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0903B1 - 코딩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코딩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903B1
KR101960903B1 KR1020180101250A KR20180101250A KR101960903B1 KR 101960903 B1 KR101960903 B1 KR 101960903B1 KR 1020180101250 A KR1020180101250 A KR 1020180101250A KR 20180101250 A KR20180101250 A KR 20180101250A KR 101960903 B1 KR101960903 B1 KR 101960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ing
template
dimensional shape
toy device
to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진
임창준
조수현
Original Assignee
박한진
임창준
조수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진, 임창준, 조수현 filed Critical 박한진
Priority to KR1020180101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은 완구 장치 및 상기 완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딩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완구 장치를 동작시키는 코딩 학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 장치는 상기 완구 장치의 외형을 이루고, 복수 개의 입체 형상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입체 형상부, 상기 복수 개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입체 형상에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상기 코딩 학습 장치로부터 상기 코딩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코딩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코딩 명령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해당 입체 형상과 연결된 모터를 통해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입체 형상부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입체 형상과 대응되는 코딩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 및 상기 코딩 템플릿에 입력되는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딩 학습 시스템{SYSTEM FOR LEARNING CODING}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코딩 학습 시스템과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코딩을 학습함에 있어서, 학습자들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코딩의 전문을 입력하고, 의도한 바와 같이 코딩이 실행되는지를 확인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코딩을 처음 배우는 학습자들에게 오타 하나만으로도 오류가 날 수 있는 코딩 전문을 입력하는 것은 학습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학습자에게 코딩 학습의 흥미를 유발하고 부담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코딩 학습 시스템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63791호 (2018. 05. 2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 10-1800110호 (2017. 11. 15)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에게 코딩 학습에 흥미를 유발하고 부담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코딩 학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은 완구 장치 및 상기 완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딩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완구 장치를 동작시키는 코딩 학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 장치는 상기 완구 장치의 외형을 이루고, 복수 개의 입체 형상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입체 형상부, 상기 복수 개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입체 형상에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상기 코딩 학습 장치로부터 상기 코딩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코딩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코딩 명령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해당 입체 형상과 연결된 모터를 통해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입체 형상부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입체 형상과 대응되는 코딩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 및 상기 코딩 템플릿에 입력되는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딩 템플릿은 상기 코딩 템플릿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의 동작 속도 및 동작 각도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코딩 값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코딩 값에 따라 해당 입체 형상의 동작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시뮬레이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입력되는 코딩 값에 따라 해당 입체 형상을 동작시키는 경우, 해당 입체 형상의 동작이 기 설정된 동작 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이상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템플릿 제공부는 상기 완구 장치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완구 장치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코딩 템플릿 그룹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코딩 템플릿 그룹 중 해당 사용자의 입체 형상 선호도에 따라 가장 선호도가 높은 입체 형상과 대응되는 코딩 템플릿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학습자가 조립되는 평면 부재 각각에 대하여 코딩을 하고, 평면 부재 각각이 스스로가 기입한 코딩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것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음에 따라, 코딩 학습에 흥미를 느낄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학습자가 모든 코딩을 할 필요 없이, 코딩 키워드 값에 따라 가시적으로 확인되는 부분만을 채워서 코딩을 완성함에 따라, 오탈자 하나에도 오류가 날 수 있는 코딩을 완성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구 장치에 코딩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의 코딩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구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코딩 학습 시스템은 완구 장치(101) 및 코딩 학습 장치(102)를 포함할 수 있다. 완구 장치(101) 및 코딩 학습 장치(102)는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 예들에서, 통신 네트워크는 인터넷,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s), 광역 네트워크(wire area networks), 셀룰러 네트워크, 모바일 네트워크, 그 밖에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 또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완구 장치(101)는 코딩 학습 장치(102)의 코딩 명령에 따라 제어되는 기계 장치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완구 장치(101)는 조립 블럭 또는 조립 판재 등에 의해 조립되는 놀이 기구일 수 있다.
완구 장치(101)는 일정한 외형을 포함하며, 외형의 각 부분부분(예를 들어, 크레인 부분(112) 및 오른쪽 앞바퀴 부분(114))의 동작이 사용자에 의하여 각각 코딩되고 제어되는 놀이 장치일 수 있다. 외형은 평면의 재표판에 마련된 부품들을 절취 및 조립하여 형성된 입체 형상부(110)일 수 있다.
