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2024B1 - 구강 스캐너 - Google Patents

구강 스캐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2024B1
KR102042024B1 KR1020170171841A KR20170171841A KR102042024B1 KR 102042024 B1 KR102042024 B1 KR 102042024B1 KR 1020170171841 A KR1020170171841 A KR 1020170171841A KR 20170171841 A KR20170171841 A KR 20170171841A KR 102042024 B1 KR102042024 B1 KR 102042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air
heat exchange
probe tip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1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1099A (ko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텍
Priority to KR1020170171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0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1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 A61B1/128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cooling or rinsing arrangements provided with means for regulating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61B1/24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with means for viewing areas outside the direct line of sight, e.g. dentists'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피검자 치아 표면의 타액을 제거하고, 프로브 팁 내부의 김서림을 방지하여 스캐닝 결과물의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강 스캐너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모델 데이터 생성을 위한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광원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품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체로 이루어지고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 유로가 구비된 방열부재;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조사하고 상기 구강 내 구조물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카메로 모듈로 조사하는 반사경 및 스캔홀이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전달되는 프로브 팁; 그리고, 상기 프로브 팁에 구비되어 상기 스캔홀 외부의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외향 분사구 또는 상기 프로브 팁 내부의 상기 반사경을 향해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내향 분사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구강 스캐너 {Intra-Oral Scanner}
본 발명은 3차원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강 내 구조물에 대한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피검자의 구강 내에 그 프로브 팁 부분을 삽입하여 다수의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는 구강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구강 스캐너는 일련의 스캐닝 시퀀스(Scanning Sequence)를 통해 대상 물체에 대한 다수의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생성하는 3차원 스캐너의 일종이다. 구강 스캐너는 이러한 3차원 스캐너 중에서 신체 일부, 특히 치아와 잇몸 등 구강 내부의 구조물에 대한 일련의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기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장치를 말한다.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구강 스캐너를 통해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의 일 예로 액티브 스테레오 비전(active stereo vision) 방식이 있는데, 미리 알려진 패턴광(patterned light)을 치아 표면에 조사하고, 조사된 패턴을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광학 카메라로 촬영하여 다수의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다른 예로 삼각측량(triangulation) 방식이 있는데, 구조광(structural light)을 치아 표면에 조사하고, 그 이미지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광학 카메라로 촬영하여 다수의 광학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두 방식 모두의 경우에 있어서, 광의 패턴이 치아 등의 표면에 선명하게 도달되어야 하고, 헤이즈(haze) 현상 없이 선명한 광학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어야 정확한 3차원 모델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구강 내부 환경은 따뜻하고 습도가 매우 높으며, 피검자의 호흡에 의해 습한 입김이 계속 공급된다. 따라서, 반사경 등 광학 부품의 표면 온도가 체온보다 낮으면 그 표면에 수증기가 응결되는 김서림 현상이 일어나서 선명한 광학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강 내에 삽입되는 프로브 팁 부분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는 기술이나, 프로브 팁 내에 발열체를 설치하는 기술 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치아 표면의 타액을 제거하여 스캐닝 정확도를 높이고, 치아와 잇몸의 경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프로브 팁에서 치아를 향해 공기를 분사하는 기술도 제시된 바 있다. 프로브 팁에서 공기를 분사하는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구강 내부의 온도보다 낮아 피검자를 불편하게 하고, 반사경 등의 온도를 오히려 떨어뜨릴 수 있다. 프로브 팁 내에 발열체를 설치하는 경우 전력 소모가 많아, 배터리를 이용하여 구강 스캐너의 휴대성을 높이는 데에 장애가 된다.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2-0218389 (2012.08.30)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4-0119622 (2014.05.01) 미국공개특허공보 US 2010-0145189 (2010.06.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피검자 치아 표면의 타액을 제거하고, 프로브 팁 내부의 김서림을 방지하여 스캐닝 결과물의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는 구강 스캐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턴광 또는 구조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카메라 모듈 등 작동시에 구강 스캐너 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구강 스캐너의 원활한 작동 여건은 물론 우수한 발광 효율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 카메라 등 발열 부품으로부터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분사 기체를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구강 스캐너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캐너는,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모델 데이터 생성을 위한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광원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품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체로 이루어지고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 유로가 구비된 방열부재;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조사하고 상기 구강 내 구조물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카메로 모듈로 조사하는 반사경 및 스캔홀이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전달되는 프로브 팁; 그리고, 상기 프로브 팁에 구비되어 상기 스캔홀 외부의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외향 분사구 또는 상기 프로브 팁 내부의 상기 반사경을 향해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내향 분사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 구조물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방열 구조물 사이로 공기가 흐르는 구간으로 정의되는 열교환 유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공기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에어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 내부의 에어블로워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공급될 수도 있다.
