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688B1 -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688B1
KR102038688B1 KR1020190100214A KR20190100214A KR102038688B1 KR 102038688 B1 KR102038688 B1 KR 102038688B1 KR 1020190100214 A KR1020190100214 A KR 1020190100214A KR 20190100214 A KR20190100214 A KR 20190100214A KR 102038688 B1 KR102038688 B1 KR 10203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t
rung
hole
pair
s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양욱
Original Assignee
강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양욱 filed Critical 강양욱
Priority to KR1020190100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each support having one transverse base for supporting the pipes

Abstract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형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와,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렁(lung)(11)으로 이루어져, 상기 렁(11) 및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의해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10);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에 결합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을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단부에 각각 고정시키는 고정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측면 지지부(12)는, 제 1 직립부(12a)와, 상기 제 1 직립부(12a)로부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제 1 상부 절곡부(12b) 및 제 1 하부 절곡부(12c)와,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부위의 상기 제 1 상부 절곡부(12b) 또는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c)의 절곡부위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관통홀(12d)과,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0)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판(20)을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1 고정부 삽입공(12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판(20)은, 상기 제 1 직립부(12a)와 접하는 제 2 직립부(21)와, 상기 제 1 상부 절곡부(12b) 및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c)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제 2 직립부(21)로부터 상부와 하부가 각각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길이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제 2 상부 절곡부(22) 및 제 2 하부 절곡부(23)와, 양단부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12d)에 삽입되며 상기 제 2 상부 절곡부(22) 또는 상기 제 2 하부 절곡부(23)와 함께 상기 제 1 상부 절곡부(12b) 또는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c)가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 2 상부 절곡부(22)의 인접한 부위 또는 상기 제 2 하부 절곡부(23)의 인접한 부위의 상기 제 2 직립부(21)로부터 절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4)와, 상기 제 1 고정부 삽입공(12e)과 상응하는 위치의 상기 제 2 직립부(21)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30)가 삽입되어 상기 연결판(20)을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고정부 삽입공(2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for Lung of Cable Tray}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부가 개방된 케이블 트레이의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측판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는 렁(lung)을 케이블 트레이의 측판에 설치하도록 하되 측판과 렁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은 통행 등의 편의 및 미관을 위하여 천정 슬래브 하부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케이블 트레이에 수용되도록 하여 보호되고 있다.
케이블 트레이의 종류는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형성된 상부개방형과, 양쪽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측판을 구비하고 측판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렁(lung)으로 이루어져 렁에 의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하는 상하부 개방형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에는 수용되는 케이블 트레이가 플레이트를 "ㄷ"자형태로 절곡하여 구비되므로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확장성이 없으며, 무게가 무거우므로 수용되는 케이블 또한 용량에 제한이 있으므로, 소형인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상하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의 경우에는 측판과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렁(lung)으로 이루어지므로, 렁(lung)의 길이변화에 따라 확장할 수 있으며, 상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수용되는 케이블 또한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형인 경우에 적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기기가 많아지고, 통신을 위한 케이블 또한 대형화됨에 따라 상하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가 선호되고 있다.
이러한 상하부개방형 케이블 트레이는 측판과 측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측판을 연결하는 다수의 렁(lung)으로 이루어지는데, 측판에 렁을 고정설치하여 렁에 의해 측판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종래에는 측판에 렁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측판에 렁을 용접하거나, 측판에 렁을 나사체결하였다.
