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62B1 -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 Google Patents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62B1
KR102041562B1 KR1020180045610A KR20180045610A KR102041562B1 KR 102041562 B1 KR102041562 B1 KR 102041562B1 KR 1020180045610 A KR1020180045610 A KR 1020180045610A KR 20180045610 A KR20180045610 A KR 20180045610A KR 102041562 B1 KR102041562 B1 KR 102041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book
content
english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2005A (ko
Inventor
이병협
Original Assignee
이병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협 filed Critical 이병협
Priority to KR102018004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62B1/ko
Publication of KR20190122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2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2Rating or review of business operator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온라인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 및 학습방법을 개시한다. 영어도서관을 이용한 학습시스템은 학습자인 아이들의 학습 수준을 미리 측정하고, 학습 수준에 알맞은 개별적인 학습 프로그램과 교제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영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변화량 학습율 및 도서관 출석현황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분석하고 관리 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 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어 도서관에 구비된 방대한 서적과 학습자 별 맞춤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독서소양과 영어 실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ONLINE ENGLISH LIBRARY READING COACH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온라인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 및 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모든 학습과정을 온라인으로 통합하여 관리하는 영어 도서관을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어 교육의 중요성과 관심은 날로 커지고 있다. 많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방법을 통해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힘쓰고 있고 원어민 회화수업에 참여하거나 어학연수를 가는 학생들의 연령도 점점 낮아지는 추세이다.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학습 방법이 있지만, 영문 원서를 통해 영어를 학습하는 방법은 영어 학습뿐만 아니라 독서 소양까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취학 전 아동 및 취학 아동의 학습 원서를 다량 보유한 영어 도서관은 전국에 많지 않고 기존의 영어도서관은 단순히 도서의 대출과 반납 상태 만을 관리한다. 이로 인해 영어 도서관에 가더라도, 학습자 스스로에게 알맞은 학습 프로그램과 도서가 무엇인지 쉽게 선택할 수 없다.
여러 선진국들은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독서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다. 예로 미국에서의 'TV 한 시간 끄기 운동', 영국의 'Book Start 운동', 싱가포르에서의 '학교의 도서관화', 일본의 '가정도서관 만들기, 등등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독서에 맞추고 있다. 우리나라는 교육열은 세계 1위를 자랑하지만 독해능력은 OECD 32개국 중 27위란 부끄러운 자료가 입증하듯이 교육의 뿌리가 되는 독서수준이 너무 낮은 것이 현실이다. 거기에 2005년부터 바뀌는 IBT 토플 및 SAT등의 시험에서 영어작문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이전의 문법, 회화 중심의 교육이 아닌 다독을 통한 자기의사 표현 및 토론에 대한 능력이 중요시 된다고 보인다. 그러나 기존 오프라인 회화중심의 영어교육에서 원어민의 회화와 발표 및 토론을 이해, 습득하고 표현까지 하는 능력을 얻는 것은 현 한국의 교육기관 및 어린이에게 매우 힘든 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려서부터 영어원서의 다독을 통해 읽은 순서대로 영어를 이해하고, 문맥을 통해 자연스럽게 영어를 습득하는 새로운 영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05-0089852호(2005.09.08)
영어도서관에 구비된 다양한 영문원서 및 학습자료를 영어 교육 프로그램 별로 분류하고 학습자개개인의 학습 능력 테스트 결과 및 연령을 기반으로 맞춤화된 학습 프로그램과, 학습교재를 추천하는 영어 도서관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은 온라인을 통한 레벨 테스트(Level Test)로 각 개인의 영어 독해(독서)(Reading) 수준을 진단하고, 도서 별 학습 컨텐츠 및 학습프로그램을 회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회원이 수행한 학습 컨텐츠의 성취도와 학습 레벨 변화 및 회원의 출석관리, 학습 도서 등 회원 별 다양한 학습 정보를 관리하고, 변화하는 학습 정보에 따른 최적의 학습 플랜을 제공한다.
