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800B1 -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800B1
KR102035800B1 KR1020180017220A KR20180017220A KR102035800B1 KR 102035800 B1 KR102035800 B1 KR 102035800B1 KR 1020180017220 A KR1020180017220 A KR 1020180017220A KR 20180017220 A KR20180017220 A KR 20180017220A KR 102035800 B1 KR102035800 B1 KR 102035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ventilation
flow path
cavit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7607A (ko
Inventor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7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80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7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7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1Removing cooking fumes mounting of cooking ho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 캐비티; 이너 후드유로; 후드 송풍유닛; 환기 덕트; 및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에는 후드 흡입구와, 후드 배기구와,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이격된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후드 유로는,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너 후드 유로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기팬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환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OTR type microwave oven and ventila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레인지란,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을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최근에는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OTR type microwave owen)가 출시되고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그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조리 가스')를 정화시켜서 실내 또는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을 갖는다.
다만,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조리 가스를 배출할 수는 있으나, 주방 및 거실 등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환기시키는 기능은 가지고 있지 않다. 최근에 미세 먼지 및 유해 가스 등으로부터 소비자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환기의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고 있고, 이에 따라 수시로 환기를 자주 시켜줘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 형성된 조리가스 배출 유로상에는 기름때 등의 오염물질이 존재하여, 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별개의 환기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건물의 벽체에 새로이 구멍을 뚫어 환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1-0063929 A (2011.06.15.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조리 가스의 배출과 별도로 환기를 수행할 수 있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조리가스에 의해 환기되는 공기가 오염되지 않고 쾌적하게 유지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 캐비티; 이너 후드유로; 후드 송풍유닛; 환기 덕트; 및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에는 후드 흡입구와, 후드 배기구와,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이격된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후드 유로는,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너 후드 유로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기팬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환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환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 후드 유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환기구에 구비된 환기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와 연통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관부가 관통하거나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아우터 환기 유로; 및 아우터 후드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후드 흡입구와, 후드 배기구와,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이격된 환기구를 가질 수 있다. 환기 유로는 상기 환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후드 유로는 상기 후드 배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본체; 캐비티; 이너 후드유로; 후드 송풍유닛; 환기 덕트; 및 환기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에는 상기 후드 흡입구와, 상기 후드 배기구와 상기 환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후드 유로는,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은,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후드 배기유로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너 후드 유로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기팬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환기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아우터 환기 유로는, 상기 환기구와 연결된 양방향 유로; 상기 양방향 유로에 연결된 절환 댐퍼; 상기 절환 댐퍼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유로의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용 배기유로; 및 상기 절환 댐퍼에 연결되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양방향 유로로 안내하는 환기용 급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에 아우터 환기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전열교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열교환기는, 상기 아우터 후드 유로와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간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이너 후드 유로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상기 환기구에 구비된 이너 환기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와 연통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관부가 관통하거나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어퍼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은 후드 기능뿐 아니라 환기(급기 및 배기)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너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조리가스와 환기 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환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후드 유로의 내에 위치함으로써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컴팩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환기구에 환기 필터가 구비됨으로써 보다 깨끗한 공기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조리가스와 아우터 환기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절환 댐퍼는 양방향 유로를 환기용 배기유로 및 환기용 급기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으므로 외기의 급기와 실내공기의 배기가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환기용 급기유로에는 아우터 환기 필터가 구비되어 보다 깨끗한 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다.
