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474B1 -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 Google Patents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2474B1 KR102042474B1 KR1020180094667A KR20180094667A KR102042474B1 KR 102042474 B1 KR102042474 B1 KR 102042474B1 KR 1020180094667 A KR1020180094667 A KR 1020180094667A KR 20180094667 A KR20180094667 A KR 20180094667A KR 102042474 B1 KR102042474 B1 KR 1020424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oot
- head
- bed
- rotated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3127 Knee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10000003205 Muscles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6545 exercise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4
- 210000002683 Foo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01000009910 diseases by infectious ag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699 low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210 Pressure Ul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03694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7515 Cardiac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034 Frostbi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496 Heart Arre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468 Hemi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35 Tendon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8 cardiovascular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45 desinfe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76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DRLFMBDRBRZALE-UHFFFAOYSA-N melatonin Chemical compound COC1=CC=C2NC=C(CCNC(C)=O)C2=C1 DRLFMBDRBRZAL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40 men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26 neurologic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889 sympath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52—Lying down supin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8—Inclination, slope or curvatur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Abstract
본 발명은 기립형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퀴가 설치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풋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헤드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다리부재과,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과 상기 헤드 프레임을 회전시켜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편마비 재활환자, 와상환자, 치매환자, 고령자 등을 대상으로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하지 근력운동과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지 근력이 약하여 스스로 서거나 걷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지 근력을 강화시키거나 무릎의 구부림 운동을 시킬 수 있는 운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병이나 사고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사람들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야간 휴식 기간보다 오랫동안 환자로서 침대에 "묶여"있는 사람들(이하, 침대에 누운 환자라 칭함)은, 활동의 제한을 받아서 퇴원후 사회 생활에 대한 참여가 저조하거나 참여할 수 없다. 즉, 일상 생활에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일을 할 수 없거나 부분적으로만 일을 할 수 있고 도움을 필요로 한다.
환자는 재활을 통해 자신의 활동 중 일부를 되찾을 수 있다. 의료계에서 재활은, 활동에 대한 장애물 또는 제한 및 사회 생활 참여에 대한 방해의 물리적 결과, 정신적 결과, 사회적 결과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려는 수단의 적용과 효과를 의미한다.
의료상 재활은 인간 보행에서 특히 중요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인간의 다리의 뼈, 관절, 근육, 힘줄은 균형을 맞추지 않으면 경직되어, 인간 척추 조직에 위치하는 보행 중추가 위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레드밀 훈련에 참여할 수 있는 안정적 순환 상황을 갖고 물리적 능력이 있는 사람들과는 달리, 이러한 훈련은 침대에 누운 환자(와상환자)에게는 허락되지 않는다. 구체적인 이유는 개별적으로 또는 누적식으로 발생하는 활동들에 대한 정형외과적 제한, 집중 치료 제한, 신경성 제한일 수 있다.
또한 다리 경직을 방지하기 위해 병원 침대 또는 임상 침대의 단부까지 올려진 경우 경사진 위치에서 순환 다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알려진 침대 내 운동 기계는 수직 위치에서의 운동을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관절 교체나 골절 후 뼈 치료 프로세스를 가속할 수는 있지만 발이 신체의 고유한 중량에 의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로딩될 수 있도록 침대에 누운 환자를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직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약한 심장 순환계, 심장 정지 위험, 감염 위험 등으로 인해 질환이 생명을 위협하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환자는 집중 치료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집중 치료를 위한 집중 치료 침대는 욕창을 방지하고 집중 치료 환자의 심장 및/또는 폐를 즉시 수동으로 소생시키도록 적절하게 설계된 매트리스에 의해 특징화 된다. 매트리스는 제세동을 수행하도록 비도전성을 가져야 하고, 액체, 혈액, 시판되고 있는 소독제를 사용하는 닦음 소독에 대하여 저항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집중 치료 환자가 침대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매트리스는 침대 또는 매트리스 프레임의 긴 변과 횡 변에 부착될 수 있고 감시장치의 일부는 긴 변과 횡 변에 설치된 배리어들에 의해 동봉된다.
