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742B1 -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742B1
KR102042742B1 KR1020170176804A KR20170176804A KR102042742B1 KR 102042742 B1 KR102042742 B1 KR 102042742B1 KR 1020170176804 A KR1020170176804 A KR 1020170176804A KR 20170176804 A KR20170176804 A KR 20170176804A KR 102042742 B1 KR102042742 B1 KR 102042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value
delay line
delay eleme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316A (ko
Inventor
고동범
Original Assignee
에스앤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7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4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delay li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2005/00013Delay, i.e. output pulse is delayed after input pulse and pulse length of output pulse is dependent on pulse length of input pulse
    • H03K2005/00019Variable delay
    • H03K2005/00026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n analog electrical signal, e.g. obtained after conversion by a D/A converter
    • H03K2005/00052Variable delay controlled by an analog electrical signal, e.g. obtained after conversion by a D/A converter by mixing the outputs of fixed delayed signal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input sign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실시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보정용 고속 딜레이를 수행하는 딜레이 유닛은 입력 신호의 딜레이 스큐(skew)의 조정을 위한 복수의 딜레이 라인과 복수의 딜레이 라인에 대한 제어를 위한 딜레이 라인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되, 복수의 딜레이 라인 각각은 데이터 딜레이 라인 및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을 포함하고, 데이터 딜레이 라인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딜레이시키고,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딜레이 시키거나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의 보정을 위한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high speed delay for real-time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compensation using delay line}
본 발명은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딜레이 유닛은 외부핀이나 레지스터로 입력되는 딜레이 값에 따라 단순하게 딜레이시키는 구조로 딜레이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유지시키는데 비효율적이다. 또한 딜레이 값이 실시간적으로 변하는 경우 딜레이값을 다시 할당해야 하고 이때 시간적 차이가 있어 실시간 대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KR 10-2005-0089944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실시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보정용 고속 딜레이를 수행하는 딜레이 유닛은 입력 신호의 딜레이 스큐(skew)의 조정을 위한 복수의 딜레이 라인과 상기 복수의 딜레이 라인에 대한 제어를 위한 딜레이 라인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되, 상기 복수의 딜레이 라인 각각은 데이터 딜레이 라인 및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딜레이시키고,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딜레이 시키거나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의 보정을 위한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의 보정을 위한 상기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 각각 상에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는 복수의 비정밀 딜레이 엘리먼트(Coarse Delay Element) 및 복수의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Fine Delay Element)를 포함하고, 상기 비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1차적으로 딜레이된 1차 딜레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은 상기 1차 딜레이 신호를 추가적으로 딜레이시켜 2차 딜레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2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2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3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4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3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실제 딜레이 값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4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는 복수의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3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각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실제적인 딜레이 값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최소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 신호(MinimumValue)를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최대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신호(MaximumValue)를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과 딜레이 라인을 거친 출력 신호인 피드백 클럭(Feedback Clock)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을 제어하여 위상차를0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계수 제어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 제어 메모리는 각 채널의 가변적 딜레이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계수 제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공용 장소이며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일정 크기의 페이지(Page) 단위의 크기로 나누어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DVCU(Delay Value Comparison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DVCU는 딜레이 설정 값의 변화 요청에 의해 각 채널의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현재 값과 이전 값을 비교하여 이에 따른 페이지 단위의 메모리 할당 및 수거를 요청하고, 상기 DVCU는 여러 딜레이 값 변경 요인이 있는 딜레이 소스 루트의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때 딜레이 출력의 보정을 요청하고 그 속도 및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는 가변적인 딜레이 라인의 제어 계수(coefficient)를 페이지 단위의 단일 메모리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각 채널 별로 가변적이고 효율적인 딜레이 제어를 통해 딜레이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딜레이 라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5는 딜레이 라인 제어기(Delay Line Controller)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수 제어 데이터 메모리(coefficient control data memory)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페이지 메모리(discontinued page memory)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 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속의 신호(DDR5급의GHz 신호)를 딜레이시키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딜레이 라인(Delay Line)을 사용하여PVT(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딜레이를 유지시키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시스템은 각 채널(channel)별로 딜레이 라인을 가지며 딜레이 라인을 제어하는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레퍼런스 클락(reference clock)과 딜레이 라인을 거친 피드백 클락(feedback clock) 간의 위상차를 구하고 이 위상차를 0으로 만들기 위해서 딜레이 라인은 가변적 딜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딜레이 엘리먼트(Element)로 구성될 수 있다.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가변적인 딜레이 라인의 제어 계수(Coefficient)를 페이지 단위의 단일 메모리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각 채널 별로 가변적이고 효율적인 딜레이 제어를 통해 딜레이의 정확도 및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다.
