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581B1 -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581B1
KR102039581B1 KR1020170163657A KR20170163657A KR102039581B1 KR 102039581 B1 KR102039581 B1 KR 102039581B1 KR 1020170163657 A KR1020170163657 A KR 1020170163657A KR 20170163657 A KR20170163657 A KR 20170163657A KR 102039581 B1 KR102039581 B1 KR 102039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onductor
space
storage tank
hydrogen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4246A (ko
Inventor
김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01M3/1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18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4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electric means, e.g. by observing electric discharges

Abstract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이며 진공 상태에 놓이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손상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인 스위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신호발생부로 전기를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면을 제공하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1 중공부가 형성된 부도체;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상기 부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2 중공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체; 및 상기 제 2 중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에 적층되고, 상기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타면을 제공하며, 플렉서블한 멤브레인 형태의 커버 전도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amage of liquid hydrogen storage tank}
본 발명은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약 -163℃의 초저온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 LNG)를 저장 또는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 액화천연가스를 밀폐하기 위해 2개의 방벽(1차 방벽 및 2차 방벽)을 구비한다.
그리고,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는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사이와 2차 방벽 및 내부 선체 사이에 낮은 열전도율(Thermal Condu6ctivity)을 갖는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재질의 단열 부재에 플라이우드(Plywood)와 같이 압축강도가 큰 단열 부재 보호판이 결합된 단열 보드를 이용하여 단열층을 형성한다.
종래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인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에는 질소가 채워진다.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서의 질소의 압력이 떨어지면 1차 방벽이 손상되었다고 판단하고 후속 조치를 취하였다.
한편, 최근 산업계에서 수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수소를 액화하여 운반하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수소는 끓는점이 약 -252.7℃로 천연가스에 비해 훨씬 낮다. 따라서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인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에 질소를 채우면 질소가 액화되어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 여부를 감지하기 어려워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 감지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을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이며 진공 상태에 놓이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손상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인 스위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신호발생부로 전기를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면을 제공하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1 중공부가 형성된 부도체; 및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나머지와 연결되고, 상기 부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2 중공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체; 상기 제 2 중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에 적층되고, 상기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타면을 제공하며, 플렉서블한 멤브레인 형태의 커버 전도체를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도체는, 그래핀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도체는 중앙에 상기 제 1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전도체는 중앙에 상기 제 2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압전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단열재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단열재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액화수소를 저장하고 1차 방벽과 2차 방벽을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을 감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방벽과 상기 2차 방벽 사이 공간인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단계; 및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인 스위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전원부에서 신호발생부로 전기를 인가하는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약 -252.7℃로 액화천연가스에 비해 훨씬 극저온인인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보다 상세히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1 및 도 2에서 +X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전방 또는 액화수소 저장탱크가 형성된 선체의 전방을 의미하고, +Y는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좌측방향 또는 액화수소 저장탱크가 형성된 선체의 전방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장치(미도시)가 적용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내부에 액화수소를 저장한다.
예컨대,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선체(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액화수소 저장탱크(100)는 1차 방벽(110)과, 2차 방벽(120), 1차 방벽(110)과 2차 방벽(120) 사이에 개재되는 1차 단열층(130), 2차 방벽(120)과 선체(10)의 내벽(11) 사이에 개재되는 2차 단열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1차 방벽(110)은 액화수소와 직접 접하는 구성으로서 선체(10)를 구성하는 내벽(101)에서 액화수소 쪽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1차 방벽(110)은 복수의 멤브레인(부호 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들은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고망간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멤브레인들은 경계면이 용접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1차 방벽(110)에는 주름(111)이 형성될 수 있다. 주름(111)은 도 2와 같이 횡으로 형성된 횡주름과 도시되지 않았으나 횡주름에 직교하는 종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2차 방벽(120)은 1차 방벽(110)과 선체(10)의 내벽(10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2차 방벽(120)은 복수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멤브레인들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황동, 아연, 고망간강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1차 단열층(130)은 1차 방벽(110)과 2차 방벽(120) 사이의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에 개재된다.
