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296B1 -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296B1
KR102037296B1 KR1020180014637A KR20180014637A KR102037296B1 KR 102037296 B1 KR102037296 B1 KR 102037296B1 KR 1020180014637 A KR1020180014637 A KR 1020180014637A KR 20180014637 A KR20180014637 A KR 20180014637A KR 102037296 B1 KR102037296 B1 KR 102037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magnet holder
rear wheel
axial direction
slid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296B9 (ko
KR20190094934A (ko
Inventor
김태환
심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포리텍
Priority to KR1020180014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29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4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4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96B1/ko
Publication of KR10203729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296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02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computing target steering angles for front or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60Y2400/3012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using Hall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후륜의 조타를 위해 모터의 회전운동을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된 상태로 전달받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조타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타축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홀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자석과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홀 소자;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홀 소자와 상기 마그네트 홀더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마그네트 홀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rear wheel detection device for steering angle}
본 발명은 후륜 조타각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륜 조타각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도록 하면서도 내구성이 개선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륜의 조타기구는 조타축과, 조타축을 구동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타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 등을 구비한다.
따라서 구동모터 회전운동을 제어함에 따라 후륜은 조타축의 왕복운동에 의해 조타각이 달라지게 된다.
또한 후륜의 조타기구는 후륜 조타각 감지장치를 통해 후륜의 조타각을 감지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후륜의 조타각 감지장치는 조타축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마련된 자석과, 조타축의 축방향 변위를 검출하기 위해 자석과 대향된 위치에 고정되는 홀 소자를 포함한다.
일본 특개평10-297524호
후륜 조타각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이 개선될 수 있게 마련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후륜의 조타를 위해 모터의 회전운동을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된 상태로 전달받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조타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타축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홀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자석과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홀 소자;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홀 소자와 상기 마그네트 홀더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마그네트 홀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상기 마그네트 홀더를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마그네트 홀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마그네트 홀더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이 깊이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의 길이보다 깊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구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 중앙에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개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면지지부;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상면지지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자석과 홀센서 사이의 에어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후륜 조타각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조타축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자석이 손상될 우려가 없게 되어 장치의 내구성도 개선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의 단면도로, 도 2와 다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에서 슬라이딩 블록과 마그네트 홀더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에서 슬라이딩 블록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에서 슬라이딩 블록이 회전방향으로 유동할 때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차량 후륜의 조타를 위한 조타축(1)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자석(10)과, 자석(10)에 대향하도록 고정된 홀 소자(20)를 구비한다.
조타축(1)은 양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면서 양쪽 후륜의 조타동작을 수행한다. 조타축(1)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은 감속기(미도시)를 통해 감속되고 동력전달기구(미도시)를 통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조타축(1)으로 전달 될 수 있다.
감속기로는 통상의 유성기어 감속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동력전달기구는 조타축(1)이 나사방식으로 결합하는 너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감속기에 의해 감속된 상태에서 너트로 전달되어 너트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이 제한된 상태에서 너트에 나사방식으로 결합된 조타축(1)은 너트의 회전방향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직선운동 하면서 한 쌍의 후륜의 조타각을 조절하게 된다.
이때 자석(10)은 조타축(1)과 함께 슬라이딩 하고, 홀 소자(20)는 자석(10)의 위치에 대향되는 조타축(1)의 둘레 일측에 고정되어 자석(10)과의 위치변화에 따른 자기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조타축(1)의 축방향 변위를 검출하게 된다.
따라서 후륜의 조타축 검출장치는 조타축(1)의 축방향 변위 정보에 따라 후륜의 조타각을 검출하고, 구동모터는 이와 같이 검출된 후륜의 조타각 정보를 기반으로 조타축(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모터와 감속기 및 동력전달기구는 통상적으로 후륜 조타구조에 채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조타축(1)에 결합되어 조타축(1)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블록(30)과, 슬라이딩 블록(30)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자석(10)을 구비하여 슬라이딩 블록(30)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홀더(40)와, 마그네트 홀더(4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홀 소자(20)와 마그네트 홀더(40)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50)와, 이와 같은 구성들의 수용을 위한 검출하우징(60) 및 검출커버(70)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하우징(60)은 차량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것으로, 저부 양단부와 상부가 개방된 중공으로 마련될 수 있다. 조타축(1)은 검출하우징(60)의 저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관통하도록 검출하우징(60) 저부에 결합되고, 검출하우징(60)의 저부 양단에는 조타축(1)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축지지공(61)이 마련될 수 있다.