또한, 전열교환기는 아우터 후드 유로를 통과하는 조리가스와 환기용 급기유로를 통과하는 외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외기의 온도가 상승하여 실내의 난방효율이 높아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어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가 주방에 설치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에서 어퍼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전면에서 바라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10)(이하 '전자레인지')는 조리기기(1)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주방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10)의 하방에 설치되는 조리기기(1)로는 가스 레인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전자레인지(10)는 조리기기(1)에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 등을 포함하는 연소가스(이하 '조리 가스')를 실외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이 부가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10)는 본체(11)와, 캐비티(20)와, 이너 후드 유로(32)와, 후드 송풍유닛(40)과, 환기팬(43)과, 환기덕트(44)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에는 후드 흡입구(150), 후드 배기구(140) 및 환기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141)는 후드 흡입구(150) 및 후드 배기구(140)와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캐비티(20)는 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11)와 캐비티(20)의 사이에는 이너 후드 유로(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너 후드 유로(32)는 후드 흡입구(150) 및 후드 배기구(14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은 본체(11)와 캐비티(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은 이너 후드 유로(32)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 덕트(44)는 환기구(141)과 연통되고 본체(11)의 외부와 연통되며 이너 후드 유로(32)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환기팬(43)은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환기 덕트(44)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체(11)는 대략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자레인지(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본체(11)는 탑 플레이트(12)와, 사이드 플레이트(13)(14)와, 백 플레이트(15)와, 베이스 플레이트(16)를 포함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 및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1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 및 한 쌍의 사이드 플레이트(13)(14)를 포함하는 일 부재를 어퍼 케이스로 명명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 및 사이드 플레이트(13)(14)는 전자레인지(10)의 상면 및 양 측면 외관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탑 플레이트(12) 및 사이드 플레이트(13)(14)는 캐비티(20)를 상방 및 측방에서 각각 차폐할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13)(14)는 후술할 캐비티 측판(22)와 함께 이너 후드 유로(3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와,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제2사이드 플레이트(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1사이드 플레이트(13)는 본체(10)의 좌측면을 형성할 수 있고 제2사이드 플레이트(14)는 본체(10)의 우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5)는 전자 레인지(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캐비티(20)를 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즉, 백 플레이트(15)는 캐비티(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5)의 높이는 캐비티(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백 플레이트(15)는 캐비티(20)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어 바디(15A)와, 로어 바디(15A)의 상측에 위치하는 어퍼 바디(15B)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5A)와 어퍼 바디(15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5)에는 후드 배기구(140) 및 환기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드 배기구(140) 및 환기구(141)는 백 플레이트(15)의 어퍼 바디(15B)에 형성될 수 있다.
후드 배기구(140) 및 환기구(141)는 각각 적어도 하나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후드 배기구(140)는 2개가 형성되고 환기구(141)는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후드 배기구(140)에는 후술할 후드 송풍유닛(40)이 연결될 수 잇고, 환기구(141)에는 후술할 환기팬(43)이 연결될 수 있다.
다만, 후드 배기구(140) 및/또는 환기구(141)가 백 플레이트(15) 대신 탑 플레이트(12)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베이스 플레이트(16)은 전자레인지(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캐비티(20)을 하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16)는 캐비티(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6)에는 후드 흡입구(15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후드 흡입구(150)는 조리 기기(1, 도 1 참조)를 향할 수 있으며, 이로써 후드 흡입구(150)를 통해 조리 기기(1)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 가스가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다.
후드 흡입구(150)는 이너 후드 유로(32)와 연통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드 흡입구(150)는 후술할 캐비티 측판(22)과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의 사이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0)은 본체(1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티(20)는 조리실(30) 및 전장실(31)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30)에서는 음식물이 조리 또는 보온될 수 있다. 조리실(30)는 캐비티(20)의 전면에서 일측(예를 들어, 좌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조리실(30)의 내부에는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턴테이블(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상기 턴테이블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리실(30)의 전면은 도어(17)에 의해 커버될 수 있으며, 도어(17)는 본체(11)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조리실(30)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17)에는 사용자가 잡고 도어를 여닫을 수 있는 손잡이(17A)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어(17)는 투명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도어(17)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투명부를 통해 조리실(30) 내에서 음식물이 조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장실(31)에는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전장실(31)에는 조리실(30)의 내부로 전달되는 마이크로 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압전류를 공급하는 고압 트랜스 및 커패시터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전장실(31)는 캐비티(20)의 전면에서 조리실(30)과 반대변의 타측(예를 들어, 우측)으로 편심되게 위치할 수 있다.