코딩 학습 장치(102)는 사용자로부터 완구 장치(101)의 입체 형상부(110)의 각 부분에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딩 명령을 입력받고, 이를 완구 장치(101)로 전송하는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완구 장치(101)는 입체 형상부(110), 모터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체 형상부(110)는 평면의 재료판에 절취 가능하게 마련된 다수의 부품들을 절취하여 조립된 다수의 입체 형상(제1 입체 형상(112) 및 제2 입체 형상(114) 등)의 결합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체 형상부(101)는 지게차의 형상일 수 있고, 제1 입체 형상(112)은 크레인부분이며, 제2 입체 형상부(114)는 오른쪽 앞바퀴 부분일 수 있다.
평면 재료판 상의 각각의 부품들은 전개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벼운 누름 조작만으로도 평면 재료판으로부터 부품들을 쉽게 절취할 수 있도록 부품들의 외곽선에는 절취선이 각인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부품들은 접착제 등의 별도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서로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을 위한 삽입부/결합구멍의 체결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절곡이 필요한 부분에는 용이한 절곡을 돕기 위해 절곡선(홈)이 각인되어 있을 수 있다.
입체 형상부(110)를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입체 형상(제1 입체 형상(112) 및 제2 입체 형상(114) 등)은 모터부(120)에 포함된 다수의 모터(제1 모터(122) 및 제2 모터(124) 등) 각각과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입체 형상(112)는 제1 모터(122)에 의하여 움직이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2 입체 형상(114)는 제2 모터(124)에 의하여 움직이도록 연결될 수 있다. 제1 모터(122)는 제1 입체 형상(112)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 코딩 명령의 입력에 따라 제1 입체 형상(11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2 모터(124)는 제2 입체 형상(114)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 코딩 명령의 입력에 따라 제2 입체 형상(114)을 구동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입체 형상, 하나의 모터 및 하나의 코딩이 하나의 세트일 수 있다.
모터부(120)는 다수의 모터(제1 모터(122) 및 제2 모터(124) 등)를 포함할 수 있고, 다수의 모터 각각은 다수의 입체 형상 각각을 대응하여 동작시키도록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모터 각각은 제어부(130)로부터 다수의 입체 형상 각각에 대응하는 하나의 코딩 명령을 입력받고, 이에 따라 작동하여 입체 형상 각각을 움직이게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터(122)는 제어부(130)로부터 제1 입체 형상(112)를 동작 시키기 위한 하나의 코딩 명령을 입력받고, 제1 입체 형상(112)이 동작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코딩 학습 장치(102)로부터 다수의 입체 형상 각각을 동작 시키기위한 다수의 코딩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코딩 명령은 코딩 학습 장치(10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시되며, 하나의 입체 형상(예를 들어, 제1 입체 형상(112))에 대응하는 코딩 템플릿(112a)이 사용자에 의하여 완성된 것일 수 있다. 코딩 명령이 완성되는 것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3을 통하여 후술한다.
제어부(130)는 코딩 명령 각각에 따라 입체 형상 각각에 대응하는 모터 각각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입체 형상(112)를 동작시키기 위한 코딩 명령을 입력받고, 제1 입체 형상(112)에 대응하는 제1 모터(122)를 작동시킬 수 있다. 제1 모터(122)가 작동함에 따라 제1 입체 형상(122)이 움직이는 동작을 할 수 있다.
코딩 학습 장치(102)는 사용자에게 임의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는 코딩 템플릿(112a)을 제공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코딩 템플릿(112a)을 코딩 명령으로 완성하고, 완성된 코딩 명령을 완구 장치(101)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구 장치에 코딩을 입력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코딩 학습 장치(102)는 디스플레이상에 완구 장치(101)의 입체 형상부(110)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입체 형상부(112)의 어느 한 입체 형상(예를 들어, 제1 입체 형상(112))을 선택하는 경우, 코딩 학습 장치(102)는 이에 대응하는 코딩 템플릿(예를 들어, 제1 코딩 템플릿(112a))를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코딩 템플릿(112a)은 해당 입체 형상의 움직임을 구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코딩은 입력된 채, 움직이는 각도나 속도의 값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B)으로 마련될 수 있다. 코딩 학습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코딩 템플릿(112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에 입체 형상이 움직이는 각도나 속도 등을 입력받아 코딩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통하여 후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코딩 학습 시스템의 코딩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코딩 학습 장치(102)는 템플릿 제공부(210), 시뮬레이션부(220) 및 통신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210)는 임의의 완구 장치(101)에 대하여 해당 완구 장치(101)의 코딩 템플릿 그룹을 제공할 수 있다. 코딩 템플릿 그룹은 해당 완구 장치(101)의 다수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는 다수의 코딩 템플릿을 포함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210)은 사용자에게 완구 장치(101)의 입체 형상부(110)를 이미지로 제공하고, 입체 형상부(110)에 포함된 다수의 입체 형상(제1 입체 형상(112) 및 제2 입체 형상(114) 등) 각각에 대응하는 코딩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코딩 템플릿(122a)은 코딩 학습 장치의 화면을 통하여 출력됨으로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수의 입체 형상들 중에서 하나의 입체 형상을 선택하는 경우, 템플릿 제공부(210)는 해당 입체 형상에 대응하는 코딩 템플릿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입체 형상(112)인 크레인을 선택하는 경우, 크레인이 움직이는 각도와 속도의 값이 입력될 사용자 인터페이스(B)을 포함하는 제1 코딩 템플릿(112a)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21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B)이 채워지는 경우, 해당 코딩 템플릿을 코딩 명령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코딩 템플릿(112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의 내용이 변경되는 경우, 기존의 코딩 명령을 변경된 코딩 명령으로 갱신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210)는 사용자가 임의의 코딩 템플릿(122a)을 작성하여 코딩 명령으로 생성하거나 갱신하는 경우, 해당 코팅 템플릿(122a)에 사용자가 몇 번째 해당 코딩 명령을 생성하는지를 기록할 수 있다.