딜레이 라인은 클락을 입력으로 받는 클락 딜레이 라인과 클락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 받는 데이터 딜레이 라인으로 구성되는데2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협력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클락 딜레이 라인은 온도 등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의 변화 발생시 레퍼런스 클락과 피드백 클락의 차이를 비교하는 페이즈 탐색기(phase detector)와 입력되는 계수(coefficient)의 값에 따라 딜레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적인 딜레이 엘리먼트(element)로 구성되는 딜레이 라인 및 클락 분할 블록(clock division block) 및 클락 통합 블록(clock synthesis block) 및 최종 페이즈 탐색기(final phase detector) 및 최종 튜닝 딜레이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data) 딜레이 라인은 입력되는 계수 값에 따라 딜레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적인 딜레이 엘리먼트로 구성되는 딜레이 라인 및 신호 분할 블록(signal division block) 및 신호 통합 블록(signal synthesis block) 및 최종 페이즈 탐색기(final phase detector) 및 최종 튜닝 딜레이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각 채널(channel)에 해당되는 딜레이 값에 따라 계수(coefficient) 단위 메모리를 할당하는 메모리 할당(Memory Allocation) 기능 및 각 채널(channel)에 해당되는 딜레이 값에 따라 계수 단위 메모리를 릴리즈 하는 메모리 릴리즈(Memory Release) 기능을 포함하고 페이지 단위의 메모리를 관리하는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 딜레이 값의 변화에 따라 메모리를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으로부터 할당 받거나 반납하는 기능 및 해당 계수 단위 메모리 어드레스를 발생시키는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 여러 채널의 계수 제어(coefficient control)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읽어내기 위해 채널 간 메모리 요청에 대한 아비트레이션(Arbitration), 먹싱(MUXing), 디먹싱(DeMUXing), DMA(Direct Memory Access)의 기능을 수행하는 메모리 제어 유닛(Memory Control Uni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딜레이 라인(Delay Line)을 구현함에 있어서 긴 시간의 딜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클럭(Clock)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여러 개의 딜레이 엘리먼트(Delay Element)를 거치게 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여러 개의 딜레이 엘리먼트는 딜레이 라인을 구성하며 각 채널 별로 딜레이 라인은 클락을 입력으로 받는 클럭 딜레이 라인과 클락 또는 데이터 신호를 입력으로 받는 데이터 딜레이 라인으로 구성되는데 2개가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고 협력적으로 동작할 수도 있다.
각 채널 별로 다른 딜레이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하나의 입력 채널(입력 신호의 개수)이 다수의 출력 채널(출력 신호의 개수)로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다양한 입력 및 출력 패스(path)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서는 여러 응용 분야가 있지만 디바이스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장비에서 테스트하려는 디바이스(Device Under Test)(120)의 입력 신호의 딜레이 스큐(skew)를 조정하기 위해 중간에 딜레이 라인(100)을 연결하여 DUT(120)에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딜레이 값 및 외부 환경 변화를 직접 받아들이는 입력부로 외부 센서 입력부, 유선 DoE(Delay On Ethernet) 입력부, 무선 DoM(Delay On Mobile)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딜레이 데이터 소스의 현재 위치 및 상황에 따른 즉각적인 딜레이 값을 입력으로 받아들여 딜레이 라인 제어기(Delay Line Controller) (140)에서 변화된 값을 적용하고 관련 딜레이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딜레이 라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에서는 멀티 채널 딜레이 라인의 구성도인데 각각의 딜레이 라인이 데이터 딜레이 라인(200)과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220)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을 보정해서 일정한 딜레이 값을 가지는 딜레이 라인을 구성하고 자체적으로 입력 레퍼런스 클럭을 프로그래밍된 값에 따라 레퍼런스 클럭을 딜레이시킬 뿐만 아니라 데이터 딜레이 라인(200)에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하여 데이터 딜레이 라인(200)도 보정된 정확한 딜레이 값을 가지도록 딜레이 라인 제어기를 통해 제어 정보(24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딜레이 라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클락 분할 블록(clock division block)(300)은 입력되는 레퍼런스 클럭의 주파수를 낮은 주파수로 변환할 수 있다.