전장실(31)의 전면에는 입력부(18) 및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18)는 로터리 놉, 푸쉬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든 무관하다.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조리 시간, 조리 옵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캐비티(20)의 상면은 캐비티 상판(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0)과 전장실(31)은 구획판(23)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캐비티 상판(21)과 탑 플레이트(12)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티 상판(21)과 탑 플레이트(12)의 사이에는 어퍼 공간(33)이 형성될 수 있다.
어퍼 공간(33)에는 후술할 후드 송풍유닛(4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어퍼 공간(33)에는 전장실(31)에 배치되지 않은 다수의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은 전장실(31) 대신 어퍼 공간(33)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캐비티(20)의 양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캐비티 측판(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조리실(30)의 일 측면은 캐비티 측판(22)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타 측면은 구획판(2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 측판(22)은 사이드 플레이트(13), 좀 더 상세히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와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와 캐비티 측판(22)의 사이에는 이너 후드 유로(32)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너 후드 유로(32)는 본체(11)와 캐비티(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드 흡입구(150) 및 후드 배기구(140)와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일례로, 이너 후드 유로(32)는 캐비티 측판(22)과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의 사이 공간과, 어퍼 공간(33)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16)에 형성된 후드 흡입구(150)로 흡입된 조리 가스는 캐비티 측판(22)과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의 사이 공간을 통해 상측으로 유동되어 어퍼 공간(33)으로 유입되고, 후드 송풍유닛(40)을 통과하여 후드 배기구(140)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이너 후드 유로(32)는 후드 흡입구(150)로 흡입된 조리가스를 후드 배기구(140)로 안내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은 본체(11)와 캐비티(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드 송풍유닛(40)은 캐비티(20)의 상측에 위치한 어퍼 공간(33)에 배치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은 이너 후드 유로(32)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의 작동에 의해 외부의 조리 가스가 후드 흡입구(150)로 흡입되고 이너 후드 유로(32)를 통과하여 후드 배기구(140)로 배출될 수 있다.
후드 송풍유닛(40)은 적어도 하나의 후드팬(41)과, 후드팬(41)을 작동시키는 모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팬(41)은 양흡입 시로코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드팬(41)은 한 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42)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 위치할 수 있다.
각 후드팬(41)의 측면에 형성된 팬 흡입부를 통해 이너 후드 유로(32)의 공기가 후드팬(41)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후드팬(41)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후드 배기구(140)를 향하도록 형성된 팬 토출부로 토출될 수 있고, 후드 배기구(140)로 배기될 수 있다.
각 후드팬(41)은 각 후드 배기구(14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후드팬(41)의 개수와 후드 배기구(140)의 개수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환기 덕트(44)는 환기구(141)와 연통될 수 있고, 환기팬(43)은 환기 덕트(44)의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킬 수 있다.
환기팬(43)은 환기구(141)에 연결될 수 있고 환기 덕트(44)는 환기팬(43)에 연결될 수 있다.
환기팬(43)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환기팬(43)은 정역회전 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내보내는 배기와,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를 수행할 수 있다.
환기 덕트(44)의 내부에는 이너 후드 유로(32)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팬(43)은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환기 덕트(44) 내에서 공기는 양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급기 모드시에는 환기팬(43)에 의해 흡입된 외기가 실내로 급기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반대로, 배기 모드시에는 환기팬(43)에 의해 흡입된 실내 공기가 실외로 배기되는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환기 덕트(44) 내에는 급기 모드 시의 공기 유동방향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배기 모드시 환기 덕트(44) 내에 그 반대 방향으로 공기가 유동될 수 있음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환기 덕트(44)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유로(32)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본체(11)내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전자레인지(10)의 크기가 컴팩트해질 수 있다.
