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894B1 - 우산빗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빗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894B1
KR102038894B1 KR1020190003554A KR20190003554A KR102038894B1 KR 102038894 B1 KR102038894 B1 KR 102038894B1 KR 1020190003554 A KR1020190003554 A KR 1020190003554A KR 20190003554 A KR20190003554 A KR 20190003554A KR 102038894 B1 KR102038894 B1 KR 1020388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lade
present
upper plate
bla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수정
류연원
류가연
류승균
류경균
Original Assignee
노수정
류연원
류가연
류승균
류경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수정, 류연원, 류가연, 류승균, 류경균 filed Critical 노수정
Priority to KR102019000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8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비닐봉지와 같은 소모용 자재를 소비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우산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산빗물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젖은 우산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비닐봉지와 같은 소모용 자재를 소비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우산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시 펼쳐서 비를 막기 위해 사용되는 생활필수품으로써,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봉과, 지지봉상에 방사형으로 접철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의 살대와, 상기 살대 상에 체결되는 우산천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우산천은 물방울이 묻거나 흡수되지 않도록 방수처리된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우천시 옥내로 진입할 경우, 방수재질의 우산천으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려 바닥을 오염시키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에 별도로 배치된 우산꽂이에 놓아두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산을 밖에 놓아두고 갈 경우 비슷한 우산을 자기 것으로 착각하여 가지고 가는 사람들이 많아 우산을 분실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하며, 이로 인해 실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우산으로부터 빗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우산을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우산을 비닐로 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
관련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71946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산삽입부(1)를 커버의 전방 상면에 설치하고, 몸체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비닐포장대는 비닐접합부에 의하여 상호 접착되며, 비닐포장대의 상단부에는 비닐포장대걸쇠에 삽입되는 통공을 형성하고 이들 비닐포장대를 비닐포장대 걸쇠에 일괄 삽입하며, 전방부의 비닐 포장대는 우산삽입부 하부에 위치하고 인출되는 비닐포장대와 다음의 비닐포장대간의 접합부의 분리를 위해 스프링의 탄력으로 복원되는 인출동작 감지봉 및 출몰핀을 이용 우산의 인출에 의해 분리되는 최전방의 비닐포장대와 다음의 비닐포장대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자동 공급되는 비닐봉지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우산을 간편하게 비닐포장할 수 있도록 하는 비닐포장이 가능한 우산 커버 자동포장기가 공개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비닐봉지를 계속적으로 구입, 공급해야하는 경제적인 부담감뿐만 아니라 일회용으로 폐기되는 비닐봉지로 인한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기능적인 면에서는 비닐봉지로 포장하여 휴대하는 우산을 눕히거나 비닐봉지가 터질 경우, 비닐봉지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외부로 흘러나와 포장지로써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비닐봉지에 우산을 장시간 넣어둘 경우, 우산천에 물이 스며들어 우산살대를 부식시킴은 물론 우산의 재사용시 우산천에 잔류해있던 빗물이 흘러내리면서 옷이나 신체 일부가 젖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레이드부재에 의해 젖은 우산의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하부에 설치된 수집통을 이용하여 제거된 물기를 수집하여 간편한 처리가 가능한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제거장치에서 사용 되어 오던 비닐봉지와 같은 소모용 자재를 소비하지 않아 경제적인 유지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적인 우산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파(波)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재가 초음파진동부재에 의해 미세진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우산을 상부플레이트에 통과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에 묻은 물기를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부재의 접촉면이 세로 방향으로 골이 파인 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이 부드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접촉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신속하게 하부방향으로 집수되도록 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저면에 다수의 이송용 바퀴(110)가 부설되는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우산이 통과하기 위한 출입부(210)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200);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며,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블레이드(3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제거된 빗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 단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홈(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끼워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평단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321)의 형상이 파(波)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돌기(322)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돌기는 표면에 초미세돌기(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동되는 초음파진동부재(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진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출입부에 마련된 센서부재(211)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진동부재의 작동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3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레이드부재에 의해 젖은 우산의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하부에 설치된 수집통을 이용하여 제거된 물기를 수집하여 간편하게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제거장치에서 사용 되어 오던 비닐봉지와 같은 소모용 자재를 소비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파(波)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재가 초음파진동부재에 의해 미세진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우산을 상부플레이트에 통과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에 묻은 물기를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부재의 접촉면이 세로 방향으로 골이 파인 형태로 이루어져 우산이 부드럽게 통과될 수 있도록 하고, 접촉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신속하게 하부방향으로 집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일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의 일측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산빗물제거장치는 상술한 도 2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플레이트(100), 상부플레이트(200), 블레이드(300) 및 수집통(400)으로 구성된다.
