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285B1 -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285B1
KR102042285B1 KR1020130164226A KR20130164226A KR102042285B1 KR 102042285 B1 KR102042285 B1 KR 102042285B1 KR 1020130164226 A KR1020130164226 A KR 1020130164226A KR 20130164226 A KR20130164226 A KR 20130164226A KR 102042285 B1 KR102042285 B1 KR 102042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 cylinder
pressure
type construction
construction machine
wheel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5854A (ko
Inventor
김형호
공희석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2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5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5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7Check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electrically-controlled means, e.g. solenoids, torque-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휠 타입 건설기계의 차축과 연결되고, 주행 모터로부터 유입된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축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램실린더; 상기 램실린더와 유압라인으로 연결된 주행 모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모터와 상기 램실린더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개폐하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키는 교축 밸브; 및 상기 램실린더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주행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개방하고 작업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폐쇄하되, 주행 모드이고 상기 감지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상기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교축 밸브를 교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CONTROLLING RAM CYLNDER OF WHEEL TYPE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본 명세서는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하는 도중에 정지시 충격을 개선할 수 있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휠 타입 건설기계는 주행중 하중이 큰 상부 프레임의 요동에 의한 충격을 감쇄시키기 위하여 차축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램실린더가 설치된다. 즉, 램실린더는 휠 타입 건설기계에서 차축과 상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된다. 램실린더는 건설기계가 작업할 때에 락(Lock) 상태가 된다. 반대로, 램실린더는 주행할 때에 락 상태가 언락(Unlock) 상태로 변경된다.
이러한 종래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의 구성과 작동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램실린더가 구비된 휠 타입 건설기계의 구성도이다.
휠 타입 건설기계는 메인유압펌프의 압유를 컨트롤밸브에서 제어하여 주행 모터(110)와 기타 복수 개의 액츄에이터로 공급하여 작동시킨다. 여기서, 주행 모터(110)는 구동축(111)을 통해 차축(112)과 연결된 바퀴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휠 타입 건설기계에서 브레이크공급용 보조펌프의 압유는 브레이크 공급밸브를 거친 후 브레이크 제어밸브에서 제어되어 브레이크(113)에 공급됨으로써 건설기계를 제동시키게 된다.
휠 타입 건설기계는 램실린더(120)를 락하거나 언락시킴으로써, 파이롯 유압펌프의 압유를 램실린더(120)의 수압실에 공급하도록 연결된 램실린더 유압라인과, 램실린더 유압라인을 개폐시키는 램실린더 제어밸브(130)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휠 타입 건설기계는 램실린더(120)를 동작 모드에 따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킨다. 휠 타입 건설기계는 주행중일 때 램실린더(120)를 언락시켜 주행중 노면의 요철을 만나는 경우 상부선회체가 요동하는 것을 억제한다. 반대로, 휠 타입 건설기계는 작업중에는 램실린더(120)를 락하여 상부선회체가 작업부하에 의해 한쪽으로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휠 타입 건설기계는 램실린더 유압라인에 구비된 램실린더 제어밸브(130)를 제어하여 차축(112)에 설치된 램실린더(120)로 유압을 공급한다.
한편, 운전자가 주행 중 브레이크를 밝거나 악셀 페달을 떼어 감속할 경우, 주행 모터(110)로 공급되는 펌프 유량이 부족하여 리턴 유량의 대부분이 주행 모터(110) 입구로 공급이 된다. 이때, 램 실린더(130)의 헤드 측 압력이 제로 바(Zero Bar) 근처까지 낮아진다.