전술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스캐너는 피검자 치아 표면의 타액을 제거하고, 프로브 팁 내부의 김서림을 방지하여 스캐닝 결과물의 정확도를 높이면서도, 피검자에게 가해지는 불편함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패턴광 또는 구조광을 생성하는 광원과 카메라 모듈 등의 작동시에 구강 스캐너 본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여, 구강 스캐너의 원활한 작동 여건은 물론 우수한 발광 효율과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스캐너의 광원, 카메라 등 발열 부품으로부터 버려지는 열을 이용하여 분사 기체를 가열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로의 구성 예를 보인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로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성격의 구성요소임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한 도면에서 설명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다른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구강 스캐너는 치아, 잇몸 등 구강 내 구조물 전부 또는 일부의 3차원 모델 데이터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피검자의 구강 내 구조물(이하에서는 '치아 등'이라 부르기로 한다)에 조사하고, 반사된 빛에 의한 광학 이미지를 카메라 모듈을 통해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치아 등에 조사되는 빛으로는 일정한 명암패턴을 갖는 빛이나, 미리 설정된 구조광, 또는 상황에 따라 변하는 구조광 등, 구강 스캐너의 3차원 데이터 획득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빛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선택이 가능한데, 일예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채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구강 스캐너(100A)는 크게 본체부(110)과 프로브 팁(120)으로 이루어진다.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전방을 향해 광원과 카메라 모듈이 탑재되고, 프로브 팁(120)은 그 후단부가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에 결합되고 그 전단부가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로브 팁(120)의 전단부에는 피검자의 치아 등을 향해 오픈된 스캔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스캔홀(121) 안쪽에 반사경(123)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반사경(123)은 전술한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반사시켜 상기 스캔홀(121)을 통해 내보내고, 치아 등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빛을 카메라 모듈이 있는 상기 본체부(110)를 향해 반사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100A)는 본체부(110) 내에 발열 부품(230)을 갖는다. 상기 발열 부품(230)은 광원, 카메라 모듈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 부품(230)이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패턴광이나 구조광을 방출하는 주광원 또는 단순히 가시광을 방출하는 보조광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열 부품(230)이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3차원 데이터 획득을 위한 복수의 카메라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발열 부품(230)에는 이미지 데이터 등의 연산을 위한 프로세서 등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열 부품(230)의 일측에는 열교환 유로(240)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 유로(240)는 프로브 팁(120)을 통해 피검자의 치아(T)와 잇몸(S) 등을 향해 분사될 고압의(대기압보다 높은) 공기가 지나는 통로로서, 공기가 금속 등의 열전도체와 접촉하면서 상기 열전도체를 매개로 하여 전술한 광원, 카메라 모듈, 프로세서 등의 동작 시에 발생한 열을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압의 공기는 에어 호스(210)를 통해 상기 본체부(110) 외부로부터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에어호스(210)는 일반적인 치과의 유니트 체어에 마련된 에어호스일 수 있고,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본체부(110)에는 에어 호스(210)소스가 접속되는 커넥터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110) 내에는 상기 에어 호스(210)가 접속되는 커넥터와 상기 열교환 유로(240) 사이를 연결하는 저온 유로(211)가 마련된다. 상기 프로브 팁(120) 내에는 상기 열교환 유로(24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피검자의 치아 등을 향해 분사되도록 형성된 고온 유로(221)가 마련된다. 여기서 저온과 고온은 유로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 온도의 상대적 관계를 표현한 것일 뿐 절대적인 온도를 표현한 것은 아니다. 