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850B1 - 미니로더 - Google Patents

미니로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850B1
KR102036850B1 KR1020180038453A KR20180038453A KR102036850B1 KR 102036850 B1 KR102036850 B1 KR 102036850B1 KR 1020180038453 A KR1020180038453 A KR 1020180038453A KR 20180038453 A KR20180038453 A KR 20180038453A KR 102036850 B1 KR102036850 B1 KR 102036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ifting shaft
guide tube
elevat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5581A (ko
Inventor
조수경
Original Assignee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우컴퍼니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우컴퍼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8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850B1/ko
Publication of KR20190115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5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283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single arm pivoted directly on the chass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니로더에 관한 것으로서,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부재가 더욱 안정적으로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 실린더 붐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장착부재가 분리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다양한 종류의 장착부재를 간편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미니로더{Mini loader}
본 발명은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부재가 더욱 안정적으로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 실린더 붐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장착부재가 분리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다양한 종류의 장착부재를 간편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미니로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키드로더는 주로 좁은 공간에서 물체의 단거리 운반을 위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산업용 건설장비의 일종으로서, 전체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 프레임으로서의 본체, 본체 내에 구비되어 기관의 동력을 바퀴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주행방향을 결정하는 조향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승용 가능한 상태로 제작된다.
또한, 스키드로더는 물체의 운반이나 목적물의 변환을 위해 버킷이나 롤러, 포크 등을 선택적으로 구비하고, 이를 기관 동력으로 연동시키거나 움직여 주기 위한 구동수단을 구비하며, 최근에는 동절기에 발생하는 노면상의 습기, 결빙, 적설을 열풍으로 녹여 노면 또는 도로의 해동 및 건조를 위한 스키드로더 장착용 열풍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812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8126호의 경우, 스키드로더의 실린더 붐의 끝단에 구비된 결합부와 장착수단이 단순하게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에 의해 상호고정되는 방식으로서, 실린더 붐을 통해 상기 장착수단과 함께 열풍덕트를 승강운동시키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핀 또는 고정볼트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의 고정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장착수단이 분리될 우려가 다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열풍덕트이외에 다른 장착부재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할 수 없어 상기 열풍덕트를 이용하여 도로의 해동 및 건조작업만을 할 수 있을 뿐 다른 작업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812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부재가 더욱 안정적으로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 실린더 붐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장착부재가 분리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다양한 종류의 장착부재를 간편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미니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상호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미니로더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수단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승강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로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축은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승강축과; 상기 하부승강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경크기가 상기 하부승강축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부승강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과 상기 하부승강축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승강축을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승강축이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상기 가이드관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관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가이드관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가 수용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승강몸체에 상기 상부승강축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가이드관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재의 외면에 상기 손잡이부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기어치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가이드관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실린더 붐의 제어신호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무선송신부가 무선송신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는 무선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무선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 붐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수단의 승강축이 장착부재의 장착수단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됨에 따라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장착부재가 더욱 안정적으로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 실린더 붐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장착부재가 분리될 우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에 버켓, 브레이커, 포크리프트, 스위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장착부재를 간편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니로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결합부에서 버켓으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측면도이고,
도 3은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결합부에서 고정수단과 승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승강축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7은 승강축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8은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몸체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9는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몸체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1은 브레이커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포크리프트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스위퍼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니로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결합부에서 버켓으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분리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미니로더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차체(3)의 실린더 붐(31)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10)와; 상기 결합부(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20)와; 상기 장착부재(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0)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30)과; 상기 결합부(10)와 상기 장착수단(30)을 상호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수단(3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편(310), 지지편(320) 및 이탈방지편(3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편(310)은 상기 장착부재(20)의 후측 상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편(310)은 상기 장착부재(2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장착부재(20)의 후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곡편(310)의 내측에 상기 결합부(10)의 상부가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320)은 상기 절곡편(31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장착부재(20)의 후측 하부에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310)은 상기 장착부재(20)의 후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편(310)은 상기 결합부(10)의 하부를 안착지지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편(330)은 상기 결합부(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절곡편(310)의 일측과 상기 지지편(320)의 일측 사이 및 상기 절곡편(310)의 타측과 상기 지지편(320)의 타측 사이에 각각 수직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0), 상기 장착수단(30)의 절곡편(310), 지지편(320) 및 이탈방지편(330)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58126호를 통해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되는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배면도이고, 도 5는 결합부에서 고정수단과 승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배면사시도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은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가이드관(410)과 승강축(4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관(410)은 상기 결합부(10)의 전측면의 반대측인 후측면 일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410)의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관(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관(41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4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승강축이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고, 도 7은 승강축이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배면도이다.
