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932B1 -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932B1
KR102041932B1 KR1020180085766A KR20180085766A KR102041932B1 KR 102041932 B1 KR102041932 B1 KR 102041932B1 KR 1020180085766 A KR1020180085766 A KR 1020180085766A KR 20180085766 A KR20180085766 A KR 20180085766A KR 102041932 B1 KR102041932 B1 KR 102041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simple display
main panel
acciden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홍
Original Assignee
최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은홍 filed Critical 최은홍
Priority to KR1020180085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4Trading; Exchange, e.g. stocks, commodities, derivatives or currency ex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900/00Features of lamps not covered by other groups in B60Q
    • B60Q2900/30Lamps commanded by wireless transmis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echnology Law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관련 긴급상황, 예를 들어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쉽게 사고 현장을 알릴 수 있도록 하게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과 연동시켜 보험사 또는 경찰서 등의 기관에 사고 위치를 알리는 등 빠르게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간이 표시장치 및 이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PORT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IDENT-HANDLING SERVICE USING A TERMINAL CAPABLE OF PAIRING WITH THE PORT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간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관련 긴급상황, 예를 들어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쉽게 사고 현장을 알릴 수 있도록 하게 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 단말과 연동시켜 보험사 또는 경찰서 등의 기관에 사고 위치를 알리는 등 빠르게 대응을 할 수 있게 하는 간이 표시장치 및 이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사고 발생시 2차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많은 운전자들이 삼각대를 차량에 비치하여 두고 있다. 그러나 실제 사고 발생시 운전자가 직접 삼각대를 조립하여 도로에 나가 설치하는 것은 많은 위험성이 따르며, 최근에는 삼각대를 설치하였음에도 이를 인지하지 못한 타 운전자에 의해 2차 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다른 한편, 자동차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신속하게 그 사고현장을 알리고 타 운전자들로 하여금 피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삼각대는 그 조립이 쉽지가 않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삼각대는 그 크기 때문에 자동차의 트렁크에 비치해 두는 경우가 많아 운전자가 트렁크에서 삼각대를 빼내어 조립을 하여야 하는 등 많은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밖에 없었다.
나아가 처음 사고를 당한 운전자 입장에서는 경황이 없어 적절한 사고 대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과정에서도 시간이 허비됨과 동시에 2차 피해의 가능성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실제 교통사고와 같은 긴급상황 시 운전자가 보다 빠르게 사고 현장을 표시하고, 나아가 사고대처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설치가 매우 간편한 간이 표시장치를 제안하며, 나아가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을 이용해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등록특허 10-1792596호 (2017.11.20. 공고)
본 발명은 발광부가 배열된 패널을 단순히 회전시키고 이를 차체에 부착시키는 것만으로 사고 현장 표시를 위한 조치를 완료할 수 있는 간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이 연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간이 표시장치를 설치한 후 작동을 시켰을 때에 자동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 내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하여금 사고 처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복수 개의 발광부가 구비되는 메인 패널;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의 발광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패널;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가 피설치대상의 표면에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및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간이 표시장치는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장치가 외부 단말과 연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연동된 외부 단말은 간이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간이 표시장치 제어메뉴, 보험사 통화메뉴, 및 사고기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브 패널의 일단에는 제1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는 제1고정핀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핀은 상기 제1회동부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상기 서브 패널의 회전각도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는 제2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널에는 제2고정핀이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핀은 상기 제2회동부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당해 메인 패널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간이 나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나이프 수납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는 자성물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받침대는 중량체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고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상기 간이 표시장치로부터 연동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하는 단계; (b)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간이 표시장치 제어메뉴, 보험사 통화메뉴, 및 사고기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사고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b)단계 이후, 상기 간이 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또는 당해 단말의 위치정보를 보험사 또는 기관에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자가 빠르게 간이 표시장치를 설치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사고현장 표시가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 표시장치를 전체적으로 하나의 구조체로만 구현함으로써 운전자가 별개의 부재들을 조립하는 등의 불편을 겪게 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설치 시간을 크게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고 발생시 간이 표시장치를 설치하고 켜는 것만으로도 운전자가 소지한 휴대 단말과 연동시켜 사고처리에 필요한 서비스를 곧바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사고를 겪은 운전자로서는 경황이 없는 상황에서도 휴대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 신속하게 사고에 대처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꾀할 수 있다.