상기 프로브 팁(120)에는 상기 고온 유로(221)와 연결되어 스캔홀(121) 바깥쪽, 즉 스캔홀(121)과 마주보는 스캔대상으로서 치아(T)와 잇몸(S)을 향해 데워진 공기를 분사하는 외향 분사구(222)와 상기 스캔홀(121) 안쪽의 반사경(123)을 향해 데워진 공기를 분사하는 내향 분사구(223)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향 분사구(222)는 상기 열교환 유로(240)에서 데워진 공기가 피검자의 치아(T)와 잇몸(S)을 향해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등의 표면이나 치아와 잇몸의 경계 부분에 묻어 있는 타액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향 분사구(223)는 역시 데워진 공기가 상기 반사경(123) 표면에 분사되어 김서림을 방지하고, 그 표면에 묻은 타액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향 분사구(222)는 스캐닝 과정에서 타액으로 인한 반사광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내향 분사구(223)는 반사경(123) 표면의 난반사를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3차원 모델 생성에 도움이 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 유로(240)는 분사될 공기의 온도를 높여 피검자의 불편을 경감하고, 김서림 방지 효과도 향상시킨다. 그와 동시에 상기 발열 부품(230)에서 발생한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시킴으로써 광원, 카메라 모듈 또는 프로세서 등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 에어 호스(210)로부터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부(110) 내에 마련된 에어블로워(201)가 열교환 유로(24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고, 나머지는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에어블로워(201)가 내장된 구성은 구강 스캐너(100B)의 휴대성을 높이는 데에 유리하다. 특히, 배터리를 내장하고, 무선 통신 모듈을 갖춰 무선으로 외부 기기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100B)의 경우 에어블로워(201)를 내장하여 외부와 에어 호스를 통한 연결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블로워(201)는 외기를 유입하고 압력을 높여 전술한 저온 유로(211)를 통해 상기 열교환 유로(240)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의 내부 구조를 보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내부에는 발열 부품의 예로서 다수의 광원(237, 238)과 카메라 모듈 등이 배치된다. 상기 본체부(110)에서 프로브 팁(120)의 일부분이 결합되는 전단부에는 전방을 향해 가시광을 방출하는 보조광원(237)이 구비될 수 있다. 보조광원(237)은 둘 이상 구비될 수 있는데, 이들은 금속 등 열전도체로 형성된 제 1 방열부재(231)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조광원(237) 등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도를 통해 발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조광원(237)으로는 LED 패키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부(11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된 카메라모듈도 상기 제 1 방열부재(231)와 열적으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방열부재(231)의 한쪽에는 공기가 지나가며 열을 흡수하도록 형성된 제 1 열교환 유로(241)가 마련된다.
또한, 본체부(110) 내에는 상기 프로브팁(120)의 반사경(123) 측을 향해 패턴광 또는 구조광을 방출하는 주광원(238)이 배치된다. 상기 주광원(238)은 전술한 보조광원(237)에 비해 출력이 높은 LED 패키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대부분의 광원들과 마찬가지로 LED 소자의 발광 시에는 열이 발생하는데, 열이 원활하게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소자의 온도가 높아지면 발광 효율과 수명이 저하되므로, LED 패키지는 보통 방열 패드를 구비하고, 방열 패드가 열전도성 기판인 메탈코어 PCB 등에 열적으로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주광원(238)인 LED 패키지를 방열 패드가 금속 등 열전도체로 형성된 제 2 방열부재(232)의 일측에 열적으로 접촉된다. 여기서 열적으로 접촉된다는 것은 열전도성을 띤 부재끼리 직접 접촉하도록 배치되거나, 열전도가 가능한 금속 접합재나 써멀 그리스(thermal grease) 등을 매개로 접합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방열부재(232)의 다른 한쪽에는 제 2 열교환 유로(242)가 마련된다.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242)는 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전도체인 상기 방열부재(232)로부터 직접 또는 열전도성 매체를 통해 상기 주광원(238)에서 발생한 열을 빼앗아 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2 열교환 유로(242)의 입구는 상기 본체부(110) 주변의 외기 온도와 같은 상온의 공기를 전달하는 저온 유로(211)와 연결되고, 그 출구는 일차적으로 열을 흡수한 공기를 전술한 제 1 열교환 유로(241)의 입구에 제공하는 중간 유로(212)와 연결된다. 