검출하우징(60)의 상부 내측 공간은 상부로 개방된 설치공간(62)을 형성하고, 검출커버(70)는 설치공간(62)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검출하우징(60)에 고정볼트(101)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검출커버(70)와, 설치공간(62)의 개구 둘레에는 고정볼트(101)의 고정을 위한 고정홀(71,63)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0)과, 마그네트 홀더(40)와, 가이드부재(50)는 설치공간(62)에 수용되도록 조립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0)은 체결부재(102)를 통해 조타축(1)에 직접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조타축(1)의 축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블록(30)의 복수의 지점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조타축(1)에는 복수의 체결홈(31,1a)이 마련되고, 슬라이딩 블록(30)은 체결홈(31,1a)에 체결되는 체결부재(102)를 통해 조타축(1)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0)과 조타축(1) 사이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게 체결홈(31) 사이의 슬라이딩 블록(30) 저면에는 고정돌기(32)가 저부로 연장되고, 체결홈(1a) 사이의 조타축(1)에는 고정돌기(32)가 끼워지도록 고정홈(1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블록(30)의 저면이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도록 체결홈(1a)과 고정홈(1b) 주변의 조타축(1) 외면은 면취 된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0)는 사출물로 마련되고, 자석(10)은 마그네트 홀더(40)의 사출성형시 인서트 되어 마그네트 홀더(40) 내부에 일체로 내장될 수 있다.
자석(10)을 구비하는 마그네트 홀더(40)는 슬라이딩 블록(30)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결합부(80)를 통해 슬라이딩 블록(3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50)는 검출커버(70)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가이드부재(50)와 검출커버(70) 사이에는 홀 소자(20)가 장착된 회로기판(21)이 내장될 수 있다.
홀 소자(20)는 회로기판(21)의 저면에 장착되고, 홀 소자(20) 외측의 회로기판(21)에는 복수의 체결홀(21a)이 마련될 수 있다. 체결홀(21a)의 위치에 대응하는 검출커버(70)의 저면에는 저부로 연장된 체결돌기(72)가 일체로 마련되고, 가이드부재(50)의 상면에는 체결돌기(72)가 체결되도록 체결홈(50a)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홀 소자(20)가 장착된 회로기판(21)은 체결돌기(72)가 체결홀(21a)을 관통하여 체결홈(50a)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검출커버(70)와 가이드부재(50) 사이에 결합되고, 가이드부재(50)는 검출커버(70) 저부에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이나 열을 이용한 융착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가이드부재(50)와 검출커버(70)의 사이의 둘레는 오링(103)을 통해 실링처리 될 수 있다.
홀소자(20)와 자석(10) 사이의 에어갭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슬라이딩 블록(30)은 마그네트 홀더(40)에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마그네트 홀더(40)는 가이드부재(50)에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즉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조타축(1) 직선운동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조타축(1)은 미세하게 뒤틀릴 수 있고, 이에 따라 조타축(1)은 후륜을 조타하는 과정에서 상하방향으로도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30)이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마그네트 홀더(40)에 결합되고, 마그네트 홀더(40)가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가이드부재(5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조타축(1)의 상하방향 유동이 슬라이딩 블록(30)을 통해 마그네트 홀더(4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됨에 따라 홀소자(20)와 자석(10) 사이의 에어갭이 항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후륜 조타각의 검출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조타축(1)의 상하방향 유동이 슬라이딩 블록(30)을 통해 마그네트 홀더(40)로 전달되는 것이 억제되면, 조타축(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자석(10)이나 마그네트 홀더(40)가 손상되는 것도 예방할 수 있게 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내구성 개선 측면에서도 유리한 이점을 갖게 된다.
