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4833A -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4833A
KR20150114833A KR1020140039537A KR20140039537A KR20150114833A KR 20150114833 A KR20150114833 A KR 20150114833A KR 1020140039537 A KR1020140039537 A KR 1020140039537A KR 20140039537 A KR20140039537 A KR 20140039537A KR 20150114833 A KR20150114833 A KR 20150114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otary
pedestal
assembled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9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호
조경훈
Original Assignee
조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호 filed Critical 조규호
Priority to KR1020140039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4833A/ko
Publication of KR20150114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48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20Agglomeration, binding or encapsulation of solid wast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8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apparatus operated by power, including water power; for incorporating apparatus for cooking, cooling, or laundr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5/0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 B04B15/10Other accessories for centrifuges for forming a filtering layer in the rotary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40Protecting water resources
    • Y02A20/402River resto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기는 물론 이를 수용하는 싱크대 배수구의 배수통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싱크대 배수통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에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과 함께 회전여과망(20)을 회전 운동시키는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최상단에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상기 받침대(10) 내측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제1수세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제1수세부재(60)가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몸체(7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날개(73)의 조립부(74) 한쪽면 또는 양쪽면 모두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되고, 상기 몸체(7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축조립부(77)에 상호 분해 조립되는 회전축(40)을 매개로 회전여과망(20)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통 내에서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수세부재(7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Device dehydrating garbage of food for a sink}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의 수분을 분리하는 탈수기의 회전여과망을 포함한 싱크대의 배수구도 간편하게 수세할 수 있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먹고 남은 음식물이나 식기류를 설겆이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찌꺼기의 대부분은 싱크대에서 처리하게 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크대(1) 버킷(2)에는 이들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배수관의 막힘과 하수구 오염을 방지하는 거름망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거름망은 물이 유입되는 동안 물과 음식물찌꺼기의 마찰에 의하여 수분을 포함하게 되므로 상기한 음식물쓰레기를 그대로 버릴 경우 쓰레기의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고, 이처럼 수분을 머굼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 전용수거함에 옮겨 담더라도 가구수가 많은 아파트 등에서는 짧은 시간에 음식물 전용수거함이 가득 차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는 쉽게 부패 및 악취가 발생하여 수거 및 소각작업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를 매립하게 되는 경우 땅속이나 하천으로 유입되는 침출수에 오염되는 등 위생과 환경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특허 제10-1318758호 음식물찌꺼기 탈수기는 싱크대 버킷의 배수구 배수통으로 안착되는 받침대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된 회전여과망을 설치하여 상기 회전여과망의 회전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물기(수분)을 분리하며 음식물쓰레기의 부피를 줄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회전여과망은 물이 유입되는 동안 물과 음식물의 마찰을 일으키며 음식물찌꺼기와 이물질로 더렵혀지게 되고,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세균과 악취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람들이 오염된 회전여과망을 수세하고자 할 경우 오염된 회전여과망을 직접 손으로 잡고서 구석진 곳까지 닦아내는 작업이 번거러울 뿐만 아니라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쓰레기 탈수기가 장착되는 싱크대의 배수통 내부 또한 많이 오염되었음에 불구하고 사람들 눈에 보이지 않은 곳은 이를 수세하는데 큰 어려움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싱크대의 음식물찌꺼기에 포함된 물기를 분리하는 음식물쓰레기 탈수기의 회전여과망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수세하는 번거러움이나 불편함없이 수세가 가능한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탈수기가 장착되는 싱크대 배수구 내부까지 간편하게 수세가 가능하게 하여 싱크대의 배수구가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수단은,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상기 받침대(10)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수세부재(60)가 설치되어 상기 제1수세부재(60)가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을 수세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몸체(7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날개(73)의 조립부(74)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조립되는 제2수세부재(70)로 구성되어, 상기 몸체(71)의 축조립부(77)에 조립되는 회전축(40)을 매개로 회전 운동하며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수세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기에 회전여과망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된 제1수세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작업과 동시에 상기 제1수세부재가 회전여과망의 외주면을 간편하게 수세할 수 있게 되고, 탈수 작업을 모두 끝마친 후에는 음식물쓰레기가 비워진 회전여과망의 외주면을 다시 한번 수세되도록 닦게되면 회전여과망의 외주면에 이물질이 전혀 남지 않음에 따라 종래처럼 잔존하는 이물질에 의한 세균 번식이나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 탈수기를 이용하여 탈수작업을 끝마친 후 외측뚜껑부의 회전축에 상호 분해 조립되어 회전 운동하는 제2수세부재는 탈수기의 회전여과망의 내주면과 탈수기가 장착되었던 싱크대 배수구의 배수통 내부 즉, 사람들의 손이 미치지 않는 곳까지 간편하게 수세가 가능하여 싱크대 배수구의 청결을 유지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주방 싱크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수세부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제2수세부재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세부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 참고도