한편, 전술한 제 1 열교환 유로(241)를 통과하면 제 1 방열부재(231)로부터도 열을 흡수한 공기는 프로브팁(120)에 마련된 고온 유로(221)를 통과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외향 분사구(222) 및 내향 분사구(223)로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전술한 발열 부품은 하나의 부품으로 한정되지 않고 광원, 카메라 모듈 등 다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세서와 같이 작동시 열이 발생하는 반도체 부품도 포함될 수 있다. 발열 부품으로부터 열을 흡수하여 분사될 공기에 전달하는 방열부재와 열교환 유로는 이러한 발열 부품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열적으로 접촉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로의 구성 예를 보인다. 참고로, 이하에서 살펴볼 열교환 유로의 몇가지 구성 예는 제 1 또는 제 2 열교환 유로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 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인 예로서, 방열부재(233)는 어느 한쪽에 LED 광원(236) 패키지 자체 또는 LED 광원이 결합된 열전도성 기판이 열적으로 접촉되도록 결합되고, 다른 한쪽에 열교환 유로(24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교환 유로(243)는 입구로 주입된 공기가 열을 흡수하여 출구로 나갈 수 있도록 형성되되, 열전도체인 상기 방열부재(233)가 공기와 접촉하는 면적을 확대할 수 있도록 요철 구조물(2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요철 구조물(244)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도록 공기가 흐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 유로의 다른 구성 예를 보인다.
구체적인 또 하나의 예로서, 열교환 유로(245)는 열전도체로 형성되어 일측이 상기 발열 부품과 접촉하고 타측에 방열 구조물(239)이 형성된 방열부재(234) 및, 상기 방열 구조물(239)이 형성된 부분을 둘러싸고,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방열 구조물(239) 사이를 지나 출구로 배출되도록 형성된 공기 챔버(2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은 공기 챔버(235)의 내부를 보이기 위해 일부가 삭제된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상기 공기 챔버(235)는 그 입구와 출구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상기 방열 부재(234)의 일부분에 밀착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상기 방열 부재(234) 전체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챔버(235)는 본 실시예와 같이 입구와 출구를 갖는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되는 것 외에도, 본체부(110)의 골격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 구조물에 의해 형성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구조물(239)은 예컨대 지느러미 형태의 방열핀을 포함할 수 있다. 방열핀 역시 그 길이 방향이 공기의 흐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방열 구조물(239)은 적어도 내부의 공기 흐름이 층류(laminar flow)를 이루어 열전달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형성 및 배치될 수 있다.
100A, 100B : 구강 스캐너
110: 본체부 120: 프로브 팁
121: 스캔홀 123: 반사경
201: 에어블로워 210: 에어 호스
230: 발열 부품 240: 열교환 유로
T : 치아 S : 잇몸

Claims (4)

  1. 구강 내 구조물의 3차원 모델 데이터 생성을 위한 구강 스캐너에 있어서,
    광원과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광원과 카메라 모듈 중 적어도 하나의 발열부품에서 발생한 열이 전달되는 열전도체로 이루어지고 공기가 흐르는 열교환 유로가 구비된 방열부재;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어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고, 상기 광원에서 방출된 빛을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조사하고 상기 구강 내 구조물에서 반사된 빛을 상기 카메로 모듈로 조사하는 반사경 및 스캔홀이 구비되며,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공기가 전달되는 프로브 팁; 및,
    상기 프로브 팁에 구비되어 상기 스캔홀 외부의 상기 구강 내 구조물로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외향 분사구 또는 상기 프로브 팁 내부의 상기 반사경을 향해 상기 열교환 유로를 통과한 상기 공기를 분사하는 내향 분사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재는 방열 구조물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 구조물을 둘러싸도록 형성된 공기 챔버 내에서 상기 방열 구조물 사이로 공기가 흐르는 구간으로 정의되는 열교환 유로를 구비하는, 구강 스캐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는 상기 본체부에 연결되는 에어 호스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서 공급되는, 구강 스캐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내부의 에어블로워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기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공급되는, 구강 스캐너.