다음은 마그네트 홀더(40)와 슬라이딩 블록(30)을 결합시키는 결합부(80)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80)는 슬라이딩 블록(30) 상면에 마련되는 결함홈(81)과, 결합홈(81)에 결합하도록 마그네트 홀더(40) 저면에 마련된 결합돌기(82)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82)와 결합홈(81)의 위치는 본 실시예와 반대가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결합홈(81)은 마그네트 홀더(40) 저면에 마련되고, 결합돌기(82)는 슬라이딩 블록(3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결합돌기(82)는 결합홈(81)에 조타축(1)의 축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된 상태로 삽입되는 삽입부(91)와, 삽입부(91)를 마그네트 홀더(60)에 연결하는 연결부(92)를 포함하고, 결합홈(81)과 결합돌기(82)가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결합홈(81)의 깊이는 삽입부(91)의 삽입방향 길이보다 깊게 마련될 수 있다.
조타축(1)의 축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홈(81)에 삽입되는 삽입부(91)에 의해 자석(10)에는 조타축(1)의 슬라이딩 정도가 정확하게 반영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는 홀소자(20)에 의해 검출되는 조타축(1)의 축방향 변위 값에 오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조타축(1)이 뒤틀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조타축(1)의 회전력이 마그네트 홀더(4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삽입부(91)는 결합홈(8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삽입부(91)는 대략 구 형태를 갖도록 마련되고, 조타축(1)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부(91) 중앙에는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개홈(91a)이 마련될 수 있다. 절개홈(91a)은 연결부(92) 저부까지 형성될 수 있다.
중앙에 절개홈(91a)을 구비하는 삽입부(91)는 절개홈(91a) 양쪽으로 대략 반구 형태를 갖는 한 쌍의 삽입몸체(91b)를 구비하고, 한 쌍의 삽입몸체(91b)는 외력이 가해질 경우 절개홈(91a) 쪽으로 탄력적으로 밴딩 될 수 있게 된다.
연결부(92)는 구 형태를 갖는 삽입부(91)의 지름보다 적은 직경을 갖는 소정길이의 로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홈(81)은 삽입부(91)의 지름보다는 작고 연결부(92)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을 구비하고, 깊이가 삽입부(91)의 지름보다 깊게 마련된 원통모양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82)를 결합홈(81)에 조립 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91)를 결합홈(81)의 입구 쪽에 지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홈(81)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삽입몸체(91b)가 절개홈(91a) 쪽으로 밴딩되면서 삽입부(91)는 결합홈(8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부(91)가 결합홈(81)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삽입몸체(91b)는 그 사이가 벌어지려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발휘하게 되고, 이에 따라 삽입부(91)는 조타축(1)의 축방향을 따라 결합홈(81)의 내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함은 물론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홈(8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시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마그네트 홀더(40)와 가이드부재(50) 사이의 결합을 위해 마그네트 홀더(40)의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돌기(41)가 돌출될 수 있다. 양측의 슬라이딩 돌기(41)는 각각 조타축(1)의 축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재(50)는 마그네트 홀더(40)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면지지부(51)와, 마그네트 홀더(40)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면지지부(51) 양측으로부터 저부로 연장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52)를 포함하도록 사출물로 마련될 수 있다.
