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672B1 -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72B1
KR102042672B1 KR1020170159811A KR20170159811A KR102042672B1 KR 102042672 B1 KR102042672 B1 KR 102042672B1 KR 1020170159811 A KR1020170159811 A KR 1020170159811A KR 20170159811 A KR20170159811 A KR 20170159811A KR 102042672 B1 KR102042672 B1 KR 10204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armored vehicle
main body
link
wate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424A (ko
Inventor
김연수
안홍규
황인수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7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61Amphibious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or of a particular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FVEHICLES FOR USE BOTH ON RAIL AND ON ROAD; AMPHIBIOUS OR LIKE VEHICLES; CONVERTIBLE VEHICLES
    • B60F3/00Amphibious vehicles, i.e.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both on land and on water; Land vehicles capable of travelling under water
    • B60F3/0007Arrangement of propulsion or steering means on amphibious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32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 B63B1/34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 B63B1/36Other means for varying the inherent hydrodynamic characteristics of hulls by reducing surface friction using mechan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7/00Armoured or arm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5Track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2Amphibious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 Y02T70/1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를 주행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주행체를 갖는 수륙양용 장갑차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된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축 가능한 신축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절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WATER RESISTANCE REDUCTION DEVICE OF LANDING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륙양용 장갑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이의 수상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륙양용 장갑차는 수상 또는 지상 주행이 가능하다.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 주행 시, 수륙양용 장갑차의 본체와 본체의 하부를 지지하며 주행을 담당하는 주행체에서 수상저항이 발생된다.
이러한 수상저항은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 주행 시 많은 동력을 소모하게 되며,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 속도를 저감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수상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해 수륙양용 장갑차의 주행체를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주행체의 이동량에 따른 복잡한 메커니즘이 수륙양용 장갑차에 설치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기존에는 주행체를 본체 하부면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육상 주행시 주행체의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멈춤판을 접어야 하기 때문에 더욱 메커니즘이 복잡하며, 고장 발생 요소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의 하부로부터 상부를 향해 이동되는 주행체의 이동거리가 길어서, 군의 상륙작전을 위해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으로부터 육상 주행으로 변경되는 경우 주행체의 빠른 이동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주행체의 이동량이 기존 기술대비 적은 상태에서도 수상저항을 저감시켜 고속주행을 할 수 있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를 주행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주행체를 갖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는, 주행체를 멈춤판 까지만 상승 시키고, 본체 하부에 공기주입 방식 신축부재를 추가하는 장치이다.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된 제2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축 가능한 신축부재, 그리고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절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1 회동핀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 회동핀, 그리고 상기 제1 회동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홀과 상기 제1 링크홀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2 회동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링크홀이 형성된 제1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지지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제3 회동핀과,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지지부재의 타측에 배치된 제4 회동핀, 그리고 상기 제3 회동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링크홀과 상기 제3 링크홀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제4 회동핀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링크홀이 형성된 제2 링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중저항 저감장치는 상기 신축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와, 상기 신축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중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마주하는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제1 수용영역, 그리고 상기 신축부재와 마주하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 중 상기 제2 지지부재와 마주하는 결합돌기를 수용하는 제2 수용영역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신장되고, 수륙양용 장갑차가 육상 주행 시 수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행체가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무한궤도의 하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수상저항을 저감시켜 고속주행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륙양용 장갑차의 정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수륙양용 장갑차에 설치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중저항 저감장치의 정면 확대 및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일부의 확대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수상주행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를 설명한다.
수륙양용 장갑차(100)는 본체(10)와 주행체(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바디로 이의 내부에는 수륙양용 장갑차(100)를 구동시킬 수 있는 동력장치 등이 설치된다. 또한, 주행체(20)는 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며, 본체(10) 내부에 설치된 동력장치에 의해 육지에서 주행시 지면과 접촉되는 무한궤도(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행체(20)는 본체(10)를 지지하며, 본체(10)가 육지에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체(20)는 본체(10)의 양측에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와 신축부재(230) 그리고 링크부(260)를 포함한다.