이러한 집중 치료 침대의 통상적인 설계로 인해, 알려진 재활 장치들은 현대의 집중 치료 침대에 쉽게 인접해질 수 없으며 환자의 재위치설정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보통은 약하거나 다른 이유로 인해 집중 치료 서비스를 필요로 하지만 어느 경우든 특별한 위험이 연관된 집중 치료 환자에게는 가능하지 않다.
한편 집중 치료실의 환자들은 일반실에 있는 환자들에 비해 5배 내지 10배 높은 감염 위험을 이미 갖고 있다. 집중 치료 이용 시 환자 자체로부터, 많은 카테터나 튜브 등의 치료 수단으로부터 발생하는 다양한 감염 촉진 인자들이 집중 치료 환자들에 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감염 위험을 줄이도록 집중 치료실에 대하여 특별한 위생적 수단이 특정되며, 알려진 침대 내 운동 기계나 기립형 테이블 등의 재활 장치들은 이러한 부분을 충족하기가 어렵다.
그리하여 하지 근력이 약한 고령자나 집중 치료 환자의 경우, 걸어서 이동하는 것이 위험하여 이동 시에는 휠체어에 태워 식당이나 화장실 등 다른 장소로 이동하고, 침대에 다시 눕도록 하게 되므로 스스로 일어서거나 걸을 수 있는 기회가 없어지고, 하지 근력은 점점 퇴화하여 나중에는 일어설 수 조차 없게 된다. 그 이유는 환자가 스스로 일어서서 운동하기에는 위험하며, 누운 상태에서 하지 근력을 키울 수 잇는 적합한 치료기기나 운동기기가 없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하지 근력을 강화시키거나 무릎의 구부림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운동기구 및 운동 방법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지 근력이 약한 환자나 치매환자, 고령자를 대상으로 누운 상태에서도 안전하게 하지 근력을 강화 시키거나 무릎의 구부림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기립형 침대 및 재활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립형 침대는, 바퀴가 설치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풋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헤드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다리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과 상기 헤드 프레임을 회전시켜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3프레임은 제3-1프레임과, 상기 제3-1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2프레임과, 상기 제3-2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3-1프레임의 타단에는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일단에는 풋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의 전면에는 베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배면에는 발판이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베개는 상기 제3-1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풋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발판은 상기 제2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과 상기 풋 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쉽게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발판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도록 무게 측정 센서가 설치되거나, 상기 제3프레임에는 사용자 무릎의 구부림 각도를 측정하도록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현태로의 제공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에는 1개 이상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의 가동 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 홀에는 2개 이상의 핀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다리부재는 실린더의 형태로도 제공이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립형 침대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바퀴가 설치된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풋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헤드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다리부재와,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과 상기 헤드 프레임을 회전시켜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편마비환자, 정형수술 후의 환자, 고령자 등에 대한 하지 근력과 수직 균형 훈련을 할 수 있으며, 와상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평상 시에는 침대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환자)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고 각 기능에 따라 사양을 선택 및 적용할 수 있어 다양한 경우에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은 제3-1프레임과, 상기 제3-1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2프레임과, 상기 제3-2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3-1프레임의 타단에는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일단에는 풋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의 전면에는 베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배면에는 발판이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베개는 상기 제3-1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풋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발판은 상기 제2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과 상기 풋 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베개와 발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재활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발판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도록 무게 측정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측정된 사용자의 무게에 따라 재활 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에는 사용자 무릎의 구부림 각도를 측정하도록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의 운동 가능상태를 가늠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에는 1개 이상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의 가동 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 홀에는 2개 이상의 핀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이동범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자가 다른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재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3프레임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재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제2프레임의 회전을 부드럽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풋 프레임 및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작동도.
도 4는 도 1의 제2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5는 도 4의 제3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 시 작동도.
도 6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좌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7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우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제3-1프레임 상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풋 프레임 및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작동도.
도 4는 도 1의 제2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5는 도 4의 제3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 시 작동도.
도 6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좌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7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우방향 회전 시 작동도.
