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486B1 - 우산 빗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빗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486B1
KR102073486B1 KR1020180092790A KR20180092790A KR102073486B1 KR 102073486 B1 KR102073486 B1 KR 102073486B1 KR 1020180092790 A KR1020180092790 A KR 1020180092790A KR 20180092790 A KR20180092790 A KR 20180092790A KR 102073486 B1 KR102073486 B1 KR 102073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umbrella
blade piece
friction
rainwater remo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2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안
Original Assignee
(주)에이 앤 에스 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 앤 에스 개발 filed Critical (주)에이 앤 에스 개발
Priority to KR1020180092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4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1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applying pressure, e.g. wringing; by brushing; by wi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1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10/10Umbrell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빗물을 털어 제거하는 빗물제거수단을 탈착구조로서 세척 및 교환 특성을 극대화하여 장기 사용에 따른 위생성과 경제성이 보장 및 우산천의 접촉범위가 넓게 제공되도록 빗물제거수단의 조립몸체에서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에 의해 제공함으로서 우산이 통과시에 보다 효과적인 빗물의 제거가 제공됨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에 파손이 최소화되고 파손된 것만의 교체 사용이 가능함으로서 편리하고 보관에 따른 신속성 및 편리성이 보장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빗물제거부(400)를 구성하는 함체(410)가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드 조립홈(420)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홈(420)에 실리콘재질이나 탄성고무재질로 개별 성형된 빗물제거수단(450)의 조립몸체(460)를 조립하여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이 대향으로 돌출되어 이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을 우산이 통과하면 마찰되면서 빗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우산 빗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RAINWATER OF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빗물을 털어 제거하는 빗물제거수단을 탈착구조로서 세척 및 교환 특성을 극대화하여 장기 사용에 따른 위생성과 경제성이 보장 및 우산천의 접촉범위가 넓게 제공되도록 빗물제거수단의 조립몸체에서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에 의해 제공함으로서 우산이 통과시에 보다 효과적인 빗물의 제거가 제공됨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에 파손이 최소화되고 파손된 것만의 교체 사용이 가능함으로서 편리하고 보관에 따른 신속성 및 편리성이 보장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천시에 빗물에 의해 착용된 옷 가방 등에 젖는 것을 최대한 막기 사용되는 생활필수품으로 주지되어 있다.
이러한 우산은 통상적으로 손잡이가 구비된 지지봉에 방사형으로 펼쳐지는 다수의 살대에 우산천이 봉제되어 구성된다.
그런데 우산천은 빗물이 흡수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도록 방수코팅된 천재질이 사용으로 우천시에 빗물을 털지 않고 옥내로 들고 올 경우에는 빗물이 흘러내려 바닥을 오염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반가정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출입문에 별도로 배치된 우산꽂이가 사용되고 있으나, 음식점이나 사무실 건물에서의 우산꽂이의 사용은 많은 사람의 우산을 수납 보관하기가 어렵고, 설령 수납한 상태로 보관되어도 우산 분실 등의 심리적 불안으로 꺼려하는 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근래에는 건물의 출입구에 비치된 우산포장기에 의해 빗물로 옥내가 오염되는 것을 최대한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닐봉투에 의해 우산빗물을 차단하는 것은, 사용 후에 비닐봉투가 버려지는 자원낭비 및 비닐봉투에 의한 쓰레기 처리비용의 증가 및 소각 폐기에 따른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의 발생, 환경오염 문제로 대두되어 점차 사용을 못하도록 법제화되고 있다.
그리하여 최근에는 비닐포장기의 폐해를 최대한 없애기 위해 비닐봉지를 사용하지 않고 우산으로부터 빗물을 탈수 또는 건조, 제거하는 빗물 제거장치가 다수의 기술로 제안되었다.
일 예로 특허문헌 1과 같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가 개시되었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도 1의 일 예와 같이, 이동바퀴(11)가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와, 이 고정플레이트의 상부 양측에 대향하고 상부방향이 확개된 'V'형의 공간(S)을 형성한 상태로 경사져서 설치되는 케이스몸체부(20,2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인출가능케 설치되어 빗물유입구멍(12)을 통해 배출되는 빗물을 집수하는 집수통(30)과, 상기 케이스몸체부(20,20)의 내측에 대향해서 빗물제거부(40)를 조립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빗물제거부(40)는 함체(41)의 표면에 나일론 망사에 감싸진 상태로 내부에 극세사원단(42)이 포함된 상태로 상기 함체(41)의 내측 외표면에 접착제로 부착 고정된다.