도 1은 자동차의 차체에 설치된 간이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간이 표시장치 내 구비된 제어장치의 세부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간이 표시장치와 휴대 단말 간 연동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사고대처 서비스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보관상태의 간이 표시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서브 패널의 회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메인 패널의 회동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간이 표시장치 내 나이프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간이 표시장치의 받침대를 비상용 망치로 대용할 수 있게 구현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단말기란 이동국(mobile station),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전화기(phone) 등 외부 장치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장치를 의미하며, 해당 장치의 전부 또는 일부 기능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간이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가 자동차(1000)의 차체 표면에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본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설치'라는 용어는 위 간이 표시장치가 차체 표면에 부착되거나 배치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 1을 참조할 때, 간이 표시장치는 크게 메인 패널(1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패널(120, 130), 지지대(150), 및 받침대(160)를 포함하고, 도 1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간이 표시장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메인 패널(110)은 긴 형상의 부재로, 상기 메인 패널(110)에는 복수 개의 발광부(140)가 구비된다. 위 메인 패널(110)은 길이, 높이, 및 폭을 가지는 입체 형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직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메인 패널(110)은 직육면체를 기본 형상으로 하되, 서브 패널(120, 130)과 결합되는 일단은 둥근 형상으로 구현한 것이다.
상기 메인 패널(110)에 구비되는 발광부(140)는 빛을 낼 수 있는 구성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는 장치인 이상 그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전원공급을 받아 빛을 발산하는 전구, LE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메인 패널(110)은 후술하게 될 지지대(150)의 타단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설치 시 사용자는 상기 메인 패널(110)을 회전시켜 지시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패널(120, 130)은 앞서 설명한 메인 패널(110)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 서브 패널(120, 130)은 복수개의 발광부(14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브 패널(120, 130) 역시 메인 패널(110)과 마찬가지로 긴 형상의 부재이며, 다만 위 서브 패널(120, 130)은 회전시켜 접었을 때에 상기 메인 패널(110)의 폭에 가려질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메인 패널(110)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길이 역시 상기 메인 패널(110)의 길이보다 짧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간이 표시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패널이 구비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에서와 같이 화살표 형상을 쉽게 구현하기 위해 두 개의 서브 패널(120, 13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두 개의 서브 패널(120, 130)들을 각각 제1 서브 패널(120), 제2 서브 패널(130)로 지칭하기로 하며, 각 서브 패널(120, 130)들의 양 단 중 메인 패널(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분을 일단, 그리고 반대편을 타단이라 지칭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지지대(150)는 기본적으로 받침대(160)를 포함하여 피설치대상의 표면에 의해 당해 간이 표시장치를 지지하는 구성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50)는 그 일단에 상기 메인 패널(11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위에서 언급된 '피설치대상'은 간이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객체를 일컫는 것으로,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자동차로 상정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비단 자동차에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받침대(160)에 의해 지지가 가능하다면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대(150)는 한쪽 단에 받침대(160)가 형성되는데, 받침대(160)는 지지대(150)와 별개의 구조물로 조립이 가능한 형태인 것이거나 또는 지지대(150)와 하나의 몸체를 이루는 형태일 수 있다. 받침대(160)는 그 기능상 표면이 넓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받침대(160)는 피설치대상의 표면과 맞닿는 면에 부착이 쉽게 하기 위한 물질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자성물질(1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160)의 일면을 자성물질(161)로 형성하는 경우 철 성분을 포함하는 금속에 쉽게 부착이 가능하며, 특히 자동차 표면, 예를 들어 본네트, 천장, 트렁크, 도어 표면에 쉽게 부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받침대(160)의 일면은 자성물질(161) 대신 접착성이 있는 화학물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화학물질은 평상시 스티커 시트로 커버되어 유사시 사용자로 하여금 스티커 시트를 떼어낸 채 부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지지대(15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복수 개 단(段)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지지대(150)는 총 3단의 구조물이 결합된 것으로, 사용자는 상기 단의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길이로 지지대(15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150)는 당해 간이 표시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1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51)는 기본적으로 전술한 발광부(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나, 부가적으로는 당해 간이 표시장치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연동 가능한 휴대 단말과의 연동을 개시하기 위한 용도의 것으로도 기능한다. 즉, 사용자가 사고시 스위치(151)를 누르는 경우 자동으로 주변의 연동 가능한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여 사용자에게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고처리 서비스를 곧바로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한다.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간이 표시장치의 지지대(150), 메인 패널(110), 또는 서브 패널(120, 130)의 내부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어장치가 지지대(150) 내부 공간에 구비된 것을 상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장치의 세부구성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를 때 제어장치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APP 연동부(230) 및 제어부(260)를 포함하며, 부가적으로 위치정보 획득부(240)와 출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210)는 간이 표시장치의 온/오프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스위치(151)와 연계된 구성일 수 있다. 본 입력부(210)는 상기 스위치(151)의 종류에 따라 구비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스위치(151)가 물리 버튼이어서 누름에 의해 단순히 전원공급을 위한 회로 연결을 하는 용도의 것이라면 입력부(21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겠으나, 상기 스위치(151)가 터치 감응형 스위치인 경우에는 상기 터치 감응형 스위치로부터 신호가 감지되었을 때에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60)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입력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220)는 당해 간이 표시장치가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외부와의 통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할 것이나,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근거리 네트워크,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통신이 가능한 구성으로 상정한다.
