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858B1 - 압력 감지식 점적기 - Google Patents

압력 감지식 점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858B1
KR102037858B1 KR1020180018050A KR20180018050A KR102037858B1 KR 102037858 B1 KR102037858 B1 KR 102037858B1 KR 1020180018050 A KR1020180018050 A KR 1020180018050A KR 20180018050 A KR20180018050 A KR 20180018050A KR 102037858 B1 KR102037858 B1 KR 10203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hemical liquid
measuring tube
airway
pressur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8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967A (ko
Inventor
김권태
Original Assignee
김권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태 filed Critical 김권태
Priority to KR1020180018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858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DVETERINARY INSTRUMENTS, IMPLEMENTS, TOOLS, OR METHODS
    • A61D7/00Devices or methods for introducing solid, liquid, or gaseous remedies or other materials into or onto the bodies of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1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 A61M2025/0002Catheters; Hollow probes for pressure measurement with a pressure sensor at the distal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50/00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Zo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감지식 점적기에 관한 것으로,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투입관에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압력 변화의 감지 여부에 따라 투입관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투입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촬영 장치 등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압력 변화 측정만으로 투입관을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장치의 크기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약액 투입관을 약액 공급 유닛과는 분리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 조작하는 구성요소가 매우 단순화되고 경량화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피로도가 경감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 감지식 점적기{Pressure Instillator}
본 발명은 압력 감지식 점적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투입관에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압력 변화의 감지 여부에 따라 투입관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투입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촬영 장치 등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압력 변화 측정만으로 투입관을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장치의 크기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약액 투입관을 약액 공급 유닛과는 분리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 조작하는 구성요소가 매우 단순화되고 경량화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피로도가 경감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의약품과 농약 등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적용하는 임상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설치류(mouse & rat)와 영장류(monkey)와 같은 시험동물을 주대상으로 실시하는 전임상(비임상) 시험을 수행하며, 일반동물 등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흡입물질로서 시험물질과 치료제를 동물들에게 투여하기 위하여 경구투여와 미정맥투여 및 흡입투여 방법 등을 이용한다.
흡입투여 방법 중에서 점적법에 의한 시험동물 대상의 전임상시험과 일반동물의 호흡기 치료를 목적으로 액체상태의 흡입시험물질과 치료제를 각각 일정량 동물의 기도 내부로 점적 투여하기 위하여 점적기(點滴機)가 사용되고 있다.
점적법으로 흡입물질을 투여하려면 먼저 후두경 또는 내시경 등을 통하여 동물의 기도를 충분히 확보한 후, 주사기 또는 튜브 등과 같은 점적도구를 이용하여 기도 내에 흡입물질을 점적 투여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의 점적 투여 방식은 기도를 확보하기 위한 장치와 점적 도구가 각각 필요하고, 특히, 기도확보 과정과 흡입물질 투여작업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면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동물의 기도내부로 흡입물질을 정확하게 투여하는 과정이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는 가이드부의 선단에 카메라를 장착하고, 가이드부가 기도 내에 정확히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보고 판단하는 점적기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카메라를 이용한 시각적인 방식은 촬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가 필요하고, 가이드부를 기도 내에 삽입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촬영 영상을 주의깊게 관찰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고가의 카메라 장비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 또한 상당한 크기를 가져야하므로, 제작이 어렵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장치의 크기 및 중량이 커서 세밀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11588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투입관에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압력 변화의 감지 여부에 따라 투입관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투입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촬영 장치 등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압력 변화 측정만으로 투입관을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장치의 크기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약액 투입관을 약액 공급 유닛과는 분리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 조작하는 구성요소가 매우 단순화되고 경량화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피로도가 경감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약액을 투입하도록 조작하더라도 약액이 투입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오조작의 경우에도 약액의 잘못된 투입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약액 투입을 가능하게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여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압력 측정관; 상기 압력 측정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측정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 동물의 기도 내부로 약액을 투여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측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약액 투입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량의 