이러한 선원 기술은 케이스몸체부(20,20)에 의해 형성된 'V'자형 공간(S)에 우산을 전,후로 흔들면서 우산천에 묻은 빗물이 상기 빗물제거부(40)의 함체(41)에 부착된 극세사원단(42)과 마찰하면서 빗물을 쓸어내는 것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 기술은 다수의 우산에 묻은 빗물을 닦는 상태, 또는 충돌에 의해 빗물을 쓸어 낙하시키어 집수정으로 배출하는 것이나, 극세사가 닦아내듯이 빗물을 쓸어내림에 따라 우산천 사이사이의 접혀진 섬세한 부분까지 빗물이 제거되지 못하여 빗물제거가 효과적이지 못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 후에는 미세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극세사에 함침된 상태로 있게되어 물로 세척해도 제거가 미미하여 재사용에 따른 비위생적인 단점과 물세척 후에도 미세먼지의 제거가 미미함은 물론 극세사부분의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척과정에서 나일론 망사로 감싸진 극세사원단의 손상이 발생하고 마모가 심할 경우에는 장치의 빗물의 제거효율이 떨어져 새로운 장치로 대체해야 하는 비 경제적인 단점도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도 특허문헌 1과 비슷하게 부직포에 의한 빗물을 처리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원기술 역시, 세척문제와 건조문제 및 장기간 사용에 따른 빗물제거부의 전체적인 교체나 장치 전체의 교체문제는 특허문헌 1과 대동소이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한국 등록특허 제10-1526260호(2015.06.01. 등록) 특허문헌 2 : 한국 등록특허 제10-1690695호(2016.12.22.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문제된 단점을 해소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빗물제거부의 구성을 함체에 구비된 슬라이드홈에 탈착으로 조립되는 실리콘재질, 탄력성이 있는 합성수지의 빗물제거수단을 구성함으로서, 사용에 따른 미세먼지나 이물질을 분리한 상태에서 세척하고 재 설치 사용이 가능함으로서 세척의 편리성 및 파손시에 파손부품만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이 가능하여 관리가 간편하고 경제성을 보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빗물제거부을 구성하는 함체에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드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홈에 실리콘재질이나 탄성고무재질로 개별 성형된 빗물제거수단의 조립몸체를 조립하여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이 대향으로 돌출되고 이 부분을 우산이 통과하면 마찰되면서 빗물제거을 구성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함체에 종방향으로 배설되는 슬라이드 조립홈은 'T'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몸체도 상기 마찰날개편에 의해 'T'자형 돌기부를 성형하여 종방향 분리는 가능해도 횡방향 이탈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함체의 내측에 돌출되는 상기 마찰날개편은 삽입방향으로 상호간이 지그재그식으로 배치된 상태로 설치되어 우산과의 빈 마찰면이 없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날개편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동일 길이의 절개날개편으로 형성되어 대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찰날개편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다른 길이의 절개날개편으로 형성되되, 각각은 짧은 절개날개편과 길은 절개날개편, 길은 날개편과 짧은 절개날개편이 대향으로 배치되면서 함체의 종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대향된 길은 날개편의 중첩으로 설치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산의 빗물 제거가 빗물제거부를 양측의 함체에서 슬라이드 결합 및 분리의 탈착가능한 빗물제거수단에 의해 제공함으로서, 사용 후에 보관시에 간편한 세척 및 분리보관이 가능하여 청결성과 보관성이 양호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탈착가능한 빗물제거수단이 실리콘이나 탄성수지재질의 마찰날개편을 대향으로 길게 돌출하여 형성함으로서 우산마찰을 크게하면 빗물제거로 효과적인 빗물제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기간 사용에 따른 손상되는 부품인 빗물제거수단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보장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구조로서 소모품인 빗물제거수단 만의 교체사용 및 세척사용으로 염가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종래 일 예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의 구성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일부 발췌 평면도로서, 우산이 이동함에 따란 빗물제거수단의 마찰날개편이 휘어지는 작동도이다.
