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058B1 -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058B1
KR102038058B1 KR1020180172118A KR20180172118A KR102038058B1 KR 102038058 B1 KR102038058 B1 KR 102038058B1 KR 1020180172118 A KR1020180172118 A KR 1020180172118A KR 20180172118 A KR20180172118 A KR 20180172118A KR 102038058 B1 KR102038058 B1 KR 10203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nhole
base
coupled
composite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성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성기업
Priority to KR102018017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10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 F23J2217/102Intercepting solids by filters electrosta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구비되어 작업자 또는 자재가 집진기의 내부로 출입하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맨홀을 보호하기 위한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기 내벽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 내부에 표류중인 황(SOx)이 혼합된 배기가스가 상기 맨홀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전기 집진기 내부온도를 유지시키는 단열성 및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응축수가 전기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습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전기 집진기에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맨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집진기의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출입구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결합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결합되어 재(Ash)가 혼합된 배기가스가 상기 맨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Composite gate for manhole protection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에 구비되어 작업자 또는 자재가 집진기의 내부로 출입하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맨홀을 보호하기 위한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집진기 내벽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 내부에 표류중인 황(SOx)이 혼합된 배기가스가 상기 맨홀에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부식을 방지하고, 전기 집진기 내부온도를 유지시키는 단열성 및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응축수가 전기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방습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에 관한 것이다.
석탄을 원료로 전기를 발생하는 화력 발전소는 통상적으로 석탄을 미세한 크기의 미분탄으로 분쇄하여 미분탄 주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미분기와, 미분탄 주공급관을 통해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 미분탄 주공급관을 통해 이송되는 미분탄과 공기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연소시키는 보일러, 보일러에서 생성된 배기가스로부터 석탄회(fly ash)를 수집하는 전기 집진기 및 전기 집진기를 거친 배기가스로부터 황을 제거하는 탈황설비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 집진기는 배기가스에서 석탄회를 제거하는 용도로 구성되어 있으나 배열상 탈황설비의 전에 배치되기 때문에 황(SOx)에 의한 부식의 문제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기 집진기는 내부 구성 중 배기가스와 접촉하는 구성은 보통 부식방지처리를 한 금속, 일 예로 스테인레스강을 소재로 하여 형성하나,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은 부식방지처리인 부동태 피막(Passivity Layer)을 파괴하고 재생을 방해하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 후 각 부품의 부식 상태를 확인하고 교체가 필요한 부분을 교체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기 집진기는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출입구가 형성되고 평소에는 상기 출입구를 폐쇄하고 필요시 개방하여 작업자 및 자재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는 대형의 전기 집진기에서 통상 맨홀(Manhole)이라고 지칭되고 있는 것으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맨홀로 통칭하도록 한다.
상기 맨홀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해당 위치에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것으로, 각각의 맨홀은 배기가스와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부동태피막이 처리된 스테인레스 강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고, 여기에 전기 집진기 내부와 외부의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및 응축수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열재가 구비된 별도의 커버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버는 맨홀의 전체를 감싸며 배치되며, 내부에 전기 집진기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단열재가 배치되는 것으로, 전기 집진기의 외벽 또는 맨홀의 외측면에 배치된다.
그러나, 화력 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전기 집진기는 용량에 따라 복층 구조를 가지는 대형 구조물이기 때문에 고층 높이에 설치되는 맨홀 및 커버를 설치하거나 교체하기 위해서는 매번 크레인 등과 같은 중장비가 필요하고, 특히 커버의 경우 내부에 구비된 단열재 및 기밀과 방습을 위한 구조 때문에 자체 무게가 80Kg 이상이기 때문에 인력으로 교체하거나 운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 집진기의 내부와 연통된 출입구의 단부를 개폐하는 맨홀은 상시적으로 황이 포함된 배기가스에 노출되기 때문에 부식에 따른 교체 주기가 짧아 빈번한 교체 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교체 작업은 맨홀 및 커버를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맨홀의 부식을 방지하고, 커버의 교체 및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커버를 통해 기대하는 단열, 방습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적극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339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배치되어 황이 포함된 배기가스가 맨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여 맨홀의 부식을 방지하고,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단열층이 구비되어 단열성을 높일 수 있는 기대 효과가 있고, 나아가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작업자 및 자재의 운반을 위해 분리된 후 재결합의 용이성을 향상시킨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전기 집진기에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맨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집진기의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출입구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결합수단;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결합되어 재(Ash)가 혼합된 배기가스가 상기 맨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배치된 방향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이 전기 집진기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재적층방지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는,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차이에 의한 결로 또는 응축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층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층은,
실리카(silica)소재로 형성된 판상의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단열섬유로 형성된 외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결합수단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의 출입구 테두리와 자력(磁力)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결합면와,
상기 결합면와 전기 집진기의 내벽 사이에 도포되는 점착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는,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서 이탈시 전기 집진기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은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에 결합된 추락방지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락방지부재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에 결합된 탄성스프링 또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에 결합된 체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전기 집진기의 내부에서 이동하는 배기가스가 맨홀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맨홀의 부식을 최소화하고,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으로써 집진 효율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전기 집진기 내벽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여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의 착탈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이하, ‘게이트’라 약칭함)(1)는, 베이스(10)와, 결합수단(20)과, 손잡이(30)를 포함하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게이트(1)는 전기 집진기(100)의 내벽(1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10)는, 판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전기 집진기(100)에 형성된 출입구(110)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출입구(110)의 테두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110~120%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베이스(10)의 테두리가 출입구(110)의 테두리 전체를 감싸며 배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10)는 전기 집진기(100)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 차이에 의한 결로 또는 응축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 집진기 내부 온도가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층(12)이 더 구비되는데, 상기 단열층(12)은 판상의 보온재(13)와, 상기 보온재(13)를 감싸며 배치되는 외피(14)로 구성된다.