제1 지지부재(21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체(10)의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210)는 주행체(20) 사이의 본체(10) 하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210)는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2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이격 배치된다. 제2 지지부재(220)는 제1 지지부재(210) 보다 본체(10)의 하부 일면과 더 멀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220)는 본체(10)의 하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220)는 제1 지지부재(210) 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신축부재(230)(신장(팽창) 및 수축부재)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신축부재(230)는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주입되면 제1 지지부재(210)로부터 제2 지지부재(220)를 향해 신장(팽창)될 수 있다. 즉,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주입되면 신축부재(230)는 하부방향으로 신장되며, 제1 지지부재(2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제2 지지부재(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주입되면, 신축부재(230) 내부에 주입된 공기에 따라 부력이 증가하고 제2 지지부재(220)는 제1 지지부재(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링크부(260)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를 연결한다. 또한, 링크부(260)는 신축부재(230)의 신축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절첩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링크부(260)는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주입되는 경우, 신축부재(230)의 신장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260)는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신축부재(230)의 수축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링크부(260)는 제2 지지부재(220)와 회동되며 제2 지지부재(220)와 절첩되어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링크부(260)와 제2 지지부재(220)가 절첩 가능하게 결합되어, 링크부(260)는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제거되는 경우, 제2 지지부재(220)가 본체(10)의 하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축 가능한 신축부재(230)를 포함하고 있어, 수상 주행 시 부력을 제공받을 수 있어 본체(10)의 수중 잠김 면적을 줄여 본체(10)와 물과의 마출로 인한 수상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본체(10)를 지지하는 주행체(20)의 하부에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장 가능한 신축부재(230)에 의해, 수중 주행 시 주행체(20)와 물과의 마찰로 인한 수상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의 신축부재(230)는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수상 주행 시 신장되고, 수륙양용 장갑차가 육상 주행 시 수축될 수 있다.
신축부재(230)는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수상 주행 또는 육상 주행에 따라 수축(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다.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본체(10)에는 압축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공기 공급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기 공급부(30)는 신축부재(230)로 공기를 공급할 수도 있고, 신축부재(230)에 공급된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륙양용 장갑차(100) 본체(10)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 또는 작업자에 의해 선택 제어되는 별도의 스위치에 따라 공기 공급부(30)는 신축부재(230)로 선택적으로 공기의 공급 및 배출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공기 공급부(30)와 신축부재(230)는 이를 연결하는 호스 등의 연결배관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신축부재(230)의 일영역에는 공기 공급부(30)와 연결되는 연결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 또는 작업자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신축부재(230)가 신장되도록 공기 공급부(30)를 제어하여 신축부재(230)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된 공기는 신축부재(230)가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신장(팽창)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부재(230) 내부의 공급된 공기에 의해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부력은 증가하게 되고, 이는 본체(10)가 물에 잠긴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신축부재(230)가 본체(10)의 하부방향으로 신장되어, 본체(10)를 지지하도록 본체(10)의 바닥면 보다 하루로 돌출 배치된 주행체(20)와 본체(10)의 바닥면 사이와의 물과 마찰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즉, 제2 지지부재(220)와 신축부재(230)가 본체(10) 양측에 형성된 주행체(20) 사이의 공간을 채울 수 있어, 주행체(20)와 물과의 마찰에 따른 수상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 또는 작업자는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육상 주행 시 신축부재(230)가 수축되도록 공기 공급부(30)를 제어하여 신축부재(230)에 공기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공기 공급부(30)에 의해 제거된 공기에 따라 신축부재(230)가 본체(10)의 하부방향과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수축 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부재(220)도 신축부재(230)의 신축에 따라 제1 지지부재(21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육상 주행 시, 신축부재(230)는 수축되어 주행체(20)가 본체(10)를 지지하며 주행하는 경우 지면과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주행 환경에 따라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100)의 주행체(20)가 무한궤도(26)를 포함하는 경우, 신축부재(230)는 신장 시 제2 지지부재(220)가 무한궤도(26)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신축부재(230)에 공기가 주입되어 신장되면, 제2 지지부재(220)가 본체(10)의 하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신축부재(230)는 제2 지지부재(220)가 무한궤도(26)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즉, 신축부재(230)는 무한궤도(26)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제2 지지부재(220)가 위치하도록 신장되어,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수중 주행 시, 무한궤도(26)의 하부면과 제2 지지부재(220)의 외부와 수상저항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무한궤도(26)는 본체(10)가 험지를 효과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수륙양용 장갑차(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무한궤도(26)는 본체(10)보다 하부로 돌출되어 있어, 수상 주행 시, 수상저항으로 작용될 수 있다. 또한, 무한궤도(26)는 폐루프 형태로 설치되어 회전되며 지형으로부터 본체(10)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행체(20)는 무한궤도(26)를 포함할 수 있다.
