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666B1 -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666B1
KR102042666B1 KR1020180076543A KR20180076543A KR102042666B1 KR 102042666 B1 KR102042666 B1 KR 102042666B1 KR 1020180076543 A KR1020180076543 A KR 1020180076543A KR 20180076543 A KR20180076543 A KR 20180076543A KR 102042666 B1 KR102042666 B1 KR 102042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maze
command
un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호
Original Assignee
(주)비트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트버스 filed Critical (주)비트버스
Priority to KR1020180076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블(11) 상에 복수개 블록 형태의 차단벽으로 미로(13, 또는 경로)를 형성한 미로 테이블(10)과; 상기 미로 테이블(10)의 미로(또는 경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수단(21,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제2 모터)을 구비한 소형 주행체(20)와; 제1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코딩 지령부(40)의 지령을 받아서 상기 주행 수단(21, 예를들어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예를들어 제2 모터)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회로(31)를 구비한 서브 제어부(30)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코딩 버튼(41)과, 선택된 코딩 버튼(41)이 선택된(눌려진) 순서대로 제어기기(30)에 전달될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처리장치(43)와, 상기 처리장치(43)에서 생성된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서브제어부(30)에 전달하는 제2 송수신부(45)로 구성된 코딩 지령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 Programing Training Device }
본 발명은 학습용 전자기기 또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절차에 관한 명령어 모음을 코드라고 하며, 좁은 의미로 이러한 코드를 입력하는 행위를 코딩이라 한다. 그러나, 코딩은 프로그램을 구상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와 과정에 관한 알고리즘을 작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컴퓨터 프로그래밍이라고도 한다. 근래에 디지털 지식 정보화시대를 맞아, 코딩 교육은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전문으로 하는 사용자뿐만 아니라, 초등학교에서부터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하기 위한 교과 과정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코딩 교육은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어린 학생을 대상으로 마우스 조작만으로 코딩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컴퓨터에 장시간 노출되기 때문에 오히려 교육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마우스 조작이나, 웹사이트 로그인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 학생인 경우에는 상기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식은 용이하지 않다.
공개특허 제10-2018-0037631호 : 블록을 이용한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는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고유 좌표를 갖는 복수의 블록 배치부; 상기 복수의 블록 배치부 상에 위치하는 복수의 코딩 블록을 인식하는 메인 컨트롤러; 및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화면상에 출력된 코딩 미션 정보에 상응하게, 상기 복수의 코딩 블록이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어 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사용하여 실제 미로 테이블 상에 있는 제어기기(예를들어, 추진 및 조향 기능이 구비된 주행 및 조향 제어가 가능한 모형 자동차, 제1 실시예)를 제어함으로써 코딩 입문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알고리즘,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심어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어 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사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존재하는 제어기기(예를들어, 진행 및 방향전환 기능이 구비된 모형 자동차, 제2 실시예)를 제어함으로써 코딩 입문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알고리즘,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심어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 아두이노(Arduino) 스크래치(Sratch)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IOT 코딩 교육용 키트를 이용한 코딩 교육에 앞서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프로그래밍,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시켜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는, 테이블(11) 상에 복수개 블록 형태의 차단벽으로 미로(13, 또는 경로)를 형성한 미로 테이블(10)과; 상기 미로 테이블(10)의 미로(또는 경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수단(21,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제2 모터)을 구비한 소형 주행체(20)와;
제1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코딩 지령부(40)의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받아서 상기 주행 수단(21, 예를들어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예를들어 제2 모터)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회로(31)를 구비한 서브 제어부(30)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코딩 버튼(41)과, 선택된 코딩 버튼(41)이 선택된(눌려진) 순서대로 제어기기(30)에 전달될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처리장치(43)와, 상기 처리장치(43)에서 생성된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서브제어부(30)에 전달하는 제2 송수신부(45)로 구성된 코딩 지령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코딩 버튼(41)의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는, 시작, 종료, 직진, 후진, 주행, 좌회전, 좌측, 왼쪽, 우회전, 우측, 오른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개 상의 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제어부(30) 또는 코딩 지령부(40)는 아두이노 기반의 코딩 플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는, 디스플레이(111) 상에 차단벽(113)으로 미로(또는 경로)를 형성한 영상표시부(110)와; 상기 영상표시부(110)의 미로(또는 경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기능과 조향 기능을 구비한 가상 이동체(120)와; 제2 코딩 지령부(140)의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받아서 주행 작용과 조향 작용을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출하는 영상 제어부(130)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2 코딩 버튼(141)과, 선택된 제2 코딩 버튼(141)이 선택된 순서를 반영하여 영상 제어부(130)에 전달될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제2 처리장치(143)와, 상기 제2 처리장치(143)에서 생성된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영상제어부(130)로 구성된 제2 코딩 지령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어 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사용하여 실제 미로 테이블 상에 있는 제어기기(예를들어, 추진 및 조향 기능이 구비된 주행 및 조향 제어가 가능한 모형 자동차, 제1 실시예)를 제어함으로써 코딩 