상기 판상의 보온재(13)는, 낮은 열 전도성, 높은 전기 절연성 그리고 1000℃의 높은 온도에 노출 가능한 특성을 지닌 것을 소재로 하여 형성되되 바람직하게는 실리카(silica)를 소재로 하여 형성된다.
상기 실리카는 알려진 바와 같이, 대부분의 케미컬에 대한 내화학성이 우수하며, 진동 및 충격에 대한 환충력을 가지고, 흡음력이 우수하며, 상술한 낮은 열 전도성, 높은 전기 절연성 그리고 순간온도 1700℃, 단기 사용 온도 1200℃, 지속 온도 1000℃에서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실리카를 이용한 판상의 보온재(13)는 전기 집진기 내부의 온도가 120~160℃, 바람직하게는 150℃를 유지하도록 하여, 전기 집진기 내부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재(Ash)가 습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전기 집진기의 내부는 상시적으로 일정한 온도를 유지해야만 배기가스에 포함된 재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의해서 내부 온도가 변화되면 집진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보온재(13)를 통해서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가 외부 환경에 특히, 외부 온도에 의해서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집진 효율을 높이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외피(14)는 상기 판상의 보온재(13)를 감싸며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점토질이 적어도 18%이상 함유된 친환경적인 소재로 형성되어 인체에 흡입 시 생분해되는 특성을 가지며 고온(1100~1300℃)에서 사용이 가능한 단열섬유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단열섬유는 AES(Alkaline Earth Silicate)계열의 섬유를 사용하되, 이는 상술한 조건, 즉 1100~1300℃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성형이 용이한 장점을 갖고 친환경적인 소재로서,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에 의해서 탄화되지 않고, 인체에 흡입되어도 생분해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단열섬유의 일 예로서, 시중에서 수퍼울(Superwool)이라는 상표로 판매되는 단열섬유가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는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맨홀(200)과의 사이에 소정의 면적을 갖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공간은 전기 집진기 내부 온도와 맨홀의 외측 즉, 외부 온도와의 온도 차이를 완충시키는 완충공간(40)이다.
상기 완충공간(40)은 외부 온도에 의해 맨홀 자체의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전기 집진기 내부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화력 발전소의 경우 냉각시스템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바닷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데, 바닷가는 계절 또는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가 내륙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이러한 온도의 변화가 맨홀의 온도도 급격 및 지속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여기서 맨홀은 금속재를 소재로 하여 형성되기 때문에 외부 온도에 의해서 그 자체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따라서 이러한 온도의 변화는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베이스(10)와 맨홀(200) 사이에 형성된 완충공간(40)을 통해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가 베이스(10)를 통해 전이되고 외부 온도가 맨홀(200)을 통해 전이되어 양 공간에서 전이된 온도가 상호 혼합되어 적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 맨홀(200)의 외부를 덮는 형태로 단열재가 배치되는데, 상기 단열재를 통해 전이된 외부 온도가 전기 집진기 내부 온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집진 효율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완충공간(40)을 통해 외부 온도가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기 집진기의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베이스(10)는 배치된 방향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이 전기 집진기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재적층방지 경사면(11)이 더 형성되는데,
상기 제적층방지 경사면(11)은 전기 집진기 내부를 통해 이동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재가 베이스(10)의 상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경사진 면을 따라 전기 집진기 내부로 낙하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를 전기 집진기(100)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100)의 출입구(110) 테두리와 자력(磁力)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자석(21) 또는 상기 베이스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결합면과, 상기 결합면과 전기 집진기의 내벽 사이에 도포되는 점착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모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자석(21)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일부가 내입된 상태에서 고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자석(21)은 외측으로 노출된 면이 출입구의 테두리 또는 상기 출입구(110)를 형성하는 프레임과 자력에 의해 결합하고, 베이스(10)를 전기 집진기의 내벽으로부터 이탈시 작업자가 전기 집진기측으로 베이스를 가압함으로써 상호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결합자석은 다수개가 다양한 배치로 베이스에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개수 및 위치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20)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결합면(22)과, 상기 결합면(22)과 전기 집진기 내벽 사이에 도포되는 점착제(23)가 있다.
