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42B1 -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42B1
KR102041542B1 KR1020190075284A KR20190075284A KR102041542B1 KR 102041542 B1 KR102041542 B1 KR 102041542B1 KR 1020190075284 A KR1020190075284 A KR 1020190075284A KR 20190075284 A KR20190075284 A KR 20190075284A KR 102041542 B1 KR102041542 B1 KR 102041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signal
repeater
signal
radio
tr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희
Original Assignee
(주)캐스트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캐스트윈 filed Critical (주)캐스트윈
Priority to KR102019007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57Selecting relay station operation mode, e.g. between amplify and forward mode, decode and forward mode or FDD - and TDD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고,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포함하되, 메인 트랜스 리피터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uxiliary system for digestion and rescue activities}
본 발명은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지하와 고층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되, 방재실의 중계를 통해 각 층간의 직접접인 통신이 가능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소화 및 구조활동 등의 비상시에 소방대 간에 또는 방재센터나 관계자와 교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로서, 지하층의 경우는 지하에 매몰되어 있는 구조물로 인하여 전파의 도달이 원활하지 않아 상호 교신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도입된 소방시설이다. 즉, 소방대가 지하에 진입한 경우 지상과 연락이 되지 않으면 곤란한 상황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용도의 지하층이나 일정면적 이상의 지하층에는 무선통신 보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지상 방재실에서 지하와 통신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현재 개정된 소방법에서는 지상 16층 이상의 건물은 의무적으로 소방용 무전 송수신 설비의 설치를 법제화하였다.
이에 따라 설치된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소방용 무전기로부터의 무선 신호 및 관리용 무전기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2 라인을 사용하게 된다. 이때, 하나의 라인은 송신용으로 사용하고 또 하나의 라인은 수신용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보조설비의 구성에 의하면, 송신용 라인은 소방용 무선 신호 및 관리용 무선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없으며, 무선통신 보조장비를 통해 방재실에서 지상 및 지하로의 통신은 가능하나 구조상으로 지하와 초고층은 통신이 불가능하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하나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신(Single Message Transmission) 통신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무선통신 보조장비는 방재실에서 지상 및 지하로의 통신은 가능하나 구조상으로 지하와 초고층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여, 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지하와 초고층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 보조설비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무선통신 보조설비는 소화 또는 구조 활동 중인 층과 방재실간에 1 : 1 통신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각 층에서 다른 층과의 직접접인 통신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지하와 고층 사이의 통신을 중계함은 물론, 방재실의 중계를 통해 각 층간에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을 제공함으로써, 방재실과의 교신 및 대원간의 긴급 상황 전달이 가능한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4015호(2015.12.15.공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층에 구비된 다수의 메인 트랜스 리피터(MTR: Main Trans Repeater)가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정값에 따라 같은 층에 인접한 MTR의 기능을 오프(off)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무전기 신호의 피드백에 따른 하울링 현상(발진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방재실이 특정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TTR: Terminal Trans Repeater)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타층의 TTR로 송신함으로써, 각 층간에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이 가능하게 하는데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으로서,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고,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포함하되, 메인 트랜스 리피터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은,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고,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포함하되, 무선신호 중계장치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는, 48 Mhz 및 24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업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85 Mhz 및 58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 및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뒤 기 설정된 시간 경과 후 온(on)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신호 중계장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으로 다운 컨버팅하고,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으로 업 컨버팅하는 변환처리부; 및 변환 처리된 무전기 신호를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인 트랜스 리피터 또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무선신호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컴바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층에 구비된 다수의 메인 트랜스 리피터(MTR)가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설정값에 따라 같은 층에 인접한 MTR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무전기 신호의 피드백에 따른 하울링 현상(발진현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재실이 특정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TTR)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타층의 TTR로 송신함으로써, 각 층간에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층간에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이 가능함에 따라 방재실과의 교신 및 대원간의 긴급 상황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의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의 무전기 신호 송신에 대한 작동양태를 도시한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에 의해 무전기 신호 송신이 피드백 되는 작동양태를 도시한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S)은,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 및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그 구체적인 언급을 생략하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S)의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각각 고유 어드레스가 갖으며, 무전기로부터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한다.