입문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알고리즘,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심어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어 버튼이 구비된 제어부를 사용하여 영상 디스플레이 상에 시각적으로 존재하는 가상 제어기기(예를들어, 진행 및 방향전환 기능이 구비된 모형 자동차, 제2 실시예)를 제어함으로써 코딩 입문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알고리즘,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효과를 심어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아두이노(Arduino) 스크래치(Sratch) 같은 수단을 사용하는 IOT 코딩 교육용 키트를 이용한 코딩 교육에 앞서 초급자에게 거부감 없이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하면서 순서도, 프로그래밍, 코딩 개념을 자연스럽게 학습시켜줄 수 있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전체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는, 미로 테이블(10)과, 소형 주행체(20)와 서브 제어부(30)와 코딩 지령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미로 테이블(10)은 테이블(11) 상에 복수개 블록 형태의 차단벽으로 미로(13, 또는 경로)를 형성한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로 테이블(10)의 미로(또는 경로)는 직진량을 정하기 위해 도 3의 미로(113)처럼 직진 3칸, 직진 2칸, 직진 4칸 등으로 일정 단위의 길이를 시각적으로 사각형 갯수 등으로 도시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좌, 우 회전(꺽임), 180도 방향전환은 복수개 블록 형태의 차단벽으로 구성한다.
또한, 소형 주행체(20)는 미로 테이블(10)의 미로(또는 경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수단(21,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제2 모터)을 구비한다. 서브 제어부(30)는 제1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코딩 지령부(40)의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받아서 상기 주행 수단(21, 예를들어 제1 모터)과 조향 수단(23, 예를들어 제2 모터)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회로(31)를 구비한다.
또한, 코딩 지령부(40);를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코딩 버튼(41)과, 선택된 코딩 버튼(41)이 선택된(눌려진) 순서대로 제어기기(30)에 전달될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처리장치(43)와, 상기 처리장치(43)에서 생성된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서브제어부(30)에 전달하는 제2 송수신부(45)로 구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있어서, 코딩 버튼(41)의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는, 시작, 종료, 직진, 후진, 주행, 좌회전, 좌측, 왼쪽, 우회전, 우측, 오른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개 상의 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있어서, 서브 제어부(30) 또는 코딩 지령부(40)는 아두이노 기반의 코딩 플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학습방법 : 실시예 1>
코딩 지령부(40)가 시작 → 좌회전 → 종료를 누르면 소형 주행체(20)가 좌회전 한다. 코딩 지령부(40)가 서브 제어부(30)에 좌회전 지령(코딩,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서브 제어부(30)는 조향 수단(23, 제2 모터)을 제어하여 소형 주행체(20)를 좌회전 시킨다.
소형 주행체(20)가 직진 경로 있을 때는 시작 → 직진 → 숫자: 직진량 → 종료를 누르면 코딩 지령부(40)가 서브 제어부(30)에 직진량을 포함하는 직진 지령(코딩,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서브 제어부(30)는 주행 수단(21)을 제어하여 소형 주행체(20)를 하달된 거리만큼 직진 시킨다.
<위치 인식 기능>
미로 테이블(10)의 미로(또는 경로, 13)를 도3의 미로(113)처럼 형성시킨다. 소형 주행체(20)에 미로상 현재 자기 위치 인식 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각형 상의 미로 테이블(10)에 X축 방향으로 10 ~ 100개의 X축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전자기적 수단을 구비시키고, Y축 방향으로 10 ~ 1000개의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전자기적 수단을 구비시켜며, 소형 주행체(20)에 피인식 전자적 수단을 구비시키면 코딩 지령부(40)가 소형 주행체(20)가 현재의 미로상 위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때 해당 지점(예를들어, 출발점에서 직진한 상태의 T1 지점)에서 하달된 지령이 예를들어 미로 상황과 다른 2칸 직진인 경우(정답 : 좌회전) 미리 저장된 미로 경로 정보와 비교하여 오류로 판단하고 소형 주행체(20)의 제어를 하지 않고 "오류 코딩" 등의 음성 또는 시각적 경고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코딩 지령부(40)는 메모리부(47)을 더 구비하여 미로 경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딩 지령부(40)는 소형 주행체(20)의 경로상 현재 위치 또는 좌표를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47)에 미리 저장된 경로(미로)와 일치하는 경우 소형 주행체(20)를 이동시키고 틀린 경우 오류 코딩" 등의 음성 또는 시각적 경고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한다.
미로 테이블상에 좌표 또는 위치 인식을 위한 전자기적 수단(예를들어, 스마트폰 화면 좌표 설정 인식 수단) 및 소형 주행체(20)의 피인식 수단에 관한 공지 기술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으로 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이로 인해아 본 발명의 구성이 불명해진다고 볼수 없을 것이다.
<제2 실시예>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는, 디스플레이(111) 상에 차단벽(113)으로 미로(또는 경로)를 형성한 영상표시부(110)와, 영상표시부(110)의 미로(또는 경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기능과 조향 기능을 구비한 가상 이동체(120)를 포함하다.
또한, 제2 코딩 지령부(140)의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받아서 주행 작용과 조향 작용을 디스플레이(111) 상에 표출하는 영상 제어부(130)를 더 포함한다. 제2 코딩 지령부(40)를 포함하며, 이것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제2 코딩 버튼(141)과, 선택된 제2 코딩 버튼(141)이 선택된 순서를 반영하여 영상 제어부(130)에 전달될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생성하는 제2 처리장치(143)와, 상기 제2 처리장치(143)에서 생성된 지령(프로그램, 제어신호)을 영상제어부(130)로 구성된다.
<학습방법 : 실시예 2>
학습자가 출발점에 가상 이동체(120)가 위치하였을 때 시작 → 직진 → 숫자 3 → 종료를 누르면 가상 이동체(120)가 T1 지점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상 이동체(120)가 피제어기기 (제어대상)이 되고 버튼이 그 문자에 해당되는 코딩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예를들어, T1 지점에서 시작 → 좌회전 → 종료를 누르면 미로가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상 이동체(120)가 좌회전 한다. T1 지점에서 시작 → 우회전 → 종료를 누르면 가상 이동체(120)가 작동하지 않게 하거나 우회전 하지만 미로를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코딩 지령부(140)는 메모리부(147)을 더 구비하여 미로 경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코딩 지령부(140)는 가상 이동체(120)의 경로상 현재 위치 또는 좌표를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에 미리 저장된 경로(미로)와 일치하는 경우 가상 이동체(120)를 이동시키고 틀린 경우 "오류 코딩" 등의 음성 또는 시각적 경고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전달한다.
미로 테이블(10)은 사각형 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미로 테이블(10)에 X축 방향으로 10 ~ 100개의 X축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X축 눈금 인식 전자기적 수단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10 ~ 1000개의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Y축 눈금 인식 전자기적 수단이 구비되고, 소형 주행체(20)에 미로상 현재 자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피인식 전자적 수단이 구비되어, 코딩 지령부(40)가 소형 주행체(20)의 현재의 미로상 위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게 한다.

