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266B1 -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266B1
KR102036266B1 KR1020190094512A KR20190094512A KR102036266B1 KR 102036266 B1 KR102036266 B1 KR 102036266B1 KR 1020190094512 A KR1020190094512 A KR 1020190094512A KR 20190094512 A KR20190094512 A KR 20190094512A KR 102036266 B1 KR102036266 B1 KR 102036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member
grating
hole
marine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원협
김동수
김한구
김성준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주)푸른중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엔케이, (주)푸른중공업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66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10Steel gratings ; Gratings made of material other than stee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42Gratings; Grid-like panels
    • E04C2/428Separate connecting means, e.g. connecting gratings to underlying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그레이팅 바; 및 복수의 그레이팅 바 중 그레이팅 바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에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고정부는,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고, 관통홀의 일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결합 부재; 관통홀을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제1 결합 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관통홀의 타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결합 부재; 및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관통홀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 및 제2 결합 부재가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를 포함하는,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GRATING FOR SHIP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에 설치되는 그레이팅은 송풍구 등의 홀을 커버하면서 작업자 등이 홀에 빠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다. 종래의 그레이팅은 복수의 로드 바 및 복수의 크로스 바가 상호 용접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이러한 로드 바 및 크로스 바는 철(steel)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레이팅의 중량이 증가하고, 그레이팅의 조립 및 해체 공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박이나 해양 구조물이 위치하는 해양 환경에 의해 철 소재의 그레이팅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4791호의 '조립식 알루미늄 그레이팅'이 제안된 바 있다. 구체적으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414791호의 '조립식 알루미늄 그레이팅'은 베어링 바에 구비된 관통홀을 통과한 크로스 바가 설정 각도만큼 회전되면, 회전된 크로스 바의 외주면에 형성된 끼움홈이 관통홀을 둘러싸는 베어링 바 부위에 끼워지면서 베어링 바와 크로스 바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알루미늄 그레이팅은 경량화되고, 그레이팅의 조립 공정 및 해체 공정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지만, 베어링 바 및 크로스 바의 구조적 형상이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소재의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번거로워지고, 제조 원가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양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경량화될 뿐만 아니라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며, 구조적 형상이 간단하여 소재의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최소화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그레이팅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해양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경량화될 뿐만 아니라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며, 구조적 형상이 간단하여 소재의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최소화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그레이팅 바; 및 상기 그레이팅 바에 구비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의 일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에 밀착된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외측면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홈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돌기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박용 그레이팅이 제공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에 따르면, 해양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고, 경량화될 뿐만 아니라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며, 구조적 형상이 간단하여 소재의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최소화되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1의 선박용 그레이팅의 복수의 그레이팅 바가 고정부의 일 예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D-D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9은 도 18의 E-E 단면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그레이팅 바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그레이팅 바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1)은 복수의 그레이팅 바(10) 및 고정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레이팅 바(10)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1)은 고정부(20)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으로 그레이팅 바(10)의 길이 방향(도 1의 y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관통홀(11)은 일 예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관통홀(11)의 형상에 따라 후술할 고정부(20)의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의 형상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관통홀(11)이 원형 형상을 갖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관통홀(11)의 형상은 삼각형 형상이나 사각형 형상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그레이팅 바(1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그레이팅 바(10)는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그레이팅 바(10)는 고정부(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복수의 그레이팅 바(1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는 고정 프레임(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팅 바(1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그레이팅 바(10)는 고정부(20)가 