도 8은 도 4의 평면도.
도 9는 도 2의 제3-1프레임 상방향 회전 시 작동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풋 프레임 및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제2프레임의 전후방향 회전 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3프레임의 길이방향 이동 시 작동도이고, 도 6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좌방향 회전 시 작동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제2프레임의 우방향 회전 시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4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2의 제3-1프레임 상방향 회전 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기립형 침대는, 바퀴(10)가 설치된 제1프레임(1)과, 상기 제1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되며 풋 프레임(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2)과, 상기 제1프레임(1)과 상기 제2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2)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1)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다리부재(4)와, 상기 제2프레임(2)과 상기 제3프레임(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3)을 상기 제2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6)를 포함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20)과 상기 헤드 프레임(30)을 회전시켜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다리부재(4)는 상기 제2프레임(2)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1)과 경사지도록 하여 재활 운동을 가능하도록 한다.
제1프레임(1)은 'H'자 형태이며, 모서리 하단에 바퀴(10)가 설치된다. 상기 바퀴(10)는 4개가 설치되며, 상기 바퀴(10) 멈춤 시 상기 바퀴(10)의 이동을 멈추도록 스탑부재(11)가 설치된다. 상기 스탑부재(11)의 개수는 상기 바퀴(10)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프레임(1)의 상부에는 제2프레임(2)이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2)은 다리부재(4)에 의해 상기 제1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재(4)는 상기 제1프레임(1)과 상기 제2프레임(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2)을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1)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다리부재(4)는 실린더로 구성되며, 모터에 의해 실린더의 신장과 압축의 길이를 복수개의 다리부재(4)를 전체적으로 또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리부재(4)를 개별적으로 각각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다리부재(4)의 상부에 체결된 제2프레임(2)의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다리부재(4)는 4개로 구성되어, 수동 또는 전동으로 높이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다리부재(4)는 3개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를 경우 다리부재(4)는 제1프레임(1)과 후술할 제3-1프레임(351)에 1개가 설치되고, 제1프레임(1)과 후술할 제3-3프레임(353)에 2개가 설치되어, 침대가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므로 오랫동안 누워서 생활해야 하는 고령자나 재활환자 등의 욕창 등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2프레임(2)은 상기 제1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2)의 일단에는 풋 프레임(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2)의 타단 상부에는 후술할 헤드 프레임(30)이 위치하도록 한다. 침대로 사용 시, 상기 풋 프레임(20)은 상기 제2프레임(2)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20)은 회전하여 상기 제2프레임(2)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풋 프레임(20)과 후술할 헤드 프레임(3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제2프레임(2)의 측면에는 손잡이(5)가 더 설치된다. 상기 손잡이(5)는 연결부재(50)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2)의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손잡이(5)는 2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2프레임(2)의 상부에는 제3프레임(3)이 설치된다. 상기 제3프레임(3)의 일단 하부에는 상기 제2프레임(2)의 풋 프레임(20)이 위치하며, 상기 제3프레임(3)의 타단에는 헤드 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침대로 사용 시, 상기 헤드 프레임(30)은 상기 제3프레임(3)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헤드 프레임(30)은 회전하여 상기 제3프레임(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30)과 상기 제3프레임(3)은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헤드 프레임(30)과 풋 프레임(20)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3)은 상기 제2프레임(2)의 상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부재(6)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6)는 상기 제2프레임(2)과 상기 제3프레임(3)의 사이에 설치되며,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을 이동하도록 설치된 캡을 포함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재(6)에 의해 후술할 제3-1프레임(351)과 제3-2프레임(352)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슬라이딩 부재(6)는 연결봉과 캡으로 설명하였지만, 제3-2프레임(352)을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제3프레임(3)의 상부에는 매트리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3프레임(3)은 제3-1프레임(351)과, 상기 제3-1프레임(351)의 일단에는 설치되는 제3-2프레임(352)과, 상기 제3-2프레임(352)의 일단에는 제3-3프레임(353)을 포함한다.