도 4는 도 3의 "F"부 발췌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일측 빗물제거부의 함체에 빗물제거수단이 조립된 상태의 일부발췌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일측 빗물제거부의 함체에 빗물제거수단의 조립상태을 예시한 일부 발췌 단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도면 제시된 구성요소의 구조 및 크기는 발명의 설명에 문제되지 않는 한 단순화되거나 간략화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빗물제거부(400)의 실시에 따라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도 7 및 도 8의 다른 실시 예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우산 빗물 제거장치는,
이동바퀴(110)가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는 케이스몸체부(2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서랍인출식의 집수통(300)과, 상기 집수통(3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배수기능의 빗물유입구멍(12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며, 상기 양측에 대향설치된 케이스몸체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빗물제거부(400)을 포함한다.
상기 빗물제거부(400)는 상기 케이스몸체부(200)에 조립 고정되는 함체(41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410)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드 조립홈(420)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홈(420)에 실리콘재질이나 탄성고무재질로 개별 성형된 빗물제거수단(450)의 조립몸체(460)를 조립하여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이 대향으로 돌출되어 이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을 우산이 통과하면 마찰되면서 빗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함체(410)에 종방향으로 배설되는 슬라이드 조립홈(420)은 'T'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몸체(460)도 상기 마찰날개편(470)에 의해 'T'자형 돌기부를 성형하여 상기 빗물제거수단(450)이 종방향 분리는 가능해도 횡방향 이탈이 없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조립몸체(46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횡방향으로 상기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이 성형되어 'T'자형 돌기부를 형성하여 돌출된다.
이러한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산(U)의 진행방향에 대해 탄력적으로 휘어지지면 마찰에 의해 우산천에 묻은 빗물을 쓸어내리어 낙수되는 빗물은 빗물유입구멍(120)을 통해 집수통(300)에 수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핵심요지는 빗물제거수단(450)을 사용시에 함체(410)에서 형성된 'T'자형 슬라이드홈(420)에 상기 조립몸체(460)을 끼움하여 설치해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과정에서 세척의 편리성으로 청결성이 보장되고, 손상된 경우에는 그 손상된 빗물제거수단(450)의 마찰날개편(470)을 잡고 상향으로 이동하여 함체(410)의 'T'자형 슬라이드 조립홈(420)에 조립몸체(460)을 분리한 후 새로운 빗물제거수단(450)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함체(410)의 내측에 돌출되는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삽입방향으로 상호간이 지그재그식, 다시 말해 인접하는 상기 빗물제거수단(450)의 마찰날개편(470)이 이전의 상기 마찰날개편(470)과 마찰날개편(470) 사이의 공간을 막는 상태로 설치되어 우산(U)과의 빈 마찰면이 없도록 설치됨으로서 우산(M)의 빗물을 보과 효과적으로 우산천 전체표면을 쓸어서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본 발명은 상기 빗물제거수단(450)의 분리해서 세척해서 보관하거나 재사용시에 조립하여 항상 청결성을 갖고 사용하고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동일 길이의 복수의 길은 절개날개편(471,471)으로 형성되어 대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에는 우산(U)과의 마찰시에 절개된 복수의 절개날개편이71,472)이 굴곡에 부위를 더욱 세밀하게 마찰되면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다른 길이로 복수의 길은 절개날개편(471a)과 짧은 절개날개편(471b)으로 형성되되, 각각은 길은 절개날개편(471a)과 짧은 절개날개편(471b)에 대해 대향측의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짧은 절개날개편(471b)과 길은 절개날개편(471a)이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 예의 경우에는 빗물제거부(400)를 구성하는 빗물제거수단(450)이 대향으로 배치된 마찰날개편(470)이 함체(410)의 종방향으로 길은 절개날개편(471a)과 짧은 절개날개편(471b)에 대해 대향측의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짧은 절개날개편(471b)과 길은 절개날개편(471a)이 배치되면서 상기 길은 절개날개편(471a) 상호간이 중첩되게 배치됨으로서, 이 역시 우산(U)의 굴곡에 부위를 길은것과 짧은 것이 교번적으로 더욱 세밀하게 마찰되면서 빗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고정플레이트 110: 이동바퀴
120: 빗물유입구멍 200: 케이스몸체부
300: 집수통 400: 빗물제거부
410: 함체 420: 'T'자형 슬라이드홈
450: 빗물제거수단 460: 조립몸체
470: 마찰날개편 471, 471a: 길은 절개날개편
471a: 짧은 절개날개편
U: 우산

Claims (5)