측면지지부(52)는 슬라이딩 돌기(41)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슬롯(52a)을 구비하며,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슬록(52a)의 폭은 슬라이딩 돌기(41)의 폭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마그네트 홀더(40)를 가이드부재(50)에 조립할 때는 한 쌍의 측면지지부(52) 사이가 탄력적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그 사이에 마그네트 홀더(40)가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마그네트 홀더(40) 양측의 슬라이딩 돌기(41)를 가이드부재(50)의 양쪽 측면지지부(52)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5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딩 돌기(41)가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가이드 슬롯(52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마그네트 홀더(40)는 조타축(1)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된 상태에서 가이드부재(50)에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 조타축 10: 자석
20: 홀 소자 30: 슬라이딩 블록
40: 마그네트 홀더 50: 가이드부재
51: 상면지지부 52: 측면지지부
52a: 가이드 슬롯 60: 검출하우징
62: 설치공간 70: 검출커버
80: 결합부 81: 결합홈
82: 결합돌기 91: 삽입부
91a: 절개홈 91b: 삽입몸체
92: 연결부

Claims (7)

  1. 후륜의 조타를 위해 모터의 회전운동을 동력전달기구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된 상태로 전달받아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는 조타축에 결합되어 상기 조타축과 함께 슬라이딩 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함께 슬라이딩 하도록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하는 마그네트 홀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 변위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자석과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되는 홀 소자;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상기 홀 소자와 상기 마그네트 홀더 사이에 고정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마그네트 홀더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마그네트 홀더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결합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홀더를 상기 슬라이딩 블록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함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마그네트 홀더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결합홈; 및
    상기 결합홈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결합하도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과 상기 마그네트 홀더 중 나머지 다른 하나에 마련된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결합홈에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홈이 깊이는 상기 삽입부의 삽입방향의 길이보다 깊게 마련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결합홈의 내측벽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6. 제 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구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부 중앙에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개홈이 마련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양측에는 각각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상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면지지부; 및
    상기 마그네트 홀더의 양 측면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상기 상면지지부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측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지지부는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 돌기는 상기 조타축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KR1020180014637A 2018-02-06 2018-02-06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KR102037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37A KR102037296B1 (ko) 2018-02-06 2018-02-06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4637A KR102037296B1 (ko) 2018-02-06 2018-02-06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4934A KR20190094934A (ko) 2019-08-14
KR102037296B1 true KR102037296B1 (ko) 2019-10-29
KR102037296B9 KR102037296B9 (ko) 2021-12-07

Family

ID=6762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4637A KR102037296B1 (ko) 2018-02-06 2018-02-06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2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5176A (ko) * 2019-11-07 2021-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
KR20230024009A (ko) * 2021-08-11 2023-02-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4541A1 (en) 2008-03-12 2009-09-1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Industrial truck, in particular, a lift truc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5115A (ja) * 1991-04-02 1992-10-28 Mitsubishi Electric Corp 舵角中立位置検出装置
JPH05330446A (ja) * 1992-06-04 1993-12-14 Aisin Seiki Co Ltd 後輪操舵装置
JP3034400B2 (ja) * 1993-03-26 2000-04-17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H09118247A (ja) * 1995-10-26 1997-05-06 Aisin Seiki Co Ltd 後輪舵角制御装置
JPH09315333A (ja) * 1995-12-26 1997-12-09 Kayaba Ind Co Ltd 後輪舵角規制装置
JPH10297524A (ja) 1997-04-24 1998-11-10 Aisin Seiki Co Ltd 後輪舵角制御装置
EP2346148B1 (de) * 2010-01-15 2012-05-09 Maxon Motor AG Linear-Antrieb
KR20150025377A (ko) * 2013-08-29 2015-03-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후륜조향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위치센서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34541A1 (en) 2008-03-12 2009-09-17 Jungheinrich Aktiengesellschaft Industrial truck, in particular, a lift tru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296B9 (ko) 2021-12-07
KR20190094934A (ko)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11543B1 (en) Actuator
KR102037296B1 (ko) 후륜의 조타각 검출장치
US8893627B2 (en) Linear actuator and linear actuating module having same
JP2006335318A (ja) 回転コネクタと舵角センサの連結構造
KR20060127798A (ko) 회전 커넥터와 조타각 센서의 연결구조
US10739215B2 (en) Sensor apparatus
US10752222B2 (en) Installation structure for pedal stroke sensor
JP4218645B2 (ja) 液面検出装置
KR101952625B1 (ko) 슬라이드 가이드가 적용된 리니어 엑츄에이터
JP4667887B2 (ja) モータ
CN109689474B (zh) 转向装置
KR102008693B1 (ko) 로터리 센서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후륜 조향 장치
US5555776A (en) Cam integrated with a rotation sensor
CN111422243A (zh) 传感器
KR20200108215A (ko) 위치검출장치
JP7485310B2 (ja) シフト装置
KR101944323B1 (ko) 후륜 조향 장치
JP6874767B2 (ja) ストロークセンサ
KR102092882B1 (ko) 스테핑 모터
US8157468B2 (en) Pivot connection
KR102432926B1 (ko) 엔코더 모터
WO2021095407A1 (ja) 流路切換弁
KR102509488B1 (ko) 액츄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JP2010202083A (ja) シフト装置
JP2018004414A (ja) ストローク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