1차 단열층(130)은 복수의 1차 단위단열블록(131) 및 1차 단열충전물(13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1차 단위단열블록(131)은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1차 단위단열블록(131)은 폴리우레탄폼, 마이크로셀룰로이드폼(Micro-celluloid Foam), 나노셀룰로이드폼(Nano-celluloid Foam), 샌드위치 폼(Sandwich Foam)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이웃하는 1차 단위단열블록(131) 사이에는 1차 단열충전물(133)로 채워질 수 있다. 1차 단열충전물(133)은 유연한 단열폼, 글래스 울(Glass wool), 퍼티(Putty) 등 1차 단위단열블록(131)들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방벽(110)과 1차 단열층(130) 사이에 충격흡수층(135)이 개재될 수 있다. 충격흡수층(135)은 1차 방벽(110)의 강성보다 낮은 강성을 보유하는 다양한 소재, 예를 들어 섬유강화 복합재료 시트 또는 매트(Mat), 고분자수지, 고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충격흡수층(135)은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나 핫프레싱(Hot pressing)에 의하여 1차 방벽(110)의 이면에 접합될 수 있다.
충격흡수층(135)과 1차 단열층(130) 사이에 강성의 보강을 위해 플라이우드(Fly Wood; 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2차 단열층(140)은 2차 방벽(120)과 선체(10)의 내벽(10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2차 단열층(140)은 복수의 2차 단위단열블록(141) 및 2차 단열충전물(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2차 단위단열블록(141)은 상호 이격되어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2차 단위단열블록(141)은 폴리우레탄폼, 샌드위치폼, 마이크로셀룰로이드폼, 나노셀룰로이드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2차 단위단열블록(141) 사이에는 2차 단열충전물(143)로 채워질 수 있다. 2차 단열충전물(143)은 유연한 단열폼, 글래스 울(Glass wool), 퍼티(Putty) 등 2차 단위단열블록(141)들의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1차 단위단열블록(131)과 2차 단위단열블록(141)은 각각 저장된 액화수소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어긋나도록 배열될 수 있다.
2차 단열층(140)은 매스틱(150)(Mastic) 또는 수지로프(Resin rope) 등에 의하여 선체(10)의 내벽(101)에 고정될 수 있다. 매스틱(150)은 에폭시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강성의 보강을 위해 플라이우드(도시하지 않음)가 2차 단열층(140)의 이면에 설치되는 경우 플라이우드 또한 선체(10)의 내벽(10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1차 방벽(110)과 2차 방벽(120) 사이 공간인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는 진공 상태로 유지된다. 예컨대 진공이란 물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공간을 의미하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만들기가 어렵기 때문에 1/1000㎜Hg 정도 이하의 저압을 가리킨다(출처 : 두산백과). 다만, 진공의 기준이 되는 최대 압력 1/1000㎜Hg은 예시에 불과하다.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가 사용 중 예컨대 1차 방벽(110) 또는 2차 방벽(120)이 손상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의 진공 상태가 깨진다. 특히, 1차 방벽(110)이 손상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의 진공 상태가 깨질 뿐만 아니라 액화수소의 일부가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로 누출되어 안정상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의 진공 상태를 감지하고,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의 진공 상태가 깨진 것이 감지되면 이를 달리 표현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BS)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것이 감지되면 액화수소 저장탱크, 특히 1차 방벽(110) 또는 2차 방벽(120)이 손상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장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미도시)의 손상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200)는 전원부(210)와 신호발생부(230)와 스위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210)는 후술하는 신호발생부(230)에 전기를 공급한다.
전원부(210)는 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한다. 예컨대 액화수소 저장탱크가 형성된 선체가 운항 중일 때 선체의 동요로 인해 압전 소자도 함께 동요할 수 있다. 선체에 탑재된 각종 장비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선체가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압전 소자도 함께 진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압전 소자가 동요하거나 진동하는 과정에서 압전 소자는 전기를 생산한다.
이와 같이 압전 소자를 사용하는 경우 반영구적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전원부(210)는 배터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전 소자에서 발생된 전기는 배터리에 저장될 수 있다.
신호발생부(230)는 전원부(210)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손상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일례로, 신호발생부(230)는 전파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상 감지 신호는 전파형태로 생성되어 외부에 있는 전파수신기에서 수신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신호발생부(230)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손상 감지 신호는 음파형태로 생성되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신호발생부(230)가 제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스위치(250)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전원부(210)에서 신호발생부(230)로 전기를 인가한다.