무한궤도(26)는 회전되며 지면과 접촉되어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의 링크부(260)는 제1 회동핀(261)과 제2 회동핀(262) 그리고 제1 링크홀(273)과 제2 링크홀(274)이 형성된 제1 링크부재(2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동핀(261)은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방향은 본체(10) 하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할 수 있다.
제1 회동핀(261)은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회동핀(261)은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회동핀(262)은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지지부재(2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은 본체(10) 하부의 길이방향과 동일 할 수 있다.
제2 회동핀(262)은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회동핀(262)은 제2 지지부재(220)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271)에는 제1 링크홀(273)과 제2 링크홀(274)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홀(273)에는 제1 회동핀(261)이 삽입되며, 제1 링크홀(273)은 제1 회동핀(261)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링크부재(271)가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 링크홀(274)에는 제2 회동핀(262)이 삽입되며, 제2 링크홀(274)은 제2 회동핀(262)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링크부재(271)가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제1 링크부재(271)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링크부(260)는 신축부재(230)의 신장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의 링크부(260)는 제3 회동핀(263)과 제4 회동핀(264) 그리고 제2 링크부재(2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회동핀(263)은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회동핀(263)은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3 회동핀(263)은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4 회동핀(264)은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2 지지부재(22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회동핀(264)은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이 외부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4 회동핀(264)은 제2 지지부재(220)의 타측에 삽입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링크부재(272)에는 제3 링크홀(275)과 제4 링크홀(276)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3 링크홀(275)에는 제3 회동핀(263)이 삽입되며, 제3 링크홀(275)은 제3 회동핀(263)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링크부재(272)가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4 링크홀(276)에는 제4 회동핀(264)이 삽입되며, 제4 링크홀(276)은 제4 회동핀(264)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2 링크부재(272)가 회동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제2 링크부재(272)는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회동핀(261)이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회동핀(262)이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에 배치된 경우,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는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제1 지지부재(210)의 폭방향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 중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가 설치된 중심부의 길이는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의 설치영역에 따라 나머지 영역의 길이보다 짤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동핀(262)이 제2 지지부재(2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4 회동핀(264)이 제2 지지부재(220)의 타측에 배치된 경우,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는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제2 지지부재(220)의 폭방향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 중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가 설치된 중심부의 길이는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의 설치영역에 따라 나머지 영역의 길이보다 짤게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회동핀(261)이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 회동핀(262)이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경우,
제1 링크부재(271)는 제1 지지부재(21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제1 지지부재(210)의 일측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부재(272)는 제1 지지부재(210)를 중심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제1 지지부재(210)의 타측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3 회동핀(263)이 제2 지지부재(220)의 일측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제4 회동핀(264)이 제2 지지부재(220)의 타측에서 양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는 제2 회동핀(262)과 제4 회동핀(264)을 더욱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신축부재(230)가 복수로 형성되고, 제2 지지부재(220) 또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00)를 연결하는 링크부(260) 역시 복수로 형성되어 신축부재(230)의 신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결합돌기(231)와 제1 수용영역(251) 그리고 제2 수용영역(25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결합돌기(231)는 신축부재(230)의 외주면을 따라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돌기(231)는 따라 제1 지지부재(210) 및 제2 지지부재(220)와 마주하는 신축부재(230)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결합돌기(231)는 신축부재(23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되고, 제1 지지부재(210) 또는 제2 지지부재(22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결합돌기(231)는 신축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신출부재(2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신축부재(23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231)는 신축부재(230)의 공기 주입에 따라 신축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영역(251)은 제1 지지부재(2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영역(251)은 신축부재(2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제1 지지부재(210)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영역(251)은 신축부재(230)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제1 수용영역(251)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결합돌기(231)가 계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수용영역(251)은 제1 지지부재(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수용영역(251)에 신축부재(23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제1 지지부재(210)와 마주하는 결합돌기들이 계합될 수 있어, 제1 지지부재(210)에 신축부재(230)의 외주면 일부가 지지될 수 있다.
제2 수용영역(252)은 제2 지지부재(2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영역(252)은 신축부재(230)의 외주면과 마주하는 제2 지지부재(220)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영역(252)은 신축부재(23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제1 수용영역(251)에 계합되지 않은 나머지 결합돌기들과 마주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결합돌기(231)가 계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영역(252)은 제2 지지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용영역(252)에 신축부재(23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제2 지지부재(220)와 마주하는 결합돌기들이 계합될 수 있어, 제2 지지부재(220)에 신축부재(230)의 외주면 일부가 지지될 수 있다.