이하, 본 발명의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상기 받침대(10)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제1수세부재(60)가 설치되어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을 닦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회전여과망(20)은 바닥면을 포함한 외주면 전체에는 균일한 간격으로 다수 배수공들이 천공되어 회전 운동시 상기 배수공을 통해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된 수분들이 배수구(3)로 배수시키도록 되고, 상기 회전여과망(20)은 중심 하부측이 받침대(10) 중앙으로 융기 돌출되는 돌출부에 안착되게 조립하여 상기 돌출부를 기점으로 회전 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수세부재(60)는 수많은 연질의 솔들이 균일한 간격으로 식모되는 브러쉬부재 또는 헝겁이나 합성수지 조각들이 겹쳐지듯이 포개어지는 수세미부재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수세부재(60)는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향균 소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수세부재(60)는 그 선단이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에 맞닿을 수 있는 길이 또는 그 보다 길게 연장되게 형성하여 제1수세부재(60)가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 전체를 균일하게 수세하도록 길이방향으로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1수세부재(60)는 받침대(10)의 내주면으로 탈, 부착되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구성되어 마모 및 훼손된 경우 기존의 훼손된 제1수세부재(60)만을 교환하는 것으로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여 음식물찌꺼기 탈수기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도록 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수세부재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 참고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기의 받침대(10) 내주면에 제1수세부재(60)를 고정되게 조립하여 음식물쓰레기 탈수 작업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을 제1수세부재(60)가 닦게 됨에 따라 회전여과망(20)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탈수 작업을 모두 끝마친 후 내용물을 비웠더라도 빈 회전여과망(20)에는 이물질이나 물때(이끼) 등이 묻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를 모두 제거하기 위해서는 회전여과망(20)의 내측에 소량의 세제와 물을 함께 투여한 후 다시 한번 더 탈수하듯이 회전여과망(20)을 회전시키면 제1수세부재(60)는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을 다시 한번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더 말끔하게 닦아낼 수 있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냄새 또는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탈수기에 선택적이 사용되는 제2수세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2수세부재의 사용 관계를 설명한 참고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본 발명은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몸체(7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날개(73)의 조립부(74)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조립되는 제2수세부재(70)로 구비되어 상기 몸체(71)의 축조립부(77)에 조립되는 회전축(40)을 매개로 회전 운동하면서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수세하도록 구성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를 제공한다.
상기 날개(73)의 조립부(74) 한쪽면 또는 양쪽면 모두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세미(75a)와 브러쉬(75b)들이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수세부재(70)의 조립부(74)에는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요부(74b)가 형성되고, 이에 조립되는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의 몸체(751)의 배면쪽에 이와 대응되는 걸림돌기(752)를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간편하게 분해 조립되는 조립식으로 형성되고, 이들 조립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축핀(76)을 매개로 고정하여 제2수세부재(70)가 회전하더라도 자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2수세부재(70)의 날개에 설치되는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의 최장 길이(L)는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직경(D)에 맞닿을 수 있는 길이(L > D)보다 조금 길게 형성된다. 그리하면 양쪽날개에 조립되는 수세미(75a)와 브러쉬(75b)는 연질의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주면과 접촉시 그 선단 일부가 일시 구부러지듯이 꺽어지며 내주면을 닦게되어 보다 확실한 수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양쪽 날개(73) 모두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결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어느 한쪽 날개에만 동일내지 서로 다른종류의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선택적으로 조립하여 제2수세부재(70)의 회전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회전 운동하는 제2수세부재(70)의 주요 기능이라 할 수 있는 수세 기능과 역활을 수행하는데 큰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회전여과망(20)의 경우 음식물쓰레기 탈수시 받침대(10)에 지지되어 회전 운동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2수세부재(70)를 이용하여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을 수세하고자 하는 경우에 회전운동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회전여과망(20)과 받침대(10) 및 외측뚜껑(50)들 서로 중접되듯이 겹쳐지게 되는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작은 핀홀(21, 11, 51)을 동일하게 천공하여 상기 핀홀(21, 11, 51)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별도의 고정핀(80) 또는 끝이 뽀족한 젓가락 등을 한시적으로 끼위넣어 회전여과망(20)이 회전 