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050B1 -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050B1
KR102039050B1 KR1020180139622A KR20180139622A KR102039050B1 KR 102039050 B1 KR102039050 B1 KR 102039050B1 KR 1020180139622 A KR1020180139622 A KR 1020180139622A KR 20180139622 A KR20180139622 A KR 20180139622A KR 102039050 B1 KR102039050 B1 KR 10203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ull
vertical plate
wall panel
fasten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9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용식
Original Assignee
서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용식 filed Critical 서용식
Priority to KR1020180139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0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56Bulkheads; Bulkhead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10Aluminium or aluminium all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31/00Material used for some parts or element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63B2231/02Metallic materials
    • B63B2231/20Magnesium or magnesium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는 제 1 내벽 패널,제 2 내벽 패널, 브라켓, 선체 부재, 제 1 체결 수단 및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브라켓은 제 1 내벽 패널 및 제 2 내벽 패널이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평하게 설치되도로록 복수의 선체 부재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체결 수단 및 제 2 체결 수단의 결합 정도에 따라, 브라켓이 선체 부재에 결합되는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Description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INTERIOR ASSEMBLY INSIDE THE HULL}
본 개시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선체의 내벽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선체의 부재, 브라켓 및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선체를 복수의 갑판을 이용해 수직 방향으로 복수층으로 분획하고, 각 층의 갑판에 끼인 공간을 내벽 패널을 이용하여 수평방향으로 복수 단위 구획하여 분획함으로써, 조리실(Cuisine), 배선실(Pantry), 선원용 또는 승객용 선실, 조타실, 무선실, 하역 제어실, 통로실 또는 계단실, 라커룸(Rocker room) 또는 스토어룸(Store room), 기관실 등의 폐쇄된 단위 구획을 형성한다.
갑판 및 내벽 패널은 강판제이며, 선체에 대하여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므로, 갑판 또는 내벽 패널의 용접부 주변에 용접열에 의하여 부식되기 쉽고 구조적으로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선내의 구획 형성의 어려움 및 각 구획의 의장(艤裝) 공사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내벽 판넬 등의 고정 작업을 위해서는 숙련공이 필요하게 되므로 제조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 20-2013-0000248 (공개일자 2013.01.09)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에 있어서 브라켓을 이용하여 내벽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는 제 1 내벽 패널, 제 2 내벽 패널,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이 결합된 경우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내벽 패널이 위치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내벽 패널이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제 1 브라켓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에 제 2 브라켓 체결공을 구비하는 제 1 수직판 및 상기 수평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을 고정하는 제 2 수직판으로 구성된 브라켓,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을 포함하는 선체 부재, 상기 제 1 브라켓 체결공 및 상기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체 부재 및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고,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내벽 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내벽 패널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2 브라켓 체결공 및 상기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체 부재 및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고,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내벽 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2 내벽 패널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제 2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선체 부재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위치를 조절하여 내벽 패널을 쉽게 설치할 수 있어 시공 시간 및 인력을 줄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체결공 간의 거리를 도시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의 체결공 간의 거리를 도시한 선체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브라켓을 선체 부재에 결합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브라켓을 선체 부재에 결합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 간의 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 9에 도시된 제 1 선체 부제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 9에 도시된 제 2 선체 부재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 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선체의 내벽 판넬을 서로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하기 위해서 선체의 내벽 판넬(100,200)을 지지 및 고정하는 브라켓(300)을 선체 부재(400)에 결합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는 제 1 내벽 패널(100), 제 2 내벽 패널(200), 브라켓(300), 선체 부재(400), 제 1 체결 수단(500) 및 제 2 체결 수단(600)을 포함한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선체 부재(400)는 선체의 내부 골조로 이용될 수 있다.
선체 부재(400)는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을 포함할 수 있다.
선체 부재(400)에 브라켓(300)은 체결 수단(500, 600)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체 부재(400)는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을 각각 관통하는 제 1 체결 수단(500) 및 제 2 체결 수단(600)을 이용하여 브라켓(300)과 결합할 수 있다.