제3-1프레임(351)의 일단에는 후술할 제3-2프레임(352)의 타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3-1프레임(351)의 타단에는 상기 헤드 프레임(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1프레임(351)의 타단과 상기 헤드 프레임(30)은 제1힌지(300)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및 설치된다. 상기 제3-1프레임(351)의 상부에는 제3-4프레임(354)이 설치되고, 상기 제3-4프레임(354)의 상부에는 제3-1매트리스가 설치된다. 상기 제3-4프레임(354)의 일단은 힌지(350)에 의해 후술할 제3-2프레임(352)의 타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3-4프레임(354)를 상부로 작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식사를 할 때 누운 상태에서 상체를 일으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 프레임(30)의 전면에는 베개(33)가 설치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30)의 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베개(33)는 상기 제3-1프레임(35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베개(33)는 상기 제3-1매트리스의 상면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제3-2프레임(352)의 일단에는 후술할 제3-3프레임(353)의 타단이 설치되고, 상기 제3-2프레임(352)의 타단에는 상기 제3-1프레임(351)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기 제3-2프레임(352)의 상부에는 제3-2매트리스가 설치된다.
제3-3프레임(353)의 일단에는 상기 풋 프레임(20)이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353)의 타단에는 상기 제3-2프레임(352)의 일단이 설치된다. 상기 풋 프레임(20)은 제2힌지(200)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2)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3-3프레임(353)의 일단은 상기 풋 프레임(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3-3프레임(353)은 상기 제2프레임(2)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3-3프레임(353)의 배면에는 발판(23)이 설치되는데, 상기 제3-3프레임(353)이 시계 방향 회전 시, 상기 제3-3프레임(353)의 배면에 설치된 발판(23)이 상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발판(23)과 상기 제2프레임(2)은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3-3프레임(353)의 상부에는 제3-3매트리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3-3프레임(353)은 1개 또는 2개로 분리되어 설치된다. 제3-3프레임(353)이 1개로 설치되는 경우, 양발을 이용하여 재활이 가능하고, 제3-3프레임(353)이 2개로 설치되는 경우, 한 발을 사용하여 재활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발판(23)에는 무게 측정 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상기 무게 측정 센서(미도시)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도록 하며, 재활 운동 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하지 재활 운동의 강도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프레임(3)에는 기울기 센서(미도시)가 더 설치된다. 상기 기울기 센서(미도시)는 사용자 무릎의 경사(구부림) 각도를 측정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재활 운동 시 무릎 경사(구부림) 각도를 측정하여 사용자의 재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제2프레임(2)에는 홀(72,74)이 형성되고, 상기 홀(72,74)에는 핀(71,73)이 설치된다. 이러한 홀(72,74)과 핀(71,73)은 상기 제3프레임(3)의 길이방향 이동 시, 가동 범위를 설정하도록 한는 것이다.
상기 홀(72,74)은 상기 제2프레임(2)의 우측 상면에 형성된 제1홀(72)과, 상기 제2프레임(2)의 좌측 상면에 형성된 제2홀(74)을 포함한다. 상기 핀(71,73)은 상기 제1홀(72)에 설치되는 제1핀(71)과, 상기 제2홀(74)에 설치되는 제2핀(73)을 포함하며, 상기 제1핀(71)과 상기 제2핀(73)은 2개 이상 설치된다.