또한,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4개의 라인을 구성하되, 2개의 라인은 소방용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하고, 다른 2개의 라인은 관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함에 따라,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 각각은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를 가지며,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 송신시 목적지 어드레스를 함께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어드레스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한 주체가 건물의 어느 층에서 어느 위치에 구비된 장비인지 식별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이하, '무전기 신호'라고 함)를 각각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또한,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는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된다.
그리고,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리턴하고,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리턴 한다.
또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앞서 수신한 무전기 신호와 대응하여 피드백 되는 무전기 신호에 의한 하울링 현상(발진현상)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켜 앞서 수신한 무전기 신호와 대응하여 피드백 되는 무전기 신호에 의한 하울링 현상(발진현상)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는 전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송신하는 무전기 신호를 각각 상향 변환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102, 104)와, 수신하는 무전기 신호를 각각 하향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106, 108)를 포함하여 2개의 송신 채널과 2개의 수신 채널을 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송신부(102, 104)는 48 Mhz 및 24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업 컨버트하고, 제1 및 제2 수신부(106, 108)는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85 Mhz 및 58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다운 컨버트 한다.
또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주파수 컨버팅을 위한 증폭기 및 밴드패스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나 그 세부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처럼, 무전기 신호에 포함된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을 별도로 구성함에 따라, 소방용 무전기와 관리용 무전기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다.
이때,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무전기 신호 중에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파일롯 신호를 4개 채널로 변조하여 로컬 주파수로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뒤 기 설정된 시간 경과후 온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예컨대, 고유 어드레스가 '3'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가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고유 어드레스가가 '2' 및 '4'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의 기능이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이처럼,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인접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의 기능을 오프 시키는 이유는, 고유 어드레스가 '3'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가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를 경유하여 타 층에 구비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무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때, 고유 어드레스가 '2' 및 '4'인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까지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하울링 현상(발진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는 고층 및 지하에 배치되어 소방용 무전기와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를 각각 상향 변환 또는 하향 변환하여 전송하되, 송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각각 상향 변환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202, 204)와, 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각각 하향 변환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206, 208)를 포함하여 2개의 송신 채널과 2개의 수신 채널을 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송신부(202, 204)는 85 Mhz 및 58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업 컨버트하고, 제1 및 제2 수신부(206, 208)는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8 Mhz 및 24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다운 컨버트 하되, 하향 주파수를 20Mhz 내지 85Mhz로 운용하여 선로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마찬가지로,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는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뒤 기 설정된 시간 경과후 온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또 다른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 들에 대한 오프 상태 전환은, 앞서 언급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와 동일한 이유에 따라 전환되는바, 그 구체적인 언급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고,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리턴함에 따라, 지상 또는 지하 어느 한 곳으로의 무전기 신호 송신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302)와,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으로 다운 컨버팅하고,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으로 업 컨버팅하는 변환처리부(304), 및 변환 처리된 무전기 신호를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송신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는 방재실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S)은, 접속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100) 또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무선신호 중계장치(300)로 전송하는 컴바이너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의 무전기 신호 송신에 대한 작동양태를 살피면 아래와 같다.
먼저,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1 무전기로부터 제1 무전기 신호(소방 무선 신호 또는 관리 무선 신호)를 수신한다(S502).
이어서, 제1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설정값에 따라 같은 층에 인접한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다(S504).
뒤이어,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1 무전기 신호를 같은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 송신한다(S506).
이어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제1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다(S508).
뒤이어,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수신한 제1 무전기 신호의 어드레스와 대응하도록 업 또는 다운 컨버팅을 수행한다(S510).
이어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상기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 제1 무전기 신호를 송신한다(S512).
