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510B1 -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 Google Patents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510B1
KR102036510B1 KR1020190063851A KR20190063851A KR102036510B1 KR 102036510 B1 KR102036510 B1 KR 102036510B1 KR 1020190063851 A KR1020190063851 A KR 1020190063851A KR 20190063851 A KR20190063851 A KR 20190063851A KR 102036510 B1 KR102036510 B1 KR 10203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chmidt
measuring
hardnes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3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연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빈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190063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56Gaug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e.g. conical calipers
    • G01B3/563Protra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01N3/34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generated by mechanical means, e.g. hammer blow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3㎝의 이격간격으로 5개 천공된 측정점 표시공을 구비하는 4개의 판체와, 상기 4개의 판체의 각 일측을 회전가능토록 연결하기 위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의해 4개의 판체가 각각 맞닿은 상태로 접혀 슈미트 경도 측정을 위한 20개의 측정점 표시공이 가로 5개 세로 4개로 배열되도록 하되, 상기 4개의 판체를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판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눈금이 서로 맞대는 판체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판체를 펼쳤을때는 눈금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축부는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원형 링(ling)과 인접한 다른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오목홈을 구비하는 돌기로 이루어져 통공에는 돌기가 삽입되고 오목홈에는 원형 링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슈미트 경도측정기를 사용함에 있어 다수개의 측정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시해줄 수 있으면서, 접었을 때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로 사용되고, 펼쳤을 때는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와 위치표시장치를 각각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또 분실의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측정자와 위치표시장치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Jig for Rebound Hardness Test for Structural Safety Diagnosis}
본 발명은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반발경도 측정용으로 사용하는 슈미트 해머의 반발 경도를 측정하는데 적용되는 다수개의 측정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시해줄 수 있으면서, 구조물의 변위, 장애, 이상 등이 발견되는 즉시 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게 함으로써 신속한 안전진단과 수치화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연적으로 형성된 자연구조물 및 토목, 건축 등으로 형성된 인공구조물 특히 대형건물이나 교량 등은 설계에서 부터 준공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감리와 준공 후의 정기적인 안전진단을 통해 지속적인 안전성을 검증받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이다.
특히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 인공구조물, 자연구조물을 포함하는 모든 구조물은 안전진단을 무사히 통과한 후에도 사용 중 내부와 외부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순식간에 붕괴되어 대형 참사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구조물의 붕괴와 대형 참사 등을 막기 위해서는 변위, 장애, 이상 등이 발견되는 즉시 보수하거나 만약에 대비하여 인명 대피, 사용 중지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있는 감시 및 경보 체계를 항상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구조물의 일반적인 안전진단 방식에는 가장 기초적인 외관검사 외에 안전도 검사는 반발경도측정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반발경도측정방법은 슈미트해머를 이용하고 있는데, 반발경도측정을 위한 타격시험은 타격 되는 골재의 돌출 유무, 철근과의 거리, 타격면의 거칠기 등에 따라 측정치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측정의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측정 대상의 콘크리트 표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두고 평행한 수평선 4개를 분필과 자를 이용하여 그린 다음, 수평선과 직교하도록 세로방향을 따라 각 3㎝의 간격을 두고 수직선 5개를 그리고, 각 수평선 및 수직선의 직교점(20개점)에 슈미트 해머를 대고 타격하여 콘크리트 구조체 내부의 경도를 측정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체의 경도를 측정할 때마다, 3㎝간격의 5(종)×4(횡)개의 직교된 직선을 그리는 것은 작업상 매우 번거롭고,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며, 측정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29305호에서는 가로세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도장타입의 스탬프를 이용해서 평면상에 다수의 점을 한 번에 찍어서 표시하도록 된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평면으로 된 측정면에만 표시하는데 국한되고 원형기둥 및 곡면과 같은 장소에는 측정점을 표시하기 곤란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곡면의 구조체 표면에도 부착할 수 있는 접착제를 이용한 스티커방식의 측정점 표시장치가 실용신안등록 제200224542호로 선출원된 바 있으나, 이는 측정지점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표면이 거칠다거나 먼지가 많은 경우에는 부착이 곤란하여 사용하기 힘든 단점을 갖는다.
또 이러한 스티커방식의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는 단순히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으로만 사용될 뿐 다른 어떠한 용도가 없어 비효율적이다.
또한 갑작스러운 재난 등으로 인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도 및 균열, 제방 및 교량의 뒤틀림 및 처짐과 같은 구조물의 다양한 형태 변형이 급작스럽게 발생하는 경우도 왕왕있다.