관통홀(11)을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연장면과, 고정부(20)가 관통홀(11)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두 개의 연장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은 두 개의 연장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팅 바(10)는 도 2를 기준으로 개구면이 하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ㄷ'자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바(10')는 일 예로 평판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레이팅 바(10'')는 고정부(20)가 관통홀(11)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대향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연장면과, 고정부(20)가 관통홀(11)을 통과하는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두 개의 연장면의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면을 포함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은 연결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레이팅 바(10'')는 'I'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20)는 복수의 그레이팅 바(10) 중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10)를 상호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20)는 제1 결합 부재(210), 제2 결합 부재(220) 및 이탈 방지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는 관통홀(11)의 일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분으로,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10)에 구비된 관통홀(11)을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은 관통홀(11)의 일 면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면으로서 관통홀(11)의 일 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관통홀(11)의 일 면이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210)의 내측면은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과 밀착될 수 있는 부분으로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이 갖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결합 부재(210)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이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1 결합 부재(210)의 내측면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부재(210)는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에는 제1 결합 부재(2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홈(21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홈(211)은 관통홀(11)을 통과한 제1 결합 부재(210)를 그레이팅 바(10)에 대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부분으로,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관통홀(11)의 일 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제1 홈(211)은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요입되며 제1 결합 부재(2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1 수직면(2111)과 두 개의 제1 수직면(2111)을 연결하는 제1 연결면(2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1 수직면(2111)은 관통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해당하는 그레이팅 바(10) 부분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면(2112)은 관통홀(11)의 일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1 수직면(2111) 사이의 거리는 그레이팅 바(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홈(211)에 관통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해당하는 그레이팅 바(10) 부분이 끼움 결합 방식처럼 끼워지면서 제1 결합 부재(210)가 그레이팅 바(10)에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제1 홈(211)을 형성하는 3개의 면(2111, 2112)이 모두 그레이팅 바(1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므로, 제1 결합 부재(210)가 그레이팅 바(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제1 홈(21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제1 홈(211)은 제1 결합 부재(210)의 길이 방향(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20)는 관통홀(11)의 타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부분으로,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10)에 구비된 관통홀(11)을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은 관통홀(11)의 타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면으로서 관통홀(11)의 타 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관통홀(11)의 타 면이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220)의 내측면은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부분으로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이 갖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부재(220)의 내측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이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2 결합 부재(220)의 내측면은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결합 부재(220)는 제1 결합 부재(2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 일 예로 알루미늄(Al)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사상이 이로써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2 결합 부재(2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2 홈(22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홈(221)은 관통홀(11)을 통과한 제2 결합 부재(220)를 그레이팅 바(1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요입 형성되어 관통홀(11)의 타 면과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2 홈(221)은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요입되며 제2 결합 부재(22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제2 수직면(2211)과 두 개의 제2 수직면(2211)을 연결하는 제2 연결면(22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2 수직면(2211)은 관통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해당하는 그레이팅 바(10) 부분과 접촉될 수 있으며, 제2 연결면(2212)은 관통홀(11)의 일 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제2 수직면(2211) 사이의 거리는 그레이팅 바(10)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홈(221)에 관통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해당하는 그레이팅 바(10) 부분이 끼움 결합 방식처럼 끼워지면서 제2 결합 부재(220)가 그레이팅 바(10)에 고정될 수 있다. 더하여, 제2 홈(221)을 형성하는 3개의 면(2211. 