학습 시스템에 가입한 가맹점 각각의 가맹점 정보를 분석하여 가맹점 별로 수익률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운영 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은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의 위치, 크기, 보유도서, 회원정보, 가맹주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정보를 관리하고, 각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중앙서버;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보유도서, 등록회원 및 회원 별 학습현황을 관리하고, 가맹점의 보유도서에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의 학령 및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회원 별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 및 도서 별 상기 학습 컨텐츠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학습관리서버;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가입 후, 구독할 도서를 선택하거나 학습 등급을 입력하거나 테스트를 완료하는 경우, 도서, 학습등급 및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학습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고,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이후의 학습결과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회원단말; 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의 영어학습방법은 (A)중앙서버에서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의 위치, 크기, 보유도서, 회원정보, 가맹주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정보를 관리하고, 각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단계; (B) 학습관리서버에서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보유도서, 등록회원 및 회원 별 학습현황을 관리하고, 가맹점의 보유도서에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의 학령 및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C) 학습관리서버에서 회원 별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 및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회원단말에서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가입 후, 구독할 도서를 선택하거나 학습 등급을 입력하거나 테스트를 완료하는 경우, 도서, 학습등급 및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상기 학습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E) 회원단말에서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이후의 학습결과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영어도서관을 이용한 학습시스템은 학습자인 아이들의 학습 수준을 미리 측정하고, 학습 수준에 알맞은 개별적인 학습 프로그램과 교제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영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변화량 학습율 및 도서관 출석현황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분석하고 관리 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 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영어 도서관에 구비된 방대한 서적과 학습자 별 맞춤 프로그램을 통해 학습자는 독서소양과 영어 실력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다.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도서를 읽기 전 학습 컨텐츠에 노출됨으로써, 영문 도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 컨텐츠 및 영문 도서를 통해 학습어휘에 이중으로 노출되게 하여, 영어 학습량을 자연스럽게 늘릴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서버(200)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성취도관리모듈(25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의 학습관리 서버(200)와 단말(300)간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학습 컨텐츠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의 학습정보를 분석한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도서 별 학습 컨텐츠 정보를 회원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은 중앙서버(100), 학습관리서버(200) 및 회원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중앙서버(100)는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 등록한 가맹점을 관리하는 서버이다. 예컨대, 중앙서버(100)는 등록된 가맹점 정보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가맹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한다. 실시예에 따른 가맹정보에는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위치, 크기(평수), 보유도서, 학습디바이스 보유 현황, 각 가맹점에 등록된 회원정보 및 가맹주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학습관리서버(200)는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보유도서, 등록회원 및 회원 별 학습현황을 관리하고, 회원의 학습능력 및 연령대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또한 학습관리서버(200)는 가맹점의 보유도서에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이 입력한 학습등급 정보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를 회원에게 제공한다. 예컨대, 학습관리 서버(200)는 도서에 포함된 단어를 이용하여 도서 별 단어학습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회원단말(300)은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한 회원의 개인단말로서, 가맹점에 가입 후, 구독할 도서를 선택하거나 학습 등급정보를 입력하면, 도서 및 학습 등급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학습관리서버(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회원은 단말(300)을 통해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이후 학습 결과를 학습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회원은 자신의 단말(300)로 영어 도서관의 학습 도서 현황 및 회원의 학습 성취도, 학습능력 변화 정도 등 영어 학습 능력 향상에 필요한 일련의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또한, 영어 도서관 예약, 시간 별 인용인원 검색 등을 회원단말(300)으로 수행하여 영어 도서관 이용을 보다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회원단말(300)은 태블릿 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단말은 유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은 스마트 폰 및 태블릿 PC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관리 장치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 여하한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100)의 데이터 처리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중앙서버(200)는 데이터베이스(110), 제 1 분석모듈(130) 및 제 2분석모듈(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에는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일련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가맹점 정보, 회원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제 1 분석모듈(130)은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가맹점 별로 보완 해야 할 시설 및 도서정보를 파악한다. 예컨대, 가맹점인 영어 도서관 각각에 설치된 보유 도서 정보와 학습 기기 현황을 파악하여, 각 가맹점에 가입한 회원들의 영어 학습에 필요한 시설 및 도서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한다.