소형 주행체(20)가 직진 경로 있을 때는 시작 → 직진 → 숫자로 된 직진량 → 종료를 누르면 코딩 지령부(40)가 서브 제어부(30)에 직진량을 포함하는 직진 지령(코딩, 프로그램)을 전달하고 서브 제어부(30)는 주행 수단(21)을 제어하여 소형 주행체(20)를 하달된 거리만큼 직진시킨다.

코딩 지령부(40)는 메모리부(47)을 더 구비하여 미로 경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코딩 지령부(40)는 소형 주행체(20)의 경로상 현재 위치 또는 좌표를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47)에 미리 저장된 경로(미로)와 일치하는 경우 소형 주행체(20)를 이동시킨다.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47)에 미리 저장된 경로와 틀린 경우 코딩이 오류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경고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표출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삭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1: 테이블 21: 주행 수단
13: 미로 23: 조향 수단
10: 미로 테이블 20: 모형 이동체
35: 제1 송수신부 40: 코딩 지령부
31: 서브 제어회로 31: 서브 제어회로
41: 코딩 버튼 30: 제어기기
43: 처리장치 45: 제2 송수신부
47 : 메모리부
111: 디스플레이 113: 차단벽
110: 영상표시부 120: 가상 이동체
140: 제2 코딩 지령부 130: 영상 제어부
141: 제2 코딩 버튼 141:제2 코딩 버튼
143: 제2 처리장치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에 있어서,
    테이블(11) 상에 복수개 블록 형태의 차단벽으로 미로(13)를 형성한 미로 테이블(10)과;

    상기 미로 테이블(10)의 미로 상의 일지점에 위치되고, 주행 수단(21)과 조향 수단(23)을 구비한 소형 주행체(20)와;

