting plate 351, and the air nozzle 35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terview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can container. In descending interview with the periphery of the can container, air is injected while sealing the can container.

이때 상기 에어노즐(352)의 내부에는 주입압을 측정하는 센서가 함께 구비되어, 에어의 주입과 함게 상기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ir nozzle 352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measuring the injection pressure, it is possible to test the leakage of the can container with the injection of air.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한 에어주입수단(350)의 구성에 의해 상기 캔 용기의 입구만을 밀폐하여 누설검사가 이루어지므로, 종래에는 실시하지 못했던 캔 용기 상면의 용접부 및 이음매 등에 대한 누설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leakage inspection is performed by sealing only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by the configuration of the air injection means 3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eakage to the welding part and the seam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which has not been conventionally performed. Inspection can be done.

그리고 상기 승강판(351)의 하측 주변에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353)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판(351)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면서 에어의 주입에 따른 캔 용기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353 are provided around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351. When the elevating plate 351 is lowered, the can container is deformed due to the injection of air while being interviewed and supported around the can container. Can be prev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누설검사부(300)는 상기 가이드바(320)를 따라 복수 개의 리프트(340) 및 에어주입수단(350)이 일렬로 배치되어, 복수 개의 캔 용기를 그룹으로 한꺼번에 누설검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leak inspection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ft 340 and the air injection means 350 in a row along the guide bar 320, a plurality of can containers at once together It is advisable to carry out a leak test.

상기 누설검사부(300)의 타측에는 밴딩부(400)가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300)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할 수 있다.A banding unit 400 is disposed at the other side of the leak inspection unit 300, and the cans may be collected and banded in the corresponding unit by taking over the normal can containers that have undergone the leak inspection at the leak inspection unit 300.

이때 상기 누설검사부(300)와 밴딩부(400) 사이에 상기 불량 캔 용기를 색출하는 불량 캔 용기 색출부가 더 구비되어, 상기 누설검사부(300)에서 불량 판정을 받은 캔 용기를 색출하여 라인 상에서 이탈시켜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between the leak inspection unit 300 and the bending unit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efective can container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the defective can container, the leak inspection unit 300 to extract the can containers that have been determined to be out of the line Can be rem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캔 용기 제조부 200: 입구위치조정부
210: 스톱퍼 220: 텐테이블
230: 클램프 231: 슬라이딩바
232: 고정블럭 233: 클램프바
234: 푸쉬편 235: 실린더
240: 입구위치판독수단 300: 누설검사부
310: 이송체인 320: 가이드바
330: 위치센서 340: 리프트
350: 에어주입수단 351: 승강판
352: 에어노즐 353: 지지부재
100: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200: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210: stopper 220: tentable
230: clamp 231: sliding bar
232: fixed block 233: clamp bar
234: push piece 235: cylinder
240: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300: leak inspection unit
310: transfer chain 320: guide bar
330: position sensor 340: lift
350: air injection means 351: lifting plate
352: air nozzle 353: support member

Claims (6)