상기 결합면(22)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의 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톱니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베이스(10)와 전기 집진기의 내벽이 맞닿을 때 상기 결합면(22)이 압착되면서 양 부재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점착제(23)가 베이스(10)와 전기 집진기의 내벽 사이에 도포되어 양 부재를 상호 점착시키고 동시에 기밀성과 수밀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점착제(23)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러버(rubber) 점착제,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 점착제, 핫멜트 점착제, 용제형 점착제, 에멀젼형 점착제 등이 있고, 본 발명에서는 양 부재 상호간의 신축, 진동, 변형을 흡수 완화하기 위한 고무상의 물질 또는 연질 혹은 고점도의 액상 고무 조성물 즉, 러버계 점착제 중의 하나인 실런트(sealant)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0)에는,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서 이탈시 전기 집진기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은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추락방지부재(15)가 더 구비된다.
상기 추락방지부재(15)는, 작업자 및 자재가 전기 집진기의 내측으로 인입되기 위해서 베이스(10)를 전기 집진기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베이스(10)가 이탈과 동시에 전기 집진기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기 집진기의 내부 구성 또는 베이스가 손상 또는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아가 요구된 유지 보수 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베이스(10)를 전기 집진기에 재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추락방지부재(15)를 당긴 후 베이스(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킨 후 상술한 결합수단(20) 중 점착제(23)를 양 부재 사이에 도포함으로써 베이스(10)를 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베이스(10)의 재사용이 용이하며, 특히 사용수명이 남아 있는 베이스(10)를 재사용함으로써 유지 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교체가 요구되는 베이스(10)의 경우에도 수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러한 추락방지부재(15)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탄성스피링(151) 또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체인(152) 중 어느 하나이거나 모두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락방지부재(15)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한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형태 및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손잡이(30)는 베이스(10)를 전기 집진기로부터 이격 또는 결합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파지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10 : 베이스
11 : 재적층방지 경사면 12 : 단열층
13 : 보온재 14 : 외피
15 : 추락방지부재
151 : 스프링 152 : 체인
20 : 결합수단
21 : 결합자석 22 : 결합면
23 : 점착제
30 : 손잡이
40 : 완충공간
100 : 전기 집진기 110 : 출입구
120 : 내벽 200 : 맨홀

Claims (7)

  1. 화력발전소의 전기 집진기에서 작업자 또는 자재가 출입하도록 형성된 출입구를 개폐하는 맨홀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기 집진기의 출입구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출입구의 테두리를 덮도록 형성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다수개가 배치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는 결합수단(20);과,
    상기 베이스(10)에 배치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전기 집진기(100)의 내벽에 결합되어 재(Ash)가 혼합된 배기가스가 상기 맨홀(200)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베이스(10)에는,
    전기 집진기의 내벽에서 이탈시 전기 집진기의 내부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단은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추락방지부재(15)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배치된 방향에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단이 전기 집진기의 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진 재적층방지 경사면(1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는,
    전기 집진기의 내부 온도와 외부 온도의 차이에 의한 결로 또는 응축수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층(12)이 더 구비되되,
    상기 단열층(12)은,
    실리카(silica)소재로 형성된 판상의 보온재(13)와,
    상기 보온재(13)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단열섬유로 형성된 외피(1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0)은,
    다수개가 상호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어 전기 집진기(100)의 출입구 테두리와 자력(磁力)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자석(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20)은,
    상기 베이스(10)의 일면에 연속적으로 형성된 톱니 형태의 결합면(22)과,