선체 부재(400)에 결합된 브라켓(300)을 통해 선체 내부에 내벽 패널(100, 200)을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선체 부재(400)와 브라켓(300)은 제 1 체결 수단(500) 및 제 2 체결 수단(600)을 통해 임의로 결합되고, 브라켓(300)을 통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서로 간에 수평으로 설치 가능한 것(예를 들어, 선내 객실의 내벽 패널을 설치하는 경우에 내벽 패널이 선내 객실의 바닥 및 천장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경우를 의미함.)인지 확인된 후, 선체 부재(400)와 브라켓(300)을 최종적으로 결합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브라켓(300) 및 선체 부재(400)의 결합관계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으로 구성된다. 브라켓(300)의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브라켓(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브라켓(3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300)의 수평판(310)은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결합된 경우에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 사이에서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지지하는 수평판(310)의 일부분(예를 들어,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사이에 삽입되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지지하는 부분)의 길이는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의 두께와 같거나 그보다 길 수 있다.
브라켓(300)의 제 1 수직판(320)은 수평판(310)의 일단에서 제 1 내벽 패널(100)이 위치하는 제 1 방향과 제 2 내벽 패널(200)이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수직판(320)은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제 1 브라켓 체결공(340)을 구비하고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에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을 구비한다.
제 1 체결 수단(500)은 제 1 수직판(320)에 구비된 제 1 브라켓 체결공(340)의 위치가 선체 부재(400)의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과 일치할 때, 제 1 브라켓 체결공(340) 및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체결 수단(600)은 제 1 수직판(320)에 구비된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의 위치가 선체 부재(400)의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과 일치할 때, 제 2 브라켓 체결공(350)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체결 수단(500) 및 제 2 체결 수단(600)은 제 1 수직판(320)과 선체 부재(40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브라켓(300)의 제 2 수직판(330)은 수평판(310)의 타단에서 제 1 내벽 패널(100)이 위치하는 제 1 방향과 제 2 내벽 패널(200)이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고정한다.
제 2 수직판(330)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보다 잘 고정하기 위해서, 제 2 수직판(330)의 상기 제 1 방향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는 수평판(310)의 일부분(예를 들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사이에 삽입되어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을 지지하는 부분)의 길이보다 더 길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1 브라켓 체결공(340)까지의 거리(302)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수직판(330)의 일단까지의 거리(303)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브라켓 체결공(350)까지의 거리(미도시)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수직판(330)의 타단까지의 거리(미도시)보다 짧을 수 있다.
제 1 수직판(320)에 형성된 제 1 브라켓 체결공(340)의 위치가 제 2 수직판(330)의 일단보다 가상선(30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제 1 체결 수단(500)이 제 1 내벽 패널(10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수직판(320)에 형성된 제 1 브라켓 체결공(340)의 위치가 제 2 수직판(330)의 일단보다 가상선(30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제 1 체결 수단(500)이 제 2 수직판(330)을 향하여 압력을 가해 제 1 내벽 패널(100)을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 수직판(320)에 형성된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의 위치가 제 2 수직판(330)의 타단보다 가상선(30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제 2 체결 수단(600)이 제 2 내벽 패널(200)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수직판(320)에 형성된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의 위치가 제 2 수직판(330)의 타단보다 가상선(301)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경우, 제 2 체결 수단(600)이 제 2 수직판(330)을 향하여 압력을 가해 제 2 내벽 패널(200)을 보다 강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4a,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브라켓(300)은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의 길이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은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1 내벽 패널(100)이 위치하는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판(320)의 일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내벽 패널(200)이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타단까지의 길이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판(320)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 1 수직판(320)의 길이가 길수록 선체 부재(400)와 결합되는 영역이 넓어져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설치된 이후에 제 2 수직판(330)은 외부로 보이는 부분이기 때문에, 외관상 마감처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 2 수직판(330)의 길이가 짧을수록 외관상 마감처리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300)은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판(320)의 일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타단까지의 길이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수직판(320)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수직판(330)의 길이가 길수록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에 대한 고정을 보다 잘 할 수 있다
