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353B1 -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353B1
KR102039353B1 KR1020190063568A KR20190063568A KR102039353B1 KR 102039353 B1 KR102039353 B1 KR 102039353B1 KR 1020190063568 A KR1020190063568 A KR 1020190063568A KR 20190063568 A KR20190063568 A KR 20190063568A KR 102039353 B1 KR102039353 B1 KR 10203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othermal
geothermal water
water
heat
hea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복
최균택
Original Assignee
에코티(주)
최균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티(주), 최균택 filed Critical 에코티(주)
Priority to KR102019006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20Geothermal collectors using underground water as working fluid; using working fluid injected directly into the ground, e.g. using injection wells and recovery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6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 B01D21/262Separation of sediment aided by centrifugal force or centripetal force by using a centrifu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8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using heat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6Heat pumps characterised by the source of low potential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11Geothermal energy
    • F24D2200/115Involving mains wate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F24T2010/56Contro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02E10/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을 제거하여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 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 상기 지열수흡입부의 지열수를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 상기 지열수펌핑부에서 흡입 펌핑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고 상기 히트펌프의 히트펌프흡열교환부로 공급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 및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을 제거하여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의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Open Geothermal Tubular Heat Pump System}
본 발명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수흡입부에 흡입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를 구비하여서,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을 제거하여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열에 의하여 가열된 지하수를 지열수로 흡입하여서 히트펌프의 열원으로 사용하는 히트펌프 시스템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 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 상기 지열수흡입부를 통하여 지하의 지열수를 히트펌프로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 및 상기 히트펌프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은 지하에 관체로 이루어진 지열수흡입부를 통하여 지열에 의하여 가열된 지하수로 이루어진 지열수를 지열수펌핑부에 의하여 히트펌프로 공급하여서 난방부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은 지열에 의하여 가열된 지하수를 지열수로 바로 유입하여 히트펌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이 미세한 판형관로로 형성되는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을 유발하여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효율을 급속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40304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이 지열에 의하여 가열된 지하수를 지열수로 바로 유입하여 히트펌프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이 미세한 판형관로로 형성되는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을 유발하여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효율을 급속하게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 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 상기 지열수흡입부의 지열수를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 상기 지열수펌핑부에서 흡입 펌핑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고 상기 히트펌프의 히트펌프흡열교환부로 공급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 및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를 일정체적을 갖는 지열수저류탱크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의 중앙부위에 지열수흡입부와 열결되는 지열수유입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에서 지열수유입관보다 높은 위치에서 히트펌프흡열교환부로 토사이물질이 침전제거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공급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일정주기로 배출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배출밸브가 구비된 토사이물질배출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의 상부 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위센서 및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의 상부에 지열수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는 보충급수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열수저류탱크에 지열수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 중의 토사이물질을 원심분리할 수 있게 원심침전유도구를 구비하되, 상기 원심침전유도구는 상부가 밀폐되고 내부에서 회류되는 지열수의 토사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로 밀려 이동되게 하부로 갈수록 확대되는 축소확대관으로 구성되는 원심침전유도하우징과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의 상부 외측에 접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열수공급관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가 원심침전유도하우징에서 회류유동되게 공급하는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의 중앙에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의 중앙부까지 돌출되어 개구되는 침전지열수배출관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열수공급관에 유입되는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를 구비하고,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지열수주입부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회수관으로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회수 지열수의 토사이물질 함유량이 