이에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면에 다수의 이송용 바퀴(110)가 부설되는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성과 보관성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바람직하게는 고강도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용 바퀴는 별도의 잠금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설치를 완료한 후에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우산이 통과하기 위한 출입부(2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출입부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단면형상이 알파벳 "V" 또는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플레이트는 내측면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므로, 우산천에 묻은 물기가 하부방향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후술되는 블레이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홈(22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며,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부재로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복수의 블레이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끼워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부재(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블레이드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는 우산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우산천의 표면에 묻은 물기를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평단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부재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휘어지는 탄성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도 우산을 쉽게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집통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제거된 빗물을 수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집통은 슬라이드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제거된 물이 하부플레이트를 통해 상기 수집통으로 모여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바닥면(111)이 중앙부분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배수구(112)를 통해 상기 수집통으로 배출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도 5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321)의 형상이 파(波)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접촉면은 굴곡진 파형으로 형성되어 우산천과의 표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보다 효과적으로 우산천의 물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의 일 실시예로써,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블레이드는 서로 대향되는 블레이드부재가 엇갈리게 배치되므로, 우산이 통과되는 구간을 증가시켜 최대한 많은 물기를 털어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돌기(322)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돌기는 표면에 초미세돌기(3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미세돌기 및 초미세돌기는 일명 연잎효과(Lotus effect)라고 불리우는 현상으로 인해 소수성을 띄게 되어 우산천으로부터 제거된 물기가 상기 블레이드의 표면에 머무르지 않고 하부플레이트 방향으로 수집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연동되는 초음파진동부재(5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초음파진동부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출입부에 마련된 센서부재(211)의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초음파진동부재의 작동을 ON/OFF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블레이드는 사용자가 우산을 상기 출입부를 통과하는 경우, 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제어부가 초음파진동부재를 ON 시키고, 우산이 통과하는 동안 블레이드가 진동을 발생시켜 효과적인 물기의 제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출입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어느 한쪽의 출입부에 설치된 센서부재가 우산이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반대쪽의 출입부에 설치된 선서부재는 우산이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하여, 제어부에 이탈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초음파진동부재를 OFF 시키도록 한다.
한편,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레이드부재는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33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절개부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예컨대, 우산의 길이(장우산, 2단 또는 3단 우산 등)에 따라 상기 절개부에 의해 분할된 블레이드 부재가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블레이드 부재가 최대한 탄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산이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개부는 도 11을 기준으로 보면,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상, 하 방향으로 2개의 절개부가 형성(블레이드 부재가 3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설치 환경이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절개부의 위치 및 갯수가 변동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레이드부재에 의해 젖은 우산의 물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하부에 설치된 수집통을 이용하여 제거된 물기를 수집하여 간편하게 처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빗물제거장치에서 사용되오던 비닐봉지와 같은 소모용 자재를 소비하지 않아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가 가능함은 물론,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이 파(波)형으로 형성된 블레이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산에 묻어 있는 물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우산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부재가 초음파진동부재에 의해 미세진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우산을 상부플레이트에 통과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우산에 묻은 물기를 효과적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부재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에 의해 제거된 물기가 신속하게 하부방향으로 집수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하부플레이트 110 ... 이송용 바퀴
111 ... 바닥면 112 ... 배수구
200 ... 상부플레이트 210 ... 출입부
211 ... 센서부재 220 ... 체결홈