또한, 도 4c를 참조하면, 수평판(310), 제 1 수직판(320) 및 제 2 수직판(330)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일단까지의 길이(303a)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2 수직판(330)의 타단까지의 길이(303b)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수직판(330)의 일단까지의 길이(303a)가 가상선(301)으로부터 제 2 수직판(330)의 타단까지의 길이(303b)보다 길수록 수평판(310)의 상방에 지지되는 제 1 내벽 패널(100)의 하부에 대한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즉, 제 1 내벽 패널(100)의 하부에 대한 고정력이 제 2 내벽 패널(200)의 상부에 대한 고정력 보다 더 강화되어야하기 때문에 도 4c와 같은 브라켓(300) 형상이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브라켓(300)은 단면이 'H' 형상으로 형성되고, 선체 부재(400)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체결공 간의 거리를 도시한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의 체결공 간의 거리를 도시한 선체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제 3 브라켓 체결공(340b) 및 제 4 브라켓 체결공(3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는 제 2 선체 부재(40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선체 부재(400a)는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a)과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a)을 포함하고, 제 2 선체 부재(400b)는 제 3 선체 부재 체결공(410b) 및 제 4 선체 부재 체결공(420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브라켓(300)은 제 1 선체 부재(400a) 및 제 2 선체 부재(400b)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 1 브라켓 체결공(340a) 및 제 3 브라켓 체결공(340b) 사이의 거리(360)는 제 1 선체 부재(400a)의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a) 및 제 2 선체 부재(400b)의 제 3 선체 부재 체결공(410b) 간의 거리(430)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제 2 브라켓 체결공(350a) 및 제 4 브라켓 체결공(350b) 사이의 거리(370)는 제 1 선체 부재(400a)의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b) 및 제 2 선체 부재(400b)의 제 4 선체 부재 체결공(420b) 간의 거리(44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 및 브라켓의 결합의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브라켓(300)은 복수의 선체 부재(4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벽 패널들은 복수의 브라켓(30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선체 부재(400)간의 거리는 같거나 또는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00)의 체결공들 사이의 거리는 같거나 또는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브라켓 체결공과 제 3 브라켓 체결공 사이의 거리(360a) 및 제 3 브라켓 체결공과 제 5 브라켓 체결공 사이의 거리(360b)는 제 1 선체 부재와 제 2 선체 부재 사이의 거리 및 제 2 선체 부재와 제 3 선체 부재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같거나 또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 2 브라켓 체결공과 제 4 브라켓 체결공 사이의 거리(370a) 및 제 4 브라켓 체결공과 제 6 브라켓 체결공 사이의 거리(370b)는 제 1 선체 부재와 제 2 선체 부재 사이의 거리 및 제 2 선체 부재와 제 3 선체 부재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같거나 또는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본 발명의 브라켓(300)의 체결공들 사이의 거리 및 선체 부재(400)의 체결공들 사이의 거리는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브라켓(300)의 재질은 금속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염분 및 습기에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및/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브라켓(300)의 재질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의 정면도이다.
선체 부재(400)는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의 주변 영역에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서브 체결공(411)을 더 포함하고,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의 주변 영역에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서브 체결공(4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영역은 제 1 서브 체결공(411) 또는 제 2 서브 체결공(421)으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만큼 상하좌우로 떨어진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서브 체결공(411)은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의 8방위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서브 체결공(421)은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의 8방위로 기 설정된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제 1 서브 체결공(411) 및 제 2 서브 체결공(421)이 형성되는 위치는 예시일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선체 부재(400)의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과 브라켓(300)의 제 1 브라켓 체결공(340) 및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의 위치가 일치하여 결합된 경우라도,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평을 이루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시공자는 브라켓(300)에 결합되는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평을 이루도록, 제 1 브라켓 체결공(340) 및 제 2 브라켓 체결공(350)을 선체 부재(400)의 제 1 서브 체결공(411) 및 제 2 서브 체결공(421)과 일치시켜 브라켓(300) 및 선체 부재(400)를 결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브라켓을 선체 부재에 결합하는 일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을 참조하면, 제 1 선체 부재(400a)는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직으로 설치되고, 제 2 선체 부재(400b)는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시공자는 브라켓(300)을 제 1 선체 부재(400a)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공자는 브라켓(300)을 제 2 선체 부재(400b)에는 결합할 수 없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1 브라켓 체결공(340a)과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a)을 일치시키고, 제 1 체결 수단(500)으로 브라켓(300)과 제 1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2 브라켓 체결공(350a)과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a)을 일치시키고, 제 2 체결 수단(600)으로 브라켓(300)과 제 2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3 브라켓 체결공(340b)이 제 2 선체 부재(400b)의 제 3 선체 부재 체결공(410b)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 수단으로 브라켓(300)을 제 2 선체 부재(400b)와 결합시킬 수 없다. 또한,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4 브라켓 체결공(350b)이 제 2 선체 부재(400b)의 제 4 선체 부재 체결공(420b)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체결 수단으로 브라켓(300)을 제 2 선체 부재(400b)와 결합시킬 수 없다.