약액을 상기 약액 투입관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력 측정관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원주면 일측에는 상기 압력 게이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약액 투입관은 상기 압력 측정관의 폐쇄된 일단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압력 측정관의 개방된 일단 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측정관은, 일단이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확관부의 원주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액 공급 유닛은,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약액 투입관으로 배출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 및 상기 시린지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펌프 및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압력 측정관에 결합되는 약액 투입관은 상기 시린지 펌프와 별도의 약액 공급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시린지 펌프와 별도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게이지는 상기 압력 측정관에 별도의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상기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별도의 알림 표시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약액 공급 유닛에 의한 약액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약액 공급 유닛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투입관에 압력 게이지를 연결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압력 변화의 감지 여부에 따라 투입관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투입된 것인지 판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별도의 카메라 촬영 장치 등을 장착하지 않더라도 압력 변화 측정만으로 투입관을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고 장치의 크기 및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되는 약액 투입관을 약액 공급 유닛과는 분리된 형태로 독립적으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동물 인후부의 기도 내에 삽입 조작하는 구성요소가 매우 단순화되고 경량화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조작이 편리하고 피로도가 경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조작부를 통해 약액을 투입하도록 조작하더라도 약액이 투입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수나 부주의로 인한 오조작의 경우에도 약액의 잘못된 투입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약액 투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압력 측정관 부분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구성을 기능별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압력 측정관 부분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구성을 기능별로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폐 호흡시 기도 내의 압력 변화를 감지하여 약액 투입관을 기도 내에 정확히 삽입할 수 있는 장치로서, 압력 측정관(100)과, 압력 게이지(200)와, 약액 투입관(400)과, 약액 공급 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측정관(100)은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여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 측정관(100)은 중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동물의 인후부로부터 기도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경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험동물의 기도 형태에 따라 곡선형 또는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게이지(200)는 압력 측정관(1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압력 측정관(100) 내부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력 게이지(200)는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방식의 일반적인 압력 게이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압력 게이지(200)를 통해 압력 측정관(100) 내부 압력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측정 정확도가 고도할 필요가 없고 상대적으로 낮은 정확도를 갖는 압력 게이지면 충분하다.
약액 투입관(400)은 동물의 기도 내부로 약액을 투여할 수 있도록 압력 측정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약액 공급 유닛(3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량의 약액을 약액 투입관(400)에 공급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압력 측정관(100)을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시켜 기도 내부에 삽입하여 기도를 확보하고, 이 상태에서 약액 공급 유닛(300)을 작동시켜 일정량의 약액을 약액 투입관(400)에 공급하면, 약액 투입관(400)으로부터 일정량의 약액이 기도 내부로 투여된다.
이때, 약액 투입관(400)은 압력 측정관(100)의 내부에 위치하므로, 압력 측정관(100)이 정상적으로 기도 내에 삽입되면, 약액 투입관(400) 또한 기도 내에 삽입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약액 투입관(400)을 통해 약액을 투입하면, 투입된 약액은 기도 내부에 투입되게 된다.
따라서, 약액 투입관(400)을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투입하기 위해서는 압력 측정관(100)을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투입해야 하는데, 동물의 인후부에서 식도와 기도가 매우 인접하게 위치하므로, 압력 측정관(100)을 식도가 아닌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투입하기가 육안을 통해서는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이 약액 투입관(400)이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투입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도 확보용 가이드부 끝단에 카메라 등을 설치한 방식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카메라 촬영 방식의 경우, 장치의 크기 및 중량이 증가하고 제작 비용이 증가하며, 사용자의 조작이 어려워 불편함이 많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카메라 촬영 방식이 아니라 기도 내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여 압력 변화가 발생한 경우 약액 투입관(400)이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이러한 판단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약액이 기도 내로 일정량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치류 또는 영장류 등은 폐의 압력 변화로 호흡하기 때문에, 호흡 과정에서 기도 내에서는 압력 변화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호흡 과정에서 기도 내의 압력 변화는 최대 900hpa 정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실험 결과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내부에 약액 투입관(400)이 배치된 압력 측정관(100)을 마련하고, 압력 측정관(100)의 일측에 압력 측정관(10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 압력 게이지(200)을 연결함으로써,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된 경우, 동물의 호흡에 의해 압력 측정관(100) 내의 압력이 변화하게 되고, 사용자는 압력 측정관(100)의 압력 변화 상태를 압력 게이지(2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확인한 후, 약액 투입관(400)을 통해 약액을 공급할 수 있다.