또한, 템플릿 제공부(210)는 완구 장치(101)를 촬영하고, 촬영된 완구 장치(101)의 이미지와 기 저장된 다수의 완구 장치들의 이미지 중에서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추출하여, 해당 이미지에 대응하는 완구 장치의 코딩 템플릿 그룹을 추출할 수 있다. 템플릿 제공부(210)는 코딩 템플릿 그룹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횟수가 높은 코딩 템플릿을 추출하여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20)는 코딩 명령이 생성되거나 갱신됨에 따라 입체 형상부(110)가 동작하게 될 모습을 산출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부(220)는 제1 입체 형상(112)인 크레인에 대응하는 제1 코딩 템플릿(122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에 입력된 속도나 각도가 입력되어 코딩 명령으로 저장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도록 크레인이 움직이는 속도나 각도를 변경하여, 화면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시뮬레이션부(220)는 해당 입체 형상이 기 설정된 동작 한계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시뮬레이션부(220)는 생성된 코딩 명령대로 이에 대응하는 입체 형상을 작동시킬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동작 이상 알림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뮬레이션부(220)는 제1 코딩 템플릿(122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B)에 입력되는 값이 제1 입체 형상(112)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킬 수 없는 경우 동작 이상 알림을 발생 시킬 수 있다. 제1 입체 형상(112)이 정상적으로 동작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의 예로서는, 제2 입체 형상(114)의 동작에 지장을 준다던가, 제1 입체 형상(112)인 크레인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벗어난다던가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제1 입체 형상(112)의 동작 한계 범위는 제2 입체 형상(114)의 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도 있고, 제1 입체 형상(112)인 크레인이 회전할 수 있는 각도에 의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통신부(230)는 임의의 입체 형상에 대하여 코딩 명령이 생성되는 경우, 생성된 코딩 명령을 완구 장치(101)의 제어부(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통신부(230)는 코딩 명령이 갱신되는 경우, 갱신된 코딩 명령을 다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되는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완구 장치의 제어부(예를 들어, 완구 장치(101)의 제어부(12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 코딩 학습 시스템
101 : 완구 장치
102 : 코딩 학습 장치
110: 입체 형상부
112 : 제1 입체 형상
114 : 제2 입체 형상
120 : 모터부
122 : 제1 모터
124 : 제2 모터
130 : 제어부
112a : 코딩 템플릿
B : 사용자 인터페이스

Claims (4)

  1. 완구 장치; 및
    상기 완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딩 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완구 장치를 동작시키는 코딩 학습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완구 장치는,
    상기 완구 장치의 외형을 이루고, 복수 개의 입체 형상이 결합되어 마련되는 입체 형상부;
    상기 복수 개의 입체 형상 중 하나 이상과 연결되고, 상기 연결된 입체 형상에 동력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상기 코딩 학습 장치로부터 상기 코딩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코딩 명령에 기반하여 상기 코딩 명령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을 해당 입체 형상과 연결된 모터를 통해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입체 형상부의 이미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입체 형상과 대응되는 코딩 템플릿을 제공하는 템플릿 제공부; 및
    상기 코딩 템플릿에 입력되는 코딩 명령을 상기 완구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템플릿 제공부는,
    상기 완구 장치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완구 장치의 이미지와 기 저장된 다수의 완구 장치들의 이미지 중에서 가장 유사한 이미지를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완구 장치의 코딩 템플릿 그룹을 추출하며, 상기 추출한 코딩 템플릿 그룹 중 해당 사용자의 입체 형상 선호도에 따라 가장 선호도가 높은 입체 형상과 대응되는 코딩 템플릿을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코딩 템플릿 그룹은,
    상기 완구 장치의 복수의 입체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의 코딩 템플릿을 포함하는, 코딩 학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딩 템플릿은,
    상기 코딩 템플릿과 대응되는 입체 형상의 동작 속도 및 동작 각도 중 하나 이상을 결정하는 코딩 값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코딩 학습 장치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코딩 값에 따라 해당 입체 형상의 동작 상태를 시뮬레이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시뮬레이션부를 더 포함하는, 코딩 학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부는,
    상기 입력되는 코딩 값에 따라 해당 입체 형상을 동작시키는 경우, 해당 입체 형상의 동작이 기 설정된 동작 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동작 이상 알림을 발생시키는, 코딩 학습 시스템.
