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462B1 - 해충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해충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462B1
KR102041462B1 KR1020180015678A KR20180015678A KR102041462B1 KR 102041462 B1 KR102041462 B1 KR 102041462B1 KR 1020180015678 A KR1020180015678 A KR 1020180015678A KR 20180015678 A KR20180015678 A KR 20180015678A KR 102041462 B1 KR102041462 B1 KR 1020414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st
groove
stopper
detection device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118A (ko
Inventor
최병학
고형순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고형순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4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4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2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2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 A01M1/026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with devices or substances, e.g. food, pheronones attracting the insects combined with devices for monitoring insect presence, e.g. termi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충의 존재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와, 상기 홈부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마개 및 상기 홈부에 채워진 상기 해충의 먹이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충 탐지 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pest}
본 발명은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해충의 존재여부를 탐지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충을 탐지하는 기술은 목조 건축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용된다. 특히, 목조 문화재의 경우 피해가 발생하였을 경우 손실되는 문화재적 가치는 되돌리기 어렵다. 또한, 복원이 용이하지 않으며, 상당한 복구 비용이 소요된다. 목재 건축물의 가장 손상을 많이 일으키는 해충으로 대표적으로 흰개미가 있다. 흰개미는 건조한 목재도 가해하지만 대부분 습윤재를 가해한다. 활엽수 보다 침엽수를 선호하며, 심재보다는 변재를 만재보다는 조재를 선호한다. 특히, 소나무를 선호하는 특성 때문에 소나무가 주 재료인 전통 목조 건축물에 손상의 주된 원인이 되는 해충이다.
흰개미는 빛을 싫어해서 지상에 노출된 목재의 경우 내부만 가해한다. 따라서, 목조 건축물의 경우 가해가 진행되어도 육안으로 피해상황을 파악하기 어려우며 상당한 피해가 진행된 상태에서 파악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건축물에서 피해가 발생할 경우 흰개미의 탐지와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흰개미에 의한 손상 등 그 밖의 해충에 의한 목조 건축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해충 탐지 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해충 탐지 장치는, 해충을 유인하는 미끼를 건축물 주변 토양에 설치하고, 미끼가 소모되었는지 직접 확인하는 방법에 의해 해충의 피해를 예방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이러한 경우, 미끼의 손실 여부는 토양 내부에서 꺼내어 확인하는 방법에 의하므로 꺼내어 확인하기 전까지 손실 발견이 늦어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목조 건축물의 손상에 대한 적절한 대처가 늦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고,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해충 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해충 탐지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홈부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마개; 및 상기 홈부에 채워진 상기 해충의 먹이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홈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마개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측정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에 의해 상기 먹이가 소모되어 상기 자석이 상기 홈부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상기 자력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자석의 자기장 변화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개 마개는, 내측에 상기 해충이 섭생할 수 있는 내부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먹이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톱밥, 나무 조각 및 유인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장치에서, 상기 본체부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해충 탐지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해충 탐지 방법은, 해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의 상기 홈부에 상기 해충의 먹이를 채우고, 상기 개구에 마개를 설치한 후 지면에 삽입시켜 소정 시간 유지시키는 제 1 단계; 센서부가 상기 먹이 양의 변화에 의해 유도된 자석으로부터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고 이를 센싱 신호로서 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전송된 상기 센싱 신호로부터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방법의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해충에 의해 상기 먹이가 소모되어 상기 먹이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상기 자석이 상기 홈부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상기 마개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측정 장치로부터 자기장 변화가 감지될 수 있다.
상기 해충 탐지 방법의 상기 센싱 신호는, 상기 제어부로 무선통신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에 따르면, 현장에서 해충 탐지 장치를 일일이 꺼내어 확인하는 절차 없이 해충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목재 건축물의 가해 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자력센서의 활용으로 육안 보다 해충의 가해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간편성을 향상시키고,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해충 탐지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의 마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의 해충의 가해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100)의 마개(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도 1의 해충 탐지 장치(100)의 해충의 가해 전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는, 크게, 본체부(10)와 마개(20) 및 센서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11)가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10)는, 해충인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는, 상기 흰개미에 의하여 침탈 가능하며, 상기 흰개미를 유인할 수 있는, 소나무류, 미송, 낙엽송, 미국 솔송나무, 가문비 나무, 버드나무 등과 같은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재로 이루어진 본체부(10)는 지면 및 토양 내 수분을 흡수하여 상기 흰개미의 섭생에 유리한 고습의 환경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일단부에 경사면(12)이 형성되는 끝이 뾰족한 말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본체부(10)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원뿔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홈부(11)는, 본체부(10) 일면으로부터 본체부(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본체부(10)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홈부(11)는, 본체부(10)의 내부로 상기 해충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홈부(10)는, 본체부(20) 내부에 일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원기둥형, 사각기둥형, 삼각기둥형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는, 홈부(11)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홈부(11)의 개구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마개(20)는, 홈부(11)의 상기 개구가 형성된 본체부(10)의 상부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개(20)는, 흑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내측에 상기 해충이 섭생할 수 있는 내부 문양(40)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마개(20)는, 흑색의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에는 도 2와 같은 내부 문양(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개(20)는, 본체부(1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10)가 원형기둥, 삼각기둥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마개(20)는, 본체부(10)와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원형, 삼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개(20)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부 문양(4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내부 문양(40)은, 마개(20)의 내측에 일정한 방향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로와 같이 불규칙한 방향 등으로 자유롭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내부 문양(40)은, 마개(20)의 내측의 표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또한, 내부 문양(40)은, 마개(20)의 내측에 결로가 발생하여 유지되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마개(20)의 내측에 형성된 내부 문양(40)은 마개(20)의 내측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결로의 발생량을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해충이 섭생할 수 있는 고습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개(20)는, 본체부(10)의 상부측 단부를 덮어 홈부(11)를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홈부(11)의 내부로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홈부(11)를 외부와 격리시킴으로써, 태양광 복사열에 의한 상기 해충의 섭생에 유리한 온도 및 습도 조건을 구현할 수 있다.