도 8b를 참조하면, 전술한 8a와 달리, 시공자는 브라켓(300)을 제 1 선체 부재(400a) 및 제 2 선체 부재(400a)에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1 브라켓 체결공(340a)을 제 1 선체 부재(400a)의 복수의 제 1 서브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제 1 서브 체결공(411a)과 일치시키고, 이를 관통하는 제 1 체결 수단(500)으로 브라켓(300)과 제 1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2 브라켓 체결공(350a)과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a)을 일치시키고, 이를 관통하는 제 2 체결 수단(600)으로 브라켓(300)과 제 2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3 브라켓 체결공(340b)을 제 2 선체 부재(400b)의 복수의 제 3 서브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제 3 서브 체결공(411b)과 일치시키고, 이를 관통하는 제 1 체결 수단(500)으로 브라켓(300)과 제 2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시공자는 브라켓(300)의 제 4 브라켓 체결공(350a)과 제 2 선체 부재(400b)의 복수의 제 4 서브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제 4 서브 체결공(421a)을 일치시키고, 이를 관통하는 제 2 체결 수단(600)으로 브라켓(300)과 제 2 선체 부재(400a)를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공자는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이 인테리어가 시공되는 선체의 내부의 바닥 및/또는 천장과 수평하게 설치되도록, 브라켓(300)을 제 1 선체 부재(400a) 및 제 2 선체 부재(400b)에 결합할 수 있다.
전술한 선체 부재(400) 및 브라켓(300)의 결합은 예시일 뿐이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부재 간의 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 1 선체 부재(400a) 및 제 2 선체 부재(400b)가 같은 직선 상에 있지 않고 제 2 선체 부재(400b)가 제 1 선체 부재(400a)보다 뒤에서 거리(700)를 두고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제 1 선체 부재(400a)의 체결공들이 형성된 영역에 굴곡이 있어서, 제 2 선체 부재(400b)의 체결공들이 형성된 영역과 같은 직선 상에 있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브라켓(300)은 휘어짐이 없이 일자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브라켓(300)은 제 1 선체 부재(400a)에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지만, 브라켓(300)은 제 2 선체 부재(400b)에 밀착하여 결합하지 못할 수 도 있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 9에 도시된 제 1 선체 부제에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이 도 9에 도시된 제 2 선체 부재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브라켓(300)은 제 1 체결 수단(500)의 결합 정도 및 제 2 체결 수단(600)의 결합 정도에 따라, 브라켓(300)의 제 1 수직판(320)과 선체 부재(400) 사이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다.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선체 부재(400a) 및 제 2 선체 부재(400b)가 같은 직선 상에 있지 않고 제 2 선체 부재(400b)가 제 1 선체 부재(400a)보다 뒤에서 거리(700)를 두고 설치될 경우에, 제 1 체결 수단(500a) 및 제 2 체결 수단(600a)은 브라켓(300)을 제 1 선체 부재(400a)에 이격없이 결합시킬 수 있다.
반면에, 도 10b를 참조하면, 제 1 체결 수단(500b) 및 제 2 체결 수단(600b)은 브라켓(300)을 제 2 선체 부재(400b)에 일정한 거리(700)를 두고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체결 수단(500b) 및 제 2 체결 수단(600b)은 브라켓(300) 및 제 2 선체 부재(400b)에 의해 받는 하중이 더 커질 수 있고, 제 1 체결 수단(500b) 및 제 2 체결 수단(600b)에 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300)과 제 2 선체 부재(400b)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너트 등(미도시)을 삽입하여 제 1 체결 수단(500b) 및 제 2 체결 수단(600b)의 휘어짐을 방지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체결 수단(500 및 600)은 제 1 체결 수단(500) 및 제 2 체결 수단(600)을 의미할 수 있다.