측판에 렁을 용접하는 경우에는 열을 가하여 용접하게 되므로 측판이 휘는 등 측판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며, 용접결함이 있는 경우 이들의 고정강도가 저하되게 되며 심한 경우에는 트레이에 수용되는 케이블의 낙하사고가 발생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접을 하게 되므로 용접을 위한 용접설비를 구비하여야 하며, 용접후 처리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측판에 렁을 나사체결을 하는 경우에는 측판이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므로 장시간 사용시 케이블의 자중에 의해 지속적인 하중을 받게 되므로 나사고정력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용접 또는 나사체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측판에 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 또는 나사체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측판에 렁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형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 지지부(12);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렁(lung)(11);으로 이루어져, 상기 렁(11) 및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의해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상기 렁(11)을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로서,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는,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 1 직립부(12a)와, 상기 제 1 직립부(12a)로부터 하부가 각각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상기 제 1 직립부(12a)의 하단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1 관통공(12c)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제 2 관통공(12d)과,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절취부(12e)와,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통공(12g)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절취부(12e)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이 직각 절곡되되, 상기 제 1 직립부(12a)와 수직되게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각 절곡되어 한쌍의 돌출부(12f)로 이루어지고, 상기 렁(lung)(11)은,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제 1 직립부(12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평행하도록 길게 설치되는 수평부(11a)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측이 하부로 직각 절곡되되,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삽입되어 내측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상면과 접하는 한쌍의 제 2 절곡부(11b)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12d)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 내측에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11a) 하부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통공(12g)을 폐쇄되도록 마감하는 제 1 연장부(11c)와, 상기 제 1 연장부(11c)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1 연장부(11d)와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연장부(11c)와 함께 상기 렁(11)을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1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직각절곡되되,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는 한쌍의 제 3 절곡부(11e)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3 절곡부(11e)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제 1 관통공(12c)에 삽입되고 절곡된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 양측면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절곡부 고정부(11f)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렁(11)은,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에는 요입형성되어 절곡된 상기 제 2 연장부(11d)가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 고정요홈(12h)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접 또는 나사체결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측판에 렁을 절곡에 의해서만 고정시키게 되므로 이들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렁을 삽입고정하기 위한 돌출부를 용접에 의해 형성되지 않고 절곡에 의해 측판에 형성되게 되므로 렁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절곡부위가 측판의 형상을 유지한 상태로 마감하게 되므로 미관 또한 화려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서 측면 지지부에 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서 측면 지지부에 렁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서 측면 지지부에 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에서 측면 지지부에 렁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는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와 렁(lung)(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 지지부(12)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형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렁(lung)은,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는 상기 렁(11) 및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의해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는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상기 렁(11)을 절곡에 의해 설치하는 구조이다.
상기 측면 지지부(12)는, 제 1 직립부(12a)와,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제 1 관통공(12c)과, 제 2 관통공(12d)과, 수직절취부(12e)와, 돌출부(12f)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직립부(12a)는 직립되어 설치되며, 수용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는, 상기 제 1 직립부(12a)로부터 하부가 각각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 절곡된다.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는 상기 렁(11)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2c)은, 상기 제 1 직립부(12a)의 하단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2c)은 후술할 상기 돌출부(12f)를 절곡형성하는 데 관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관통공(12c)에는 후술할 제 2 절곡부 고정부(11f)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 2 관통공(12d)은, 상기 제 1 관통공(12c)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 2 관통공(12d)에는 후술할 상기 렁(11)의 제 1 연장부(11c)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은 돌출부(12f)를 절곡형성하는 데 관여하게 된다.
상기 수직절취부(12e)는,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수직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f)는,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통공(12g)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절취부(12e)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이 직각 절곡되되, 상기 제 1 직립부(12a)와 수직되게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각 절곡되고 좌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렁(lung)(11)은, 수평부(11a)와, 제 2 절곡부(11b)와, 제 1 연장부(11c)와, 제 2 연장부(11d)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평부(11a)는,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제 1 직립부(12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평행하도록 길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절곡부(11b)는, 상기 수평부(11a)의 양측이 하부로 직각 절곡되되,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삽입되어 내측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상면과 접한다.
상기 제 1 연장부(11c)는,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12d)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 내측에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11a) 하부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통공(12g)을 폐쇄되도록 마감한다.