스위치(250)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인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이 형성된다.
이러한 스위치(250)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과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내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전원부(210)에서 신호발생부(230)로 전기가 인가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스위치(250)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과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지 않아 그 일부가 변형되면서 전원부(210)에서 신호발생부(230)로 전기를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 손상 감지 장치(200)를 구성하는 전원부(210), 신호발생부(230), 스위치(250)는 모두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손상 감지 장치(200)는 이너 베리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1차 단열층(도 2의 130)을 구성하는 단열재 내부에 배치되거나 1차 단열층(도 2의 130)을 구성하는 단열재 외부의 별도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스위치(250)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전원부(210) 및 신호발생부(230) 중 적어도 하나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 외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외부에 배치된 구성과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 내부에 배치된 구성간 전기적 연결을 위해 2차 방벽(미도시)의 일부에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관통홀은 밀봉 처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위치(250)는 제 1 전도체(251)와, 부도체(253)와, 제 2 전도체(255)와, 커버 전도체(257)를 포함한다.
제 1 전도체(251)는 전원부(210)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된다. 제 1 전도체(251)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전도체(251)는 예컨대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바닥면을 제공할 수 있다.
부도체(253)는 제 1 전도체(251)의 일면에 적층된다. 부도체(253)는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일부인 제 1 중공부(25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부도체(253)는 링 형상을 가진다. 부도체(253)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전도체(255)는 전원부(210)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제 1 전도체(251)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와 연결된다. 제 2 전도체(255)는 제 2 중공부(255a)가 형성된다. 이러한 부도체(253)는 링 형상을 가진다. 제 2 전도체(255)는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 전도체(257)는 제 2 중공부(255a)를 커버하도록 제 2 전도체(255)에 적층된다. 커버 전도체(257)는 예컨대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천장면을 제공한다.
커버 전도체(257)는 플렉서블한 멤브레인 형태를 가진다.
예컨대, 커버 전도체(257)는 그래핀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래핀은 신축성 및 전기 전도성이 우수하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스위치(25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과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내부 압력이 평형을 이룬다. 이때, 커버 전도체(257)는 원래 형태를 유지한다.
이 경우, 스위치(250)는 전원부(210)의 전기를 신호발생부(230)로 인가하지 않는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1차 방벽(미도시) 또는 2차 방벽(미도시)이 손상되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미도시)의 진공 상태가 깨지면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이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의 내부 압력에 비해 현저히 커진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커버 전도체(257)에는 외부에서 스위치 내부 공간(250a)을 향하는 힘(P)이 작용한다. 즉, 압력차에 의해 발생한 힘(P)은 커버 전도체(257)를 스위치 내부 공간(250a)으로 누른다.
이후, 도 8을 참조하면, 커버 전도체(257)는 스위치 내부 공간(250a) 안으로 들어가 제 1 전도체(251)와 접하도록 변형된다.
이 경우, 스위치(250)는 전원부(210)의 전기를 신호발생부(230)로 인가한다. 신호발생부(230)로 전기가 인가되면 신호발생부(230)는 손상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손상 감지 신호는 외부에서 인식된다.
이러한 손상 감지 장치(200)는 약 -252.7℃로 액화천연가스에 비해 훨씬 극저온인인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보다 상세히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상 감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인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를 진공 상태로 만든다(S110).
이후,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가 진공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30). 이때, 앞서 설명한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도 3의 200)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으로 갈음한다.