KR1020170171841A 2017-12-14 2017-12-14 구강 스캐너 KR102042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41A KR102042024B1 (ko) 2017-12-14 2017-12-14 구강 스캐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1841A KR102042024B1 (ko) 2017-12-14 2017-12-14 구강 스캐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99A KR20190071099A (ko) 2019-06-24
KR102042024B1 true KR102042024B1 (ko) 2019-11-07

Family

ID=67055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1841A KR102042024B1 (ko) 2017-12-14 2017-12-14 구강 스캐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0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83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20104615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84838A (ko) 2021-12-06 2023-06-13 박수현 휴대용 구강 스캐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1260B (zh) * 2019-06-28 2022-05-17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口腔扫描机
KR102441761B1 (ko) * 2020-10-28 2022-09-08 이상연 치아 우식 진단 겸용 3d 구강 스캐너
KR102607618B1 (ko) * 2021-05-20 2023-11-29 주식회사 디오에프연구소 3d 스캐너 및 이를 포함하는 스캔 시스템
CN113397464B (zh) * 2021-07-29 2024-04-12 宁波览途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口腔扫描模印装置
BR102021023828A2 (pt) * 2021-11-26 2022-07-19 Alvaro Alfredo Risso Soprador de ar comprimido para ponteira de scanner intraoral odontológic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04332T2 (de) 2004-06-17 2009-01-08 Cadent Lt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von Daten im Zusammenhang mit der Mundhöhle
DE102008060861A1 (de) 2008-12-09 2010-06-10 Josef Hintersehr Intraorales Scangerät
AT508563B1 (de) 2009-10-07 2011-02-15 Ait Austrian Inst Technology Verfahren zur aufnahme dreidimensionaler abbilder
KR101740325B1 (ko) * 2015-04-28 2017-05-26 주식회사바텍 구강스캐너 거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스캐너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883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21133090A3 (ko) * 2019-12-26 2021-08-19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370017B1 (ko) * 2019-12-26 2022-03-04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스캐너에 내장된 광학요소 검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20220104615A (ko) 2021-01-18 2022-07-26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제어 방법
KR102601144B1 (ko) 2021-01-18 2023-11-10 주식회사 메디트 무선 스캐너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84838A (ko) 2021-12-06 2023-06-13 박수현 휴대용 구강 스캐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099A (ko)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024B1 (ko) 구강 스캐너
JP5619689B2 (ja) 光放射を用いて材料を硬化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1844746B1 (ko) 구강 스캐너 및 구강 스캐너의 김서림 방지방법
US95726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ring materials with radiation
JP5927348B2 (ja) 内視鏡装置
KR102366634B1 (ko) 구강 스캐너
CN105407790B (zh) 内窥镜光源模块
JP4786790B2 (ja) 内視鏡の先端部
US20040248059A1 (en) Medical irradiation apparatus
US6890175B2 (en) Cooling system for hand-held curing light
JP6329708B2 (ja) 内視鏡用光源装置
US20200069168A1 (en) Cap and imaging capturing device
JP7139589B2 (ja) 撮像装置
JP2010046566A (ja) Led光照射装置
JP2013230183A (ja) 放熱機能を有するled治療器
JP2009295513A (ja) 車両用灯具
KR20220118041A (ko) 에어 분사 노즐이 내장된 구강 스캐너
KR20240008828A (ko) 3차원 구강 이미징 시스템 및 방법
KR101783878B1 (ko) 치아 미백 장치
JP6141544B2 (ja) 冷却装置及び内視鏡用光源装置
JP2009039462A (ja) 内視鏡の先端部
US20190083218A1 (en) A dental light irradiation device
KR20230085722A (ko) 구강 스캐너 및 구강 스캐너의 김서림 방지방법
CN109752837B (zh) 用于内窥镜的冷光源及采用该冷光源的内窥镜
US20140247431A1 (en) Projector with light emitting diod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