뒤이어,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가 제1 무전기 신호를 상기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송신한다(S514).
그리고, 상기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2 무전기로 제1 무전기 신호를 송신한다(S516).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에 의해 무전기 신호 송신이 피드백 되는 작동양태를 살피면 아래와 같다.
S516단계 이후, 상기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2 무전기로부터 제2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다(S602).
이어서, 제2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설정값에 따라 같은 층에 인접한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다(S604).
뒤이어,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2 무전기 신호를 같은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 송신한다(S606).
이어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부터 제2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다(S608).
뒤이어,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수신한 제2 무전기 신호의 어드레스와 대응하도록 업 또는 다운 컨버팅을 수행한다(S610).
이어서, 무선신호 중계장치(300)가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로 제2 무전기 신호를 송신한다(S612).
뒤이어,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200)가 제2 무전기 신호를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로 송신한다(S614).
그리고, 어드레스와 대응하는 층의 메인 트렌스 리피터(100)가 제1 무전기로 제2 무전기 신호를 송신한다(S616).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재실이 특정 층의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TTR)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타층의 TTR로 송신함에 따라, 각 층간에 직접적인 무전기 신호 교환이 가능하고, 이때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MTR)와 같은 층에 인접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MTR)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무전기 신호의 피드백에 따른 하울링 현상(발진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 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S: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100: 메인 트랜스 리피터
102: 제1 송신부 104: 제2 송신부
106: 제1 수신부 108: 제2 수신부
200: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202: 제1 송신부 204: 제2 송신부
206: 제1 수신부 208: 제2 수신부
300: 무선신호 중계장치
302: 무선신호 수신부 304: 변환처리부
306: 무선신호 송신부

Claims (5)

  1.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수신한 상기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및
    상기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고, 상기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4개의 라인을 구성하며, 2개의 라인은 소방용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하고, 다른 2개의 라인은 관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하며, 상기 무전기 신호 중에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파일롯 신호를 4개 채널로 변조하여 로컬 주파수로서 사용하고,
    상기 메인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는,
    48 Mhz 및 24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업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85 Mhz 및 58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 및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뒤 기 설정된 시간 경과후 온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2. 소방용 무전기 또는 관리용 무전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메인 트랜스 리피터;
    수신한 상기 무전기 신호를 상향 또는 하향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 및
    상기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고, 상기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 무전기 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며,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한 메인 트랜스 리피터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또 다른 메인 트랜스 리피터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신호 중계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4개의 라인을 구성하며, 2개의 라인은 소방용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하고, 다른 2개의 라인은 관리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제공하며, 상기 무전기 신호 중에 소방 무선 신호 및 관리 무선 신호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의 파일롯 신호를 4개 채널로 변조하여 로컬 주파수로서 사용하고,
    상기 메인 트랜스 리피터 및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는,
    48 Mhz 및 24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업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송신부;
    450 Mhz 및 423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를 85 Mhz 및 58 Mhz 주파수의 무전기 신호로 다운 컨버트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 및
    상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여 기 설정된 범위 내에 구비된 메인 트랜스 리피터 들의 기능을 오프 상태로 전환시킨 뒤 기 설정된 시간 경과후 온 상태로의 전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 중계장치는,
