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520B1 -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 Google Patents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520B1
KR102038520B1 KR1020190085013A KR20190085013A KR102038520B1 KR 102038520 B1 KR102038520 B1 KR 102038520B1 KR 1020190085013 A KR1020190085013 A KR 1020190085013A KR 20190085013 A KR20190085013 A KR 20190085013A KR 102038520 B1 KR102038520 B1 KR 102038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groove
cover
package structure
senso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to KR102019008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2001/0276Pro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립성이 우수함은 물론 방수 및 방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Waterproof optical sensor package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성이 우수함은 물론 방수 및 방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용으로 쓰이는 광센서는 투과형과 반사형 광센서로 나뉘며,그 중 투과형 광센서는 발광부와 수광부과 서로 마주보는 상태에서 물체가 지나갔을때 감지하는 센서를 말하며, 최근에는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한 방수 기능 광센서 모듈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2962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29622호에서는 사출물과 사출물 사이의 체결구조를 ' ┓'형태로 꺾어 인서트 사출시 흐름성을 최대한 억제하였으나 1차 격벽 사이로 실리콘 몰딩 등의 몰링제가 유입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296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조립성이 우수함은 물론 방수 및 방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측부에 광소자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후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공과, 후측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광소자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전측부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윈도우부와; 전측부가 개방형성되는 수용홈내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상부 고정홈 및 하부 고정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에 전측부가 접합 상태로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상기 윈도우부 및 상기 커버 사이의 틈새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실링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의 전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공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전측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전후측으로 개방형성되는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는 배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전측 단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전측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차홈의 상측과 하측 및 상기 타측 단차홈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일정깊이의 상부 단차부가 단차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홈 및 하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의 일측과 타측에 일측 단차부 및 타측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의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측 단차홈의 상부홈 및 하부홈에 삽입되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의 배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전측 단차홈의 일측 단차부 및 타측단차부에 삽입되는 일측 돌출부 및 타측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의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 부위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벽체로 이루어진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내측에 상기 광소자가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는 상부 고정홈 및 하부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실링사출물을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하우징, 윈도우부 및 커버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 윈도우부 및 커버 사이의 틈새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실링사출물로 인해 방수 및 방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하우징으로부터 윈도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하우징으로부터 윈도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9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배면사시도이고,
도 11은 커버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결합사시도이고,
도 13은 하우징, 윈도우부 및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측면도이고,
도 14는 실링사출물이 인서트 사출성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 구조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인쇄회로기판(10), 하우징(20), 윈도우부(30), 커버(40) 및 실링사출물(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전측부 중간부에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광소자(11)가 배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전후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공(210)과, 상기 광소자(11)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221)이 형성되는 돌출부(220)가 구비된다.
도 3은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하우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전측 단차홈(2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양측, 즉,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일측과 타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중앙부에 상기 관통공(210)이 상기 전측 단차홈(230)과 연통되도록 관통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일측 단차홈(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단차홈(240)은 상기 하우징(20)의 전후측으로 개방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타측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타측 단차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하우징으로부터 윈도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A - A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윈도우부(30)는 상기 하우징(20)의 관통공(210)의 전측부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20)에 고정된다.