다음으로 APP 연동부(230)는 상기 통신부(220)에 의해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 연결이 되었을 경우,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관리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어, APP 연동부(230)는 전술한 스위치(151)에 의해 간이 표시장치가 켜진 경우 연동된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것뿐 아니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휴대 단말의 또 다른 기능, 예를 들어 자동으로 기 설정된 보험사 또는 기 설정된 기관번호로 전화 연결을 하게 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에 내장된 GPS 장치의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기 설정된 서버로 전송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명령어를 전달할 수도 있다. 이처럼 APP 연동부(230)는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휴대 단말의 다른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60)는 상기 입력부(210), 통신부(220), APP 연동부(230) 및 후술할 위치정보 획득부(240), 출력부(250) 등 제어장치 내 구성들을 총괄하여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제어부(260)는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는 위의 구성들 외에 위치정보 획득부(240), 출력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위치정보 획득부(240)는 현재 간이 표시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GPS 장치일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240)에 의해 얻어진 위치정보는 통신부(220)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서버로 자동 전송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APP 연동부(230)에 의해 휴대 단말로 전송된 후 상기 휴대 단말에 의해 기 설정되어 있는 임의의 서버로 자동 전송되는 데에 활용될 수도 있다.
출력부(250)는 상기 발광부(140) 외에 외부로 빛, 소리 등을 출력할 수 있는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외부 단말과의 블루투스 연동이 가능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스피커는 특히 외부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으며, 또는 사고 발생 히 경고음을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외부 단말과의 연동에 의해 스피커폰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간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3은 간이 표시장치가 휴대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모습,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처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의 휴대 단말과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고, APP 연동부(230)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과의 제어명령을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사고 발생과 같은 긴급한 상황에서는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이는 것이 최선인데,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간이 표시장치의 스위치(151)를 켜는 행위만으로도 정해진 휴대 단말과의 네트워크 연결은 물론 어플리케이션 실행까지 자동으로 실행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휴대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는 크게 세 가지 기능, 간이 표시장치 제어, 기 설정된 업체 또는 기관 전화통화, 그리고 사고기록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간이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과 연동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직접 간이 표시장치의 발광부,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참고로 도 4의 인터페이스 내 비상벨 제어는 간이 표시장치에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음을 전제로 소리를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LED 제어는 간이 표시장치에 구비된 발광부가 LED임을 전제로 LED 발광부를 켜고 끌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4에는 발광부와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는 메뉴만 도시되어 있으나, 개발자의 의도에 따라 또 다른 메뉴가 추가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기 설정된 업체 또는 기관으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기 설정된 업체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사전에 저장해 둔 가입보험사의 전화번호 일 수 있으며, 기 설정된 기관이란 경찰서 또는 소방서일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사고기록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사고 발생시 운전자는 일반적으로 경황이 없어 사건 현장을 기록하는 것에 소홀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사고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필수적으로 기록하여야 할 항목들을 휴대 단말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순서대로 쉽게 기록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에는 사고시각, 사고유형, 사고의 세부내용, 가입보험 등의 항목이 표시될 수 있으며, 또한 사진촬영 기능과 연동되어 사고 현장의 사진을 찍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이상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되는 휴대 단말의 모습, 그리고 휴대 단말 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고처리 서비스가 제공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도 7은 간이 표시장치가 모두 접힌 상태, 즉 보관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할 때, 메인 패널(110)은 지지대(15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되어 일자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패널(110)에 결합된 서브 패널(120, 130) 역시 회전되어 상기 메인 패널(110)과 같은 방향에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메인 패널(110)의 측면에는 상기 서브 패널(120, 13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표시장치는 도 7에서도 볼 수 있듯 전체 장치가 하나의 몸체처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된 부재들을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상기 메인 패널(110), 서브 패널(120, 130), 지지대(150) 등은 모두 일렬로 회전 및 고정되어 1자 형태로 접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로서는 이를 트렁크가 아닌 운전자석 도어의 포켓에 쉽게 보관할 수 있는 등 수납 측면에서도 큰 이점이 있다.
