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707B1 -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 Google Patents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707B1
KR102041707B1 KR1020180040214A KR20180040214A KR102041707B1 KR 102041707 B1 KR102041707 B1 KR 102041707B1 KR 1020180040214 A KR1020180040214 A KR 1020180040214A KR 20180040214 A KR20180040214 A KR 20180040214A KR 102041707 B1 KR102041707 B1 KR 102041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collector
dust
filter ba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109A (ko
Inventor
황영운
이충중
Original Assignee
황영운
이충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운, 이충중 filed Critical 황영운
Priority to KR102018004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70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4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or filter hea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의 카트리지 필터백과 결합하는 상부캡은, 상기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원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테두리부; 상기 본체부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 내부의 지지망에 연결된 고리가 상기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부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해지며, 사용후 캡을 재활용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Upper cap for dust collector filter}
본 발명은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부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해지며, 사용후 캡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과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집진 장치는 일종의 공기 정화 장치로서, 분진 등을 포함하는 가스를 필터링한 후, 실내로 다시 유입시키거나 외부로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집진 장치의 일반적인 구조는 흡기실, 배기실, 흡기구, 배기부, 튜브시트 홀에 결합된 복수개의 카트리지 필터, 압축공기 공급관, 분사 노즐 등으로 구성된다.
하우징 내의 흡기실과 배기실은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다.
흡기구를 통하여 흡기실로 유입된 가스는 복수개의 카트리지 필터에 의해 분진 등이 걸러진 후 배기실로 이동된다. 배기실로 이동된 가스는 배기부를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거나 외부로 배출된다.
집진 장치에는 복수개의 집진 필터가 설치되어 있다. 집진 필터는 가온 가스에 견딜 수 있게 내열성을 갖출 필요가 있고, 필터링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능한 한 표면적을 넓게 형성시키고 있다. 넓은 표면적을 갖는 필터로 카트리지 필터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결합된 상태의 카트리지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는 카트리지 필터백(10), 직물밴드(21,22,23), 상하부캡(31,32), 접착제(41,42), 지지망(50)을 포함한다.
카트리지 필터백(10)에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해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직물밴드(21,22,23)가 카트리지 필터백(10)의 바깥쪽 둘레에 결합되어 있다. 직물밴드(21,22,23)는 카트리지 필터백(10)의 외형을 유지하고, 고압의 압축 가스가 카트리지 필터백(10)에 가해질 때 카트리지 필터백(10)의 변형을 억제한다.
상부캡(31)과 하부캡(32)은 카트리지 필터백(1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결합되어 다단 카트리지 필터백(10)을 지지 고정한다.
상부캡(31)과 하부캡(32)의 내부에는 접착제(41,42)가 도포되고, 다단 카트리지 필터백(10)의 양단부는 상부캡(31)과 하부캡(32)의 각 내부로 삽입되면, 접착제(41,42)에 의해 카트리지 필터백(10)과 상부캡(31)과 하부캡(32)이 접착된다.
지지망(50)은 필터백(10)이 내부로 주끄러지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부캡(31)과 하부캡(32)는 통상적으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제조된다.
따라서, 수명이 끝난 카트리지 필터 구조체는 소각하여 폐기해야 하는데 부직포로 제조된 필터백(10)의 경우, 소각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었지만, 상부캡(31), 하부캡(32)의 경우 금속 재질로 제조되어 소각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부캡(31) 및 하부캡(32)이 필터백(10)과 본딩 접착되어 있으므로 분리가 안되므로,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 구조체 상부캡 부분과 하부캡 부분을 절단해서 필터백(10)만을 소각 처리하고 나머지 금속 재질의 상부캡(31)과 하부캡(32)은 별도의 금속 폐기물 처리 공정을 거쳐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명이 끝난 카트리지 필터 구조체의 처리비용이 상승하고 필터 처리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부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해지며, 사용후 캡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필터백 부분을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백이 캡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캡의 하단에 의해 필터백의 상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은,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의 카트리지 필터백과 결합하는 상부캡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의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원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테두리부;
상기 본체부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더블링 슬리브의 와이어링 부위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은,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의 카트리지 필터백과 결합하는 상부캡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의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원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테두리부;
상기 본체부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 내부의 지지망에 연결된 고리가 상기 테두리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는,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되는 필터부재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에 박음질하여 봉제되는 더블링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필터백;
상기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상부캡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캡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더블링 슬리브의 와이어링 부위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캡의 하부는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백은 상단 부분을 가열 압착하여 상호 접착되어 납작하게 눕혀져 있고,
상기 상부캡의 상부에 있는 테두리는 상기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블링 슬리브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섬유재질의 직물로 제조된 실링재몸체와, 상기 실링재몸체는 상부 일측을 봉재하여 제1 내부홈을 형성하고 하부 일측을 봉제하여 제2 내부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부홈에 금속 재질의 강선으로 제작된 링 형태의 금속 와이어링을 삽입하고, 상기 제2 내부홈에 금속재질의 탄성이 있는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을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경사부는 더블링 슬리브의 와이어링 부위가 상부캡에 삽입할 때, 경사로 인하여 삽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는,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되는 필터부재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에 박음질하여 봉제되는 더블링 슬리브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필터백;