더불어, 마개(20)는, 홈부(11)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함으로써, 우천이나 먼지 기타 여러 주변 요인 등에 의해 홈부(11) 내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마개(20)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해충 탐지 장치는, 마개(20)를 본체부(10)에서 분리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해충의 서식 및 가해 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는, 홈부(11)에 상기 해충의 먹이(C)가 채워지고, 홈부(11)에 채워진 상기 해충의 먹이(C)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먹이(C)는, 상기 해충인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톱밥, 나무 조각 및 유인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부(10) 내에 형성된 홈부(11)의 내부에 상기 해충을 유인하는 미끼로 상기 셀룰로오스, 소나무와 같은 침엽수로 이루어지는 톱밥 이나 썩은 나무 조각, 및 상기 흰개미을 유인할 수 있는 약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먹이(C)를 채울 수 있다. 또한, 반드시 이에 국한되지 않고, 휴지나, A4용지와 같은 종이나, 산란목 등 상기 흰개미가 선호하여 상기 흰개미를 유인할 수 있는 모든 소재가 먹이(C)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먹이(C)는 마개(20)의 내측에 부착되어, 마개(20)와 본체부(10)가 결합할 경우 홈부(11)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먹이(C)는, 마개(20)에 부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홈부(11)에 삽입될 수도 있다. 또한, 먹이(C)는, 종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상부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먹이(C)는, 방제약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먹이(C)는 홈부(11)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홈부(11)가 원기둥형, 삼각기둥형 등의 형상을 가질 때, 먹이(C)는, 홈부(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원기둥형, 삼각기둥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홈부(11)의 형상에 상관없이, 홈부(11)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형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구체적으로, 센서부(30)는, 홈부(11)에 채워진 먹이(C)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되는 자석(31) 및 마개(20)에 설치되어 자석(31)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 측정 장치(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와 떨어진 외부에 센서부(30)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충에 의해 먹이(C)가 소모되어 자석(31)이 홈부(11)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자력측정 장치(32)로부터 자기장 변화 신호 또는 탈 자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홈부(11)에 먹이(C)가 채워지고 상부에 마개(20)가 장착된 본체부(10)를 지면(G)에 삽입시켜 소정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마개(20)만 노출되도록 본체부(10)를 지면(G)에 삽입시키고, 먹이(C)의 내부 또는 상부에 자석(31)이 설치되어, 마개(20)에 설치된 자력측정 장치(32)가 자석(31)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마개(20)와 본체부(10) 모두 지면(G) 내에 매설시켜, 마개(20)가 지면(G) 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지면(G)에 삽입된 본체부(10)는, 지면(G) 내의 수분을 흡수하여 해충의 섭생에 유리한 고습의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이어서,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 목재로 형성된 본체부(10) 및 홈부(11)에 채워진 먹이(C)로 인하여 상기 해충이 유인되고, 홈부(11)에 채워진 먹이(C)를 상기 해충이 먹게 될 수 있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먹이(C)가 소모되면서 먹이(C)의 내부 또는 상부에 설치된 자석(31)이 홈부(11)의 하부로 하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석(31)이 홈부(11)의 하부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게 되면, 자력측정 장치(32)가 자석(31)의 자기장 변화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 상기 센싱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30)에서 발생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본체부(10)의 외부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탈 자성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센서부(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가 설치되어, 별도의 전원연결 없이 해충 탐지 장치(100)를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개(20)를 본체부(10)와 분리시켜 육안으로 마개(20)의 내측이나 홈부(11)를 관찰하지 않아도, 자석(31) 및 자력측정 장치(32)를 이용한 센서부(30)에 의해서 상기 해충의 가해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마개(20)와 본체부(10) 모두 지면(G) 내에 매설시킨 경우, 마개(20)가 지면(G) 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마개(20)가 지면(G) 상에 노출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태양광에 의한 열화 또는 관리과정 중에 마개(20)가 유실되는 등의 문제점을 예방하고, 마개(20)가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문화재 등 주변의 환경과 어울리지 못하여 외관 상 보기 좋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더불어, 마개(20)와 본체부(10) 모두 지면(G) 내에 매설됨으로써, 온도의 항온성 및 습도 유지를 더욱 용이하게 하여 해충의 섭생에 유리한 고온 고습의 환경을 더욱 효과적으로 생성하고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충 탐지 장치(100)에 따르면, 현장에서 해충 탐지 장치(100)를 일일이 꺼내어 확인하는 절차 없이 상기 해충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목재 건축물의 가해 여부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자력센서의 활용으로 육안 보다 해충의 가해여부를 초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정밀 측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 간편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해충의 피해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피해 정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본체부