입력되는 클럭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딜레이 엘리먼트의 동작 속도도 빨라져야 하고 전체적인 회로가 빠른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크고 정확한 딜레이 값을 유지하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전체적으로 전력 소비를 줄이고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클락 분할 블록(300)에서 입력 클럭의 주파수를 낮추고 뒷부분의 클록 통합 블록(Clock Synthesis Block)(320)에서 원래의 주파수를 복원할 수 있다.
클락 분할 블록(300)은 클락 주파수(clock frequency)를 낮추는 기능을 담당하고 낮아진 주파수의 클락을 내부에 제공하여 딜레이 라인의 동작을 낮은 주파수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딜레이 유닛의 전력 소비를 줄이고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낮은 주파수가 사용되는 경우, 회로가 간단해 지고 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에서 GHz 주파수의 신호를 수 피코 세컨드(picosecond)의 작은 단위로 PVT 보정된 딜레이를 구현하기에는 서브-마이크론 기술(sub-micron technology)을 사용해야 하는데 기술이 낮아 질수록 가격이 급격히 비싸지고 설계가 복잡해진다. 따라서, 클락 분할 블록으로 이를 보완할 수 있다.
딜레이 라인 엘리먼트 어레이(Delay Line Element Array)(340)는 여러개의 가변적인 딜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딜레이 엘리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딜레이 요소는 딜레이 라인 제어기(Delay Line Controller)(360)로부터 제어 신호(Coefficient)를 받아 가변적인 딜레이를 구현할 수 있는 회로이고 제어 신호가 아날로그(Analog) 또는 디지털 신호로 딜레이 라인 제어기(360)로부터 딜레이 엘리먼트에 연결되어 제어된 딜레이 엘리먼트(Controlled Delay Element, CDE)로 동작할 수 있다. 하나의 딜레이 엘리먼트는 비정밀 딜레이 라인(Coarse Delay Line)과 정밀 딜레이 라인(Fine Delay Line)의 서로 다른 딜레이 엘리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딜레이 값을 구현하기 위해 각 딜레이 엘리먼트는 최소 딜레이 값을 가지는 바이패스(Bypass) 로직을 가질 수 있다. 바이패스 로직에 의해 여러 딜레이 요소 중 일부는 딜레이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나머지는 바이패스될 수 있다. 페이즈 탐색기(phase detector)(370)는 레퍼런스 클럭과 딜레이 라인을 거친 출력 신호인 피드백 클락(380)의 위상차를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클락(380)은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엘리먼트의 출력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데 입력되는 레퍼런스 클럭의 주파수와 딜레이 엘리먼트가 구현할 수 있는 딜레이 범위를 고려하여 적절한 출력을 선택할 수 있다.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회로 동작에 영향을 주어 딜레이 엘리먼트의 값이 변하게 되면 원하는 딜레이 값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레퍼런스 클럭과 딜레이 라인을 거친 출력 신호인 피드백 클락의 위상차가 발생하게 된다. 딜레이 라인 제어기(Delay Line Controller)(360)는 이 위상차에 따라 각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을 제어하여 위상차를 0으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각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을 보정하면 각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은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한 값을 유지하게 된다.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좀 더 작은 단위의 딜레이 값을 구현하기 위한 블록으로 3개의 딜레이 엘리먼트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딜레이 엘리먼트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나머지1개의 딜레이 엘리먼트는 실제적인 딜레이 값을 구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레퍼런스 클록 딜레이 라인에서 PVT 보정된 계수 값을 구하고 이를 데이터 딜레이 라인에 전달하는 구조로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구조를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럭 딜레이 라인은 자체적인 딜레이 구현 및 데이터 딜레이 라인에 PVT 보정된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리플 딜레이 엘리먼트를 사용하여 정밀한 딜레이(fine delay)가 구현될 수 있다. 