제 1 체결 수단(500)은 제 1 브라켓 체결공(340) 및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410)을 관통하여 선체 부재(400) 및 브라켓(300)을 결합하고, 제 2 수직판(330)의 방향으로 제 1 내벽 패널(100)에 압력을 가하여 제 1 내벽 패널(10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제 2 체결 수단(600)은 제 2 브라켓 체결공(350)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420)을 관통하여 선체 부재(400) 및 브라켓(300)을 결합하고, 제 2 수직판(330)의 방향으로 제 2 내벽 패널(200)에 압력을 가하여 제 2 내벽 패널(200)의 고정력을 강화할 수 있다.
체결 수단(500 및 600)은 브라켓(300)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수단(500 및 600) 및 브라켓(300)이 산화·환원 반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체결 수단(500 및 600)은 브라켓(300)과 마찬가지로, 선체에 사용되기 때문에, 염분 및 습기에 내구성이 강한 알루미늄 및/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체결 수단(500 및 600)의 재질은 예시일 뿐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수단(500 및 600)은 패널 고정부(501) 및 몸통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체결 수단(500 및 600)은 상술한 구성 요소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고정부(501)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다양한 형태의 물질일 수 있다. 패널 고정부(501)가 제 2 수직판(330)방향으로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패널 고정부(501)는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에 압축되어 눌러진다. 이에 따라, 패널 고정부(501)에 의한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몸통부(502)는 스크류로 형성되고, 선체 부재(400) 및 브라켓(300)의 체결공을 관통하여 결합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패널 고정부(501)가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에 대해 압력을 가하는 경우, 패널 고정부(501)는 압축되어 눌러지고, 패널 고정부(501)에 의한 제 1 내벽 패널(100) 및 제 2 내벽 패널(20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내벽 패널;
    제 2 내벽 패널;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이 결합된 경우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 사이에서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을 지지하는 수평판, 상기 수평판의 일단에서 상기 제 1 내벽 패널이 위치하는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내벽 패널이 위치하는 제 2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 1 방향에 대응하는 제 1 영역에 제 1 브라켓 체결공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대응하는 제 2 영역에 제 2 브라켓 체결공을 구비하는 제 1 수직판 및 상기 수평판의 타단에서 상기 제 1 방향과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내벽 패널 및 상기 제 2 내벽 패널을 고정하는 제 2 수직판으로 구성된 브라켓;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 및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을 포함하는 선체 부재;
    상기 제 1 브라켓 체결공 및 상기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체 부재 및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고,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내벽 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1 내벽 패널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제 1 체결 수단; 및
    상기 제 2 브라켓 체결공 및 상기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선체 부재 및 상기 브라켓을 결합하고,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내벽 패널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제 2 내벽 패널의 고정력을 강화하는 제 2 체결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체결 수단은,
    스크류가 형성된 제 1 몸통부; 및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몸통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1 내벽 패널에 압력이 가해질 때 압축되어 눌러짐으로써 상기 제 1 내벽 패널의 상기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제 1 패널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체결 수단은,
    스크류가 형성된 제 2 몸통부; 및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몸통부의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수직판의 방향으로 상기 제 2 내벽 패널에 압력이 가해질 때 압축되어 눌러짐으로써 상기 제 2 내벽 패널의 상기 고정력을 강화시키는 제 2 패널 고정부;
    를 포함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 상기 제 1 수직판 및 상기 제 2 수직판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브라켓 체결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수직판의 일단까지의 거리보다 짧고,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브라켓 체결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부재는,
    상기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과 상기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을 포함하는 제 1 선체 부재 및 제 3 선체 부재 체결공 및 제 4 선체 부재 체결공을 포함하는 제 2 선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제 3 브라켓 체결공 및 제 4 브라켓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브라켓 체결공에서 상기 제 3 브라켓 체결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에서 상기 제 3 선체 부재 체결공 간의 거리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브라켓 체결공에서 상기 제 4 브라켓 체결공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에서 상기 제 4 선체 부재 체결공 간의 거리에 대응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체 부재는,