만약,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가 아닌 식도에 삽입된 경우라면, 식도 내부에서는 압력 변화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압력 측정관(100)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지 않아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부로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부로 삽입되도록 압력 측정관(100)의 삽입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복잡한 카메라 장치 등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단순히 압력 측정관(100)에 압력 게이지(200)를 연결하여 압력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압력 측정관(100) 및 약액 투입관(400)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고,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경우 약액 공급 유닛(300)을 작동시켜 약액 투입관(400)을 통해 약액을 기도 내에 투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의 세부 구성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본다.
압력 측정관(100)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면 일측에는 압력 게이지(2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포트(103)가 형성된다. 압력 측정관(100)의 일단은 개방되어 기도 내에 삽입되고, 타단은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며, 시험 동물의 호흡에 의한 기도 내의 압력 변화는 압력 측정관(100)의 개방된 일단부를 통해 압력 측정관(100) 내부로 전달되고, 이에 따른 압력 변화가 압력 게이지(200)에 전달되어 압력 변화값이 측정된다. 압력 측정관(100)의 연결 포트(103)와 압력 게이지(200)는 별도의 연결 호스(110)를 통해 연결되며, 연결 호스(11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압력 측정관(100)이 압력 게이지(200)와는 별도로 자유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압력 측정관(100)은 개방된 일단이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여 기도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가이드부(101)와, 가이드부(101)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가이드부(10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1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확관부(102)의 끝단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며, 압력 게이지(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포트(103)는 확관부(102)의 원주면 일측에 형성된다.
약액 투입관(400)은 압력 측정관(100)의 폐쇄된 일단에 관통 결합되어 압력 측정관(100)의 개방된 일단 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된다. 약액 투입관(400)의 일측 끝단에는 약액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약액이 공급되도록 별도의 약액 공급 호스(410)가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에 삽입되면, 시험 동물의 호흡 과정에서 기도 내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압력 변화는 압력 측정관(10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내부로 전달되고, 연결 포트(103) 및 연결 호스(110)를 통해 압력 게이지(200)로 전달되어 압력값이 측정된다. 이 상태에서, 약액 공급 유닛(300)을 작동시키면, 약액 공급 유닛(300)으로부터 약액 투입관(400)으로 약액이 공급되고, 공급된 약액은 약액 투입관(400)의 개방된 일단을 통해 기도 내부로 투여된다.
기도 내의 압력 변화가 압력 측정관(100)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 전달 흐름은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측정관(100)의 가이드부(101)를 통해 확관부(102)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태로 확관부(102) 내부 공간에 유지된다. 이러한 확관부(102)에 연결 포트(103)가 형성되어 압력 게이지(200)와 연결됨으로써, 압력 변화 상태가 확관부(102)를 통해 상대적으로 안정화된 상태에서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정확한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다. 만약, 가이드부(101)에 연결 포트(103)가 형성되면, 가이드부(101)에서 공기의 유동 속도가 빨라 압력 저항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압력값 측정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저하될 수 있다.