이럴 경우 안전진단을 위해서는 균열의 길이 및 폭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자 등의 측정도구도 필요하게 되는데, 측정자 등을 별도로 챙기기가 번거롭고, 또 이들은 또 서로 분리된 상태여서 분실의 우려도 높은 단점을 갖는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10338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1033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와 측정자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슈미트 경도를 측정할 다수개의 측정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시해줄 수 있고, 또 측정자를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와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이들을 각각 별도로 챙겨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분실의 우려를 최소화하며,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측정보조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는, 각 3㎝의 이격간격으로 5개 천공된 측정점 표시공을 구비하는 4개의 판체와, 상기 4개의 판체의 각 일측을 회전가능토록 연결하기 위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의해 4개의 판체가 각각 맞닿은 상태로 접혀 슈미트 경도 측정을 위한 20개의 측정점 표시공이 가로 5개 세로 4개로 배열되도록 하되, 상기 4개의 판체를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판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눈금이 서로 맞대는 판체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판체를 펼쳤을때는 눈금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축부는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원형 링(ling)과 인접한 다른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오목홈을 구비하는 돌기로 이루어져 통공에는 돌기가 삽입되고 오목홈에는 원형 링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건축물 등의 안전진단을 위해 슈미트 경도측정기를 사용함에 있어 다수개의 측정점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표시해줄 수 있으면서, 접었을 때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로 사용되고, 펼쳤을 때는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와 위치표시장치를 각각 별도로 챙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또 분실의 우려를 줄일 수 있으며, 측정자와 위치표시장치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제작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도구, 즉 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을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있어서 측정도구, 즉 자로 사용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100)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는, 각 3㎝의 이격간격으로 5개 천공된 측정점 표시공을 구비하는 4개의 판체와, 상기 4개의 판체의 각 일측을 회전가능토록 연결하기 위한 축부와, 상기 축부에 의해 4개의 판체가 각각 맞닿은 상태로 접혀 슈미트 경도 측정을 위한 20개의 측정점 표시공이 가로 5개 세로 4개로 배열되도록 하되, 상기 4개의 판체를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판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눈금이 서로 맞대는 판체의 반대편 가장자리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모든 판체를 펼쳤을때는 눈금이 일직선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축부는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원형 링(ling)과 인접한 다른 판체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오목홈을 구비하는 돌기로 이루어져 통공에는 돌기가 삽입되고 오목홈에는 원형 링이 끼워져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정점 표시공은 슈미트 경도 측정을 위한 20개의 수평선 및 수직선의 직교점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판체(110)는 아크릴 또는 금속, 합성수지 재질의 판체(110)로 형성되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측정자는 균열간격 및 길이 측정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측정자(120)로 사용하고자 할 때는 길이를 보다 길게 하기 위해 모든 판체(110)를 벌려야 하는데, 이렇게 벌리게 되면 더 넓은 길이, 즉 60cm 가량의 자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 이처럼 4개의 판체를 일직선으로 펼치기 위해서는 축부(112)의 구조가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축부(112)는 각각 일측 판체(110)에 형성된 통공(112a)과, 타측 판체(110)에 형성되되 상기 일측 판체(110)의 통공(112a)에 끼워져 축 기능을 하는 돌기(112b)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측정자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접한 판체가 서로 맞대도록 하여야 하므로 이때 통공이 천공된 원형 링(ling)은 오목홈에 끼워져 안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슈미트 경도계를 작업자가 원하는 측정점 표시점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작업자들의 안전진단 작업을 보조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본 발명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110: 판체
111: 측정점 표시공
112: 축부
112c: 원형 링
112d: 오목홈
120: 측정눈금
A: 슈미트 해머

Claims (1)

  1. 판체의 각 일측을 회전가능토록 연결하기 위한 축부(112)를 구비하고, 상기 판체를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판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눈금이 형성되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에 있어서,
    상기 판체는 4개로 이루어지되, 각 판체에는 3㎝의 이격간격으로 측정점 표시공이 5개 천공되고,
    상기 축부(112)는 어느 하나의 판체의 모서리 일측에서 연장되는 통공(112a)을 구비하는 원형 링(112c)과, 인접한 다른 판체의 모서리 일측에서 연장되는 오목홈(112d)을 구비하는 돌기(112b)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통공에는 돌기가 삽입되고 오목홈에는 원형 링이 끼워져 4개의 판체가 서로 겹치지 않고 측면만 맞닿도록 접을 수 있도록 하고,
    축부에 의해 접힌 4개의 판체는 슈미트 경도 측정을 위한 가로 5개 세로 4개로 배열된 20개의 측정점 표시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4개의 판체를 쭉 펼쳤을 때는 4개의 판체가 하나의 측정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각 판체의 측면 가장자리에 눈금을 형성하되,