  4. 삭제
KR1020180101250A 2018-08-28 2018-08-28 코딩 학습 시스템 KR101960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50A KR101960903B1 (ko) 2018-08-28 2018-08-28 코딩 학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250A KR101960903B1 (ko) 2018-08-28 2018-08-28 코딩 학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903B1 true KR101960903B1 (ko) 2019-03-21

Family

ID=66036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250A KR101960903B1 (ko) 2018-08-28 2018-08-28 코딩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90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970A (ko) * 2011-08-22 2013-03-05 인크로스 주식회사 코딩 시스템
KR101524783B1 (ko) * 2013-12-16 2015-06-01 주식회사마이크로컴퓨팅 로봇 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KR101800110B1 (ko) 2016-02-22 2017-11-23 송의정 조립식 종이 모형 완구
KR101863791B1 (ko) 2016-05-09 2018-06-01 솔리디어랩 주식회사 조립식 자동차 완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0970A (ko) * 2011-08-22 2013-03-05 인크로스 주식회사 코딩 시스템
KR101524783B1 (ko) * 2013-12-16 2015-06-01 주식회사마이크로컴퓨팅 로봇 동작 프로그래밍 장치
KR101800110B1 (ko) 2016-02-22 2017-11-23 송의정 조립식 종이 모형 완구
KR101863791B1 (ko) 2016-05-09 2018-06-01 솔리디어랩 주식회사 조립식 자동차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300909B (zh) 用于显示交互式增强现实展示的系统、方法和介质
US10353474B2 (en) Unified virtual reality platform
Craig et al. Developing virtual reality applications: Foundations of effective design
Kirkley et al. Creating next generatio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using mixed reality, video games and simulations
KR102382362B1 (ko) 거울 메타포를 사용한 원격 몰입 경험 제공
Monroy Reyes et al. A mobile augmented reality system to support machinery operations in scholar environments
US20210312887A1 (en) Systems, methods, and media for displaying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 presentations
US201603067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book generation
Sharma et al. Emergency response using HoloLens for building evacuation
Abdul-Kader E-learning systems in virtual environment
US10847046B2 (en) Learning with smart blocks
KR20080078752A (ko) 인터넷을 이용한 3차원 모형 학습 시스템 및 사용자컴퓨터에서의 3차원 모형 학습 방법
KR101960903B1 (ko) 코딩 학습 시스템
Uluyol et al. Augmented reality: A new direction in education
Doerner et al. VR/AR case studies
KR20190092796A (ko) 가상환경 그래픽을 기반으로 하는 코딩 교육 방법
Broschart et al. ARchitecture–Augmented Reality Techniques and Use Cases in Architecture and Urban Planning
Virmani et al. Mobile application development for VR in education
KR102084178B1 (ko) 클라우드 기반 영유아 스팀 교육을 위한 토이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1945511B1 (ko) 책 콘텐츠 융합 3d 홀로그램 서비스 제공 방법
Pfeiffer et al. Virtual prototyping of mixed reality interfaces with internet of things (IoT) connectivity
Chen et al. Virtual, Augmented and Mixed Reality. Design and Interaction: 12th International Conference, VAMR 2020, Held as Part of the 22nd HCI International Conference, HCII 2020, Copenhagen, Denmark, July 19–24, 2020, Proceedings, Part I
Khadse Exploratory study of Augmented Reality SDK’S & Virtual Reality SDK’S
Botta et al. Using Virtual Reality as a Tool to Research, Analyze and Learn: The Competition for Palazzo del Littorio in Rome
KR20180076730A (ko)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