제 2분석모듈(150)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 별 수익률 현황을 파악하고,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 및 가맹점 정보를 분석하여 수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 플랜을 산출한다. 예컨대, 제 2분석모듈은 가맹점 별 등록회원의 평균출석률, 학습 컨텐츠 수행율 및 학습 능력 향상비율을 산출하여, 산출결과에 따라 학습 컨텐츠 무료배포, 행사진행 등 이벤트를 진행하도록 하는 운영 플랜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분석모듈(150)은 등록회원의 평균 출석률이 일정 수준 미만이거나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하락세인 경우, 무료 영어 학습 능력 테스트 및 무료 학습 컨텐츠 제공, 공개강의 등 다양한 이벤트 가맹점 별로 개최하도록 유도하여 가맹점의 출석률과 매출 상승 효과를 창출하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서버(200)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학습관리서버(200)는 회원정보관리모듈(210), 학습컨텐츠 관리모듈(230) 및 학습성취도관리모듈(2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회원정보관리모듈(210)은 가맹점에 등록된 회원의 연령, 거주지, 출석률, 학습율, 구독도서, 도서 반납연체유무, 학습등급, 학습등급변화율, 학습 성취도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학습컨텐츠관리모듈(230)은 가맹점이 보유하는 도서의 대출 및 반납현황을 기록하고, 도서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 및 회원의 나이와 학습 등급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 또한 회원의 학습능력을 테스트 하기 위한 테스트 자료를 생성하고, 도서를 대출하거나 구독 예약한 회원에게 도서의 학습컨텐츠를 전달한다.
또한 학습컨텐츠 관리모듈(230)은 회원 연령 및 학습수준에 따른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예컨대, 학습 컨텐츠 관리모듈(230)은 가맹점에 구비된 도서의 가독 연령과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분석하여, 각 도서가 포함되는 영어 학습 성취도 레벨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학습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의 영어 능력 테스트를 실시하고, 테스트 결과에 따라 회원의 학습레벨이 결정되면, 학습 컨텐츠 관리모듈(230)에서는 학습레벨에 포함된 도서의 학습 컨텐츠를 회원단말(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학습 성취도 관리모듈(250)은 학습 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 등을 가중치에 따라 반영한 학습 성취도를 산출하고,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플랜을 제공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학습성취도관리모듈(250)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학습성취도 관리모듈(250)은 컨텐츠 생성부(251), 학습성취도 연산부(253) 및 학습플랜생성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컨텐츠 생성부(251)는 회원의 연령과 학습 능력에 따라 다른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예컨대, 컨텐츠 생성부(251)는 회원의 학령을 기준으로 다른 학습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영어 레벨 테스트 결과에 따라 영어 능력을 상 중 하로 구분하고 구분된 영어 능력 각각에 부합하는 학습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생성부(251)는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이 보유한 도서의 권장구독연령, 도서에 사용된 주요 어휘와 주제,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외국어 구사 레벨을 포함하는 학습 등급과 회원의 나이에 따라 차등화된 학습컨텐츠를 생성한다. 예컨대, 컨텐츠 생성부(251)는 도서에 일정 빈도 이상 등장하는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 및 상기 단어를 이용한 문장 학습을 위한 컨텐츠 등, 회원이 학습해야 할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를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
학습 성취도 연산부(253)는 학습 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평가요소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학습 성취도를 월별 또는 주별로 산출한다. 실시예에서 가중치는 회원의 학습목적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학습 성취도 중 출석률이 가장 많은 비율로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회원이라면 출석률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고, 학습 성취도 중 구독도서 수가 높은 비율로 반영되기를 희망하는 회원이라면 구독도서 현황에 가장 높은 가중치를 설정하여 학습성취도를 산출하도록 한다.
학습플랜 생성부(255)는 기간별로 산출된 학습성취도 및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고 학습성취도와 테스트 결과 변화율을 고려한 학습플랜을 제공한다. 예컨대, 학습플랜 생성부(255)는 가맹점에 등록한 회원이 수행 완료한 학습 컨텐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회원 별 취약영역을 파악하고, 취약영역을 보완하는 도서를 추천하거나 취약영역을 보완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의 학습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학습방법은 학습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4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의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10 단계에서는 학습관리서버(200)에서 보유도서 및 가맹점 정보를 중앙서버(100)로 전송한다. S15 단계에서는 중앙서버(100)에서 수신한 가맹점 정보를 관리, 분석한다.
