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084B1 -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084B1
KR102041084B1 KR1020130055861A KR20130055861A KR102041084B1 KR 102041084 B1 KR102041084 B1 KR 102041084B1 KR 1020130055861 A KR1020130055861 A KR 1020130055861A KR 20130055861 A KR20130055861 A KR 20130055861A KR 102041084 B1 KR102041084 B1 KR 10204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ight source
light
reflector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5502A (ko
Inventor
이선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084B1/ko
Publication of KR2014013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5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75Lens surfaces, e.g. coatings or surface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과 상기 베젤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앞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차량의 내측 ?향으로 굴절시키는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광원을 제1 초점으로 하고, 상기 요철부 상에 제2 초점을 형성시키는 타원형 반사면이 상기 베젤과 상기 리플렉터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여. 차량용 램프의 법규를 만족을 위한 광학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Vehicle Lamp and Vehic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측 방향으로 빛을 굴절시키는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램프에 관한 법규로서, 차축을 기준으로 차량 내측으로 45도에서 시작하여 차량 외측으로 80도의 범위 내에서 램프의 빛이 전달되어야 하는 규정이 있다. 이러한 법규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해당 램프의 개방 영역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차량 또는 램프의 디자인 및 구조에 따라, 이러한 법규를 충족시키기 위한 램프의 개방 영역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에, 통상적으로, 빛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렌즈의 설계를 통해 법규를 충족시키는 방안을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로서,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A-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는 베젤(10)과 베젤(10)에 설치되는 광원(20)과 광원(20)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20) 앞에는 렌즈(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렌즈(40)의 입사면 또는 출사면의 측면에는 “옵틱”이라는 칭하는 요철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요철부(41)는 광원(20)에서 입사되거나 리플렉터(30)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L)을 차량의 내측 ?향으로 굴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요철부(41)를 통과하는 빛은 다른 경로의 빛보다 차량의 내측으로 꺽여 진행되기 때문에, 앞서 설명한 법규를 만족하는 범위로 빛이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요철부(41)를 통과하지 못하는 많은 빛들을 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베젤(10)과 리플렉터(30)가 접하는 경계 영역에서는 광원(20)에서 조사되거나 리플렉터(30)에서 반사되는 많은 빛들이 요철부(41)를 향하지 못하고 소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법규를 만족하는 빛의 조사 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렌즈에 형성된 요철부를 향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젤과 상기 베젤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앞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차량의 내측 ?향으로 굴절시키는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광원을 제1 초점으로 하고, 상기 요철부 상에 제2 초점을 형성시키는 타원형 반사면이 상기 베젤과 상기 리플렉터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요철부는 차량의 내측 방향 쪽으로 상기 렌즈의 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타원형 반사면은 차량의 외측 방향 쪽으로 상기 리플렉터의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은, 광원을 제1 초점으로 하고, 법규를 만족하는 빛의 조사 범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렌즈에 형성되는 요철부 상에 제2 초점을 형성시키는 타원형 반사면을 베젤과 리플렉터의 경계 영역에 형성시킴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법규를 만족시키기 위한 광학 성능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로서,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차량용 램프에 의해 요철부로 향하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타원형 반사면이 없는 경우,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타원형 반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3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먼저, 차량용 램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베젤(10)과 베젤(10)에 설치되는 광원(20)과 광원(20)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원(20) 앞에는 렌즈(4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렌즈(40)에는 요철부(4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타원형 반사면(100)을 포함한다. 타원 반사면(100)은 베젤(10)과 리플렉터(30)가 인접하는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원형 반사면(100)이란, 2개의 초점을 기준으로 형성되는 거리의 합이 동일한 곡면을 의미한다. 타원형 반사면(100)은 2개의 초점 중 하나인 제1 초점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광원(20)이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2개의 초점 중 다른 하나인 제2 초점이 요철부(41) 상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광원(20)에서 조사되어 타원형 반사면(100)에서 반사된 빛은 요철부(41)를 지나게 된다.
한편, 요철부(41)는 차량의 내측 방향으로 렌즈(40)의 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타원형 반사면(100)은 차량의 외측 방향으로 리플렉터(30)의 측 단부인 베젤(10)과 리플렉터(30)의 경계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타원형 반사면(100)은 차량용 램프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요철부(41)의 형상, 리플렉터(30) 및 베젤(10)의 형태, 차량용 램프의 용도, 법규에 의한 빛의 조사 범위 등에 대응하여 타원형 반사면(100)의 외형은 적절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차량용 램프에 의해 요철부로 향하는 빛의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원(20)에서 베젤(10)과 리플렉터(30)의 경계 영역을 향하여 조사되는 빛(L)은 타원형 반사면(100)에 반사되어 요철부(41)를 향하게 된다. 요철부(41)를 통과한 빛은 차량의 내측으로 더욱 굴절되어 진행된다.
광원(20)에서 베젤(10)과 리플렉터(30)의 경계 영역을 향하여 조사되는 빛(L)은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법규를 만족시키는 빛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소실되었을 빛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타원형 반사면이 없는 경우,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원형 반사면(100)이 없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베젤(10)과 리플렉터(30)의 경계 영역을 향하는 빛(L) 들은 법규에서 요구하고 있는 빛의 조사범위(차축을 기준으로 차량 내측으로 45도에서 차량 외측으로 80도의 범위) 밖으로 대부분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요철부(41)에 의한 빛의 조사범위 전환이 크게 효과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한 타원형 반사면에 의해 형성되는 빛의 조사 범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반면에,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형 반사면(100)이 형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하면, 베젤(10)과 리플렉터(30)의 경계 영역을 향하는 빛(L)들이 타원형 반사면(100)에 반사되어 요철부(도 3의 41) 쪽으로 집중됨으로써, 법규에서 요구하고 있는 빛의 조사범위(차축을 기준으로 차량 내측으로 45도에서 차량 외측으로 80도의 범위)에서 충분한 빛의 양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베젤
20 : 광원
30 : 리플렉터
40 : 렌즈
41 : 요철부
100 : 타원형 반사면