메인 딜레이 라인에서 각 엘리먼트는 수백 피코세컨드(picosecond) 내지 나노세컨드 딜레이(nanosecond delay) 단위를 구현하고 페이즈 에러(phase error)를 0으로 맞출 수 있다. 메인 딜레이에서 너무 작은 단위의 딜레이를 구현하면 딜레이 라인이 너무 길어진다. 따라서, 마지막 트리플 딜레이 엘리먼트 부분에서 수 피코 세컨드 단위의 딜레이를 구현하는데 이 부분에서도 PVT 보정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딜레이 라인 제어기의 제어 방법은 아날로그로 구현하기에 복잡하므로 디지털 로직으로 구현하여 혼합 디자인(mixed design)에 적합할 수 있다. 메모리 관리 방법을 사용하여 전원이 들어온 이후 처음으로 외부 입력 딜레이 값이 정해지면 딜레이 라인과 딜레이 라인 제어기를 통해 PVT 보정된 계수 값을 저장해 놓고 이후 딜레이 값이 변하는 경우 레퍼런스 값으로 사용하면 PVT 보정 시간 및 제어 절차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페이즈 에러가 거의 0이 되는 상황인 락(lock)되는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1(F Delay Element1)(400)의 입력p-1 과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2(F Delay Eleement2)(450)의 입력p는 도 3의 딜레이 라인에서 임의의 연속된 딜레이 엘리먼트의 입력과 출력 신호이다. 딜레이 엘리먼트의 입력은 전단의 출력과 같다. 반드시 맨 마지막 단일 필요는 없고 1개의 딜레이 엘리먼트의 차이를 가지면 된다.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 각각은 2개의 딜레이 엘리먼트(FDE1(410), FDE2(420))로 구성되고 첫번째 딜레이 엘리먼트인 FDE1(410)은 실제 딜레이 값을 구현하는데 사용되고 두번째 FDE2(420)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1(400)의 FDE1(410)은 최소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 신호(최소값(minimum value))를 딜레이 라인 제어기(490)로부터 받고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2(450)의 FDE1(460)은 최대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 신호(최대값(Maximum Value))를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딜레이 라인 제어기(490)는 파이널 페이즈 탐색기(Final Phase Dector(390))로부터 페이즈 비교 결과 신호를 받아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2(450)와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1(400)의 출력 신호의 페이즈(phase) 가 일치하도록 제어 신호(보상 제어(Compensation Control): 계수 값(Coefficient value))을 보내면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1(400)의 FDE1(410)과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2(450)의 FDE1(460)은 각각 최소 딜레이와 최대 딜레이를 가지고 FDE2(420, 470)에 의해 보정될 수 있기 때문에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 1(400)과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 2(450)의 전체 딜레이 차이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상관없이 항상 도3의 딜레이 라인에서 1개의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과 일치하게 된다.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1(400) 및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2(450)에서 얻어진 같은 보정된 제어 신호(보상 제어(Compensation Control): 계수(coefficient))를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3(405)의 FDE2(425)에 보내고 실제 딜레이 값을 파이널 딜레이 엘리먼트3(405)의 FDE1(415)에 보내면PVT 및 주변 환경 변화에 상관없는 안정된 딜레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5는 딜레이 라인 제어기(Delay Line Controller)의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계수 제어 메모리(Coefficient Control Memory)는 각 채널의 가변적 딜레이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계수 제어(Coefficient Control)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공용 장소이며 효율적인 메모리 관리를 위해 일정 크기의 페이지(Page) 단위의 크기로 나누어 관리될 수 있다.