약액 공급 유닛(300)은,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330)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약액 투입관(400)으로 배출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310)와, 시린지 펌프(310)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액츄에이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액츄에이터(3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5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시린지 펌프(310)는 정량을 공급하는 펌프로서 실린더와 피스톤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일측에는 약액을 내부 공간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약액 흡입 포트(312)가 형성되고, 끝단에는 내부에 흡입된 약액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배출 공급 포트(311)가 형성될 수 있다. 약액 흡입 포트(312)에는 약액 흡입 호스가 연결되어 약액통(330)과 연결되고, 배출 공급 포트(311)에는 약액 투입관(400)의 일단에 결합되는 약액 공급 호스(410)가 연결된다. 약액 공급 호스(410)는 연성 재질로 형성되어 시린지 펌프(310)와는 별도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액츄에이터(320)는 시린지 펌프(310)의 피스톤을 전후 직선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솔레노이드 방식, 구동 모터를 이용한 스크류 이동 방식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액츄에이터(3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5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데, 조작부(500)는 사용자가 발로 밟는 형태의 가압 페달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시린지 펌프(310) 및 액츄에이터(3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지지 프레임(301)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지지 프레임(301)에는 압력 게이지(200) 또한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시린지 펌프(310), 액츄에이터(320) 및 압력 게이지(200)와 같이 상대적으로 중량이 큰 구성요소는 별도의 지지 프레임(301)에 결합 고정하고, 압력 측정관(100)은 압력 게이지(200)와 연성 재질의 연결 호스(110)로 연결되고, 약액 투입관(400)은 시린지 펌프(310)와 연성 재질의 약액 공급 호스(410)로 연결됨으로써, 사용자가 동물의 인후부에 삽입 조작하는 부위는 실질적으로 압력 측정관(100) 및 약액 투입관(400)만 존재하게 되므로, 조작 부위의 중량 및 크기가 작아 조작이 편리하고 더욱 정확한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시린지 펌프(310)를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으며, 액츄에이터(320)의 조절을 통해 약액의 투입량 및 투입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감지식 점적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압력 게이지(200)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를 별도의 알림 표시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7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을 압력 게이지(200)의 디스플레이부(210)를 통해 파악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제어부(600)를 통해 판단하고, 제어부(600)에 의한 판단 결과를 별도의 상태 표시부(700)에 의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태 표시부(700)는 제어부(600)의 판단 결과를 적색 또는 녹색 광을 출력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되지 않은 것이므로, 적색 광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고,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 변화량이 기준치 이상이면, 압력 측정관(100)이 기도 내에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이므로, 녹색 광이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조작부(5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320)를 작동시키도록 동작 제어하고, 아울러, 별도의 투여량 조절 스위치(51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320)를 동작 제어하여 약액의 투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약액 공급 유닛(300)에 의한 약액 공급이 차단되도록 약액 공급 유닛(300)을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여 액츄에이터(320)를 작동시키더라도,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액츄에이터(320)의 작동을 차단하도록 동작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을 실수로 잘못 인식하여 조작부(500)를 조작하거나 또는 부주의로 조작부(500)를 조작하게 되면, 압력 측정관(100) 및 약액 투입관(400)이 기도 내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약액 투입관(400)을 통해 약액이 토출되어 식도 등에 약액이 투입될 수 있다. 이러한 잘못된 약액 투입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600)는 압력 게이지(200)의 압력 측정값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이면, 사용자가 조작부(500)를 조작하더라도 액츄에이터(320)가 작동하지 않도록 동작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방식을 통해 더욱 안전하고 정확한 약액 투입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압력 투입관
101: 가이드부 101: 확관부
103: 연결 포트 110: 연결 호스
200: 압력 게이지
210: 디스플레이부
300: 압력 공급 유닛
310: 시린지 펌프 320: 액츄에이터
330: 약액통
400: 약액 투입관
410: 약액 공급 호스
500: 조작부
600: 제어부
700: 상태 표시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여 기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압력 측정관;
    상기 압력 측정관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압력 측정관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을 별도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는 압력 게이지;
    동물의 기도 내부로 약액을 투여할 수 있도록 상기 압력 측정관의 내부에 배치되는 약액 투입관;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량의 약액을 상기 약액 투입관에 공급하는 약액 공급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측정관은 일단이 개방된 중공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원주면 일측에는 상기 압력 게이지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 포트가 형성되며,
    상기 약액 투입관은 상기 압력 측정관의 폐쇄된 일단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압력 측정관의 개방된 일단 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상기 압력 측정관은
    일단이 동물의 인후부로 진입하도록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가이드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확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포트는 상기 확관부의 원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약액 공급 유닛은
    약액이 저장된 약액통으로부터 약액을 흡입하여 상기 약액 투입관으로 배출 공급하는 시린지 펌프; 및
    상기 시린지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의 조작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액츄에이터
    를 포함하고, 상기 시린지 펌프 및 액츄에이터는 별도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압력 측정관에 결합되는 약액 투입관은 상기 시린지 펌프와 별도의 약액 공급 호스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시린지 펌프와 별도로 자유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게이지는 상기 압력 측정관에 별도의 연결 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을 인가받고, 인가받은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별도의 알림 표시를 출력할 수 있는 상태 표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 압력 측정값의 변화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약액 공급 유닛에 의한 약액 공급이 차단되도록 상기 약액 공급 유닛을 동작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감지식 점적기.