    상기 결합면(22)과 전기 집진기의 내벽 사이에 도포되는 점착제(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락방지부재(15)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탄성스프링(151) 또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맨홀(200)에 결합된 체인(152)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KR1020180172118A 2018-12-28 2018-12-28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KR10203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118A KR102038058B1 (ko) 2018-12-28 2018-12-28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118A KR102038058B1 (ko) 2018-12-28 2018-12-28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058B1 true KR102038058B1 (ko) 2019-11-26

Family

ID=6873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118A KR102038058B1 (ko) 2018-12-28 2018-12-28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05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959U (ko) * 1987-01-14 1988-07-19
JPH0624753U (ja) * 1992-08-31 1994-04-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気集じん装置
KR960002869Y1 (ko) * 1990-11-02 1996-04-09 아쯔마 텍코 가부시끼가이샤 분진 배출 장치
JP2001072182A (ja) * 1999-09-07 2001-03-21 Furukawa Co Ltd マンホール
KR200325893Y1 (ko) * 2003-05-29 2003-09-13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의 방수 구조
JP3448271B2 (ja) * 1999-11-02 2003-09-22 伸興産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
KR20060019297A (ko) * 2004-08-27 2006-03-03 유근호 맨홀 뚜껑의 결속장치
KR100607571B1 (ko) * 2003-11-14 2006-08-01 (주) 시흥 전기통신용 맨홀의 인너 커버
KR20130010523A (ko) * 2011-07-19 2013-01-29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배열회수보일러의 맨홀
JP2015124602A (ja) * 2013-12-27 2015-07-06 有限会社エマージェンシー 地下構造物
KR101833390B1 (ko) 2017-09-07 2018-02-28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화력발전소의 연소가스 처리공정에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과열증기를 이용한 순환 필터링 시스템
KR20180024978A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11959U (ko) * 1987-01-14 1988-07-19
KR960002869Y1 (ko) * 1990-11-02 1996-04-09 아쯔마 텍코 가부시끼가이샤 분진 배출 장치
JPH0624753U (ja) * 1992-08-31 1994-04-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気集じん装置
JP2001072182A (ja) * 1999-09-07 2001-03-21 Furukawa Co Ltd マンホール
JP3448271B2 (ja) * 1999-11-02 2003-09-22 伸興産業株式会社 マンホール蓋
KR200325893Y1 (ko) * 2003-05-29 2003-09-13 한국전력공사 맨홀뚜껑의 방수 구조
KR100607571B1 (ko) * 2003-11-14 2006-08-01 (주) 시흥 전기통신용 맨홀의 인너 커버
KR20060019297A (ko) * 2004-08-27 2006-03-03 유근호 맨홀 뚜껑의 결속장치
KR20130010523A (ko) * 2011-07-19 2013-01-29 비에이치아이 주식회사 배열회수보일러의 맨홀
JP2015124602A (ja) * 2013-12-27 2015-07-06 有限会社エマージェンシー 地下構造物
KR20180024978A (ko) * 2016-08-31 2018-03-08 주식회사 기남금속 맨홀의 방수용 속뚜껑
KR101833390B1 (ko) 2017-09-07 2018-02-28 주식회사 한국테크놀로지 화력발전소의 연소가스 처리공정에서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과열증기를 이용한 순환 필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8058B1 (ko) 전기 집진기의 맨홀 보호용 복합 게이트
WO2018021682A1 (ko) 중ㆍ저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리를 위한 밀폐형 플라즈마 용융로
TW200500574A (en) Exhaust gas processing device ,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20200128944A (ko) 태양전지 모듈 해체 장치 및 해체 방법
CN103521017B (zh) 用于生石灰消化系统的除尘装置
CN101357283B (zh) 一种配带快速压紧件的防污染的过滤器排架
CN102937186B (zh) 一种烧结环冷机台车动密封装置
CN205023409U (zh) 输煤系统除尘装置
CN204141589U (zh) 焚烧炉的炉门结构
KR200489034Y1 (ko) 원료 수송용 슈트의 라이너 조립체
CN117804243A (zh) 一种黄磷生产排渣烟气回收装置
CN208751265U (zh) 一种回转窑窑头密封装置
CN201978816U (zh) 含有分体式阳极板的电除尘器
CN203498311U (zh) 地面除尘系统超压泄爆装置
KR102315240B1 (ko) 회처리 설비용 철편 분리 장치
CN221098656U (zh) 一种环保型锅炉烟道
CN104924447A (zh) 制砖搅拌防扬尘结构
KR100911471B1 (ko) 전기집진기의 방전극 절연 지지장치
CN107990704A (zh) 一种防止旋转窑窑尾漏风的密封技术
JP4753091B2 (ja) 廃棄物の減容方法
CN205042613U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阳极模块间密封连接结构
CN204746593U (zh) 高温静电除尘器
CN219238635U (zh) 一种锂电专用无尘投料站
CN212083972U (zh) 一种脱硫撬用plc控制装置
CN213222673U (zh) 一种破碎机的除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