특히,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부(30)의 배면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 단차홈(230)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틈새(C1, C2)가 형성되도록 상기 윈도우부(30)는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30)는 가시광 차단 필터가 적용된 사출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단차홈(240)과 타측 단차홈(250)에는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외부방향 및 상기 하우징(20)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제 1걸림고정편(260)이 상기 하우징(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3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윈도우부(3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단차홈(240) 및 타측 단차홈(25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걸림고정날개(270)가 상기 윈도우부(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걸림고정날개(270)의 내측에 상기 하우징(20)의 제 1걸림고정편(260)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제 1걸림고정홈(27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면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면 후측에는 상부 단차부(280)가 단차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상부 단차부(28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과 상기 상부 단차부(280)의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상부면 후측에 단면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단차부(280)가 상기 하우징(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단차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소자(11)를 이룰 수 있는 발광소자의 발광효율을 향상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이룰 수 있는 수광소자의 수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20)에 형성된 관통공(210)의 외경(도 5의 FD) 또는 상기 관통공(210)의 대각선길이(도 3의 D)는 상기 하우징(20)의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점차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 단차홈(2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홈(231)과 하부홈(23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상부홈(231)의 하부방향에 상기 관통공(210)이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상부에 상기 상부홈(231)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홈(232)의 상부방향에 상기 관통공(210)이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하부에 상기 하부홈(232)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하우징으로부터 윈도우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전측 단차홈(23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일측 단차부(233) 및 타측 단차부(23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관통공(210)의 일측방향에 상기 일측 단차부(233)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일측에 상기 일측 단차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단차부(233)의 일측과 전측이 개방되도록 단면 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일측 단차부(233)는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210)의 타측방향에 상기 타측 단차부(234)가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타측에 상기 타측 단차부(2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단차부(234)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과 전측이 개방되도록 단면 형상이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타측 단차부(234)는 상기 하우징(2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부(30)의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상부홈(231) 및 하부홈(232)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상부홈(231)과 상기 하부홈(232)에 각각 삽입되는 상부 돌출부(310) 및 하부 돌출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윈도우부(30)의 배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전측 단차홈(230)의 일측 단차부(233) 및 타측 단차부(234)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측 단차부(233)와 상기 타측 단차부(234)에 각각 삽입되는 일측 돌출부(330) 및 타측 돌출부(3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하우징으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결합배면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의 관통공(210) 주변의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면 중간부위에 상기 하우징(2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벽체로 이루어진 상기 돌출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를 이룰 수 있는 벽체의 내측에 상기 삽입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20)를 이룰 수 있는 벽체의 내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221)에 상기 광소자(1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면 상부에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2개의 상부 고정바(21)가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부 고정바(21)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 전측이 삽입고정되는 상부 고정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면 하부에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2개의 하부 고정바(22)가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하부 고정바(22)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하부 전측이 삽입고정되는 하부 고정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홈(211)과 상기 하부 고정홈(221)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 전측과 하부 전측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상기 상부 고정바(21)의 전측부의 반대측인 후측부 내측면과 2개의 상기 하부 고정바(22)의 전측부의 반대측이 후측부 내측면에 각각 경사면(212, 222)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12, 222)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사면(212, 222)은 각각 상기 상부 고정홈(211)의 내측방향 및 하부 고정홈(221)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가 상기 하우징(2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각틀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유입받지턱(23)이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우레탄, 실리콘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상기 상부 고정바(21)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부 전측에 LED 등의 발광부재(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00)는 상기 광소자(11)를 이룰 수 있는 