도 8은 메인 패널(110)과 서브 패널(120, 130)의 회전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도 7의 A부분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메인 패널(110)의 일단에는 제1고정핀(112)이 형성되며, 각 서브 패널(120, 130)의 일단에는 제1회동부(121, 13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고정핀의 상기 제1회동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에 맞물림으로써 각 서브 패널(120, 130)들의 각도가 고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고정핀(112)은 서브 패널(120, 130)의 개수에 따라 그 형상이 달라질 수 있는데, 도 8에서와 같이 서브 패널(120, 130)을 2개 포함하는 경우 제1고정핀(112)은 상기 2개의 서브 패널(120, 130) 각각에 형성된 제1회동부, 즉 홈에 맞물릴 수 있는 두 개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메인 패널(110)과 지지대(150)의 회전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것으로, 이는 도 7의 B부분을 배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따르면, 지지내(150)의 일단에는 제2회동부(152)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패널(110)에는 제2고정핀(111)이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핀은 상기 제2회동부(152)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당해 메인 패널(110)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메인 패널(110)과 지지대(150)의 회전 결합 구조는 도 9와 달리 형성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홈을 가지는 제2회동부가 메인 패널의 단부에, 그리고 제2고정핀이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어 메인 패널의 회전각도가 조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전술한 지지대(150) 및 받침대(160)에 부가 기능을 더 추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0은 지지대(150)에 간이 나이프(400)가 수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인데, 상기 간이 나이프(400)는 사고 발생시 또는 긴급한 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용이하게 빼 쓸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자동차 사고가 발생한 경우 또는 자동차 사고를 목격한 경우 운전자로서는 안전벨트를 끊어내야 할 상황에 놓일 수도 있는데, 이 때 간이 표시장치의 지지대(150)에 수납된 간이 나이프(400)를 활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1은 받침대(160)에 부가 구성을 더 구비시킴으로써 해당 받침대(160)를 비상용 망치로 활용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할 때, 받침대(160)의 측면에는 유리창을 깰 수 있는 타격부(162)가 형성되고, 받침대(160)의 내부에는 중량체(163)가 형성될 수 있다. 받침대(160) 내부에 형성된 중량체(163)는 간이 표시장치 설치시 잘 떨어지지 않게 안정성을 높이는 역할도 할 수 있으며, 비상용 망치로 활용할 시에는 관성력을 높이는 역할, 충격량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대(160)의 측면에 형성된 타격부(162)는 바람직하게는 강철 등과 같이 굳기가 단단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형은 입체의 다각면체일 수 있다.