그러면, 차량은 감속으로 차체의 중량이 앞쪽으로 몰린다. 램실린더(130)는 압력이 낮아져 쿠션 기능을 상실한다. 운전자한테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상부체가 앞쪽으로 기울어져 앞쪽으로 몰리다 보니 충격이 크게 전달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주행 모드에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낮아지면 교축을 시켜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하는 도중에 정지시 충격을 개선할 수 있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장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차축과 연결되고, 주행 모터로부터 유입된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축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램실린더; 상기 램실린더와 유압라인으로 연결된 주행 모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모터와 상기 램실린더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개폐하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키는 교축 밸브; 및 상기 램실린더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주행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개방하고 작업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폐쇄하되, 주행 모드이고 상기 감지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상기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교축 밸브를 교축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교축 밸브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램실린더 제어 밸브는 상기 유압 펌프 또는 작동유 탱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교축 밸브는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이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를 절환함에 따라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을 교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고 상기 기설정 압력을 상기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방법은, 휠 타입 건설기계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 모드인 경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주행 모터와 램실린더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개방하여 차축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 단계; 교축 밸브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주행 모드이고 상기 감지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상기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휠 타입 건설기계가 작업 모드인 경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터로부터 폐쇄된 램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차축을 고정하는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고 상기 기설정 압력을 상기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휠 타입 건설기계의 주행 모드에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낮아지면 교축을 시켜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함으로써,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하는 도중에 정지시 충격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적어도 일부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가 주행 모터와 연동되어 있는 경우, 주행 모터 쪽 압력이 순간적으로 내려갈 때 램실린더 압력도 같이 내려가서 급정지시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실린더 압력과 종래의 램실린더 압력에 대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명세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실린더 제어 장치는 램실린더(120),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 압력 스위치(220), 교축 밸브(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의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램실린더(120)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차축(112)과 연결된다. 램실린더(120)는 주행 모터(110)로부터 유입된 유압을 이용하여 차축(112)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한다. 차축(112)에는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실린더(120)가 설치된다. 램실린더(120)는 주행 모터(110)와 연동되어 차축(112)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주행 모터(110)는 램실린더(120)와 유압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주행 모터(110)는 차축(112)을 구동하는 구동축(111)에 트랜스미션을 통하여 연결되어 휠 타입 건설기계를 주행구동하게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휠 타입 건설기계는 주행 모터(110) 등 유압 액츄에이터에 압유를 제공하는 유압 펌프, 컨트롤밸브제어용 파이롯압력을 제공하는 파일롯 유압펌프 및 차축(112)에 구비된 브레이크(113)에 브레이크압력을 공급하는 보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램실린더(120)를 락(Lock) 또는 언락(Unlock)시키기 위해 램실린더(120) 유압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파일럿(PL: Pilot) 신호를 통해 주행 모터(110)와 램실린더(120)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211)를 개폐한다.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유압 펌프 또는 작동유 탱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이러한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램실린더(120)를 유압 펌프와 연통시켜 램실린더(120)가 신축작동하게 한다.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는 램실린더(120)를 유압 펌프와는 차단시키는 동시에 탱크(T)로 연통시켜 램실린더(120)가 신축작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압력 스위치(220)는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을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스위치(220)는 교축 밸브(230)와 주행 모터(110) 사이의 압력을 감지한다. 이때, 운전자가 브레이크(113)를 밟아 주행 모터 쪽 압력이 순간적으로 내려갈 때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도 같이 내려가면, 압력 스위치(220)는 내려가는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브레이크(113)의 제어밸브 페달을 밟으면 보조펌프의 압유는 브레이크(113)의 제어밸브에서 제어된 후 브레이크 라인을 통하여 브레이크(113)에 공급됨으로써 브레이크(113)를 작동시켜 차량을 제동시키게 된다.
교축 밸브(230)는 램실린더(120)와 연결된 리턴 라인에 연결된다. 교축 밸브(230)는 램실린더(120)와 주행 모터(110)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축 밸브(230)는 램실린더(120)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40)는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230)를 절환함에 따라 램실린더(120)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을 교축시키게 된다.
제어부(240)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를 제어하여 주행 모드이면 체크 밸브(211)를 개방하고 작업 모드이면 체크 밸브(211)를 폐쇄한다. 여기서, 제어부(240)는 전진 또는 후진 주행을 선택하는 주행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는다. 제어부(240)는 이러한 주행 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주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240)는 주행 모드이고 압력 스위치(220)에서 감지된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램실린더(120)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교축 밸브(230)를 교축시킨다. 이러한 교축 밸브(230)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급정지시, 앞쪽으로 기울어져 상부체가 몰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240)는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고 기설정 압력을 그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120) 제어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제어부(240)는 주행 모드 선택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 모드인지를 확인한다(S302).