캔 용기 제조부에서 제조된 입구가 어느 한 측으로 편향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조정한 후, 입구의 위치가 조정된 캔 용기를 다음으로 인계하는 입구위치조정부; 및
상기 입구위치조정부에서 캔 용기를 인계받아 캔 용기의 입구를 밀봉하면서 에어를 주입하여 캔 용기의 누설을 검사하는 누설검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구위치조정부는
상기 캔 용기 제조부와 연계된 컨베이어 타측단에서 선택적으로 출현하여 상기 캔 용기 제조부에서 이송된 캔 용기를 이송 대기시키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면에 위치된 캔 용기를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스톱퍼에 의해 이송 대기하는 캔 용기의 좌, 우 양측면을 각각 클램핑한 후, 상기 턴테이블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송하는 클램프와;
상기 턴테이블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클램프의 이송으로 상기 턴테이블에 위치하는 캔 용기의 상면을 촬영하여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판독하는 입구위치판독수단;이 포함되어,
상기 입구위치판독수단에서 판독한 캔 용기의 입구 위치를 토대로, 상기 캔 용기의 입구가 해당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턴테이블이 캔 용기를 회전시켜 캔 용기 입구를 조정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An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which receives the can container whose inlet manufactured by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is deflected to one side, adjusts the inlet to be loca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and then takes over the can container whose inlet position is adjusted; And
And a leak inspection unit that receives the can container from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nd injects air while sealing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to inspect the can container for leakage.
The inlet position adjusting unit
A stopper selectively appearing at the other end of the conveyor associated with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nd waiting to transfer the can container transferred from the can container manufacturing unit;
A turntabl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topper and rotating the can container loc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clamp for clamp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an container waiting to be transferred by the stopper, and then slidingly conveying the upper side of the turntable;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which is located on the top of the turntable, reading the inlet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by photograph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located on the turntable by the transfer of the clamp;
And a turntable rotating the can container to adjust the can container inlet so that the inlet of the can container is located at the corresponding position based on the inlet position of the can container read by the inlet position reading mean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그 후방에 캔 용기의 배면과 선택적으로 면접하는 푸쉬편이 연장 형성되어, 입구 위치조정을 마친 캔 용기를 밀어 상기 턴테이블에서 이탈시키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amp is
A canister leak inspection apparatus, wherein a push piece for selectively interviewing the rear surface of the can container is formed at the rear thereof, and pushes the can container after the inlet position adjustment is removed from the turnt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사부는
인계받은 캔 용기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이송체인과;
상기 이송체인의 상부에 좌, 우 양측에 평행하게 구비되어, 진입하는 캔 용기를 일렬로 안내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복수 개의 위치센서와;
상기 이송체인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고, 이송되는 캔 용기를 해당 위치에서 리프팅하여 상기 이송체인에서 이탈시키는 복수 개의 리프트와;
상기 리프트들의 각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리프트에 의해 리프팅된 캔 용기에 선택적으로 에어를 주입하는 복수 개의 에어주입수단을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ak inspection unit
A transfer chain which transfers the can container which has been handed over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A guide bar which is provided at an upper side of the transfer chain in parallel to left and right sides and guides the can containers to enter in a row;
A plurality of position sensor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guide bar;
A plurality of lifts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chain, for lifting the can container to be transport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o move away from the transfer chain;
And a plurality of air injection means disposed above each of the lifts and selectively injecting air into the can container lifted by the lif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주입수단은
길이가 신축하는 승강수단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수단의 길이 신축에 의해 선택적으로 승강하는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개구된 캔 용기의 입구 주변을 따라 면접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판의 하강으로 캔 용기의 입구 주변과 면접하여 캔 용기를 밀폐하면서 에어를 주입하는 에어노즐과;
상기 승강판의 하측 주변에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이 하강되면 상기 캔 용기의 주변에 면접하여 지지하는 복수 개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air injection means
A lifting plate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lifting means which extends and extends, and which is selectively lifted by stretching the length of the lifting means;
An air nozzle provided at a lower side of the elevating plate and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be interview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of the can container, and injecting air while sealing the can container by interviewing the periphery of the can container with the lowering of the elevating plate; and;
Can vessel leakage inspection device provided in the lower periphery of the elevating plate, the plurality of support members to be interviewed and supported around the can container when the elevating plate is lowe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누설검사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누설검사부에서 누설검사를 마친 정상 캔 용기들을 인계받아 해당 단위로 모아 밴딩하는 밴딩부를 포함하는 캔 용기 누설검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n container leak inspection apparatu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ak inspection unit, and including a bending portion for taking over the normal can containers after the leak inspection in the leak inspection unit to collect and band in the corresponding unit.
KR1020170174182A 2017-12-18 2017-12-18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KR1020429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en) 2017-12-18 2017-12-18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en) 2017-12-18 2017-12-18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82A KR20190072982A (en) 2019-06-26
KR102042903B1 true KR102042903B1 (en) 2019-11-08

Family

ID=67105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182A KR102042903B1 (en) 2017-12-18 2017-12-18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9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81B1 (en) * 2022-11-23 2023-08-09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Product inspection device to improve the inspection accuracy of container-type products transferred in the production proce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878B1 (en) * 2021-03-08 2024-01-04 씨케텍주식회사 Testing apparatus for lea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615B2 (en) * 1997-12-24 2006-08-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Container posit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8615B2 (en) * 1997-12-24 2006-08-16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Container position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4881B1 (en) * 2022-11-23 2023-08-09 주식회사 시스템알앤디 Product inspection device to improve the inspection accuracy of container-type products transferred in the production proc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2982A (en) 2019-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03B1 (en) Can container leakage inspection system
US8813550B2 (en) Shearographic imaging machine and method
CN214052658U (en) Welding spot tightness detection equipment for power battery cover plate
JPH0658281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specting sealability of closed container filled with filling material
CN110085897A (en) Battery gland sealing machine
CN111112131A (en) Wafer type detection equipment for food packaging and working method thereof
JP5358812B2 (en) PET bottle leak inspection device
JP6954755B2 (en) Leakage detection unit for cup-shaped container
CN106940272A (en) Steel cylinder hydraulic pressure test line
EP3074745B1 (en) A leak detector and package integrity testing mechanism and testing method for vacuum-sealed packages
WO2016088713A1 (en) Inspecting apparatus for tube container
CN212501390U (en) Detection apparatus for after vacuum packaging of organic rice
KR102147853B1 (e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JP6348294B2 (en) Tube container inspection equipment
CN116550639B (en) Welding detection system and detection process
JP3227037B2 (en) Pressure vessel pressure test equipment
JP2013036866A (en) Sealing checkup apparatus for bottle
CN106017827A (en) Air-leakage detection device
CN212530324U (en) Conveyer with recognition function
JP3138826B2 (en) Leak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hermetic synthetic resin container
JP4825954B2 (en) Seal defect inspection machine
JP4416307B2 (en) Pinhole inspection machine
JP4699621B2 (en) Cap-tight airtight nondestructive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20142819A (en) Inspection system of package
JP2601432B2 (en) Automatic rim inspe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