즉, 신축부재(230)에 공급되는 공기에 따라 신축부재(230)가 신장되는 경우, 신축부재(230)의 일영역은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일부와 계합된 제1 수용영역(251)에 의해 제제1 지지부재(210)에 지지되고, 신축부재(230)의 타영역은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나머지와 계합된 제2 수용영역(252)에 의해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보다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신축부재(230)에 공급된 공기가 제거됨에 따라 신축부재(230)가 수축되는 경우, 신축부재(230)의 타영역은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나머지와 계합된 제2 수용영역(252)에 의해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신축부재(230)의 일영역은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일부와 계합된 제1 수용영역(251)에 의해 제1 지지부재(210)에 신축부재(230)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신축부재(230)의 수축시,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제2 수용영역(252)과 계합된 결합돌기에 의해 신축부재(230)는 자체뿐만이 아니라 제2 지지부재(220)도 함께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복수의 결합돌기(231)와 제1 수용영역(251) 그리고 제2 수용영역(252)은 신축부재(230)가 제1 지지부재(210)와 제2 지지부재(220)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측면판(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측면판(28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링크부재(271) 또는 제2 링크부재(272)에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면판(280)은 제1 링크부재(271)에 설치될 수 있다.
측면판(280)은 신축부재(23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판(280)의 자중에 의해 제1 링크부재(271)의 회전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의 동작과정에 대해 서술한다.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수상 주행을 위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를 설명한다.
작업자 또는 제어부에 의해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수상 주행을 실시를 위해, 신축부재(230)에는 공기가 주입된다. 구체적으로, 공기 공급부(30)가 동작되어 신축부재(230)에 공기를 주입한다. 이에 따라, 신축부재(230)가 신장(팽창)한다.
신축부재(230)가 신장되면, 제1 링크부재(271)는 제1 링크홀(273)을 중심으로 제2 링크홀(274)이 제1 지지부재(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2 링크부재(272)는 제3 링크홀(275)을 중심으로 제4 링크홀(276)이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신축부재(230)는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링크홀(274)와 결합된 제2 회동핀(262)과 제4 링크홀(276)과 결합된 제4 회동핀(264)에 의해, 제2 지지부재(220)가 신장되는 신축부재(230)에 의해 제1 지지부재(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링크부재(271)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축부재(230)의 복수의 결합돌기(231)와 계합된 제1 수용영역(251)과 제2 수용영역(252)에 의해, 신축부재(230)의 신장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축부재(230)는 제2 지지부재(220)가 무한궤도(26)의 하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신장될 수 있다.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의 길이에 따라 신축부재(230)의 신장 길이가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수중 주행 시, 신축부재(230)는 신장될 수 있어 본체(10)의 하부와 주행체(20) 사이의 수상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다.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육상 주행을 위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를 설명한다.
작업자 또는 제어부에 의해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육상 주행을 실시를 위해, 신축부재(230)에 주입된 공기를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공급부(30)가 동작되어 신축부재(230)에 주입된 공기를 흡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부재(230)가 수축한다. 또는, 신축부재(230)에 형성된 별도의 배기구를 개방하여 신축부재(230) 내부에 주입된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고, 신축부재(2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수축될 수 있다.