    상기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무전기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신호 수신부;
    상기 무전기 신호가 상향 신호인 경우 하향으로 다운 컨버팅하고, 상기 무전기 신호가 하향 신호인 경우 상향으로 업 컨버팅하는 변환처리부; 및
    변환 처리된 무전기 신호를 상기 메인 트렌스 리피터로 리턴하는 무선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트랜스 리피터 또는 터미널 트랜스 리피터로부터 수신한 무전기 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무선신호 중계장치로 전송하는 컴바이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20190075284A 2019-06-24 2019-06-24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2041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84A KR102041542B1 (ko) 2019-06-24 2019-06-24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284A KR102041542B1 (ko) 2019-06-24 2019-06-24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42B1 true KR102041542B1 (ko) 2019-11-06

Family

ID=6854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284A KR102041542B1 (ko) 2019-06-24 2019-06-24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4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4687A (zh) * 2019-12-27 2020-06-02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对讲机中继管理的方法和装置
KR102179519B1 (ko) * 2020-09-11 2020-11-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긴급 상황 하향 신호의 상시 온 출력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소방용 파워 라인 앰프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015A (ko) 2013-07-26 2015-02-06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 o형 팬아시아-2 유전형의 방어항원이 발현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2623B1 (ko) * 2016-05-13 2016-12-05 홍영래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1730967B1 (ko) * 2016-12-27 2017-05-11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4015A (ko) 2013-07-26 2015-02-06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구제역 o형 팬아시아-2 유전형의 방어항원이 발현되는 재조합 바이러스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2623B1 (ko) * 2016-05-13 2016-12-05 홍영래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1730967B1 (ko) * 2016-12-27 2017-05-11 (주)캐스트윈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LS Cable and System, "Safety Convey" 카탈로그, (2016.02.28)*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4687A (zh) * 2019-12-27 2020-06-02 上海商米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对讲机中继管理的方法和装置
KR102179519B1 (ko) * 2020-09-11 2020-11-18 주식회사 엘파코리아 긴급 상황 하향 신호의 상시 온 출력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소방용 파워 라인 앰프
CN114826365A (zh) * 2022-04-29 2022-07-29 中国信息通信研究院 一种开关信令指示方法和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542B1 (ko) 소화 및 구조 활동을 위한 양방향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1730967B1 (ko) 무선통신 보조시스템
US20070099667A1 (en) In-building wireless enhancement system for high-rise with emergency backup mode of operation
KR100860050B1 (ko) 재난·재해 비상통신을 위한 위성중계시스템
EP2876815A2 (en) Reduced aircraft vhf communication antennas using multi-channel vhf radios
KR101682623B1 (ko) 무전기 통신 중계 모듈 및 시스템
KR100789474B1 (ko) 재난 비상통신용 무인 원격조정 위성통신시스템
KR102418691B1 (ko) 주파수 변조 및 잡음제거 기능을 구비한 무선통신보조설비 시스템과, 그를 위한 메인장비 및 리모트 장비
KR102213937B1 (ko)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2309634B1 (ko) 지하 공동구 무선통신 시스템
KR101935258B1 (ko) 소방용 무전통신 보조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전통신 중계시스템
KR102424253B1 (ko) 건축물 내의 무선통신 자동 주파수 제어 시스템
KR101654302B1 (ko) 민방위 경보를 위한 ip기반 다중채널 허브 장치 및 다중채널 위성 경보 장치
KR200318288Y1 (ko) 결합장치 및 그를 이용한 지하공간에서의 무선 통신 시스템
JP6273943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衛星
KR101320418B1 (ko) 백업 모드를 지원하는 헬리콥터용 인터콤 장치
KR102267079B1 (ko) 무선통신 가로채기 기능을 갖는 무선통신 보조 시스템
KR102363767B1 (ko) 중앙 통제실의 메인 장비와 이동체 내의 무전기 간 무선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중계 방법
KR102162357B1 (ko) 1주파단신 및 2주파단신을 사용하는 층간통화와 다중통화가 가능한 무전기중계시스템
KR102671341B1 (ko) 중계기 직렬 연결방식에 의한 다채널 무선통신 신호 중계 시스템
KR20190098820A (ko) 중계 기능을 이용한 소방 활동 지원 시스템
KR102179519B1 (ko) 긴급 상황 하향 신호의 상시 온 출력이 가능한 소방용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소방용 파워 라인 앰프
KR102488758B1 (ko) 소방용 무선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용 무선통신보조설비
KR101732112B1 (ko) 무선통신제어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7332159B2 (ja) 消防指令システム、消防デジタル無線回線制御装置および消防指令送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