이러한 손상 감지 방법은 약 -252.7℃로 액화천연가스에 비해 훨씬 극저온인인 액화수소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보다 상세히 1차 방벽 및 2차 방벽 중 적어도 하나의 손상을 쉽게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신속하고 효과적인 조치가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 선체
100 : 액화가스 저장탱크
110 : 1차 방벽
111 : 주름
120 : 2차 방벽
130 : 1차 단열층
131 : 1차 단위단열블록
133 : 1차 단열충전물
135 : 충격흡수층
140 : 2차 단열층
141 : 2차 단위단열블록
143 : 2차 단열충전물
200 : 손상 감지 장치
210 : 전원부
230 : 신호발생부
250 : 스위치
250a : 스위치 내부 공간
251 : 제 1 전도체
253 : 부도체
255 : 제 2 전도체
257 : 커버 전도체

Claims (7)

  1.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1차 방벽과 2차 방벽 사이 공간이며 진공 상태에 놓이는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Inner Barrier Space)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액화수소 저장탱크의 손상을 감지하는 장치로서,
    전원부;
    상기 전원부에서 전기를 공급받아 손상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고, 그 내부에 진공 상태인 스위치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전원부에서 상기 신호발생부로 전기를 인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하나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면을 제공하는 제 1 전도체;
    상기 제 1 전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1 중공부가 형성된 부도체;
    상기 전원부의 플러스 단자 및 마이너스 단자 중 상기 제 1 전도체와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와 연결되고, 상기 부도체의 일면에 적층되고,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일부인 제 2 중공부가 형성된 제 2 전도체; 및
    상기 제 2 중공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제 2 전도체에 적층되고, 상기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타면을 제공하며, 플렉서블한 멤브레인 형태의 커버 전도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유지되면,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과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이 평형을 이루어, 상기 커버 전도체는 원래 형태를 유지하고,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진공 상태가 깨지면,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의 내부 압력이 상기 스위치 내부 공간의 내부 압력보다 커져, 상기 커버 전도체는 상기 제 1 전도체와 접하도록 변형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전도체는,
    그래핀으로 제작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도체는 중앙에 상기 제 1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 2 전도체는 중앙에 상기 제 2 중공부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가지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압전소자를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이너 베리어 스페이스에 배치되는 단열재 내부에 배치되거나 상기 단열재 외부에 배치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를 이용하는,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방법.
KR1020170163657A 2017-11-30 2017-11-30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203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57A KR102039581B1 (ko) 2017-11-30 2017-11-30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657A KR102039581B1 (ko) 2017-11-30 2017-11-30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46A KR20190064246A (ko) 2019-06-10
KR102039581B1 true KR102039581B1 (ko) 2019-11-01

Family

ID=6684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657A KR102039581B1 (ko) 2017-11-30 2017-11-30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581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4078B2 (ja) * 1996-03-29 2001-07-30 日本鋼管株式会社 自発電源による振動検出装置
KR20090132225A (ko) * 2008-06-20 2009-12-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구비한 lng 선박
KR20160116919A (ko) * 2015-03-31 2016-10-10 주식회사 피티에스 화학물질 누출감지를 위한 배관 플랜지용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246A (ko) 201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39024C (en) Battery packaging construction
CN206657824U (zh) 电池模组
CN104106255A (zh) 防水盒
JP2003303579A (ja) 扁平型二次電池を内包したモジュール
EP3264509B1 (en) Thermal enclosure
JP6627084B2 (ja) 断熱容器および断熱構造体
JP2008138869A (ja) 接着剤の波形のビードを使用した接着による、液化ガス輸送タンクに対する断熱ブロックの固定
KR102039581B1 (ko) 액화수소 저장탱크 손상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180002359A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단열 구조
KR20120136319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펌프타워 베이스서포트 구조체
KR102039577B1 (ko) 액화수소 저장탱크 누출 감지 장치
JP2012102894A (ja) 断熱箱体、断熱壁
US2877362A (en) Transducer sealing
US20120213036A1 (en) Electroacoustic Transducer, in Particular Transmitting Transducer
KR20230096882A (ko) 진공 단열 부재
TWI746143B (zh) X射線產生裝置及x射線拍攝裝置
KR101985211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KR20130113727A (ko) Lng저장탱크 2차방벽 코너 압착용 가압보드
GB2458663A (en) Radome for a radar pressurised horn antenna
KR20110006020A (ko) 가압보드 및 이를 구비하는 가압장치
KR20220045968A (ko) 패널간 단열하는 인서트들을 가진 밀봉되고 열적으로 단열하는 탱크
JP2006290156A (ja) 耐圧性遮音材
KR20150096133A (ko) 실링부 단부와 보호회로 모듈 및 전지셀 간 공간에 절연 및 경화성 물질이 부가되어 있는 전지팩
KR101610462B1 (ko) 잠수함의 액화산소탱크 및 그 제조방법
AU2009334762B2 (en) Oscillator in liqu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