S20 단계에서는 학습관리서버(200)에서 학습 등급 및 회원의 나이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S25 단계에서는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
S3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100)에서 가맹점 별로 보충해야 할 도서 및 학습 시설을 파악하고, S35 단계에서는 가맹점 정보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가맹점 별 운영 플랜을 산출한다. S40 단계에서는 중앙서버(100)에서 학습관리 서버(200)로 가맹점 별 운영플랜 정보를 전달한다. S45 단계에서는 학습관리서버(200)에서 각 가맹점 별 운영플랜 수행 여부 및 가맹점 정보를 분석하고, S50 단계에서는 분석된 가맹점 정보와 운영플랜 정보를 중앙서버(100)로 전송한다. S55 단계에서는 중앙서버에서 가맹점 정보를 업데이트 하고 업데이트된 정보를 분석한다. S60 단계에서는 업데이트 된 정보를 기반으로 운영 플랜을 보완하고, S65 단계에서는 보완된 운영 플랜을 학습관리 서버(200)로 전송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의 학습관리 서버(200)와 단말(300)간 신호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110 단계에서는 학습관리서버(200)에서 학습 시스템에 가입하는 가맹점 정보를 수집한다. S115 단계에서는 학습 프로그램 및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생성한다. 실시예에서는 가입한 회원의 학령과 영어 학습 능력 및 테스트 결과 로 분류되는 학습레벨 각각의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레벨에 포함되는 학습 도서와 학습 컨텐츠를 선정하고, 학습 기간 및 순서를 정하여 학습 레벨 각각에 대한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는 회원 단말(300)에 회원의 이름, 나이 등의 기본정보를 입력하여 가맹점으로 회원가입을 하고, S125 단계에서는 입력된 회원정보를 학습관리서버(200)으로 전달한다.
S130 단계에서는 학습관리서버(200)에서 회원정보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예컨대, 회원의 학령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하거나 회원의 영어 학습 테스트 결과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한다. S135 단계에서는 회원단말(300)에서 학습관리서버(200)에서 추천 받은 학습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S140 단계에서는 추천 받은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를 선택한다.
S145 단계에서는 회원은 선택된 도서를 학습하려는 경우, 선택된 도서의 대출 또는 구독 예정 정보를 학습관리서버(200)로 전송한다. S150 단계에서는 선택된 도서의 학습 컨텐츠를 추출하여 S155 단계에서는 회원단말(300)으로 전송한다.
S160 단계에서는 회원단말(300)에서 전송받은 학습 컨텐츠를 수행하고, 학습 컨텐츠 수행 결과를 학습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
학습관리서버(200)에서는 S170 단계에서 회원 별 학습 성취도를 산출하여 S175 단계에서 회원 별 취약영역 및 학습 성취도 변화를 파악한다.
S180 단계에서는 S175 단계에서 파악된 회원 별 취약영역과 학습 성취도 변화에 기반한 학습플랜을 생성하고 S185 단계에서 생성된 학습플랜을 회원단말(300)으로 전송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학습관리서버에서 생성된 학습 컨텐츠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관리서버에서 생성되는 학습 컨텐츠는 도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도서의 어휘와 문장을 학습하는 컨텐츠가 생성될 수 이고, 각각의 학습 컨텐츠는 회원 각자의 독서 플랜에 맞게 회원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학습컨텐츠는 단어퀴즈, 문장퀴즈, 북 리포트 및 독서 후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어퀴즈는 각자의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독서 플랜에 맞춘 단어학습을 위한 퀴즈이며, 퀴즈를 통해 어휘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하고, 회원이 책을 더 흥미롭고 편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한다. 문장퀴즈는 단어 퀴즈에서 틀린 단어를 정기적으로 온라인 문장퀴즈를 통해 다시 한번 익히도록 하는 학습 컨텐츠로서, 문장퀴즈를 통해 단어가 쓰인 책 안의 문장을 확인하고 퀴즈를 통해 단어를 추론하고 유추해 볼 수 있도록 하여 독해력과 어휘력이 함께 향상 될 수 있도록 한다. 북리포트는 문법에 맞게 책의 내용을 요약하고 자기 주장을 정리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학습하는 컨텐츠이다. 학습컨텐츠생성 서버에서는 도서 별, 장르별, 수준별로 전문화된 북 리포트를 만들어 관리하고 회원의 학습 프로그램에 맞추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어 도서관 학습시스템에서는 회원의 영어 학습 수준에 맞는 책을 읽도록 하고, 독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자유로운 책 읽기(Free Voluntary Reading)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영자 신문을 활용한 글쓰기 등 다양한 독후 활동 프로그램과 문법 특강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은 독서 마일리지를 제공하여 회원의 적극적인 독서 참여와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한다. 마일리지는 독서태도, 출석률, 학습성취, 학습 컨텐츠 수행 량 및 성적향상 정도에 따라 쌓을 수 있도록 하고, 마일리지 단계별로 인증서를 제공하여, 학습 성취감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을 통해 시스템에 가입한 회원이 성공적인 독서 습관과 목표 의식을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 등록된 회원의 학습정보를 분석한 디스플레이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회원의 학습 전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여 학습지도 방안과 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학습시스템에서는 학습 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 성취도를 산출하여 학습 기간별 성취도를 그래프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아울러 학습 성취도 분석을 통해 획득한 회원 개개인 별 취약 영역과, 향후 학습 플랜에 대한 의견 및 평가 정보를 회원에게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에서는 회원이 학습한 도서와 학습 컨텐츠는 회원 히스토리로 보관 가능하고, 각 도서를 읽을 때의 학습 성취도 및 학습 단어와 