페이지 단위의 메모리 관리를 수행하므로 각 채널의 제어 가능한 딜레이 엘리먼트의 개수는 페이지 크기에 따라 결정되고 다양한 딜레이 시간을 구현하기 위해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페이지 크기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쓰기 버퍼(Write Buffer)(520)는 각 채널의 계수 제어 데이터를 계수 제어 메모리(Coefficient Control Memory)(500)에 저장하기 전에 임시 저장하고 있는 버퍼로 DMA(Direct Memory Access)에 의해 계수 제어 메모리(coefficient control memory)로 연속적으로 쓰여지는 횟수에 따라 이를 지원할 수 있게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540)은 각 채널의 딜레이를 제어하기 위해 입력되는 계수 제어(coefficient control) 데이터의 저장할 위치의 메모리 어드레스를 생성 및 관리하는 부분으로 각 채널에 할당되는 딜레이 값에 따라 페이지(Page) 단위의 메모리를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560)으로부터 할당받거나 반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계수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어드레스 생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어드레스는 사용되는 메모리 영역에 따라 비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을 할당받거나 반납할 수 있기 때문에 비연속적일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Memory Controller)는 각 채널의 계수 제어 데이터를 계수 제어 메모리에 쓰고 읽기를 하기 위한 제어 로직으로 여러 입력 및 출력 채널과 DMA 기능을 담당한다.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560)은 전체 계 수 제어 메모리를 일정 크기의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관리하며 각 채널의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540)의 요청에 따라 새로운 페이지를 할당하거나 사용 후 필요 없게 된 페이지를 다시 풀에 받아들여 유기적으로 메모리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Memory Page Descriptor)(580)는 각 채널에 할당된 페이지의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관리할 수 있다. 읽기 버퍼(Read Buffer)는 각 채널을 통해 계수 제어 데이터를 출력하기 전에 계수 제어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계수 제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있는 버퍼이다. 딜레이 값 비교 유닛(Delay Value Comparison Unit(DVCU))(590)부분은 외부 사용자의 딜레이 설정 값의 변화 요청(각종 센서 및 네트워크를 통한 설정 값 변화 요청)에 의해 각 채널의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현재와 전 값을 비교하여 이에 따른 페이지 단위의 메모리 할당 및 수거를 요청하게 한다.
또한, 여러 딜레이 값 변경 요인이 있는 딜레이 소스 루트의 제어를 수행하며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때 딜레이 출력의 보정을 요청하고 그 속도 및 방법을 제어한다. 각 채널의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540)은 처음 상태에서 DVCU(Delay Value Comparison Unit)(590)으로부터 전달받은 딜레이 값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의 크기를 결정한 후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560)으로부터 페이지를 할당 받는다. 각 채널이 수행해야 되는 딜레이 값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메모리 페이지의 개수도 다르게 된다. 페이지 크기는 각 상황에 따라 적당한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외부 입력 또는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수 제어 데이터 메모리(coefficient control data memory)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나타난 것과 같이 처음 초기 상태에서는 채널 순서에 따라 연속적인 메모리 영역의 페이지(600)를 할당받게 되고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는 페이지 풀 관리 유닛(Page Pool Management Unit)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불연속 페이지 메모리(discontinued page memory)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서는 연속되지 않은 영역의 페이지 할당의 경우를 보여주고 있다.