일정농도를 유지하여 열 흡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토사이물질공급관에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농도에 비례하여 토사이물질의 공급을 제어하는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열수저류탱크에 저류된 지열수와 열교환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온수열교환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온수열교환코일과 연결되는 온수급수관과 상기 온수열교환코일과 연결되는 온수출수관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열수흡입부에 흡입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를 구비함으로써,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을 제거하여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 손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주요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의 상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에 원심침전유도구를 구비한 것을 보인 다른 실시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에 토사이물질공급관을 구비한 것을 보인 또 다른 실시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에 온수열교환코일을 구비한 것을 보인 또 다른 실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흡열교환부의 막힘 손상이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히트펌프(100)와 지열수흡입부(300), 지열수펌핑부(500),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 및 지열수주입부(6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히트펌프(100)는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히트펌프(100)는 지열에 의하여 가온된 지열수와 열교환에 의하여 열원을 흡열하는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에 열원을 흡열한 난방열매체를 콤프레셔(120)로 공급하는 열원흡입관로(110)와 상기 열원흡입관로(110)에서 열원이 흡열되어 공급되는 난방열매체를 압축하여서 난방열매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콤프레셔(120), 상기 콤프레셔(120)에서 가압 가온된 난방열매체를 난방부로 공급하는 난방열매체공급관로(130) 및 히트펌프(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히트펌프제어부(14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는 판을 여러 겹으로 겹쳐서 난방열매체와 지열수가 판을 경계로 순환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열수흡입부(300)는 지열수흡입관을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된 지열수를 흡입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열수펌핑부(500)는 지열수흡입부(300)의 지열수를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로 흡입 펌핑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는 지열수펌핑부(500)에 펌핑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는 것이다.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는 일정체적을 갖는 지열수저류탱크(410)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중앙부위에 지열수흡입부(300)와 열결되는 지열수유입관(42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에서 지열수유입관(420)보다 높은 위치에서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토사이물질이 침전제거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공급관(43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하부에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일정주기로 배출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배출밸브가 구비된 토사이물질배출관(44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 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위센서(450) 및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에 지열수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는 보충급수관(460)으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에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 중의 토사이물질을 원심분리할 수 있게 원심침전유도구(470)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원심침전유도구(470)는 상부가 밀폐되고 내부에서 회류되는 지열수의 토사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로 밀려 이동되게 하부로 갈수록 확대되는 축소확대 관으로 구성되는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과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상부 외측에 접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가 원심침전유도하우징에서 회류유동되게 공급하는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472),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에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부까지 돌출되어 개구되는 침전지열수배출관(47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열수주입부(600)는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지열수공급관(430)에 유입되는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구비하고,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지열수주입부(600)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회수관으로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회수 지열수의 토사이물질 함유량이 일정농도를 유지하여 열 흡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을 구비하고, 상기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에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통하여 감지된 농도에 비례하여 토사이물질의 공급을 제어하는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483)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는 유동중인 지열수로 광을 투과시켜 광 투과량을 농도를 측정하는 광농도센서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지열수저류탱크에 저류된 지열수와 열교환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온수열교환코일(810)을 구비하고, 상기 온수열교환코일(810)과 연결되는 온수급수관(820)과 상기 온수열교환코일(810)과 연결되는 온수출수관(830)을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100)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300), 상기 지열수흡입부(300)의 지열수를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로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500), 상기 지열수흡입부(300)에 흡입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여 히트펌프(100)의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공급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 및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60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열수에 함유되어 있는 토사와 같은 토사이물질을 제거하여 토사이물질로 인한 히트펌프(100)의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의 