Claims (3)

  1. 베젤과 상기 베젤에 설치되는 광원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앞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에서 입사되거나 상기 리플렉터에서 반사되어 입사되는 빛을 차량의 내측 ?향으로 굴절시키는 요철부가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로서,
    상기 광원을 제1 초점으로 하고, 상기 요철부 상에 제2 초점을 형성시키는 타원형 반사면이 상기 베젤과 상기 리플렉터의 경계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차량의 내측 방향 쪽으로 상기 렌즈의 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타원형 반사면은 차량의 외측 방향 쪽으로 상기 리플렉터의 측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 항의 차량용 램프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130055861A 2013-05-16 2013-05-16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204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61A KR102041084B1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5861A KR102041084B1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502A KR20140135502A (ko) 2014-11-26
KR102041084B1 true KR102041084B1 (ko) 2019-11-06

Family

ID=52456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5861A KR102041084B1 (ko) 2013-05-16 2013-05-16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0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395B1 (ko) * 1996-06-13 1999-12-15 고지마 류조 차량용 보조 전조등
JP2001291407A (ja) * 2000-04-07 2001-10-19 Stanley Electric Co Ltd 自動車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026B1 (ko) * 2010-11-10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5395B1 (ko) * 1996-06-13 1999-12-15 고지마 류조 차량용 보조 전조등
JP2001291407A (ja) * 2000-04-07 2001-10-19 Stanley Electric Co Ltd 自動車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5502A (ko) 2014-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0089B2 (en) Vehicle lighting unit
JP2019096614A (ja) 車両用灯具
JP6556530B2 (ja) 車両用灯具
KR20170129445A (ko) 로우빔 구현용 렌즈 조립체
CN106895335B (zh) 由透明材料制成的发光模块
KR102384541B1 (ko) 차량용 램프
US9623796B2 (en) Vehicle lamp
KR102118137B1 (ko) 차량용 램프
JP6205793B2 (ja) 車両用灯具
KR20150048353A (ko) 차량용 조명장치
KR102421071B1 (ko) 차량용 램프
KR102041084B1 (ko)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TWI510816B (zh) 光學透鏡及應用其之發光裝置
KR102041082B1 (ko) 헤드램프
KR101295827B1 (ko) 차량용 램프
KR20100095811A (ko) 헤드램프용 렌즈
US20150098236A1 (en) Optical structure for headlight
KR101369472B1 (ko) 시인성을 높이는 차량용 램프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JP6616814B2 (ja) 自動車の車体用ランプ
US20140218937A1 (en) Projection lens and optical surface determination method
WO2018126564A1 (zh) 用于车灯的透镜、汽车前照灯及汽车
KR20140039854A (ko) 원거리 광효율을 증가시키는 차량용 램프
JP7394315B2 (ja) 照明装置
KR102118140B1 (ko) 차량용 램프
KR102243936B1 (ko) 차량용 램프의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