KR1020180018050A 2018-02-13 2018-02-13 압력 감지식 점적기 KR10203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50A KR102037858B1 (ko) 2018-02-13 2018-02-13 압력 감지식 점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8050A KR102037858B1 (ko) 2018-02-13 2018-02-13 압력 감지식 점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67A KR20190097967A (ko) 2019-08-21
KR102037858B1 true KR102037858B1 (ko) 2019-10-29

Family

ID=67808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8050A KR102037858B1 (ko) 2018-02-13 2018-02-13 압력 감지식 점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96B1 (ko) * 2014-06-25 2016-02-16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흡입독성실험용 약물투여기
CN106422016A (zh) 2016-11-30 2017-02-22 四川大学 小鼠无创气管插管仪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6204A (en) * 1996-12-19 1999-05-25 Respiratory Support Products, Inc. Endotracheal pressure monitoring and medication system
KR100811588B1 (ko) 2007-03-26 2008-03-11 한국화학연구원 자동비디오점적기
WO2016073604A1 (en) * 2014-11-04 2016-05-12 Respiratory Motion, Inc. Respiratory parameter guided automated iv administration and iv tube clamp activ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4596B1 (ko) * 2014-06-25 2016-02-16 주식회사 두배시스템 흡입독성실험용 약물투여기
CN106422016A (zh) 2016-11-30 2017-02-22 四川大学 小鼠无创气管插管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967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49813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заимодействия с пациентом для дыхательной терапии
US9555186B2 (en) Infusion pump system with disposable cartridge having pressure venting and pressure feedback
JP6146875B2 (ja) 圧力調節注射器
KR101999938B1 (ko) 흐름 발생 시스템에서의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1612705B2 (en) System for assisting breathing and a patient set therefor
SE508440C2 (sv) Inspirationsslang
JP2014528813A5 (ko)
ITMO20080159A1 (it) Circuito fluido medicale.
JP2002515304A (ja) 圧力センサを備えた投与室を有する医療投与装置
CN106794323B (zh) 药物递送装置
KR20120050802A (ko) 화상 점적 투여기
CN111655324B (zh) 鼻内施用装置
US20200306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Humidity and Temperature Sensing to Verify Proper Nasogastric Tube Placement
KR20220088704A (ko) 약물 투여와 관련된 측정 파라미터 및 이를 통합하는 약물 투여 장치
US10161943B2 (en) Apparatus for administering fluid to a medical tube
RU2019105531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доставки лекарственного препарата в форме аэрозоля
KR102037858B1 (ko) 압력 감지식 점적기
US20160001001A1 (en) Ventilatory assist device
KR101259153B1 (ko) 화상 점적 투여기
US2022006257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Carbon Dioxide and Pressure Sensing to Verify Placement of Tube in Airway or Esophagus
CN210521513U (zh) 一种吸入式麻醉装置
CN112169124A (zh) 一种麻醉面罩以及麻醉方法
CA3110807A1 (en) Utilizing pressure measurements to detect reuse of patient lines
BR112020016006A2 (pt) Método de monitoramento de distribuição de um dispositivo de gotícula e de assistência
JP7490031B2 (ja) 放射性薬剤投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