문장을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다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도서 별 학습 컨텐츠 정보를 회원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관리 서버는 가맹점이 보유한 도서 각각에 대해 난이도, 권장학령, 주제를 포함하는 도서정보와, 도서에 포함된 주요 어휘 퀴즈, 문장 퀴즈 등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이를 회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을 통해, 학습자인 아이들의 학습 수준을 미리 측정하고, 학습 수준에 알맞은 개별적인 학습 프로그램과 교제를 제공하여 효율적으로 영어 실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변화량 학습율 및 도서관 출석현황 등 다양한 학습요소를 분석하고 관리 하여, 보다 체계적인 학습 플랜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도서 별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도서를 읽기 전 학습 컨텐츠에 노출됨으로써, 영문 도서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 컨텐츠 및 영문 도서에 이중으로 노출되게 하여, 영어 학습량을 자연스럽게 늘릴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중앙서버
200: 학습관리서버
300: 회원단말

Claims (12)

  1.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의 위치, 크기, 보유도서, 회원정보, 가맹주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정보를 관리하고, 각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는 중앙서버;
    상기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보유도서, 등록회원 및 회원 별 학습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의 보유도서에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의 학령 및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회원 별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 및 상기 도서 별 상기 학습 컨텐츠를 회원에게 제공하고 등록회원의 평균 출석률이 일정 수준 미만이거나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하락세인 경우, 무료 영어 학습 능력 테스트 및 무료 학습 컨텐츠 제공, 공개강의를 포함하는 이벤트를 가맹점 별로 개최하도록 유도하여 가맹점의 출석률과 매출 상승 효과를 창출하도록 하는 학습관리서버;
    상기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가입 후, 구독할 도서를 선택하거나 학습 등급을 입력하거나 테스트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도서, 학습등급 및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상기 학습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고, 상기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이후의 학습결과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회원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관리서버는
    상기 가맹점에 등록된 회원의 연령, 거주지, 출석률, 학습율, 구독도서, 도서 반납연체유무, 학습등급, 학습등급변화율 및 학습 성취도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정보관리모듈;
    학령, 테스트 결과 및 학습 등급에 따른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도서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 및 회원의 나이와 학습 등급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 각각에게 추천되는 학습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의 학습컨텐츠를 전달하고,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평가요소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학습 성취도를 월별 또는 주별로 산출하고, 상기 월별 또는 주별로 산출된 학습성취도를 기간에 따라 분석하여 학습플랜을 제공하는 학습컨텐츠관리모듈;
    상기 학습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 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플랜을 제공하고, 회원이 학습해야 할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를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도서에 일정 빈도 이상 등장하는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 및 상기 단어를 이용한 문장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생성하고, 도서 별, 장르별, 수준별로 전문화된 북 리포트를 만들어 관리하고 회원의 학습 프로그램에 맞추어 제공하는 학습성취도관리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관리서버는
    회원 별 독서태도, 출석률, 학습성취, 학습 컨텐츠 수행량 및 성적향상 정도에 따라 누적시키는 독서 마일리지를 제공하여 회원의 독서 참여와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마일리지 단계별로 인증서를 제공하여, 학습 성취감을 고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 도서관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가맹점이 구비해야 할 도서 및 시설정보를 파악하는 제1 분석모듈;
    상기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 별 수익률 현황을 파악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 및 가맹점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수익률을 향상시키기 위한 운영플랜을 산출하는 제2 분석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관리모듈은
    상기 가맹점이 보유한 각 도서의 권장구독연령, 도서에 사용된 주요 어휘와 주제,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외국어 구사 레벨을 포함하는 학습 등급과 회원의 나이에 따라 차등화된 학습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컨텐츠 관리모듈은
    가맹점에 등록한 회원이 수행 완료한 학습 컨텐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회원 별 취약영역을 파악하고, 상기 취약영역을 보완하는 도서 또는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어도서관 학습 시스템.