발광소자가 빛을 발광 또는 상기 광소자(11)를 이룰 수 있는 수광소자가 빛을 수광할 시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100)의 빛의 발광유무에 따라 작업자가 상기 광소자(11)의 발광 또는 수광 여부를 용이하게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커버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일부절개결합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내측에는 수용홈(4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410)의 전측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의 수용홈(410)의 상부에 2개의 상부 고정판(41)이 상기 커버(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상부 고정판(41)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단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단부 후측이 삽입고정되는 상부 고정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40)의 수용홈(410)의 하부에 2개의 상기 하부 고정판(42)이 상기 커버(4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상기 하부 고정판(42) 사이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하단부 전측의 반대측인 하단부 후측이 삽입고정되는 하부 고정홈(4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고정홈(411)과 상기 하부 고정홈(421)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0)의 상단부 후측과 하단부 후측이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상기 상부 고정판(41)의 전측부 내측면과 2개의 상기 하부 고정판(42)의 전측부 내측면은 각각 상기 커버(4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만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의 유입방지턱(23)이 상기 커버(40)의 수용홈(410)의 전측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커버(40)의 전측 내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후측부에 상기 커버(40)의 전측부가 접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일측 단차홈(240)과 상기 타측 단차홈(250)에는 상기 제 1걸림고정편(260)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제 2걸림고정편(265)이 상기 하우징(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 2걸림고정편(265) 사이마다 상기 제 1걸림고정편(26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커버(4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상기 하우징(20)의 일측 단차홈(240) 및 타측 단차홈(250)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2걸림고정날개(275)가 상기 커버(4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걸림고정날개(275)의 내측에는 상기 커버(40)의 제 2걸림고정편(265)이 수용된 상태로 걸림고정되는 제 2걸림고정홈(277)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하우징, 윈도우부 및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결합측면도이고, 도 14는 실링사출물이 인서트 사출성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 도 13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상부에 덮개(400)가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덮개(400)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덮개(400)의 일측 외부방향 및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끼움돌기(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4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덮개(400)의 끼움돌기(401)가 끼움고정되는 끼움홈(4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400)는 우레탄,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진 인디게이트 사출물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재(100)의 빛이 보다 더욱 높은 효율로 상기 덮개(400)를 투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 또는 반투명한 인디게이트 사출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링사출물(50)은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 상기 윈도우부(30) 및 상기 커버(40)의 틈새(C1, C2, C3, C4, C5, C6, C7, C8)에 인서트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20)의 전측 단차홈(23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C1, C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일측과 상기 커버(40)의 상부 일측 사이 및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타측과 상기 커버(40)의 상부 타측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C3)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일측 사이 및 상기 하우징(20)의 하부 타측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타측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C4)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윈도우부(30)의 일측과 상기 커버(40)의 전측부 일측 사이 및 상기 윈도우부(30)의 타측과 상기 커버(40)의 전측부 타측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C5)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20)의 상부 후측과 상기 덮개(400)의 전측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6)인 상부 단차부(280)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덮개(400)의 하부 일측과 상기 커버(40)의 상부 일측 사이 및 상기 덮개(400)의 하부 타측과 상기 커버(40)의 상부 타측 사이에 각각 형성되는 틈새(C7)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실링사출물(50)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수지는 상기 하우징(20)의 하부 후측과 상기 커버(40)의 하부 전측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C8)로 유입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40)의 후측부 하부에 상기 커버(40)와 연통되는 가이드관(420)이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관(420)을 내측에 수용하는 캡부재(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60)는 일예로, 상기 가이드관(420)을 내측에 수용하는 마감캡(610)과; 상기 마감캡(610)의 상부 가장자리에 수평형성되어 상기 가이드관(420) 주변의 상기 커버(40)의 후측부 하부에 밀착고정되는 고정판(6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캡부재(60)는 우레탄, 실리콘 등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로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사출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10)과 연결되는 전선 등의 연결라인(3)은 상기 캡부재(60)의 마감캡(610)과 상기 가이드관(420)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커버(40)의 내측으로 기밀 및 수밀하게 인입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0), 하우징(20), 윈도우부(30) 및 커버(40)를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20), 윈도우부(30) 및 커버(40) 사이의 틈새(C1, C2, C3, C4, C5, C6, C7)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상기 실링사출물(50)로 인해 방수 및 방진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인쇄회로기판, 20; 하우징,
30; 윈도우부, 40; 커버,
50; 실링사출물.