상기 제1홀(72)은 상기 제2프레임(2)의 우측 상면에 1개만 형성될 수도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홀(74)은 상기 제2프레임(2)의 좌측 상면에 1개만 형성될 수 있으며, 2개 이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홀(72)과 상기 제2홀(74)이 1개씩 형성될 경우, 상기 제1홀(72)의 위치와 상기 제2홀(74)의 위치는 가장 먼 직선 거리로 설정하는 것이 적당하다. 그리하여 제1홀(72)과 제2홀(74)에 의해 사용자의 신장이나 다리길이, 또는 무릎 굽힘 각도에 따라 상기 제3프레임(3)의 가동 범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무릎 구부림 운동을 지원하는 제3프레임(3)이 슬라이딩 이동하는 범위를 사용자의 상태 등에 따라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기립형 침대는 평소에는 침대 역할을 하지만, 제2프레임(2) 및 제3프레임(3)의 구조를 변경하여 누운 상태에서도 무릎 구부림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가 되며, 수평면 운동에서부터, 사용자(환자)의 하지 근력의 개선 상태에 따라 제2프레임(2)의 경사각도를 높여 운동할 시, 중력에 의한 하지의 무릎 구부림 운동은 더 많은 힘과 에너지를 필요로 하게 되므로 사용자(환자)의 근력은 더욱 강화되는 것이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기립형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하지 무릎 구부림 재활 운동 시, 풋 프레임(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발판(23)에 사용자의 발을 위치하도록 하고, 헤드 프레임(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베개(33)에 사용자의 머리를 닿게 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어깨에 장착되도록 한다. (사용자의 어깨 힘으로 자신의 몸을 밀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
와상 환자의 경우, 좌측 다리부재(4)의 높이를 낮추고 우측 다리부재(4)의 높이를 높게 하여 좌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좌측 다리부재(4)의 높이를 높이고 우측 다리부재(4)의 높이를 낮게 하여 우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립형 침대는, 특히, 하지 재활 운동을 필요로 하는 환자뿐 아니라 편마비 환자와 와상환자, 치매환자, 고령자 등 침대에 누워서 생활해야하는 사용자를 위한 침대에 적합하다.
1: 제1프레임 10: 바퀴
11: 스탑부재 2: 제2프레임
20: 풋 프레임 23: 발판
200: 제2힌지 3: 제3프레임
351: 제3-1프레임 352: 제3-2프레임
353: 제3-3프레임 354: 제3-4프레임
30: 헤드 프레임 33: 베개
300: 제1힌지 350: 힌지
4: 다리부재 5: 손잡이
50: 연결부재 6: 슬라이딩 부재
72,74: 홀 72: 제1홀
74: 제2홀 71,73: 핀
71: 제1핀 73: 제2핀
11: 스탑부재 2: 제2프레임
20: 풋 프레임 23: 발판
200: 제2힌지 3: 제3프레임
351: 제3-1프레임 352: 제3-2프레임
353: 제3-3프레임 354: 제3-4프레임
30: 헤드 프레임 33: 베개
300: 제1힌지 350: 힌지
4: 다리부재 5: 손잡이
50: 연결부재 6: 슬라이딩 부재
72,74: 홀 72: 제1홀
74: 제2홀 71,73: 핀
71: 제1핀 73: 제2핀
Claims (7)
- 바퀴가 설치된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풋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프레임;
상기 제2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헤드 프레임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3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각을 이루도록 하는 다리부재;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3프레임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부재;를 포함하며,
재활 치료 시, 상기 풋 프레임과 상기 헤드 프레임을 회전시켜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제3프레임은 제3-1프레임과, 상기 제3-1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2프레임과, 상기 제3-2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는 제3-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3-1프레임의 타단에는 헤드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일단에는 풋 프레임이 연결되며,
상기 헤드 프레임의 전면에는 베개가 설치되고, 상기 제3-3프레임의 배면에는 발판이 설치되어,
상기 헤드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베개는 상기 제3-1프레임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고, 상기 풋 프레임 회전 시, 상기 발판은 상기 제2프레임과 수직을 이루도록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헤드 프레임과 상기 풋 프레임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여, 손쉽게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 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구조로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에는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도록 무게 측정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에는 사용자 무릎의 구부림 각도를 측정하도록 기울기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1개 이상의 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제3프레임의 가동 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 홀에는 2개 이상의 핀이 체결되어 사용자의 신체 특성에 따라 상기 가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는 상기 제2프레임을 회전시켜 상기 제1프레임과 경사지도록 하며,