  7.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의 영어학습방법에 있어서,
    (A)중앙서버에서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가맹점의 위치, 크기, 보유도서, 회원정보, 가맹주 정보를 포함하는 가맹점정보를 정보를 관리하고, 각 가맹점 정보의 변화양상을 분석하고, 등록회원의 평균 출석률이 일정 수준 미만이거나 일정기간동안 지속적으로 하락세인 경우, 무료 영어 학습 능력 테스트 및 무료 학습 컨텐츠 제공, 공개강의를 포함하는 다양한 이벤트 가맹점 별로 개최하도록 유도하여 가맹점의 출석률과 매출 상승 효과를 창출하는 단계;
    (B) 학습관리서버에서 학습시스템에 등록된 각 가맹점의 보유도서, 등록회원 및 회원 별 학습현황을 관리하고, 상기 가맹점의 보유도서에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의 학령 및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C) 학습관리서버에서 회원 별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 및 상기 도서 별 상기 학습 컨텐츠를 회원에게 제공하는 단계;
    (D) 회원단말에서 상기 영어도서관 학습시스템에 가입 후, 구독할 도서를 선택하거나 학습 등급을 입력하거나 테스트를 완료하는 경우, 상기 도서, 학습등급 및 테스트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상기 학습관리서버로부터 제공받는 단계; 및
    (E) 회원단말에서 학습 컨텐츠를 학습한 이후의 학습결과를 학습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 는
    상기 가맹점에 등록된 회원의 연령, 거주지, 출석률, 학습율, 구독도서, 도서 반납연체유무, 학습등급, 학습등급변화율 및 학습 성취도를 포함하는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학령, 테스트 결과 및 학습 등급에 따른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고, 상기 도서 각각에 대한 학습 컨텐츠 및 회원의 나이와 학습 등급에 따른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회원 각각에게 추천되는 학습 프로그램 정보와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의 학습컨텐츠를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 성취도를 산출하고, 상기 학습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플랜을 제공하고 회원이 학습해야 할 프로그램에 포함된 도서를 보다 쉽게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구비된 도서에 일정 빈도 이상 등장하는 단어 학습을 위한 학습 컨텐츠 및 상기 단어를 이용한 문장 학습을 위한 컨텐츠 를 생성하고, 도서 별, 장르별, 수준별로 전문화된 북 리포트를 만들어 관리하고 회원의 학습 프로그램에 맞추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 는
    상기 학습 컨텐츠를 전달받은 각 회원의 학습컨텐츠 수행율, 구독 도서 현황 및 출석률을 포함하는 학습평가요소 각각에 가중치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가중치에 따라 학습 성취도를 월별 또는 주별로 산출하고, 상기 월별 또는 주별로 산출된 학습성취도를 기간에 따라 분석하여 학습플랜을 제공하고, 회원 별 독서태도, 출석률, 학습성취, 학습 컨텐츠 수행 량 및 성적향상 정도에 따라 누적시키는 독서 마일리지를 제공하여 회원의 적극적인 독서 참여와 지속적인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마일리지 단계별로 인증서를 제공하여, 학습 성취감을 고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8. 삭제
  9. 삭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B) 회원의 학령 및 학습 능력에 따른 학습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는
    상기 가맹점이 보유한 각 도서의 권장구독연령, 도서에 사용된 주요 어휘와 주제, 학습목표를 분석하여 학습자의 외국어 구사 레벨을 포함하는 학습 등급과 회원의 나이에 따라 차등화된 학습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는
    가맹점에 등록한 회원이 수행 완료한 학습 컨텐츠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회원 별 취약영역을 파악하고, 상기 취약영역을 보완하는 도서 또는 학습 프로그램을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방법.