신축부재(230)의 복수의 결합돌기(231) 중 일부가 제2 수용영역(252)과 계합되어 있어, 신축부재(230)의 신축에 따라 제2 지지부재(220)가 제1 지지부재(21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신축부재(230)가 수축되면, 제1 링크부재(271)는 제1 링크홀(273)을 중심으로 제2 링크홀(274)이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2 링크부재(272)는 제3 링크홀(275)을 중심으로 제4 링크홀(276)이 제1 지지부재(2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제2 링크홀(274)와 결합된 제2 회동핀(262)과 제4 링크홀(276)과 결합된 제4 회동핀(264)에 의해, 제2 지지부재(220)가 수축되는 신축부재(230)에 의해 제1 지지부재(21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제2 지지부재(220)가 제2 링크부재(272)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축부재(230)의 복수의 결합돌기(231)와 계합된 제1 수용영역(251)과 제2 수용영역(252)에 의해, 신축부재(230)의 수축에 따라 제1 링크부재(271)와 제2 링크부재(272)가 절첩되며 제1 지지부재(210)와 인접해지는 방향으로 제2 지지부재(220)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륙양용 장갑차(100)가 육상 주행 시, 신축부재(230)는 수축될 수 있어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와 지면 사이의 충돌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륙 주행시 부력을 향상시키고 본체의 하부방향으로 신장되어 주행체와 본체 하부 사이의 물과의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200)는 별도의 유압이나 복잡한 구동장치 없이 공기의 공급에 따라 시장 및 수축될 수 있어, 군의 상륙작전을 위해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으로부터 육상 주행으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동작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주행체
26: 무한궤도 200: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210: 제1 지지부재 220: 제2 지지부재
230: 신축부재 231: 결합돌기
251: 제1 수용영역 252: 제2 수용영역
260: 링크부 261: 제1 회동핀
262: 제2 회동핀 263: 제3 회동핀
264: 제4 회동핀 271: 제1 링크부재
272: 제2 링크부재 273: 제1 링크홀
274: 제2 링크홀 275: 제3 링크홀
276: 제4 링크홀

Claims (3)

  1. 본체와 상기 본체를 주행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주행체를 갖는 수륙양용 장갑차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이격 배치된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며, 공기의 주입에 따라 신축 가능한 신축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고, 상기 신축부재의 신축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재를 절첩 가능하게 지지하는 링크부를 포함하되,
    상기 신축부재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결합돌기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요홈부인 제1 수용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일면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요홈부인 제2 수용역역이 형성되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신축부재는 수륙양용 장갑차가 수상 주행 시 신장되고, 수륙양용 장갑차가 육상 주행 시 수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주행체가 무한궤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상기 무한궤도의 하부면과 동일 높이에 위치하도록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KR1020170159811A 2017-11-28 2017-11-28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KR10204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11A KR102042672B1 (ko) 2017-11-28 2017-11-28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11A KR102042672B1 (ko) 2017-11-28 2017-11-28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24A KR20190061424A (ko) 2019-06-05
KR102042672B1 true KR102042672B1 (ko) 2019-11-08

Family

ID=6684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11A KR102042672B1 (ko) 2017-11-28 2017-11-28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65B1 (ko) * 2002-04-02 2005-03-25 최윤상 접이식 방호부양장치와 수륙양용장갑차
KR100496651B1 (ko) 2002-11-04 2005-06-22 국방과학연구소 차량의 수상부양장치
JP3210309U (ja) 2017-01-16 2017-05-18 株式会社峰成総業 運航安定装置を備えた船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7681A (ko) * 2012-08-27 2014-03-07 이종수 지면 및 수면 상을 달리는 수륙양용 병력 수송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965B1 (ko) * 2002-04-02 2005-03-25 최윤상 접이식 방호부양장치와 수륙양용장갑차
KR100496651B1 (ko) 2002-11-04 2005-06-22 국방과학연구소 차량의 수상부양장치
JP3210309U (ja) 2017-01-16 2017-05-18 株式会社峰成総業 運航安定装置を備えた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24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494521B (zh) 一种履带可变形行走机构
KR101887583B1 (ko) 점핑력발생유닛과 점핑력발생유닛의 제어방법 그리고 이것을 이용한 점프로봇
ES2939583T3 (es) Conjunto de orugas para máquina motriz
US20180154960A1 (en) Climbing Vehicle using Suction with Variable Adaptive Suspension Seal
KR102042672B1 (ko) 수륙양용 장갑차의 수상저항 저감장치
JP2017170922A (ja) 水陸両用車
CN112590968A (zh) 一种六足轮腿式爬行机器人
KR101034352B1 (ko) 무한궤도용 트랙슈
KR102138361B1 (ko) 전방 형상 변형이 가능한 수상주행차량
KR101747227B1 (ko) 수륙양용 차량의 후방 플랩 시스템
CN112936324A (zh) 一种负压装置及吸附式机器人
CN112140803A (zh) 一种可变形轮胎
JP4554140B2 (ja) 多脚歩行ロボット
US20230166801A1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CN103818206A (zh) 两栖船艇
KR20180091468A (ko) 차량용 궤도
CN210502922U (zh) 一种带有防护装置的轮履复合变形轮
JP2013023165A5 (ko)
KR101218585B1 (ko) 무한궤도 차량
KR102559710B1 (ko) 트랙구동장치
KR20170091942A (ko) 가변형 다자유도 바퀴 모듈
CN217496311U (zh) 行走装置和机器人
CN219524072U (zh) 一种可切换式履腿运载装置和移动机器人
KR102559714B1 (ko) 트랙구동장치가 구비된 이동 플랫폼
JP2014202009A (ja) ミニショベルの油圧ホース配策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