막힘 손상이 방지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를 일정체적을 갖는 지열수저류탱크(410)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중앙부위에 지열수흡입부(300)와 열결되는 지열수유입관(42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에서 지열수유입관(420)보다 높은 위치에서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토사이물질이 침전제거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공급관(43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하부에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일정주기로 배출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배출밸브가 구비된 토사이물질배출관(44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 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위센서(450) 및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에 지열수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는 보충급수관(460)으로 구성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중앙부에 구비된 지열수유입관(42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이 지열수의 저류과정에 침전제거되고, 토사이물질이 제거된 지열수는 상기 지열수유입관(420)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부가 밀폐되고 내부에서 회류되는 지열수의 토사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로 밀려 이동되게 하부로 갈수록 확대되는 축소확대관으로 구성되는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과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상부 외측에 접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가 원심침전유도하우징에서 회류유동되게 공급하는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472),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에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부까지 돌출되어 개구되는 침전지열수배출관(473)으로 구성되는 원심침전유도구(470)를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472)을 통하여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으로 유입된 지열수가 회류유동되면서 함유된 토사이물질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내벽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 내벽에 밀착된 토사이물질은 원심력에 따른 하중에 의하여 하부로 확대된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내벽을 따라 하부로 밀려 침전분리되고, 토사이물질이 원심침전분리된 지열수는 침전지열수배출관(473)을 통하여 상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지열수공급관(430)에 유입되는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 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구비하고,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지열수주입부(600)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회수관으로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회수 지열수의 토사이물질 함유량이 일정농도를 유지하여 열 흡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을 구비하고, 상기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에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통하여 감지된 농도에 비례하여 토사이물질의 공급을 제어하는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483)르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열수에 열흡수가 잘 이루어지는 토사이물질의 농도가 유지되어 열흡수 효율이 극대화되게 유지되어 지하에서의 열흡수가 극대화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 온수급수관(820) 및 온수출수관(830)과 연결되는 온수열교환코일(810)을 구비하여 실시하게 되면, 지열수저류탱크에 저류된 지열수와 열교환에 의하여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히트펌프
110 : 열원흡입관로 120 : 콤프레셔
130 : 난방열매체공급관로 140 : 히트펌프제어부
200 : 히트펌프흡열교환부
300 : 지열수흡입부
400 :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
410 : 지열수저류탱크 420 : 지열수유입관
430 : 지열수공급관 440 : 토사이물질배출관
450 : 수위센서 460 : 보충급수관
470 : 원심침전유도구
471 : 원심침전유도하우징 472 :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
473 : 침전지열수배출관
481 :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 482 : 토사이물질공급관
483 :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
500 : 지열수펌핑부
600 : 지열수주입부
810 : 온수열교환코일 820 : 온수급수관
830 : 온수출수관

Claims (5)

  1.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100)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300), 상기 지열수흡입부(300)의 지열수를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500), 상기 지열수펌핑부(500)에서 펌핑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여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공급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 및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600)로 구성하고;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의 지열수공급관(430)에 유입되는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구비하고,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지열수주입부(600)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회수관으로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회수 지열수의 토사이물질 함유량이 일정농도를 유지하여 열 흡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공급관(482)을 구비하고, 상기 토사이물질공급관(482)에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통하여 감지된 농도에 비례하여 토사이물질의 공급을 제어하는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48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는 일정체적을 갖는 지열수저류탱크(410)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중앙부위에 지열수흡입부(300)와 열결되는 지열수유입관(42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에서 지열수유입관(420)보다 높은 위치에서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토사이물질이 침전제거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공급관(43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하부에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일정주기로 배출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배출밸브가 구비된 토사이물질배출관(44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 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위센서(450) 및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에 지열수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는 보충급수관(460)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에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 중의 토사이물질을 원심분리할 수 있게 원심침전유도구(4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3.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열을 이용하여 난방부로 난방열매체를 공급하는 히트펌프(100)와 지하에 매설되어 지열에 의하여 가온된 지열수를 흡입하는 지열수흡입부(300), 상기 지열수흡입부(300)의 지열수를 흡입 펌핑하는 지열수펌핑부(500), 상기 지열수펌핑부(500)에서 펌핑된 지열수를 일시적으로 저류하여 함유되어 있는 토사이물질을 침전 분리하여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공급하는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 및 상기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에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지중을 공급하여 지열흡입부의 지하 수위가 유지되게 하는 지열수주입부(600)로 구성하고;