상기 다리부재는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재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외주면을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설치된 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립형 침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667A KR102042474B1 (ko) | 2018-08-14 | 2018-08-14 |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4667A KR102042474B1 (ko) | 2018-08-14 | 2018-08-14 |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2474B1 true KR102042474B1 (ko) | 2019-11-08 |
Family
ID=6854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4667A KR102042474B1 (ko) | 2018-08-14 | 2018-08-14 |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247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182B1 (ko) * | 2019-12-17 | 2021-06-01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재활환자를 위한 경사침대용 고개떨굼방지 베개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1177A (ko) | 1999-06-02 | 2001-01-05 | 김인환 | 욕창방지용 환자침대 |
KR20110069236A (ko) * | 2009-12-17 | 2011-06-23 | 정담 | 드롭 교정장치 |
KR101320168B1 (ko) | 2012-02-20 | 2013-10-23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거동불편 와상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침대 |
US20140073997A1 (en) * | 2009-12-14 | 2014-03-13 | Hill-Rom Services, Inc. |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exercise functionalities |
KR101511430B1 (ko) | 2013-08-23 | 2015-04-1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하지 고관절 재활 장치 |
KR101515504B1 (ko) | 2013-12-09 | 2015-05-04 | (주)신우아이엠에스 |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
-
2018
- 2018-08-14 KR KR1020180094667A patent/KR1020424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1177A (ko) | 1999-06-02 | 2001-01-05 | 김인환 | 욕창방지용 환자침대 |
US20140073997A1 (en) * | 2009-12-14 | 2014-03-13 | Hill-Rom Services, Inc. | Patient support apparatuses with exercise functionalities |
KR20110069236A (ko) * | 2009-12-17 | 2011-06-23 | 정담 | 드롭 교정장치 |
KR101320168B1 (ko) | 2012-02-20 | 2013-10-23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거동불편 와상환자를 위한 다기능 전동침대 |
KR101511430B1 (ko) | 2013-08-23 | 2015-04-10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하지 고관절 재활 장치 |
KR101515504B1 (ko) | 2013-12-09 | 2015-05-04 | (주)신우아이엠에스 |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8182B1 (ko) * | 2019-12-17 | 2021-06-01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재활환자를 위한 경사침대용 고개떨굼방지 베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609268B2 (ja) | 寝たきり患者のためのリハビリテーション機構およびリハビリテーション機構を備えるベッド | |
AU2003285047B2 (en) | Therapeutic exercise device | |
CN108289781B (zh) | 卧床患者的康复机构 | |
JP5259629B2 (ja) | 身体障害者用の訓練器具 | |
WO2000028930A2 (en) | Disabled user lift system | |
US20190076696A1 (en) |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xercisers | |
US20040074414A1 (en) | Patient mobility system | |
RU183784U1 (ru) | Опора-тренажер | |
KR101556851B1 (ko) | 하지 운동장치 | |
KR101739686B1 (ko) | 척추 측만 교정을 위한 능동형 운동장치 | |
ES2822499T3 (es) | Sistema electromédico automatizado y método de gestión relacionado | |
KR102042474B1 (ko) |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 |
EP1693038A1 (en) | Articulated sanitary stretcher for multipositional decubitus (prone/supine) therapeutic treatments | |
EP3560472B1 (en) | Multi-functional therapeutic hospital bed convertible into a standing aid | |
WO2008065230A1 (es) | Dispositivo para bipedestación y rehabilitación de marcha, para personas con minusválidas motoras | |
KR102054767B1 (ko) | 운동 보조 기구를 구비하는 건강침대 시스템 | |
Bolton et al. | Ambulatory assistive device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cerebral palsy | |
AU2021100325A4 (en) | In-bed exercising and monitoring device | |
JP2012005524A (ja) | 3dステッパー | |
CN214913093U (zh) | 骨科护理用肢体康复训练装置 | |
CN108721014A (zh) | 一种便于调整姿态的骨科护理床 | |
Dicianno et al. | RESNA position on the application of wheelchair standing devices: 2013 current state of the literature | |
CN217960563U (zh) | 一种便于屈膝训练康复护理装置 | |
CN217310992U (zh) | 膝关节术后功能恢复装置 | |
CN215584746U (zh) | 一种新型重症科用体能康复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