300 ... 블레이드 310 ... 베이스프레임
320 ... 블레이드부재 321 ... 접촉면
322 ... 미세돌기 323 ... 초미세돌기
400 ... 수집통 500 ... 초음파진동부재
600 ... 제어부

Claims (6)

  1. 저면에 다수의 이송용 바퀴(110)가 부설되는 하부플레이트(100);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에 형성되며, 양측에 우산이 통과하기 위한 출입부(210)가 구비되는 상부플레이트(200);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내측에 형성되며, 우산에 묻은 빗물을 제거하기 위한 복수의 블레이드(300);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에 형성되어 제거된 빗물을 수집하기 위한 수집통(400);을 포함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는,
    수직 단면형상이 상광하협의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양측 단부에 상기 블레이드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체결홈(22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체결홈에 끼워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310);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일체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만큼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부재(32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돌기(322)를 포함하되, 상기 미세돌기는 표면에 초미세돌기(323)를 더 포함하며,
    우산과 접촉되는 접촉면(321)의 형상이 파(波)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부재는,
    돌출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평단면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부재가 교호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20190003554A 2019-01-10 2019-01-10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20388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54A KR102038894B1 (ko) 2019-01-10 2019-01-10 우산빗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3554A KR102038894B1 (ko) 2019-01-10 2019-01-10 우산빗물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138A Division KR102127391B1 (ko) 2019-10-24 2019-10-24 빗물 제거 효율이 우수한 친환경 우산빗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894B1 true KR102038894B1 (ko) 2019-10-31

Family

ID=6842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3554A KR102038894B1 (ko) 2019-01-10 2019-01-10 우산빗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8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28Y1 (ko) * 2019-11-25 2020-02-11 이승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10002292U (ko) 2020-04-07 2021-10-15 김상철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496548Y1 (ko) * 2022-08-18 2023-03-09 (주)자바인터내셔널 플라스틱형 물결모양의 빗물 털이부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520645B1 (ko) * 2022-08-18 2023-04-12 (주)자바인터내셔널 드레인부 개폐 스위치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647A (ja) * 1999-03-31 2000-10-13 Sayama Precision Ind Co 傘脱水機
KR20070051128A (ko) * 2005-11-14 2007-05-17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2010063284A (ja) * 2008-09-04 2010-03-1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KR20150016837A (ko)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우산 건조장치
KR200488873Y1 (ko) *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83647A (ja) * 1999-03-31 2000-10-13 Sayama Precision Ind Co 傘脱水機
KR20070051128A (ko) * 2005-11-14 2007-05-17 서영석 우산의 물기 제거장치
JP2010063284A (ja) * 2008-09-04 2010-03-18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電力変換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KR20150016837A (ko) * 2013-08-05 2015-02-13 유성덕 우산 건조장치
KR200488873Y1 (ko) * 2018-11-30 2019-04-01 이중용 우산 빗물 제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28Y1 (ko) * 2019-11-25 2020-02-11 이승훈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10002292U (ko) 2020-04-07 2021-10-15 김상철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0496548Y1 (ko) * 2022-08-18 2023-03-09 (주)자바인터내셔널 플라스틱형 물결모양의 빗물 털이부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기
KR102520645B1 (ko) * 2022-08-18 2023-04-12 (주)자바인터내셔널 드레인부 개폐 스위치를 구비한 우산 빗물 제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894B1 (ko) 우산빗물제거장치
KR101173237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US5916658A (en) Drip catching mat
US20170107052A1 (en) Material collection apparatus
KR101963564B1 (ko) 우산 탈수기
CN105729483B (zh) 一种机器人行走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沙滩清洁机器人
KR20130143409A (ko) 우산 물기 제거장치
KR102127391B1 (ko) 빗물 제거 효율이 우수한 친환경 우산빗물제거장치
KR200490191Y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US20160178123A1 (en) Machine Fluid Containment Trough
RU2411323C2 (ru) Плавучее средство для сбора нерастворимых жидкостей и мусора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US11525630B2 (en) Umbrella water removing apparatus
US4217667A (en) Drain lint separator and strainer
KR20210089396A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092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355955B1 (ko) 우산 물기 제거 장치
KR100463022B1 (ko) 우산 물기 자동 제거기
JPH08154719A (ja) 傘袋処理機
KR102073486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210002292U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102333109B1 (ko) 우산 건조장치
KR100700898B1 (ko) 우산의 물방울 제거 장치
KR102288732B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101141287B1 (ko) 접이식우산용 빗물제거장치
EP1183930A1 (en) Device for separating tare from agricultural products and method for cleaning sai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