KR1020180045610A 2018-04-19 2018-04-19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KR102041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10A KR102041562B1 (ko) 2018-04-19 2018-04-19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610A KR102041562B1 (ko) 2018-04-19 2018-04-19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05A KR20190122005A (ko) 2019-10-29
KR102041562B1 true KR102041562B1 (ko) 2019-12-02

Family

ID=6842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610A KR102041562B1 (ko) 2018-04-19 2018-04-19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04B1 (ko) 2020-04-07 2021-01-22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2260223B1 (ko) 2020-09-08 2021-06-03 (주)웅진씽크빅 비대면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9227A1 (en) * 2011-07-22 2013-07-11 Rafter,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book sales and rental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81904A1 (en) 2002-12-26 2005-04-21 Takashi Suzuki Field tent against crosswind
KR20040089059A (ko) * 2004-09-30 2004-10-20 연제규 오프라인 서점 통합 네트워크 가맹점 시스템
KR20070017559A (ko) * 2007-01-08 2007-02-12 (주)이인텍 고객관리 및 마켓팅통합시스템
KR20100021830A (ko) * 2008-08-18 2010-02-26 이호원 외국어 도서의 독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6636A (ko) * 2009-03-24 2010-10-04 최정희 인터넷을 통한 영어 도서관 시스템 및 독서력 향상 학습방법
KR20130103067A (ko) * 2012-03-09 2013-09-23 이유현 온라인 단계별 학업성취도 테스트와 취약 학습 집중 지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9227A1 (en) * 2011-07-22 2013-07-11 Rafter, Inc. System for and method of managing book sales and rent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304B1 (ko) 2020-04-07 2021-01-22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20210124890A (ko) 2020-04-07 2021-10-15 박규도 온라인 영어 학습 서비스 및 이를 운용하는 관리 서버
KR102260223B1 (ko) 2020-09-08 2021-06-03 (주)웅진씽크빅 비대면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2005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ssidy et al. Developing the computer user self-efficacy (CUSE) scale: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 self-efficacy, gender and experience with computers
Pereira et al. Survey and analysis of current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and technologies
Ennouamani et al. A context-aware mobile learning system for adapting learning content and format of presentation: design, validation and evaluation
Ishaq et al. Usability and design issues of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application
KR102248960B1 (ko) 인공지능 학습 플랫폼을 이용한 비즈니스 방법 및 시스템
Borsci et al. Computer systems experiences of user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an evaluation guide for professionals
KR102197752B1 (ko) 맞춤형 자동 문항 생성을 통한 인공지능 기반 학습 방법 및 시스템
Lao Reorienting machine learning education towards tinkerers and ML-engaged citizens
Elander et al. Paradigms revisited: a quantitative investigation into a model to integrate objectivism and constructivism in instructional design
Griol et al. Incorporating android conversational agents in m‐learning apps
KR102191670B1 (ko) 문제은행 및 지식맵 기반 맞춤형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2232343B1 (ko)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N108763342A (zh) 学习资源分配方法和装置
Lotherington Mobile language learning: The medium is^ not the message
Siddique et al. Developing adaptive e-learning environment using cognitive and noncognitive parameters
Kundu et al. Personalization in education using recommendation system: an overview
Zhu et al. Addressing learner cultural diversity in MOOC design and delivery: Strategies and practices of experts
KR102041562B1 (ko) 영어도서관 온라인 리딩 코칭 시스템 및 학습방법
Levesque et al. Exploring undergraduate attainment of sustainability competencies
KR101887409B1 (ko) 미세 oid 코드가 기록된 인쇄물 및 그에 대응되는 전자문서 파일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축한 객체정보 데이터베이스에 기반한 콘텐츠 마켓 서비스 시스템
Shrestha Exploring mobile learning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pal: the potential of open-source platforms
KR102099945B1 (ko) 학습자의 집중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멘토자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Hassan et al. An Adaptive M-Learning Usability Model for Facilitating M-Learning for Slow Learners.
May et al. What Students Use–Results of a Survey on Media Use Among Engineering Students
KR20150129496A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