Claims (6)

  1. 전측부에 광소자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후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관통공과, 후측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고 상기 광소자가 삽입고정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의 전측부를 커버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윈도우부와;
    전측부가 개방형성되는 수용홈내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삽입고정되는 상부 고정홈 및 하부 고정홈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에 전측부가 접합 상태로 고정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 상기 윈도우부 및 상기 커버 사이의 틈새에 인서트 사출성형되는 실링사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측면에 양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관통공이 중앙부에 관통형성되는 전측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 및 타측면에 각각 전후측으로 개방형성되는 일측 단차홈 및 타측 단차홈이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는 배면이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전측 단차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커버는 전측부가 상기 하우징의 후측부에 밀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의 일측 단차홈의 상측과 하측 및 상기 타측 단차홈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틈새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고정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일정깊이의 상부 단차부가 단차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은 후측에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경 또는 대각선 길이가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의 상부와 하부에 상부홈 및 하부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측 단차홈의 일측과 타측에 일측 단차부 및 타측 단차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의 배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전측 단차홈의 상부홈 및 하부홈에 삽입되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윈도우부의 배면의 일측과 타측에 상기 전측 단차홈의 일측 단차부 및 타측단차부에 삽입되는 일측 돌출부 및 타측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공 주변의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 부위에 상기 하우징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벽체로 이루어진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내측에 상기 광소자가 삽입되며,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와 하부가 고정되는 상부 고정홈 및 하부 고정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측면의 가장자리에 상기 실링사출물을 인서트 사출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수지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입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KR1020190085013A 2019-07-15 2019-07-15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KR10203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13A KR102038520B1 (ko) 2019-07-15 2019-07-15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5013A KR102038520B1 (ko) 2019-07-15 2019-07-15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520B1 true KR102038520B1 (ko) 2019-10-30

Family

ID=6846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5013A KR102038520B1 (ko) 2019-07-15 2019-07-15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5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281A (ja) * 2001-08-22 2003-03-05 Ricoh Co Ltd 光コネクタ、光ダミーコネクタおよび光インタコネクション装置
JP2005285500A (ja) * 2004-03-29 2005-10-13 Keyence Corp 光電センサー、投光装置及び光電センサー用の回帰反射型ミラー
JP2007073417A (ja) * 2005-09-08 2007-03-22 Omron Corp 光電センサ
KR101929622B1 (ko) 2016-10-21 2018-12-17 광전자 주식회사 렌즈 일체형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한 방수 기능 광센서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6281A (ja) * 2001-08-22 2003-03-05 Ricoh Co Ltd 光コネクタ、光ダミーコネクタおよび光インタコネクション装置
JP2005285500A (ja) * 2004-03-29 2005-10-13 Keyence Corp 光電センサー、投光装置及び光電センサー用の回帰反射型ミラー
JP2007073417A (ja) * 2005-09-08 2007-03-22 Omron Corp 光電センサ
KR101929622B1 (ko) 2016-10-21 2018-12-17 광전자 주식회사 렌즈 일체형 플라스틱 사출물을 이용한 방수 기능 광센서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76848B2 (en) Optical sensor employing an injection-molded casing
JP5644563B2 (ja) コネクタ
US6629619B2 (en) Waterproof structure of electrical junction box
CN109103679B (zh) 防水连接器
US9476978B2 (en) Photosensor unit
US6159047A (en) Electrical connector
US4402110A (en) Lens cap holder for attachment to circuit boards having a plastic inverted U-shaped hinge
KR102038520B1 (ko) 방수형 광센서 패키지구조
JP4396548B2 (ja) 防水コンセント
US7748756B2 (en) Lock mechanism
US10686095B2 (en) Photoelectric sensor
JP2002075519A (ja) 防水コネクタ
JP6904285B2 (ja) 限定反射型センサ
KR101887930B1 (ko) 스마트키 차량용 도어핸들 안테나 및 스위치 모듈
TWM568379U (zh) Shield assembly
JP3862743B2 (ja) 多光軸光電センサ
JP7054491B2 (ja) 長尺led発光体の筐体端部におけるキャップ構造
JP3980522B2 (ja) ポットの化粧パネル取付け構造
JP3736536B2 (ja) 光電センサ
JP2000251595A (ja) 多光軸光電スイッチ
CN110780277A (zh) 光传感器
KR20200108700A (ko) 커넥터 일체형 반사형 광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N220606300U (zh) 一种密封盒及水池清洁机
JP3393505B2 (ja) コネクタ逆付け防止構造
CN218352490U (zh) 一种光电开关内部组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