20: 마개
30: 센서부
40: 내부 문양
C: 먹이
G: 지면
100: 해충 탐지 장치

Claims (12)

  1.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각재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충이 출입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개구가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홈부를 외부와 격리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되는 마개;
    상기 홈부에 채워진 상기 해충의 먹이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센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센싱 신호를 외부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에 무선으로 송출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고,
    상시 센서부는,
    상기 홈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홈부에 채워진 상기 먹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충에 의한 상기 먹이의 소모에 따라 상기 홈부의 하부로 하강하는 자석; 및
    상기 마개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자력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충에 의해 상기 먹이가 소모되어 상기 자석이 상기 홈부의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상 하강하면, 상기 자력측정 장치로부터 상기 자석의 자기장 변화 신호 또는 탈 자성 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해충의 서식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먹이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는 셀룰로오스(Cellulose) 및 톱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태양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상기 센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해충 탐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내측에 상기 해충이 섭생할 수 있는 내부 문양이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흰개미를 용이하게 유인할 수 있도록 목재로 형성되는, 해충 탐지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15678A 2018-02-08 2018-02-08 해충 탐지 장치 KR102041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78A KR102041462B1 (ko) 2018-02-08 2018-02-08 해충 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678A KR102041462B1 (ko) 2018-02-08 2018-02-08 해충 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18A KR20190096118A (ko) 2019-08-19
KR102041462B1 true KR102041462B1 (ko) 2019-11-07

Family

ID=6780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678A KR102041462B1 (ko) 2018-02-08 2018-02-08 해충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4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069A (ko) 2020-12-08 2022-06-15 최승혁 해충 모니터링 및 퇴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28B1 (ko) 2013-03-11 2014-04-24 고형순 해충 탐지 장치 및 시스템, 해충에 의한 손상 탐지 방법
KR101528453B1 (ko) 2015-03-24 2015-06-11 주식회사 토홍 목조 건축물의 흰개미 검출 및 퇴치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63421B (ko) * 1993-07-07 1995-11-21 Sharp Kk
KR20100054331A (ko) * 2008-11-14 2010-05-25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아이티 페로몬트랩 및 이를 이용한 무인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02165U (ko) * 2014-12-15 2016-06-23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충 탐지 장치 및 해충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8928B1 (ko) 2013-03-11 2014-04-24 고형순 해충 탐지 장치 및 시스템, 해충에 의한 손상 탐지 방법
KR101528453B1 (ko) 2015-03-24 2015-06-11 주식회사 토홍 목조 건축물의 흰개미 검출 및 퇴치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1069A (ko) 2020-12-08 2022-06-15 최승혁 해충 모니터링 및 퇴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118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71967A (en) Termite detecting device and a method of detecting termites
US8258966B2 (en) Pest detector
US6166641A (en) Termite sensor and termite intrusion detecting system
US7475511B2 (en) Termite presence monitor and method
KR102041462B1 (ko) 해충 탐지 장치
US6374536B1 (en) Subterranean termite monitor and method
US6266918B1 (en) Pop-up termite indicator
KR101388928B1 (ko) 해충 탐지 장치 및 시스템, 해충에 의한 손상 탐지 방법
US65266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ground subterranean termite detection
CN109788747A (zh) 害虫控制系统及方法
KR20160002165U (ko) 해충 탐지 장치 및 해충 탐지 방법
US6834611B2 (en) Pest infestation monitoring device with pop-up indicator
KR102548828B1 (ko) 해충 탐지 장치
JPH09121742A (ja) 白あり検出装置
CN208488125U (zh) 一种铠装式粮堆温湿度检测电缆
JP3012443B2 (ja) 白蟻食害検出センサー
CN106772660B (zh) 基于光电原理的白蚁量化检测系统
JP2006034207A (ja) シロアリの探知器
JP2018027073A (ja) 土中センサおよび土中センサシステム
CN108522459A (zh) 电阻式蚁情传感器
CN207820905U (zh) 一种诱集红火蚁感染虫生真菌的装置
US20180368382A1 (en) Construction Materials and Methods For Insect Monitoring
KR101583380B1 (ko) 측량경계지주에 센서삽입장치
US7797879B1 (en) Termite alert that uses gravity to cause a color changing chain reaction
JPH02678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