각 채널 별로 계속해서 딜레이 값이 변하면서 페이지 할당 및 수거가 계속되면 연속되지 않은 영역의 페이지(700)를 할당받을 수 있다. 각 채널의 계수 제어 데이터가 처음으로 입력되면 쓰기 어드레스 포인터(Write Address Pointer)는 처음 페이지의 처음 계수 엘리먼트를 가리키고 있을 것이므로 할당받은 페이지 메모리 영역의 처음 계수 엘리먼트에 쓰기를 수행하고 쓰기 어드레스 포인터(Write Address Pointer)를 1씩 증가시켜 다음 계수 엘리먼트에 쓰기를 준비한다. 각 채널 및 딜레이 값에 따라 딜레이 라인 제어기와 딜레이 라인에 의해 보정된 계수 값이 저장되는데 다음에 딜레이 값이 변경될 경우는 기존의 저장된 계수 값을 읽어서 사용할 수 있다.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은 쓰기 어드레스 포인터(Write Address Pointer)와 읽기 어드레스 포인터(Read Address Pointer)를 관리하며 계수 제어 데이터를 쓰고 읽을 때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Memory Page Descriptor)의 다음 주소 포인터(Next Address Pointer) 및 유효 비트(Valid bit) 및 엔드 비트(End bit)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어느 한계 상황에 다다르면(계수 메모리가 부족하거나 딜레이 값에 해당하는 계수 메모리가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등) 현재 할당된 계수 메모리를 릴리즈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채널 별로 할당된 페이지 단위의 계수 제어 메모리의 연결 상태를 나타내기 위해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Memory Page Descriptor)(800)를 구성하는데 계수 제어 메모리와는 별도의 영역에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800)를 구성할 수도 있고 계수 제어 메모리에 직접 구성할 수도 있다. 전달되는 딜레이 값에 따라 새로이 계수 메모리가 필요하면 필요한 페이지를 얻은 후 메모리 페이지 디스크립터(800)를 구성하고 딜레이 값에 따라 저장해야 되는 계수 값이 많이 필요하면 새로운 페이지를 할당받아 연결 리스트(Linked List)를 만들 수 있다.
할당받은 계수 제어 메모리의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페이지 디스크립터 엘리먼트(Page Descriptor Element)가 존재하며 페이지 디스크립터 엘리먼트(Page Descriptor Element)의 엔드 비트(End bit)와 유효 비트(Valid bit)를 참조하고 다음 어드레스 포인터(Next Address Pointer)의 값에 따라 다음 읽기 및 쓰기에 해당하는 계수 제어 데이터 메모리의 페이지를 가져올 수 있다. 각 채널의 어드레스 관리 유닛(Address Management Unit)은 현재 읽기 및 쓰기를 수행하는 페이지의 마지막 계수 엘리먼트를 액세스한 후 각 페이지에 해당하는 다음 페이지 디스크립터 엘리먼트(Page Descriptor Element)의 다음 어드레스 포인터의 값을 참조하여 비연속적인 계수 제어 메모리 영역을 관리하게 된다.
딜레이 값에 따라 계수 메모리의 관리는 다음의 3 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첫번째 경우로 새로이 입력되는 딜레이 값이 현재 딜레이 값과 같은 경우, 사용하는 딜레이 엘리먼트의 개수를 같도록 사용한다면 관련 계수 엘리먼트의 개수도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메모리의 크기도 변화가 없다.
두번째 경우로 작은 값의 새로운 딜레이 값이 적용되는 경우 새로 적용되고 있는 딜레이 값이 현재 적용되는 딜레이 값보다 작게 되므로 사용되는 딜레이 엘리먼트의 개수 및 계수 엘리먼트의 개수가 작아지고 이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 상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 경우 조정 방법이 여러가지 있을 수 있는데, 한가지 방법으로 줄어드는 딜레이 값에 의해 현재 쓰고 있는 영역과 줄어드는 영역의 차이가 한 페이지 크기보다 크게 되면 페이지 메모리를 페이지 풀 관리 유닛에 반환한다.