상기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상부캡;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 내부의 원통형 홈에 삽입되는 지지망;
일측이 상기 지지망에 용접되고,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단 부분을 가열 압착하여 상호 접착되어 납작하게 눕혀져 있고,
상기 상부캡의 테두리는 상기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부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해지며, 사용후 캡을 재활용 할 수 있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필터백 부분을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백이 캡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캡의 하단에 의해 필터백의 상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결합된 상태의 카트리지 필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카트리지 필터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가열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이 납작하게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에 더블링 슬리브를 봉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부면을 밀폐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의 상부캡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의 상부캡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서 고리가 상부캡의 테두리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및 도 5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에 가열장치를 결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이 납작하게 눕혀진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상단 부분에 더블링 슬리브를 봉제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부재의 하부면을 밀폐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의 상부캡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의 상부캡의 일부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는,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되는 필터부재(101)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에 박음질하여 봉제되는 더블링 슬리브(110)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필터백(100);
상기 더블링 슬리브(110)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100)을 지지 고정하는 상부캡(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필터부재(101)는 판상의 필터체를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산부와 골부를 이루는 구조로 접어서 형성된다.
카트리지 필터백(100)의 필터부재(101)는 복수의 골이 형성되도록 부직포가 절곡되어 주름지게 형성되고 부직포의 양단부를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필터부재(101)는 고온(180 내지 260℃) 또는 상온(120℃ 이하)에서 니들 펀칭(Neddle Punching) 방식으로 제조된 부직포 또는 특수한 제법으로 제조된 유리섬유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는 단섬유 또는 장섬유를 이용하여 습식공법(wet-laid), 스폰본드(spandbond), 스판레이스(spanlace), 또는 카렌다본드(calender bond), 니들펀칭(needle punching) 등의 제조공법으로 섬유를 서로 엉키게 만든 형태로 특히 상온용으로는 폴리에스테르(PET), 아크릴(acrylic), 폴리프로필렌(PP), 고온용으로는 유리섬유(glass fiber), PA(Poly Amide), PI(Poly Imide), PAI(Poly Amide Imide), PPS(Poly Phenylene Sulfide), PSA(Poly Sulfon Amid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가열장치(200)는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 가압용 지그부(213), 제1 커버 열전도판(214) 및 제2 커버 열전도판(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는 링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어 필터부재(101)의 상부 끝단면에 탑재된다.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는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의 하부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며, 일정 간격마다 복수개 형성된다.
각각의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는 일정한 길이의 봉 형태로 형성되고, 주름지게 접혀져 형성된 필터부재(101)의 홈에 각각 끼워지도록 삽입된다.
가압용 지그부(213)는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의 두께보다 두껍고, 링 형태의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의 상부에 탑재된다.
가압용 지그부(213)는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도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를 가압하는 동시에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에서 발산하는 열을 높이는 기능을 한다.
제1 커버 열전도부재(214)는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이나 구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전도체로 형성되고, 가압용 지그부(213)의 바깥쪽 테두리와 상기 필터부재(101)의 상부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싼다.
제2 커버 열전도부재(215)는 얇은 알루미늄 판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커버 열전도부재(214)의 바깥쪽 테두리를 따라 전체적으로 둘러 감싸고, 후면 일측에 경첩부재(217)에 의해 2개로 분리될 수 있으며, 2개가 결합되는 영역에 일정길이의 구멍이 뚫려 있다.
입력단자(216)는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2 커버 열전도부재(215)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제1 커버 열전도부재(214)를 관통하여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주파 전력(대략 20KHz)을 공급하는 고주파 전력 공급부(미도시)는 입력단자(216)에 결합하여 고주파 전력을 공급한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는 입력단자(216)로부터 고주파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되고,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에 연결된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도 함께 가열된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와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는 대략 10 내지 50KHz에서 대략 4kw의 출력이면 충분히 가열되며 그 가열 시간이 대략 몇 초 정도면 약 100도 이상 가열시킬 수 있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와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는 유도전류를 인가하는 고주파 발진기(미도시)에 의해 전기적 에너지를 발생시켜 필터부재(101)를 국부적으로 가열하여 온도를 올리게 되는 고주파유도 가열수단이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와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는 상기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가 접촉하고 있는 필터부재(101)의 상부 끝단면과 상기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가 접촉하고 있는 필터부재(101)의 주름지게 접혀진 부분을 급속하게 가열된다.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와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에 의해 가열된 열은 가압용 지그부(213), 제1 커버 열전도부재(214), 제2 커버 열전도부재(215)에 열전도되어 필터부재(101)의 상단 외주면을 가열하게 된다.