    상기 제 1 선체 부재 체결공의 주변 영역에 기 설정된 개수의 제 1 서브 체결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선체 부재 체결공의 주변 영역에 기 설정된 개수의 제 2 서브 체결공을 더 포함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 수단의 결합 정도 및 상기 제 2 체결 수단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브라켓의 상기 제 1 수직판과 상기 선체 부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 상기 제 1 수직판 및 상기 제 2 수직판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수직판의 일단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 상기 제 1 수직판 및 상기 제 2 수직판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수직판의 일단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 상기 제 1 수직판 및 상기 제 2 수직판 각각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1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일단까지의 길이가 상기 가상선으로부터 상기 제 2 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 2 수직판의 타단까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및 상기 체결 수단이 같은 재질로 형성되는,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재질은, 알루미늄 합금 또는 마그네슘 합금인,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KR1020180139622A 2018-11-14 2018-11-14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KR10203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22A KR102039050B1 (ko) 2018-11-14 2018-11-14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9622A KR102039050B1 (ko) 2018-11-14 2018-11-14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9050B1 true KR102039050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9622A KR102039050B1 (ko) 2018-11-14 2018-11-14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0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200A (ko) * 2005-12-19 2007-06-22 (주)성주 엠보싱 처리된 금속 판부재를 이용한 선박용 패널
KR20100043886A (ko) * 2008-10-21 2010-04-29 홍성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내부 벽체 설치구조
KR20120116767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희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30000248U (ko) 2011-07-01 2013-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설비의 거주구 격벽
KR20160077620A (ko) * 2014-12-24 2016-07-04 정재동 작업성 및 미감을 향상시킨 건축 벽면 설치용 판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200A (ko) * 2005-12-19 2007-06-22 (주)성주 엠보싱 처리된 금속 판부재를 이용한 선박용 패널
KR20100043886A (ko) * 2008-10-21 2010-04-29 홍성산업 주식회사 선박의 내부 벽체 설치구조
KR20120116767A (ko) * 2011-04-13 2012-10-23 김성희 각도조절용 앵커브라켓을 구비한 강연선 인장장치
KR20130000248U (ko) 2011-07-01 2013-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설비의 거주구 격벽
KR20160077620A (ko) * 2014-12-24 2016-07-04 정재동 작업성 및 미감을 향상시킨 건축 벽면 설치용 판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112B2 (en) Composite panel for a trailer wall
KR101372982B1 (ko) 선박용 파티션 모듈
US10322752B2 (en) Vehicle body side structure
US7704026B2 (en) Composite panel trailer sidewall with additional logistics slots
CA2604282C (en) Composite panel for a trailer wall
TWI408069B (zh)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US11279461B2 (en) Flight deck barrier door, aircraft comprising flight deck barrier door, and method of using flight deck barrier door
JP2008230518A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10052627A (ja) 車両クォーター部構造
CA2936857A1 (en) Lightweight structural joiner
KR102039050B1 (ko) 선체 내부의 인테리어 어셈블리
US20180015956A1 (en) Sidewall assembly for trailers
US9409632B2 (en) Cabin for a floating installation with lines which contribute to reinforcement
ITPD20060037A1 (it) Nave passeggeri in particolare da crociera e assieme cabine per nave passeggeri
US9090292B2 (en) Structure of rear package tray for vehicle
US20190217938A1 (en) Interior aircraft frame assembly for furnishings
EP3079985B1 (en) Aircraft seat surround with 3d printed decorative moldings
EP2428463B1 (en) Refrigerated container
CN107922160A (zh) 用于电梯的结构构件
CN109703761A (zh) 座椅系统、座椅系统套件和配置座椅系统的方法
US11577792B2 (en) Cargo box reinforcement system
JP5532896B2 (ja) 航空機用の化粧室ユニット
JP2015054558A (ja) 車両用扉
JP6900215B2 (ja) アシストグリップ及びそれを設けた荷物棚
JP3220580U (ja) 異素材複合フレーム材及び移動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