상기 확인 결과(S302), 주행 모드가 아니고 작업 모드인 경우, 제어부(240)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와 연결된 PL(Pilot) 신호를 차단하여 체크 밸브(211)를 폐쇄한다(S304).
그러면, 램실린더(120)는 주행 모터(110)와 램실린더(120)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211)의 폐쇄에 따라 락 상태가 되고, 이러한 램실린더(120)의 락을 통해 차축(112)을 고정한다(S306).
한편, 상기 확인 결과(S302), 주행 모드인 경우, 제어부(240)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210)와 연결된 PL 신호를 통해 체크 밸브(211)를 개방한다(S308).
그러면, 램실린더(120)는 체크 밸브(211)의 개방에 따라 언락 상태가 되고, 이러한 램실린더(120)의 언락을 통해 주행 중 쿠션 기능을 수행한다(S310).
압력 스위치(220)는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을 감지한다. 이때, 압력 스위치(220)는 교축 밸브(230)와 주행 모터(110) 사이의 압력을 감지한다. 이를 통해, 제어부(240)는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지를 모니터링한다(S312).
상기 모니터링 결과(S312),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보다 낮아지는 경우, 제어부(240)는 램실린더(120)의 유압 라인에 연결된 교축 밸브(230)를 교축시킨다(S314). 반면, 램실린더(120)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보다 낮지 않은 경우,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120)는 주행 중인 경우 램실린더(120)의 언락을 통해 쿠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240)는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기설정 압력을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가 느끼는 램실린더(120)의 쿠션 기능이 서로 달라서 운전자마다 서로 다른 램실린더(120)의 쿠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램실린더 압력과 종래의 램실린더 압력에 대한 설명도이다.
종래의 램실린더 압력은 도 4의 램실린더 압력 1(411)과 같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램실린더 압력 1(411)에는 종래의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 중인 경우 악셀을 떼었을 때의 램실린더 압력이 포함되어 있다.
일례와 같이, 램실린더 압력 1(411)은 주행 중에 4 bar의 압력을 유지한다. 램실린더 압력 1(411)은 운전자가 휠 타입 건설기계를 정지하려고 할 시점(401) 이후에 급격하게 2 bar 이하로 낮아지게 된다.
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에서 측정된 램실린더 압력이 도 4의 램실린더 압력 2(412)와 같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램실린더 압력 2(412)는 본 명세서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가 적용된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 중에 악셀을 떼었을 때의 램실린더 압력이 포함되어 있다.
일례와 같이, 램실린더 압력 2(412)는 주행 중에 4 bar의 압력을 유지한다.
이때, 램실린더 압력 2(412)는 운전자가 휠 타입 건설기계를 정지하려고 할 시점(401) 이후에 급격하게 2 bar 이하로 낮아지지 않고 3bar 근처까지만 낮아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주행 모터(110)로 공급되는 펌프 유량이 부족하지 않게 되고, 리턴 유량의 일부만이 주행 모터(110) 입구로 공급이 된다. 이때, 램 실린더(130)의 리턴 압력이 약간 낮아지게 된다. 차량은 감속으로 차체의 중량이 앞쪽으로 일부 몰리지만, 쿠션 기능은 유지될 수 있다. 운전자한테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상부체가 앞쪽으로 일부만 기울어져 충격이 작게 전달되어 위험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가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명세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0: 주행 모터 111: 구동축
112: 차축 113: 브레이크
120: 램실린더 210: 램실린더 제어밸브
211: 체크 밸브 220: 압력 스위치
230: 교축 밸브 240: 제어부

Claims (8)

  1. 휠 타입 건설기계의 차축과 연결되고, 주행 모터로부터 유입된 유압을 이용하여 상기 차축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램실린더;
    상기 램실린더와 유압라인으로 연결된 주행 모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모터와 상기 램실린더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개폐하는 램실린더 제어 밸브;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스위치;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키는 교축 밸브; 및
    상기 램실린더 제어 밸브를 제어하여 주행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개방하고 작업 모드이면 상기 체크 밸브를 폐쇄하되, 주행 모드이고 상기 감지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상기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교축 밸브를 교축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스위치는 상기 교축 밸브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의 압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실린더 제어 밸브는 유압 펌프 또는 작동유 탱크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훨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 밸브는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에 위치한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이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솔레노이드 교축 밸브를 절환함에 따라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라인과 연결된 교축 라인을 교축시키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고 상기 기설정 압력을 상기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6. 휠 타입 건설기계의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휠 타입 건설기계가 주행 모드인 경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주행 모터와 램실린더의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개방하여 차축을 고정해제하는 고정해제 단계;