상기 제 2 연장부(11d)는, 상기 제 1 연장부(11c)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1 연장부(11d)와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연장부(11c)와 함께 상기 렁(11)을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는 다음과 같이 렁(11)을 측면 지지부(12)에 설치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측면 지지부(12)의 수직절취부(12e)와 제 1 관통공(12c) 및 제 2 관통공(12d)을 따라 돌출부(12f)를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통공(12g)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절취부(12e)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이 직각 절곡되도록 하되, 상기 제 1 직립부(12a)와 수직되게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각 절곡시킨다. 이러한 상태는 도 3 및 도 4의 측면 지지부(12)의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관통공(12d)에 상기 렁(11)의 제 2 연장부(11d) 및 제 1 연장부(11c)를 삽입결합하고, 상기 렁(11)의 상기 제 1 연장부(11c)를 하부로 수직절곡한다. 상기 렁(11)의 상기 제 1 연장부(11c)를 하부로 수직절곡한 상태는 도 6과 같은 상태이다. 상기 렁(11)의 상기 제 1 연장부(11c)를 하부로 수직절곡한 후에는 상기 렁(11)의 제 2 연장부(11d)를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직절곡하며, 수직절곡이 완료된 상태는 도 7의 상태가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렁(11)이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볼트 및 너트, 나사 등이 필요없이 절곡에 의해서 고정설치가 되게 된다.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직각절곡되되,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는 한쌍의 제 3 절곡부(11e)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3 절곡부(11e)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제 1 관통공(12c)에 삽입되고 절곡된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 양측면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절곡부 고정부(11f)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절곡부 고정부(11f)의 길이는 상기 측면 지지부(12) 외측으로 너무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렁(11)의 상기 제 1 연장부(11c)의 두께와 같은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된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이 상기 제 2 절곡부 고정부(11f)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 양측면이 고정되게 되면 상기 제 2 절곡부(11b)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렁(11)은,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에는 요입형성되어 절곡된 상기 제 2 연장부(11d)가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 고정요홈(12h)이 더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에 제 2 연장부 고정요홈(12h)이 요입형성되게 되면 상기 제 2 연장부(11d)의 고정이 용이하게 되며 절곡된 상기 제 2 연장부(11d)가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연장부 고정요홈(12h)은 엠보싱에 의해 요입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 : 렁(lung) 11a : 수평부
11b : 제 2 절곡부 11c : 제 1 연장부
11d : 제 2 연장부 11e : 제 3 절곡부
11f : 제 2 절곡부 고정부
12 : 측면 지지부 12a : 제 1 직립부
12b : 제 1 하부 절곡부 12c : 제 1 관통공
12d : 제 2 관통공 12e : 수직절취부
12f : 돌출부 12g : 통공
12h : 제 2 연장부 고정요홈

Claims (4)

  1.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도록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평형하게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쌍의 측면 지지부(12);
    한쌍의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하부부위를 서로 연결하는 렁(lung)(11);으로 이루어져, 상기 렁(11) 및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의해 케이블이 수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케이블 트레이(10)에서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상기 렁(11)을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로서,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는,
    직립되어 설치되는 제 1 직립부(12a)와,
    상기 제 1 직립부(12a)로부터 하부가 각각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직각 절곡되는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상기 제 1 직립부(12a)의 하단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1 관통공(12c)의 상부로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평행하도록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길이방향으로 일자형으로 길게 관통형성되는 제 2 관통공(12d)과,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수직되게 형성되는 수직절취부(12e)와,
    상기 제 1 관통공(12c)과 상기 제 2 관통공(12d)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 1 직립부(12a)에 통공(12g)이 형성되도록 상기 수직절취부(12e)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이 직각 절곡되되, 상기 제 1 직립부(12a)와 수직되게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직각 절곡되어 한쌍의 돌출부(12f)로 이루어지고,