상기 승강축(420)은 상기 가이드관(410)내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장착수단(30)의 지지편(3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형성된 고정공(321)에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된 상태가 해제된다.
상기 승강축(420)은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승강축(421)과 상부승강축(4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축(421)은 상기 가이드관(410)의 하부에 수직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승강운동에 따라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하부가 상기 장착수단(30)의 지지편(320)의 고정공(321)에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축(422)은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상부에 수직으로 일체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승강축(422)의 외경크기는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은 가이드링(430), 탄성부재(440) 및 위치고정부재(4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430)은 상기 가이드관(410)의 내부 상측에 수평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링(430)의 내측에는 상기 상부승강축(422)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가이드링(430)의 하부와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상부 사이에 수직구비되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가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경우,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440)의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4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는 상기 하부승강축(421)을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재(450)는 상기 승강축(420)이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승강몸체(451), 손잡이부재(452) 및 체결부재(4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451)는 상기 가이드관(410)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451)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관(410)의 경사면(411)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경사면(451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410)의 경사면(411)과 상기 승강몸체(451)의 경사면(451a)로 인해 상기 승강몸체(451)가 제자리에서 회전운동하여 보다 원활하게 승강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몸체(451)이 내측에는 상기 상부승강축(422)의 상부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452)는 수직손잡이부재(452a)와 수평손잡이부재(45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는 상기 승강몸체(451)이 상부에 일체형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는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상부에서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일측 외부방향 또는 타측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453)는 상기 승강몸체(451)의 후측, 상기 상부승강축(422)의 상부 및 상기 승강몸체(451)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축(453)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승강몸체(451)의 후측, 상기 상부승강축(422)의 상부 및 상기 승강몸체(451)의 전측을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있다.
작업자가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된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를 상기 가이드관(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도 6의 ① 참조.),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몸체(45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관(410)의 경사면(411)타고 올라가면서 상기 가이드관(410)의 상부방향으로 상승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승강몸체(451)의 상승시 탄성부재(440)가 압축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관(41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를 상기 가이드관(410)의 일측방향으로 다시 수동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도 6의 ② 참조.),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승된 상기 승강몸체(451)는 제자리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관(410)의 경사면(411)을 타고 내려가면서 상기 가이드관(410) 하부방향으로 하강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고, 상기 승강몸체(451)의 하강 시 상기 탄성부재(440)가 팽창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0)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하부승강축(421)의 하부가 상기 장착수단(30)의 지지편(320)의 고정공(321)에 삽입고정된 상태롤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가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타측 외부방향으로 수평연장된 경우, 작업자는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를 상기 가이드관(4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이동(도 6의 ③ 참조.)시켜 상기 승강몸체(451)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가이드관(410)의 일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된 상기 수평손잡이부재(452b)를 상기 가이드관(410)의 타측방향으로 다시 수동으로 회전이동시킬 경우(도 7의 ④ 참조.) 상기 승강몸체(451)가 하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40)의 승강축(420)이 상기 장착부재(20)의 장착수단(30)에 형성된 고정공(321)에 삽입고정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 붐(31)의 전단부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10)에 상기 장착부재(20)가 더욱 안정적으로 강하게 위치고정될 수 있어 상기 실린더 붐(31)의 승강운동과정 중에 상기 장착부재(20)가 분리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8은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몸체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9는 승강부재에 의해 승강몸체가 하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몸체(451)를 자동으로 승강운동시키기 위한 승강부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0)는 상기 고정수단(40)의 가이드관(4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10)의 후측면 일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재(452)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승강몸체(451)를 자동으로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재(452)의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외면에는 상기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기어치(452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50)는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구동모터(510)와 구동기어(5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510)는 상기 가이드관(41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10)의 후측면 일측과 후측면 타측에 각각 수직으로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구동기어(520)는 상기 구동모터(510)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452)의 수직손잡이부재(452a)의 외면에 형성된 기어치(452c)와 치합된 상태에서 정역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재(452a)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실린더 붐(31)을 자동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지그비(Zigbbb)통신 등의 무선통신으로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710)가 구비된 컨트롤러(70)와; 상기 컨트롤러(70)의 무선송신부(710)가 무선송신하는 제어신호를 지그비(Zigbbb)통신 등의 무선통신으로 무선수신하는 무선수신부(810)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수신부(810)가 무선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 붐(31)을 제어하는 제어부(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는 상기 차체(3)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브레이커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포크리프트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3은 스위퍼로 이루어진 장착부재가 결합부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0)에 장착되는 상기 장착부재(20)는 흙, 모래 등을 퍼올리는 버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석, 콘크리트 등을 파쇄하는 브레이커로 이루어지거나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량물을 싣거나 내리는 포크리프트 또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 등을 청소하기 위한 스위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린더 붐(31)의 전단부에 구비된 상기 결합부(10)에 버켓, 브레이커, 포크리프트, 스위퍼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장착부재(20)를 간편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10; 결합부, 20; 장착부재,
30; 장착수단, 40; 고정수단.