    교축 밸브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압력 스위치를 통해 상기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을 감지하는 단계; 및
    주행 모드이고 상기 감지된 램실린더의 리턴 압력이 기설정 압력 이하이면 상기 램실린더의 유량 압력의 손실을 방지하도록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유압 라인을 교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휠 타입 건설기계가 작업 모드인 경우, 파일럿 신호를 통해 상기 램실린더와 상기 주행 모터 사이에 연결된 체크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 및
    상기 주행 모터로부터 폐쇄된 램실린더를 이용하여 상기 차축을 고정하는 고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운전자로부터 새로운 리턴 압력을 선택받고 상기 기설정 압력을 상기 선택받은 새로운 리턴 압력으로 갱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방법.
KR1020130164226A 2013-12-26 2013-12-26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042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26A KR102042285B1 (ko) 2013-12-26 2013-12-26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226A KR102042285B1 (ko) 2013-12-26 2013-12-26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54A KR20150075854A (ko) 2015-07-06
KR102042285B1 true KR102042285B1 (ko) 2019-11-27

Family

ID=53788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226A KR102042285B1 (ko) 2013-12-26 2013-12-26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2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3655B1 (ko) * 2016-09-05 2023-05-17 에이치디현대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 기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870A (ja) 2003-12-29 2005-07-21 Daewoo Heavy Industries & Machinery Ltd ホイールタイプ掘削機のラムシリンダー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12184A1 (de) * 1992-04-10 1993-10-14 Bosch Gmbh Robert Hydraulische Steuereinrichtung für einen Arbeitszylinder
KR20050047192A (ko) * 2003-11-17 2005-05-20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휠타입 굴삭기의 조향제어장치
KR100976926B1 (ko) * 2003-11-29 2010-08-1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타입 굴삭기의 램실린더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94870A (ja) 2003-12-29 2005-07-21 Daewoo Heavy Industries & Machinery Ltd ホイールタイプ掘削機のラムシリンダー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5854A (ko)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30124B (zh) 工程机械的液压驱动装置
JP2000017693A (ja) 建設機械の走行制御方法及び同装置
JP2010209641A (ja) 作業機械
CN101031447B (zh) 具有带有速度范围选择器的牵引锁机构的动力机械
KR102042285B1 (ko) 휠 타입 건설기계의 램실린더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E1250223A1 (sv) Färdvibrationsdämpande anordning i ett arbetsfordon
CN103582587A (zh)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KR101969175B1 (ko) 자동 변속식 굴삭기
JP2013010467A (ja) 軌道走行車両
US11808011B2 (en) Method to select an active steering input device based on orbital pressure
JP5779945B2 (ja) 自走式作業機械の制御装置
KR20180057192A (ko) 휠로더용 스티어링 안전장치 시스템
KR20100073640A (ko) 건설 기계의 파킹 브레이크 및 파일롯 비상해제시스템
CN107532659B (zh) 作业机械的前进后退误动作报告装置
CN106458211A (zh) 用于车辆的控制装置
KR20210098530A (ko) 작업 기계
KR102303577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
JP2012193510A (ja) 走行振動抑制装置を備えた作業車両
JP2019044426A (ja) 作業車両
KR102386279B1 (ko) 건설 기계의 보조 제동 장치
KR102303574B1 (ko) 유압모터를 이용하는 농업용 작업기
KR100977130B1 (ko) 휠타입 굴삭기의 램실린더 제어장치
JP2010137696A (ja) 不整地運搬車両
JP2021050548A (ja) 建設機械
JP2016199245A (ja) マウスを使用して自動車を操縦する方法と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