    상기 렁(lung)(11)은,
    한쌍의 상기 측면 지지부(12)의 제 1 직립부(12a)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와 평행하도록 길게 설치되는 수평부(11a)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측이 하부로 직각 절곡되되,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삽입되어 내측에 각각 접하도록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며, 하단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상면과 접하는 한쌍의 제 2 절곡부(11b)와,
    상기 수평부(11a)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제 2 관통공(12d)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 내측에 한쌍의 상기 돌출부(12f)가 접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부(11a) 하부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통공(12g)을 폐쇄되도록 마감하는 제 1 연장부(11c)와,
    상기 제 1 연장부(11c)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상기 1 연장부(11d)와 직각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과 접하여 상기 제 1 연장부(11c)와 함께 상기 렁(11)을 상기 측면 지지부(12)에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1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하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고 내측으로 직각절곡되되, 상기 수평부(11a)의 길이방향으로 직각절곡되는 한쌍의 제 3 절곡부(11e)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렁(11)은,
    각각의 상기 제 3 절곡부(11e)의 양단 외측으로 각각 연장형성되고 제 1 관통공(12c)에 삽입되고 절곡된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 2 절곡부(11b)의 상단 양측면이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절곡부 고정부(11f)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렁(11)은,
    상기 제 1 하부 절곡부(12b)의 하면에는 요입형성되어 절곡된 상기 제 2 연장부(11d)가 삽입고정되도록 하는 제 2 연장부 고정요홈(12h)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KR1020190100214A 2019-08-16 2019-08-16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KR10203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14A KR102038688B1 (ko) 2019-08-16 2019-08-16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214A KR102038688B1 (ko) 2019-08-16 2019-08-16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688B1 true KR102038688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214A KR102038688B1 (ko) 2019-08-16 2019-08-16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6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687A (ko) * 2020-06-22 2021-12-29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35A (ja) * 2001-09-28 2003-04-11 Matsuyama Denki Kk ケーブルラック構成部材の結合構造
KR20080076245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20090069623A (ko) * 2007-12-26 2009-07-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KR101958153B1 (ko) * 2018-09-07 2019-03-14 이보라 케이블 트레이용 렁, 상기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1235A (ja) * 2001-09-28 2003-04-11 Matsuyama Denki Kk ケーブルラック構成部材の結合構造
KR20080076245A (ko) * 2007-02-15 2008-08-20 주식회사 제원에이스산업 케이블트레이 결합방법
KR20090069623A (ko) * 2007-12-26 2009-07-01 (주)석영엔터프라이즈 케이블 트레이
KR101958153B1 (ko) * 2018-09-07 2019-03-14 이보라 케이블 트레이용 렁, 상기 렁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687A (ko) * 2020-06-22 2021-12-29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KR102471504B1 (ko) * 2020-06-22 2022-11-28 이주섭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58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US20150001352A1 (en) Cable tray system with splice plate
JP3255422B2 (ja) 耐震性の電子機器用包囲体
KR20030038773A (ko) 내지진용 배터리 랙 시스템
KR102015851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KR102038688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KR101908432B1 (ko) 케이블 트레이
JP2019028780A (ja) ラック固定装置及びサーバラック
CN203654580U (zh) 调节件以及调平结构
JP5927630B2 (ja) 配線用ダクト
CN211018133U (zh) 一种便于安装维护的电缆桥架
KR200362776Y1 (ko) 덕트겸용 케이블 트레이
CN212935444U (zh) 一种电缆桥架
KR101110724B1 (ko) 공동주택의 조립 가능한 배전용 트레이
KR200495450Y1 (ko) 케이블 트레이
JP4289255B2 (ja) ラック
CN213461031U (zh) 一种热镀电缆槽式桥架
CN215185643U (zh) 一种带有固定带的电缆桥架
KR102586018B1 (ko) 케이블 트레이
CN217427524U (zh) 一种安全性高的电缆桥架
KR101572056B1 (ko) 변전 전력구의 지중송전케이블 배열대
CN218040556U (zh) 一种具有高稳定性的电缆桥架支架
CN211239195U (zh) 一种电缆桥架直型弯道连接装置
KR102404337B1 (ko) 건축용 케이블 트레이 스페이서
CN219247370U (zh) 一种电缆防缠绕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