Claims (6)

  1.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상호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미니로더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승강축과, 상기 하부승강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경크기가 상기 하부승강축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부승강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수단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승강축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과 상기 하부승강축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승강축을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가이드관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가 수용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승강몸체와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승강몸체와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몸체에 상기 상부승강축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이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로더.
  2. 실린더 붐의 전단부에 구비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부재와, 상기 장착부재의 후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수단과, 상기 결합부와 상기 장착수단을 상호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는 미니로더로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가이드관과;
    상기 가이드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승강축과, 상기 하부승강축의 상부에 형성되고 외경크기가 상기 하부승강축의 외경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부승강축으로 구성되어 상기 장착수단에 형성된 고정공에 삽입고정 및 삽입고정된 상태가 해제되는 승강축과;
    상기 가이드관의 내부 상측에 고정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가이드링과;
    상기 가이드링과 상기 하부승강축 사이에 구비되고,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승강축을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가이드관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고 하부에 상기 가이드관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내측에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가 수용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승강몸체의 상부에 구비되고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기어치가 형성되는 손잡이부재와, 상기 승강몸체와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축으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승강몸체와 상기 상부승강축의 상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몸체에 상기 상부승강축을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축이 승강된 상태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관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재의 기어치와 치합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승강몸체를 승강시키는 구동기어로 구성되는 승강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로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붐의 제어신호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가 구비된 컨트롤러와;
    상기 컨트롤러의 무선송신부가 무선송신하는 제어신호를 무선수신하는 무선수신부가 구비되고 상기 무선수신부가 무선수신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 붐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니로더.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80038453A 2018-04-03 2018-04-03 미니로더 KR102036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3A KR102036850B1 (ko) 2018-04-03 2018-04-03 미니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453A KR102036850B1 (ko) 2018-04-03 2018-04-03 미니로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81A KR20190115581A (ko) 2019-10-14
KR102036850B1 true KR102036850B1 (ko) 2019-10-25

Family

ID=6817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453A KR102036850B1 (ko) 2018-04-03 2018-04-03 미니로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8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581A (ko) 2021-10-04 2023-04-11 김응조 원격조종이 가능한 운전원 비탑승식 스키드로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8138A1 (en) * 2020-06-22 2021-12-30 Morph-it Attachments Pty Ltd A tool adap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78B1 (ko) * 2004-03-17 2004-09-16 이텍산업 주식회사 굴삭기용 제초기
KR200402081Y1 (ko) * 2005-09-02 2005-11-24 김철복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0901732B1 (ko) * 2008-09-18 2009-06-09 임형석 로우더용 자동 체결 및 수동 해제되는 어태치먼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8374A (ja) * 1993-04-12 1994-10-25 Komatsu Ltd 材料移載システムにおける材料投下高さ位置制御装置
KR101058126B1 (ko) 2011-01-06 2011-08-24 (주) 동방메가테크 스키드 로더 장착용 열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278B1 (ko) * 2004-03-17 2004-09-16 이텍산업 주식회사 굴삭기용 제초기
KR200402081Y1 (ko) * 2005-09-02 2005-11-24 김철복 트랙터 로더용 작업기 연결장치
KR100901732B1 (ko) * 2008-09-18 2009-06-09 임형석 로우더용 자동 체결 및 수동 해제되는 어태치먼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8581A (ko) 2021-10-04 2023-04-11 김응조 원격조종이 가능한 운전원 비탑승식 스키드로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5581A (ko) 201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2312B1 (en) Telehandler
CA2595196C (en) Multiple configuration implement carrier kit
US6533067B2 (en) Scaffold moving device
KR102036850B1 (ko) 미니로더
US8100626B2 (en) Versatile powered linear drive utility machine
CN110206485B (zh) 一种皮卡装载式地质调查钻机
CN203268084U (zh) 一种翻转料斗车
CN206813034U (zh) 多功能工地手推车
KR100672743B1 (ko) 농업용 운반기구
KR102061260B1 (ko) 자동 고정식 미니로더
US20060175850A1 (en) Lifting device
US7814946B1 (en) Hands free wood splitter system
CN113482991A (zh) 一种移动泵站及控制方法
EP0485630A1 (en) Self-propelled work vehicle
JP5787421B2 (ja) 重量物用移動装置
CA2536924A1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US8308416B2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KR102650358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CN214398575U (zh) 一种管片输送机构
CN215596077U (zh) 一种移动泵站
JP4317140B2 (ja) 除雪機
CN218929624U (zh) 一种多功能履带运输车
US11332350B2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JPH04228325A (ja) 自走式作業車両
US20130309010A1 (en) Transporter for ride-on power trow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