도 4는 필터부재(101)의 상부 끝단면에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210)를 탑재하고, 각각의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212)를 주름지게 접혀져 형성된필터부재(101)의 홈에 각각 끼워져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에 가열장치(2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필터부재(101)는 상단 부분(102)의 내측 또는 외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가열장치(200)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한 후, 성형봉을 이용하여 필터부재(101)의 내측을 눌러주게 되면,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의 산부와 골부가 가열 압착되어 상호 접착된다. 이로 인하여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 압착으로 상호 접착되어 납작하게 눕게 된다. 여기서, 접착제는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 등 다양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종래의 필터부재(101)에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박음질하여 봉제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을 가열장치(200)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한 후, 성형봉을 이용하여 필터부재(101)의 내측을 눌러주어 납작하게 눕힌다.
이렇게 납작하게 눕힌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은 폭이 대략 7mm 정도된다. 이러한 필터부재(101)의 폭은 평탄하기 때문에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바늘로 박음질되면서 봉제된다.
본 발명의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에는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의 일단을 박음질하면서 봉제한다.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는 집진기의 타공판(미도시)과 상부캡(미도시)의 사이의 공간에 끼워져 실링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필터부재(101)는 상단 부분(102)을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봉제하여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를 결합하게 되면,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제조 기간이 짧아져 생산성이 월등히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조 비용이 매우 저렴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부재(101)의 하단 부분을 가열장치(200)에 의해 국부적으로 가열한 후, 성형봉을 이용하여 필터부재(101)의 내측을 눌러주어 납작하게 눕힌다. 필터부재(101)는 하부면(120)을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부직포를 이용하여 하단 부분과 봉제하여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102)과 하단 부분을 가열 압착하여 납작하게 눕히게 되면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박음질하여 봉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 필터백(100)는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과 하부면(120)을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미도시)에 의해 박음질하여 봉제하여 결합함으로써 생산성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카트리지 필터백(100)는 소각이 가능한 재질로 제조되어 금속 폐기물 처리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므로 처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필터 처리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는 중심부에 중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섬유재질의 직물로 제조된 링 형태의 실링재 몸체(111)를 상부캡의 둘레에 장착하게 된다.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는 상부캡과 타공판의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실링재이다.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는 집진기의 타공판에 장착되는 모든 필터(봉재 필터백, 카트리지 필터, 주름필터백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실링재몸체(111)는 섬유재질의 직물인 원단을 재단하여 원형으로 봉재한 형태의 제품으로 내측으로 내부홈이 형성되어 있다.
실링재몸체(111)는 상부와 하부를 봉재하여 내측으로 제1 내부홈(113)과 제2 내부홈(115)의 2개의 공간부를 형성한다.
실링재몸체(111)는 제1 내부홈(113)에 와이어링(112)을 삽입하고, 제2 내부홈(115)에 코일스프링(114) 또는 판스프링을 삽입하여 장착한다.
실링재몸체(111)는 폴리에스터, 아라미드, PPS, 폴리이미드, Teflon, 재질의 섬유를 사용할 수 있고 섬유 조직은 직물, 부직포(니들펀칠 스판본드 스판레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실링재몸체(111)의 중량은 300~600g/㎡, 두께는 1~3mm를 사용할 수 있다.
와이어링(112)은 원형 강선으로 제작하고 재질은 일반강선, 스테인레스강선 티탄강선 등 금속 재질의 강선을 사용하며, 굵기는 3 내지 5mm가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114)은 탄성이 있는 일반강선, 스테인레스강선 티탄강선 등 금속 재질의 강선을 사용하고 굵기가 0.5 내지 1.2mm이며, 직경이 3 내지 10mm가 바람직하다. 판스프링은 공지의 판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110)는 타공판의 크기에 따라 직경을 변경할 수 있으며, 더블링 슬리브(110)의 길이는 40 내지 50mm 정도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을 참조하면,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은,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캡에 있어서,
상기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300);
상기 본체부 상단에 원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테두리부(310);
상기 본체부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경사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캡(300)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부(320)가 형성되고, 상기 더블링 슬리브(110)의 와이어링 부위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100)을 지지 고정하도록 한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필터 구조체는 상기 상부캡(300)의 상부에 있는 테두리(310)가 상기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캡(300)의 하부는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330)가 형성되어, 상부캡의 하단에 의해 필터백의 상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경사부(330)는 더블링 슬리브(110)의 와이어링 부위가 상부캡(300)에 삽입할 때, 경사로 인하여 삽입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서 고리가 상부캡의 테두리에 걸린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는,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용 필터 구조체에 있어서,
바깥쪽 둘레에 복수개의 산부와 골부를 갖도록 접철되는 필터부재(101)와, 직물로 이루어져 있고, 필터백 제조용 미싱장치에 의해 상기 필터부재(101)의 상단 부분에 박음질하여 봉제되는 더블링 슬리브(110)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 필터백(100);
상기 더블링 슬리브(110)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상부캡(300);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100) 내부의 원통형 홈에 삽입되는 지지망(500);
일측이 상기 지지망(500)에 용접되고,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300)의 테두리(310)에 걸리도록 하는 고리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고리부(400)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인 것이 좋다.