2212)이 모두 그레이팅 바(10)에 접촉된 상태를 가지므로, 제2 결합 부재(220)가 그레이팅 바(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홈(22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복수의 제2 홈(221)은 제2 결합 부재(220)의 길이 방향(도 1의 z축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230)는 관통홀(11)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가 관통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탈 방지 부재(230)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230)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이탈 방지 부재(230)의 길이 방향 양 단부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으로 노출된 이탈 방지 부재(230)의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별도의 캡(미도시)이 끼워짐에 따라,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사이에 삽입된 이탈 방지 부재(230)가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은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내측면이 갖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이 곡면을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이탈 방지 부재(23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240, 24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돌기(240, 240')는 관통홀(11)의 일 면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210)의 양 단부 및 관통홀(11)의 타 면에 밀착된 제2 결합 부재(220)의 양 단부 사이에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움직임이 지지 돌기(240, 240')에 의해 더욱 구속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돌기(240, 240')는 관통홀(11)의 일 면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210)의 양 단부 및 관통홀(11)의 타 면에 밀착된 제2 결합 부재(220)의 양 단부가 형성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돌기(240, 240')는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지지 돌기(240, 240')가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정도는 달라질 수 있으나, 지지 돌기(240, 240')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가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이 곡면인 경우를 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이 적어도 두 개의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는 내측면은 반원형을 이루고, 외측면은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서술하겠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조립 방법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어 두께 방향 양 단부가 접촉된 상태를 갖는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가 복수의 그레이팅 바(10) 중 그레이팅 바(10)의 두께 방향으로 인접하는 적어도 두 개의 그레이팅 바(10)에 구비된 관통홀(11)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조하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가 형성하는 직경이 관통홀(11)의 직경 보다 작기 때문에, 제1 결합 부재(210)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1 결합 부재(210)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1 홈(211)에 관통홀(11)의 내측면이 밀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결합 부재(220)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제2 결합 부재(220)의 외측면에 구비된 제2 홈(221)에 관통홀(11)의 내측면이 밀착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결합 부재(210)가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먼저 밀착된 다음 제2 결합 부재(220)가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결합 부재(220)가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밀착된 다음 제1 결합 부재(210)가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경우도 가능하고,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가 각각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동시에 밀착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탈 방지 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11)에 밀착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가 형성하는 공간에 삽입된 이탈 방지 부재(230)에 의해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가 보다 견고하게 관통홀(1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관통홀(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 부재(260)가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를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제1 결합 부재(210)와 제2 결합 부재(22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 부재(260)는 일 예로 스터드 볼트(stud bolt)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그레이팅 바(10)에 형성된 모든 관통홀(11)들에 대하여 거침으로써 복수의 그레이팅 바(10)와 고정부(20)가 결합된 후 마지막으로 그레이팅 바(10)의 양 엣지에 고정 프레임(30)이 결합됨으로써 선박용 그레이팅(1)이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1)은, 그레이팅 바(10) 및 고정부(20)가 알루미늄(Al) 재질로 형성되므로, 경량화될 수 있으며, 해양 환경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1)은, 구조적 형상이 간단한 제1 결합 부재(210), 제2 결합 부재(220) 및 이탈 방지 부재(230)가 그레이팅 바(10)에 형성된 관통홀(11)에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그레이팅 바(10)가 상호 고정되므로, 높은 구조적 안정성을 가지고, 소재의 가공 공정 및 조립 공정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에 대하여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고정부(20')의 접촉 돌기(245)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20')는 제1 결합 부재(210), 제2 결합 부재(220), 이탈 방지 부재(230) 및 접촉 돌기(245)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돌기(245)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와 이탈 방지 부재(230)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서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에 대한 이탈 방지 부재(230)의 삽입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촉 돌기(245)는 이탈 방지 부재(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접촉 돌기(245)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에 대하여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고정부(20'')의 탄성 지지부(250)에 있어서 차이가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원용하도록 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그레이팅의 고정부(20'')는 제1 결합 부재(210), 제2 결합 부재(220), 이탈 방지 부재(230) 및 탄성 지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250)는 이탈 방지 부재(230)에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하여 이탈 방지 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 