세번째 경우로 큰 값의 새로운 딜레이 값이 적용되는 경우 현재 적용되고 있는 딜레이 값이 새로 적용되는 딜레이 값보다 작게 되므로 이때는 사용되는 딜레이 엘리먼트의 개수 및 계수 엘리먼트의 개수가 많아지고 이에 따른 전체적인 동작 상의 조정이 필요하다. 이때 한 페이지 크기의 메모리를 페이지 풀 관리 유닛으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 실시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보정용 고속 딜레이를 수행하는 딜레이 유닛은,
    입력 신호의 딜레이 스큐(skew)의 조정을 위한 복수의 딜레이 라인; 및
    상기 복수의 딜레이 라인에 대한 제어를 위한 딜레이 라인 제어기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딜레이 라인 각각은 데이터 딜레이 라인 및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은 데이터를 입력받아 딜레이시키고,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딜레이 시키거나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의 보정을 위한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은 레퍼런스 클럭을 입력으로 받아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의 딜레이 값의 보정을 위한 상기 보정 제어 정보를 제공하며,
    상기 레퍼런스 클럭 딜레이 라인 및 상기 데이터 딜레이 라인 각각 상에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는 복수의 비정밀 딜레이 엘리먼트(Coarse Delay Element) 및 복수의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Fine Delay Element)를 포함하며,
    상기 비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1차적으로 딜레이된 1차 딜레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상기 1차 딜레이 신호를 추가적으로 딜레이시켜 2차 딜레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복수의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2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2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3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4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3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실제 딜레이 값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2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4 하위 정밀 딜레이 엘리먼트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복수의 딜레이 라인 각각은 서로 다른 딜레이 값을 갖고, 데이터를 입력받는 각 채널(channel)마다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는 복수의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및 제3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각각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 및 상기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PVT(Process, Voltage, Temperature) 및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른 딜레이 값을 보정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3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실제적인 딜레이 값을 구현하는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최소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 신호(MinimumValue)를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2 파이널 튜닝 딜레이 엘리먼트는 최대 딜레이를 구현하는 제어신호(MaximumValue)를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레퍼런스 클럭(Reference Clock)과 딜레이 라인을 거친 출력 신호인 피드백 클럭(Feedback Clock)의 위상차에 따라 상기 딜레이 엘리먼트의 딜레이 값을 제어하여 위상차를 0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계수 제어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계수 제어 메모리는 상기 각 채널의 딜레이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한 계수 제어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라인 제어기는 DVCU(Delay Value Comparison Unit)을 더 포함하고,
    상기 DVCU는 딜레이 설정 값의 변화 요청에 의해 상기 각 채널의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경우 이를 감지하고 현재 값과 이전 값을 비교하여 이에 따른 페이지 단위의 메모리 할당 및 수거를 요청하고,
    상기 DVCU는 상기 딜레이 값이 변화하였을 때 딜레이 출력의 보정을 요청하고 그 속도 및 방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딜레이 유닛.
KR1020170176804A 2017-12-21 2017-12-21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42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04A KR102042742B1 (ko) 2017-12-21 2017-12-21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804A KR102042742B1 (ko) 2017-12-21 2017-12-21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16A KR20190075316A (ko) 2019-07-01
KR102042742B1 true KR102042742B1 (ko) 2019-11-27

Family

ID=67255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804A KR102042742B1 (ko) 2017-12-21 2017-12-21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7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042A (ja) * 2010-03-05 2011-09-22 Nec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回路、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9977B2 (ja) * 1997-05-16 2003-07-28 富士通株式会社 スキュー低減回路及び半導体装置
KR100263484B1 (ko) * 1998-04-25 2000-08-01 김영환 클럭신호 지연 장치
KR20050089944A (ko) 2005-08-11 2005-09-09 김선장 인증해서 사용할 주민등록번호 대체번호 만드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8042A (ja) * 2010-03-05 2011-09-22 Nec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回路、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16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2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ing adjustment
US855277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ltering a forward path delay of a signal path
US9054675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minimum forward path delay of a signal path
US6316980B1 (en) Calibrating data strobe signal using adjustable delays with feedback
CN110417380B (zh) 自主占空比校准
JP6991063B2 (ja) トランスミッターのレーン間スキュー調整
KR20210079390A (ko) 다중 비트 듀티 사이클 모니터를 위한 장치들 및 방법들
WO2005041251A2 (en) Digitally controlled delay cells
JP7024119B2 (ja) Fpga回路、システム、設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9286961B1 (en) Memory controller half-clock delay adjustment
US7493461B1 (en) Dynamic phase alignment for resynchronization of captured data
KR102062365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반도체 시스템
KR102042742B1 (ko) 딜레이 라인을 이용한 실시간 pvt 보정용 고속 딜레이 방법 및 그 장치
TWI759822B (zh) 半導體積體電路、記憶體控制器及記憶體系統
JP2020046918A (ja) 記憶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411916B1 (ko) 직접 측정 지연 캘리브레이션 방법 및 장치
WO2014112509A1 (ja) 出力信号生成装置、半導体装置および出力信号生成方法
US20200073555A1 (en)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090024442A (ko) Dll 회로
KR20120070439A (ko) 상태 레지스터를 이용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