운동하는 것을 일시 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탈수작업이 아닌 수세작업시에는 사용자에 의해 일시적으로 회전여과망(20)이 회전 운동하지 않게 고정 및 억제한 상태에서 회전축(40)의 선단에 제2수세부재(70)가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된 외측뚜껑(50)을 받침대(10)의 상면에 덮어쒸운 상태로 회전손잡이(45)를 회전시키면 회전축(40)과 제2수세부재(70)만이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에서 회전 운동하면서 그 내주면을 수세하듯이 닦아내며 깨끗하게 씻어낼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소량의 세제와 물을 투여하게 되면 제2수세부재(70)는 회전여과망(20)을 물과 세제에 의해 깨끗하게 수세되게 되어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어 종래와 같이 냄새는 물론 악취가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용도 음식물쓰레기 탈수기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수세할 수 있는 제2수세부재(70)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는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과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간편하게 수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물쓰레기 탈수기를 이용한 탈수작업과 더불어 오염된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및 싱크대의 배수구 배수통 내부까지 깨끗하게 수세 할 수 있어 싱크대를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1 : 싱크대 2 : 버킷
3 : 배수구 10: 받침대
11,21,51: 핀홀 20: 회전여과망
30: 내측뚜껑 35, 77: 축조립부
40: 회전축
45: 회전손잡이 50: 외측뚜껑
60: 제1수세부재 70: 제2수세부재
71: 몸체 73: 날개
75a: 수세미 75b: 솔
80: 고정핀

Claims (5)

  1.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상기 받침대(10) 내측면에 고정되어 회전여과망(20)의 외주면을 수세하도록 구성되는 제1수세부재(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세부재(60)는 수많은 솔들이 균일하게 식모되는 브러쉬부재 또는 헝겁이나 합성수지 조각들이 포개어지는 수세미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몸체(7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날개(73)의 조립부(74)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조립되는 제2수세부재(70)가 구비되어 상기 몸체(71)의 축조립부(77)에 탈,부착되는 회전축(40)을 매개로 회전 운동하며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수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73)의 조립부(74) 한쪽면 또는 양쪽면 모두에 동일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수세미(75a)와 브러쉬(75b)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5. 싱크대 버킷에 설치되어 식기를 세척한 물이 버려지는 배수구의 배수통으로 취부되는 받침대(10)와, 상기 받침대(10)에 지지되어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회전 운동하는 회전여과망(20)과, 상호 맞물리는 걸림돌기를 매개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여과망(20)의 상부측으로 조립되는 내측뚜껑(30)과, 상기 내측뚜껑(30)의 축조립부(35)로 탈,부착되며 회전여과망(20) 회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40)과, 상기 회전축(40)과 서로 연동되는 기어뭉치와 회전손잡이(45)가 구비되어 받침대(10)의 상면으로 결합되는 외측뚜껑(50)과, 몸체(71)의 양쪽으로 연장되는 날개(73)의 조립부(74)에 수세미(75a) 또는 브러쉬(75b)가 조립되는 제2수세부재(70)가 구비되어 상기 제2수세부재(70)가 축조립부(77)에 조립되는 회전축(40)을 매개로 회전 운동하며 회전여과망(20)의 내주면 또는 음식물 탈수기가 분리된 배수구(3)의 배수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수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KR1020140039537A 2014-04-02 2014-04-02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KR201501148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37A KR20150114833A (ko) 2014-04-02 2014-04-02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9537A KR20150114833A (ko) 2014-04-02 2014-04-02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4833A true KR20150114833A (ko) 2015-10-13

Family

ID=5434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9537A KR20150114833A (ko) 2014-04-02 2014-04-02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48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765B1 (ko) * 2016-01-20 2017-02-15 오용호 싱크대 거름망 커버
US20210158306A1 (en) * 2016-08-29 2021-05-2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Concepts for maintaining updated electronic task-management records reflecting planned shipment activities
KR200497191Y1 (ko) * 2022-04-11 2023-08-24 이재관 싱크대용 배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765B1 (ko) * 2016-01-20 2017-02-15 오용호 싱크대 거름망 커버
US20210158306A1 (en) * 2016-08-29 2021-05-27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Concepts for maintaining updated electronic task-management records reflecting planned shipment activities
KR200497191Y1 (ko) * 2022-04-11 2023-08-24 이재관 싱크대용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90569A (en) Straining or filtering device
KR102056060B1 (ko) 싱크대 배수구 자동세척 장치
CN205658866U (zh) 一种洗/拖地机或擦窗器用的刷盘
KR100909343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060058069A (ko) 싱크대 배수구용 쓰레기 수거장치
KR20150114833A (ko) 다용도 음식물 탈수기
KR101558749B1 (ko) 씽크대 배수구 거름망
JP3196601U (ja) 手動回転式水切排水装置
KR20130000712U (ko) 스프링 청소기
KR20120035839A (ko) 나선축 회전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용 탈수장치
KR20130131855A (ko) 하부 배출도어를 갖는 싱크대 배수구용 거름망
KR20130037860A (ko) 양변기 음식물 처리 장치
KR102073486B1 (ko) 우산 빗물 제거장치
CN109138082B (zh) 一种用于厨卫环境下的垃圾处理装置
CN113998806A (zh) 清洁设备
KR102307620B1 (ko) 개량형 밀대걸레 세척기 구조
KR200252410Y1 (ko) 물걸레 세척통
CN204889908U (zh) 一种便携式拖把甩干桶
KR820001877Y1 (ko) 무한궤도식 세척걸레를 이용한 청소기
KR200222231Y1 (ko) 수동식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CN216637651U (zh) 滤液垃圾桶
CN213787235U (zh) 一种清污分区的拖把桶
CN212015368U (zh) 一种方便的家用型沥刀
KR200379976Y1 (ko) 싱크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N109984694A (zh) 一种平板拖把及其清洗脱水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