지지부(250)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체(251) 및 지지체(25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251)는 이탈 방지 부재(230)에 탄성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탄성체(251)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공간(212, 222)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지지체(252)는 탄성체(251)로부터 제공된 탄성력를 이용하여 이탈 방지 부재(230)를 탄성 지지하는 부분으로, 탄성체(25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지지체(252)는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사이로 진입된 이탈 방지 부재(230)와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이탈 방지 부재(2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이탈 방지 부재(230)가 제1 결합 부재(210) 및 제2 결합 부재(220) 사이로 원활하게 진입되기 위해 이탈 방지 부재(230)와 초기 접촉되는 지지체(252)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탄성체(251)와 하나의 지지체(252)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고, 복수의 탄성체(251)에 복수의 지지체(252)가 각각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선박용 그레이팅 10, 10', 10'': 그레이팅 바
11: 관통홀 20, 20', 20'': 고정부
30: 고정 프레임 210: 제1 결합 부재
211: 제1 홈 2111: 제1 수직면
2112: 제1 연결면 212, 222: 내부 공간
220: 제2 결합 부재 221: 제2 홈
2211: 제2 수직면 2212: 제2 연결면
230: 이탈 방지 부재 240, 240': 지지 돌기
245: 접촉 돌기 250: 탄성 지지부
251: 탄성체 252: 지지체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그레이팅 바; 및
    상기 그레이팅 바에 구비된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홀의 일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1 결합 부재;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 결합 부재와 대향하게 배치되고, 상기 관통홀의 타 면에 밀착 가능하게 제공되는 제2 결합 부재;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사이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홀에 밀착된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가 상기 관통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 및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부는,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와 연결되고, 상기 이탈 방지 부재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선박용 그레이팅.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홈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외측면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과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박용 그레이팅.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제1 홈은 상기 제1 결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선박용 그레이팅.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돌기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그레이팅.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돌기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는 상기 제1 결합 부재 및 상기 제2 결합 부재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제공되는,
    선박용 그레이팅.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 양 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상기 지지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각도로 경사진 곡면으로 형성되는,
    선박용 그레이팅.
  10. 삭제
KR1020190094512A 2019-08-02 2019-08-02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KR102036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12A KR102036266B1 (ko) 2019-08-02 2019-08-02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512A KR102036266B1 (ko) 2019-08-02 2019-08-02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266B1 true KR102036266B1 (ko) 2019-10-24

Family

ID=6842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512A KR102036266B1 (ko) 2019-08-02 2019-08-02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85A (ko) * 2019-12-27 2021-07-07 이나연 그레이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963A (ko) * 2001-07-11 2003-01-23 캠아이티(주)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US6746176B2 (en) * 2002-01-17 2004-06-08 Ronald Edwin Smith Transportable rig mat module and assembly
KR20100065468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20150124730A (ko) * 2014-04-29 2015-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963A (ko) * 2001-07-11 2003-01-23 캠아이티(주) 액정 모니터용 힌지장치
US6746176B2 (en) * 2002-01-17 2004-06-08 Ronald Edwin Smith Transportable rig mat module and assembly
KR20100065468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흥화 파이프 마감 체결 부재
KR20150124730A (ko) * 2014-04-29 2015-11-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585A (ko) * 2019-12-27 2021-07-07 이나연 그레이팅
KR102410149B1 (ko) * 2019-12-27 2022-06-20 김재섭 그레이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3233B1 (ko) 플렉시블 서포트
KR102036266B1 (ko) 선박용 그레이팅 및 이의 조립 방법
JPH0687495A (ja) 耐破損エンジンマウント
JP4346595B2 (ja) クロスローラ軸受
GB2290346A (en) Articulated joint of two adjacent components
KR101703234B1 (ko) 플렉시블 서포트
EP2696011B1 (en) Earthquake-proof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elements
JP6213892B2 (ja) 天井材落下防止構造
JPH05331964A (ja) 鋼梁の開口部補剛構造
KR102050499B1 (ko) 선박용 계단
JP2008012971A (ja) 被取付部材の取付構造
EP3887612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first beam between a first and a second support structure in a building frame structure
KR102032466B1 (ko) 선박용 계단
KR102060757B1 (ko) 조립식 가로등 지주
US20190283641A1 (en) Sliding sleeve and headrest arrangement
KR101876192B1 (ko) 프레임 연결구
US4545316A (en) Marine fenders
KR20170045661A (ko) 구름베어링 및 구름베어링용 씰
US11254369B2 (en) Vehicle body joint structure
JP6570503B2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5414655B2 (ja) 制震用油圧ダンパ
KR20240067578A (ko) 철근 커플러
JP2016216892A (ja) セグメントの継手構造
JP4435198B2 (ja) 内燃機関のピストン
JP5426907B2 (ja) 鉄骨柱の固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