    제1 송수신부(35)를 통하여 코딩 지령부(40)의 지령을 받아서 상기 주행 수단(21)과 조향 수단(23)을 제어하는 서브 제어회로(31)를 구비한 서브 제어부(30)와;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가 새겨진 코딩 버튼(41)과, 선택된 코딩 버튼(41)이 선택된 순서대로 제어기기(30)에 전달될 지령을 생성하는 처리장치(43)와, 상기 처리장치(43)에서 생성된 지령을 서브제어부(30)에 전달하는 제2 송수신부(45)로 구성된 코딩 지령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코딩 버튼(41)의 순서도 또는 코딩 개념의 문구는, 시작, 종료, 직진, 후진, 주행, 좌회전, 좌측, 왼쪽, 우회전, 우측, 오른쪽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3개 상의 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30)와 코딩 지령부(40)는 아두이노 기반의 코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시하고,

    미로 테이블(10)은 사각형 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미로 테이블(10)에 X축 방향으로 10 ~ 100개의 X축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X축 눈금 인식 전자기적 수단이 구비되고,
    Y축 방향으로 10 ~ 1000개의 눈금을 인식할 수 있는 Y축 눈금 인식 전자기적 수단이 구비되고,
    소형 주행체(20)에 미로상 현재 자기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피인식 전자적 수단이 구비되어,
    코딩 지령부(40)가 소형 주행체(20)의 현재의 미로상 위치를 인식하게 할 수 있게 하고,

    소형 주행체(20)가 직진 경로 있을 때는 시작 → 직진 → 숫자로 된 직진량 → 종료를 누르면 코딩 지령부(40)가 서브 제어부(30)에 직진량을 포함하는 직진 지령을 전달하고 서브 제어부(30)는 주행 수단(21)을 제어하여 소형 주행체(20)를 하달된 거리만큼 직진 시키고,

    상기 코딩 지령부(40)는 메모리부(47)을 더 구비하여 미로 경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코딩 지령부(40)는 소형 주행체(20)의 경로상 현재 위치 또는 좌표를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학습자에 의해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47)에 미리 저장된 경로와 일치하는 경우 소형 주행체(20)를 이동시키고,
    입력된 경로 이동 지령이 메모리부(47)에 미리 저장된 경로와 틀린 경우 코딩이 오류라는 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경고 메시지를 학습자에게 표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4. 삭제
KR1020180076543A 2018-07-02 2018-07-02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KR102042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43A KR102042666B1 (ko) 2018-07-02 2018-07-02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543A KR102042666B1 (ko) 2018-07-02 2018-07-02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66B1 true KR102042666B1 (ko) 2019-12-02

Family

ID=68847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43A KR102042666B1 (ko) 2018-07-02 2018-07-02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450A (zh) * 2021-01-25 2021-05-11 鲍天昊 一种测试树鼩认知功能的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402A (ko) * 2016-02-29 2017-09-06 씨어아이 주식회사 교육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026714A (ko) * 2018-03-06 2018-03-13 (주)엠알티인터내셔널 코딩 툴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01402A (ko) * 2016-02-29 2017-09-06 씨어아이 주식회사 교육용 로봇 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80026714A (ko) * 2018-03-06 2018-03-13 (주)엠알티인터내셔널 코딩 툴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72450A (zh) * 2021-01-25 2021-05-11 鲍天昊 一种测试树鼩认知功能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0095B2 (en) Robot control device, student role-playing robot, robot control method, and robot control system
KR102370502B1 (ko) 텐저블 블록 기반 증강현실 코딩 학습 시스템
KR102049030B1 (ko) 학습용 블록 시스템 및 학습용 콘텐츠 제공 방법
KR20180108987A (ko) 코딩 교육용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TWI619101B (zh) Puzzle learning system
KR102042666B1 (ko) 미로 코딩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 장치
KR20190130774A (ko)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Piçarra et al. Evaluating accessible navigation for blind people in virtual environments
KR20120006154A (ko) 실감형 외국어 교육 시스템 및 교육방법
KR100983109B1 (ko) 영어 단어 암기 시스템 및 온라인 영어 단어 암기 방법
KR102428745B1 (ko)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Shatte et al. Hand-held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 case study with sorting
Soares et al. Sign language learning using the hangman videogame
KR20140096017A (ko) 언어학습시스템
Mariappan et al. A design methodology of programmable tangible block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robotic system
KR20220049718A (ko) 코딩 교육용 로봇의 위치인식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07679A (ko) 공간 지각 게임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US11727819B2 (en) Interactive system for teaching sequencing and programming
KR101808716B1 (ko) 동작감지정보 기반의 영어 교육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영어 교육 제공 시스템
KR20200071287A (ko) 채색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한 모바일 장치 및 서버
KR101960903B1 (ko) 코딩 학습 시스템
KR102526195B1 (ko) 단어 학습 기기와 이를 이용한 단어 학습 방법
KR102443108B1 (ko)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홈 암호 찾기 게임 장치
KR102491931B1 (ko) 대화 수행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230075267A (ko) 복수의 메인 코딩 블록으로부터 획득되는 커맨드를 이용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