상기 고리부(400)는 복수개로 형성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균형을 맞추기에 유리하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고리부(400)는 2 내지 4개인 것이 좋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더블링 슬리브(110)의 와이어링 부위가 위로 삽입되면서 상부캡(300)의 돌기부(320)를 통과한 후 아래로 내려가지 않는 접촉 마찰력에 의하여 카트리지 필터백(100)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서는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지지망(500)에 고리부(400)의 철선(420)이 용접되고, 타측의 고리(410)가 상부캡(300)의 테두리(310)에 걸리도록 하여 상부캡(300)과 카트리지 필터백(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부캡(300)의 테두리(310)에 고리부가 장입될 수 있도록 고리부에 대응되는 홈을 더욱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부분을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 생산 공정이 간단해지며, 사용후 캡을 재활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집진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구조체의 상단 부분인 캡과 하단 필터백 부분을 견고하게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여 필터백이 캡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캡의 하단에 의해 필터백의 상부가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카트리지 필터백 101: 필터부재
102: 상단 부분 110: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120: 하부면 200: 가열장치
210: 제1 고주파 유도 코일부 212: 제2 고주파 유도 코일부
213: 가압용 지그부 214: 제1 커버 열전도판
215: 제2 커버 열전도판
300: 상부캡
400: 고리부
500: 지지망

Claims (4)

  1. 분진 및 오염 물질을 집진 포집하여 탈진 분리하는 집진기 필터의 카트리지 필터백과 결합하는 상부캡으로서,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의 더블링 슬리브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단에 원형의 테두리 형태로 형성되고,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테두리부;
    상기 본체부 하단에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진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에는 둘레를 따라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더블링 슬리브의 와이어링 부위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카트리지 필터백을 지지 고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집진기의 타공판의 중공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상부캡의 테두리는 지지망에 연결된 고리부가 걸리도록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리부는 일측이 상기 지지망에 용접되고, 타측이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캡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고리부는 복수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40214A 2018-04-06 2018-04-06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KR102041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14A KR102041707B1 (ko) 2018-04-06 2018-04-06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214A KR102041707B1 (ko) 2018-04-06 2018-04-06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09A KR20190117109A (ko) 2019-10-16
KR102041707B1 true KR102041707B1 (ko) 2019-11-06

Family

ID=684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214A KR102041707B1 (ko) 2018-04-06 2018-04-06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7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20B1 (ko) * 2015-05-12 2017-01-03 이충중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및 이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1814B1 (ko) * 2015-05-27 2018-05-14 신대건 소각 가능한 필터 구조체 및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20B1 (ko) * 2015-05-12 2017-01-03 이충중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109A (ko) 2019-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057B1 (ko) 부직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필터
KR101692620B1 (ko) 집진기용 카트리지 필터, 필터백 장착용 더블링 슬리브 및 이의 제조 방법
JPH0360712A (ja) バグフィルター用濾過布
KR20230028346A (ko)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CN102427866A (zh) 过滤介质和过滤元件
KR101841814B1 (ko) 소각 가능한 필터 구조체 및 제조 방법
JP2005512781A (ja) 直列式濾過のための多層複合フィルタエレメント
KR102041707B1 (ko)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JP3301227B2 (ja) 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102204323B1 (ko) 소각 가능한 필터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41708B1 (ko) 집진기 필터용 상부캡
JP2009011989A (ja) 成形フィルタ
KR20230076227A (ko) Ptfe 멤브레인이 적용된 집진기용 필터 구조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333678B1 (ko) 형태유지밴드가 내부에 고정되는 카트리지 필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4845613A (zh) 用于手持式吸尘器的吸尘器过滤袋
JP2008272692A (ja) 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214551932U (zh) 一种多褶皱滤袋装置
CA2418385A1 (en) Unitary multi-component filter media
CN109847481A (zh) 滤袋无纺布热熔结构
JP2012239995A (ja) エレクトレットろ材
WO2019004695A2 (ko) 소각 가능한 필터 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29779B2 (ja) 油こしフィルター及びこれを用いた浄油器
CN215654294U (zh) 一种魔术贴式除尘过滤袋
JP5285443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エレメントの製造に使用する治具
KR20180115308A (ko) 공기 조화기 필터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