    상기 이물침전지열수저류부(400)는 일정체적을 갖는 지열수저류탱크(410)와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중앙부위에 지열수흡입부(300)와 열결되는 지열수유입관(42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에서 지열수유입관(420)보다 높은 위치에서 히트펌프흡열교환부(200)로 토사이물질이 침전제거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공급관(43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하부에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일정주기로 배출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배출밸브가 구비된 토사이물질배출관(440),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 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수위센서(450) 및 상기 지열수저류탱크(410)의 상부에 지열수의 수위에 따라 물을 보충하는 보충급수관(460)으로 구성하며;
    상기 지열수저류탱크에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 중의 토사이물질을 원심분리할 수 있게 원심침전유도구(470)를 구비하되;
    상기 원심침전유도구(470)는 상부가 밀폐되고 내부에서 회류되는 지열수의 토사이물질이 원심력에 의하여 하부로 밀려 이동되게 하부로 갈수록 확대되는 축소확대관으로 구성되는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과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상부 외측에 접선방향으로 결합되어 지열수공급관(430)을 통하여 유입된 지열수가 원심침전유도하우징에서 회류유동되게 공급하는 지열수회류유도유입관(472), 상기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에 상부로 관통 형성되며 하단이 원심침전유도하우징(471)의 중앙부까지 돌출되어 개구되는 침전지열수배출관(473)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지열수공급관(430)에 유입되는 지열수에 함유된 토사이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구비하고, 지열수저류탱크의 하부에 지열수주입부(600)로 열교환이 완료된 지열수를 공급하는 지열수회수관으로 침전된 토사이물질을 공급하여 공급되는 회수 지열수의 토사이물질 함유량이 일정농도를 유지하여 열 흡수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게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을 구비하고, 상기 토사이물질공급관(482) 에 지열수이물질농도센서(481)를 통하여 감지된 농도에 비례하여 토사이물질의 공급을 제어하는 토사이물질공급제어밸브(483)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지열수저류탱크에 저류된 지열수와 열교환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온수열교환코일(810)을 구비하고, 상기 온수열교환코일(810)과 연결되는 온수급수관(820)과 상기 온수열교환코일(810)과 연결되는 온수출수관(83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190063568A 2019-05-30 2019-05-30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KR10203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68A KR102039353B1 (ko) 2019-05-30 2019-05-30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568A KR102039353B1 (ko) 2019-05-30 2019-05-30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353B1 true KR102039353B1 (ko) 2019-11-01

Family

ID=6853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568A KR102039353B1 (ko) 2019-05-30 2019-05-30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3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05B1 (ko) * 2020-06-30 2020-11-10 버튼솔루션 주식회사 안정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지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774Y1 (ko) * 2006-07-03 2006-09-20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지중 열전도도 측정장치
KR101403041B1 (ko) 2013-01-29 2014-06-27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개방형 지열 지중 열교환기 장치
KR101866830B1 (ko) * 2017-08-29 2018-06-14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수막용수를 활용한 시설재배지 에너지 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774Y1 (ko) * 2006-07-03 2006-09-20 코텍엔지니어링주식회사 지중 열전도도 측정장치
KR101403041B1 (ko) 2013-01-29 2014-06-27 주식회사 지앤지테크놀러지 개방형 지열 지중 열교환기 장치
KR101866830B1 (ko) * 2017-08-29 2018-06-14 주식회사 산하이앤씨 수막용수를 활용한 시설재배지 에너지 공급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7205B1 (ko) * 2020-06-30 2020-11-10 버튼솔루션 주식회사 안정성과 효율성이 확보된 지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9354B1 (ko) 폐쇄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RU2576541C2 (ru) Очис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бурового раствора при бурении с отбором образцов горных пород
CN101804265B (zh) 一种全自动液位自修正油水分离器
KR102039353B1 (ko) 개방 지열관형 히트펌프 시스템
JP5479252B2 (ja) 圧力水噴射式ポンプシステム
CN103422885B (zh) 自动放水系统
WO1999034894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low density liquid from a high density liquid
CN106968683B (zh) 一种盾构机出渣系统及泥水盾构机
CN201052422Y (zh) 自动油水分离装置
KR101168358B1 (ko) 우수처리장치
CN110563083B (zh) 一种节能环保型水面悬浮油污污染物收集处理装置
US9127427B1 (en) Recovering mature fine tailings from oil sands tailings ponds
JPS60209700A (ja) サイフォン式液体取出装置におけるサイフォン管路内の初期満水及びガス抜き方法
KR102249797B1 (ko) 맨홀펌프실
CN108678966A (zh) 一种节能型水泵
CN115679884A (zh) 山塘水库自动排沙装置
CN109397101A (zh) 一种钕铁硼磨削加工用集中供液系统
KR101871198B1 (ko) 해수열 이용 냉난방 시스템
CN112855999B (zh) 地热回灌系统及冲力阀
JP2001323775A (ja) 高深度排泥システム
JPH1034134A (ja) 水処理装置
CN213574030U (zh) 一种地热水井钻井滤砂除砂装置
Malmur et al. Methods of Flushing of Sewage Sludge Collected on the Bottom of a Retention Chamber
CN211421361U (zh) 一种污水离心自吸泵
RU203916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о дна водоема пульп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