이상 간이 표시장치 및 이와 연동된 휴대 단말을 이용해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0 차체
110 메인 패널 112 제1고정핀
120, 130 서브 패널
121, 131 제1회동부
140 발광부
150 지지대 151 스위치
160 받침대 161 자성물질 162 타격부 163 중량체
210 입력부 220 통신부 230 APP 연동부
240 위치정보 획득부 250 출력부
260 제어부
300 휴대 단말
400 간이 나이프

Claims (10)

  1. 복수 개의 발광부가 구비되는 메인 패널;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복수 개의 발광부가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 패널;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가 피설치대상의 표면에 지지되고, 일단이 상기 메인 패널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지지대; 및
    외부 서버 또는 외부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이 가능한 제어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대의 표면에는 자성물질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는 중량체를 포함하며, 상기 받침대에는 적어도 하나의 타격부 - 상기 타격부는 굳기가 단단한 물질로 형성된 것임 - 가 더 형성되는,
    간이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표시장치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장치가 외부 단말과 연동을 개시하는,
    간이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된 외부 단말은 간이 표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간이 표시장치 제어메뉴, 보험사 통화메뉴, 및 사고기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간이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패널의 일단에는 제1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동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널의 일단에는 제1고정핀이 형성되되, 상기 제1고정핀은 상기 제1회동부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상기 서브 패널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간이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는 제2회동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회동부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복수 개의 홈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패널에는 제2고정핀이 형성되되, 상기 제2고정핀은 상기 제2회동부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당해 메인 패널의 회전각도를 고정하는,
    간이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나이프를 수납하기 위한 나이프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는,
    간이 표시장치.
  7. 삭제
  8. 삭제
  9. 상기 청구항 1의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 가능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간이 표시장치로부터 연동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하는 단계;
    (b)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c) 상기 간이 표시장치 제어메뉴, 보험사 통화메뉴, 및 사고기록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고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b)단계 이후,
    상기 간이 표시장치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 또는 당해 단말의 위치정보를 보험사 또는 기관에 자동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고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80085766A 2018-07-24 2018-07-24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41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6A KR102041932B1 (ko) 2018-07-24 2018-07-24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766A KR102041932B1 (ko) 2018-07-24 2018-07-24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932B1 true KR102041932B1 (ko) 2019-11-27

Family

ID=68729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766A KR102041932B1 (ko) 2018-07-24 2018-07-24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9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3191A1 (en) * 2019-06-17 2022-11-17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750U (ja) * 1995-01-19 1995-07-18 三山工業株式会社 車両用緊急脱出具
KR101605197B1 (ko) * 2015-07-17 2016-03-21 주식회사 우성플라텍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101777861B1 (ko) * 2016-06-08 2017-09-13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KR101792596B1 (ko) 2016-02-25 2017-11-20 최은홍 다용도 차량 안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3750U (ja) * 1995-01-19 1995-07-18 三山工業株式会社 車両用緊急脱出具
KR101605197B1 (ko) * 2015-07-17 2016-03-21 주식회사 우성플라텍 자동차용 화살표 표지판
KR101792596B1 (ko) 2016-02-25 2017-11-20 최은홍 다용도 차량 안내장치
KR101777861B1 (ko) * 2016-06-08 2017-09-13 주식회사 오스틴인터내쇼날 자동차용 안전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63191A1 (en) * 2019-06-17 2022-11-17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US11865972B2 (en) * 2019-06-17 2024-01-09 Ki Sup Lee Portable emergency situation display device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8046B2 (ja) モジュール式通信装置及びシステム
US20070205875A1 (en) Auxiliary device with projection display information alert
US8560027B2 (en) Multi-scr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180014642A (ko) 자체균형차 관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1177067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imiting mobile device functionality in a geographic area
JP2006101507A (ja) 双方向監視・保安システム
US20160134744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distraction from a mobile device while driving when that device is determined to be within a restricted zone inside the vehicle
US20140106822A1 (en) Multi-Scr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JP2019506054A (ja) 耳保護デバイス、通信システム、及び保護ヘルメット
KR102041932B1 (ko) 간이 표시장치 및 상기 간이 표시장치와 연동된 단말을 이용하여 사고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EP2341695A2 (en) Matching themes between accessories and associated electronic devices
KR20110083027A (ko) 모바일 단말의 시간 설정을 통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US20140070929A1 (en) Key Fob with Alarm Notification
CN102334326A (zh) 可折叠式通信设备
US20130100989A1 (en) Multi-functional weather alert communication key chain
JP2017034478A (ja) 携帯機器、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404759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6699467B2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及び車両用情報表示プログラム
WO2015015174A1 (en) An alert system for a caller
CN101796738A (zh) 用于无线连接到移动电话的装置以及该装置的可能应用
JP6940148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配信方法
KR20210088215A (ko) 블루투스를 활용한 스티커 센서
JP6122474B2 (ja) 防災通知システム
JP6036766B2 (ja) 防災報知システム、および、無線放送受信装置
JP5366231B2 (ja) 車載機器用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