  1. 이동바퀴(110)가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상부에 대향 설치되는 케이스몸체부(200)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그 하부에 서랍인출식의 집수통(300)과, 상기 집수통(300)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00)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배수기능의 빗물유입구멍(120)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을 집수하며, 상기 양측에 대향설치된 케이스몸체부(200)의 내부에 구성되는 빗물제거부(400)로 구성된 우산 빗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빗물제거부(400)는 상기 케이스몸체부(200)에 조립 고정되는 함체(410)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410)는 종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드 조립홈(420)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슬라이드홈(420)에 실리콘재질이나 탄성고무재질로 개별 성형된 빗물제거수단(450)의 조립몸체(460)를 조립하여 내측으로 길게 돌출된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이 대향으로 돌출되어 이 다수의 마찰날개편(470)을 우산이 통과하면 마찰되면서 빗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10)에 종방향으로 배설되는 슬라이드 조립홈(420)은 'T'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조립몸체(460)도 상기 마찰날개편(470)에 의해 'T'자형 돌기부를 성형하여 상기 빗물제거수단(450)이 종방향 분리는 가능해도 횡방향 이탈이 없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410)의 내측에 돌출되는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삽입방향으로 상호간이 지그재그식의 인접하는 상기 빗물제거수단(450)의 마찰날개편(470)이 이전의 상기 마찰날개편(470)과 마찰날개편(470) 사이의 공간을 막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동일 길이의 길은 절개날개편(471,471)으로 형성되어 대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절개된 상태로 길게 뻗은 다른 길이로 복수의 길은 절개날개편(471a)과 짧은 절개날개편(471b)으로 형성되되, 각각은 길은 절개날개편(471a)과 짧은 절개날개편(471b)에 대해 대향측의 상기 마찰날개편(470)은 짧은 절개날개편(471b)과 길은 절개날개편(471a)이 중첩되게 배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180092790A 2018-08-09 2018-08-09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102073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90A KR102073486B1 (ko) 2018-08-09 2018-08-09 우산 빗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2790A KR102073486B1 (ko) 2018-08-09 2018-08-09 우산 빗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3486B1 true KR102073486B1 (ko) 2020-02-04

Family

ID=6957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2790A KR102073486B1 (ko) 2018-08-09 2018-08-09 우산 빗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8397A (zh) * 2020-08-17 2020-11-17 宁波市鄞州承润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收纳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1690695B1 (ko) 2015-09-17 2016-12-28 이경열 빗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260B1 (ko) 2014-05-08 2015-06-10 이백관 극세사 원단을 이용한 우산빗물 제거장치
KR101690695B1 (ko) 2015-09-17 2016-12-28 이경열 빗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우산빗물제거장치
KR20180032212A (ko) * 2018-01-12 2018-03-29 정태봉 물 털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938397A (zh) * 2020-08-17 2020-11-17 宁波市鄞州承润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收纳装置
CN111938397B (zh) * 2020-08-17 2022-03-04 宁波市鄞州承润科技有限公司 一种雨伞收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07191B (zh) 清洗装置和清洗系统
KR101081091B1 (ko) 건조기 및 필터링 유닛
KR101963564B1 (ko) 우산 탈수기
RU2223025C2 (ru) Пылесос с циркуляцией воды
KR910002479Y1 (ko) 수동 소제기
KR200393832Y1 (ko) 우산 빗물 제거 장치
KR20150074735A (ko) 세탁기
KR20130114970A (ko) 세탁기의 세탁조 청소장치
KR102073486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JP5903539B2 (ja) 洗濯機
KR20150101857A (ko) 원심브러쉬를 가진 청소기
KR102004210B1 (ko) 우산 빗물 털이기
JP2016097293A (ja) ドラム式洗濯機用使い捨てフィルタ
KR200453566Y1 (ko) 청소도구
KR20150114833A (ko)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CN206418292U (zh) 局部衣物清洗器
KR102423090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KR20049092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100613484B1 (ko) 물걸레 청소기용 흡입구 헤드
JP7378410B2 (ja) フィルタ
KR102307792B1 (ko) 우산 빗물 제거기
KR200215894Y1 (ko) 챠량의 건식 에어 크리너
KR100652260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2288732B1 (ko) 친환경 우산 빗물 제거기
KR20200114539A (ko) 이동식 우산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