    서로 맞대는 판체의 반대편 측면 가장자리에만 눈금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KR1020190063851A 2019-05-30 2019-05-30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KR10203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51A KR102036510B1 (ko) 2019-05-30 2019-05-30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3851A KR102036510B1 (ko) 2019-05-30 2019-05-30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510B1 true KR102036510B1 (ko) 2019-11-26

Family

ID=68731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3851A KR102036510B1 (ko) 2019-05-30 2019-05-30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5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66B1 (ko) * 2020-06-29 2021-02-18 주식회사 동서기술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KR102479187B1 (ko) * 2022-09-23 2022-12-20 탄탄안전 주식회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517973B1 (ko) * 2022-09-13 2023-04-04 (주)리콘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
KR102541814B1 (ko) * 2023-01-17 2023-06-13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596426B1 (ko) * 2023-05-31 2023-10-31 한국씨엠이엔지(주)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652656B1 (ko) 2024-01-16 2024-03-29 서현이앤씨 주식회사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832A (ja) * 1996-03-28 1997-10-07 Maeda Corp シュミットハンマーの打点位置表示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打点位置表示方法
JP3168974U (ja) * 2011-04-25 2011-07-07 大和建工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ポケット測量器具
JP3175349U (ja) * 2012-02-17 2012-05-10 株式会社セイシン 折畳み定規
KR20170044069A (ko) * 2017-04-04 2017-04-24 김민구 칼을 부착한 접이식 자
KR101888018B1 (ko) * 2018-01-02 2018-08-13 (주)화신엔지니어링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KR200487733Y1 (ko) * 2017-06-21 2018-10-26 장세훈 회전식 학습교구용 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4832A (ja) * 1996-03-28 1997-10-07 Maeda Corp シュミットハンマーの打点位置表示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打点位置表示方法
JP3168974U (ja) * 2011-04-25 2011-07-07 大和建工株式会社 折り畳み式ポケット測量器具
JP3175349U (ja) * 2012-02-17 2012-05-10 株式会社セイシン 折畳み定規
KR20170044069A (ko) * 2017-04-04 2017-04-24 김민구 칼을 부착한 접이식 자
KR200487733Y1 (ko) * 2017-06-21 2018-10-26 장세훈 회전식 학습교구용 자
KR101888018B1 (ko) * 2018-01-02 2018-08-13 (주)화신엔지니어링 반발 경도 시험기용 위치 표시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66B1 (ko) * 2020-06-29 2021-02-18 주식회사 동서기술 슈미트 해머용 위치표시기구
KR102517973B1 (ko) * 2022-09-13 2023-04-04 (주)리콘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
KR102479187B1 (ko) * 2022-09-23 2022-12-20 탄탄안전 주식회사 안전 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541814B1 (ko) * 2023-01-17 2023-06-13 인프라안전 주식회사 안전점검 및 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596426B1 (ko) * 2023-05-31 2023-10-31 한국씨엠이엔지(주) 구조물의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해머 타격점 표시기
KR102652656B1 (ko) 2024-01-16 2024-03-29 서현이앤씨 주식회사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해머 타격점 표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3651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기구
KR102059934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1695324B1 (ko) 교량 안전진단시 교좌장치의 연단거리 측정장비
KR10251797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측정보조장치
CN104344799B (zh) 一种采用多位移传感器的空间位移测量装置及方法
KR101306307B1 (ko) 클리노미터 장치
KR102046372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초음파 탐상용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46374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측정보조기구
CN109163834A (zh) 现浇梁预压监测装置
KR100430106B1 (ko) 버니어식 균열진행측정기
JP2004212378A (ja) 傾斜測定器
KR102046375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KR102054858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및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JP3149573U (ja) 定位定規
KR102059930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36512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슈미트 경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CN212030438U (zh) 一种混凝土预制件平面度检测装置
JP6668986B2 (ja) 面間距離測定方法、面間距離演算装置及び距離測定装置
KR200450453Y1 (ko) 사방 계측 확인이 가능한 실험기자재용 용수철 저울
KR102059933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46369B1 (ko) 구조물 안전진단용 간이측정수단을 구비하는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장치
KR102046379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초음파 강도 측정점 위치표시용 탐촉자 보조기구
CN108020198A (zh) 一种具有裂缝弯折形变测量功能的监测仪
CN203772189U (zh) 一种测径尺
CN113237413B (zh) 一种变形度测量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