환기 덕트(44)는 환기구(141)과 연통되는 바디부(45)와, 바디부(45)에서 본체(11)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관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본체(11)의 외부는 전자레인지(10)가 배치된 주방 등의 실내를 의미함은 자명하다.
바디부(45)는 일면이 개방되고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45)의 개방된 일면은 환기팬(43)에 의해 커버되도록 환기팬(43)과 체결될 수 있다.
바디부(45)는 본체의 내부, 좀 더 상세히는 본체(11)와 캐비티(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배관부(46)는 바디부(45)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배관부(46)는 바디부(45)의 내부공간을 본체(11)의 외부, 즉 실내와 연통시킬 수 있다.
배관부(46)의 내부 단면적은 바디부(45)의 내부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배관부(46)는 직관 및/또는 곡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배관부(46)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유로(32)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배관부(46)의 내부에는 이너 후드 유로(32)와 별개의 유로(이하, '이너 환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후드 유로(32)로 유동되는 조리 가스와, 상기 이너 환기 유로로 유동되는 공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본체(11)에는 배관부(46)가 관통하거나 배관부(46)의 내부와 연통되는 개구(13A)가 형성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개구(13A)는 관통공으로 명명될 수 있고, 후자의 경우 개구(13A)는 환기 흡입구로 명명될 수 있다.
일례로, 개구(13A)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13)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구(13A)는 베이스 플레이트(16)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전자레인지(10)는 환기구(141)에 구비된 환기 필터(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기 필터(47)는 환기구(141)를 통과하여 환기 덕트(44)로 유입되는 외기를 정화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실내로 깨끗한 외기가 급기될 수 있다.
환기 필터(47)는 후술할 아우터 환기 필터(57, 도 5 참조)와 함께 외기의 정화를 수행할 수 있으며, 환기 필터(47)는 이너 환기필터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전자레인지(10)에는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본체(11)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상기 센서는 먼지 센서 또는 이산화탄소 센서일 수 있다.
전자레인지(10)의 제어부(미도시)는 먼지 센서에서 감지된 오염도가 기설정된 수치를 넘으면 환기팬(43)을 구동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레인지(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전자레인지(10)는 조리기기(1)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시키는 후드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후드 송풍유닛(40)이 작동되면 실내의 조리가스는 후드 흡입구(150)로 흡입되어 후드 이너 유로(32)으로 유동될 수 있다. 후드 이너 유로(32)로 유동된 조리가스는 후드 송풍유닛(40)의 후드팬(41)으로 흡입되고, 후드팬(41)은 흡입된 조리가스를 후드 배기구(140)로 배기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10)는 실내의 환기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환기는 후드 기능과 동시에 수행되거나, 택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전자레인지(10)는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시키거나,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다. 이로써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환기팬(43)이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실내 공기는 환기 덕트(44)의 배관부(46)로 흡입될 수 있다. 배관부(46)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환기 덕트(44)의 바디부(45)를 통과하여 환기팬(43)으로 흡입될 수 있고, 환기팬(43)은 흡입된 실내 공기를 환기구(141)로 배기시킬 수 있다. 이로써,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반대로, 환기팬(43)이 실외 공기를 흡입하는 타 방향으로 회전하면, 실외 공기는 환기구(141)를 통해 환기팬(43)으로 흡입될 수 있다. 이 때, 실외 공기는 환기구(141)를 통과하며 환기 필터(47)에 의해 정화되어 환기팬(430으로 흡입될 수 있다.
환기팬(43)은 흡입된 실외 공기를 환기 덕트(44)로 유동시킬 수 있고, 상기 실외 공기는 환기 덕트(44)의 바디부(45)와 배관부(46)를 차례로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될 수 있다. 이로써 외기가 실내로 급기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전자 레인지(10)와, 아우터 환기유로(50)와, 아우터 후드 유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우터 후드 유로(55)는 조리가스의 유동에 의해 아우터 후드 유로(55)를 구성하는 배관이나 덕트의 내벽이 오염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후드 유로(55)를 통해 환기가 이뤄질 경우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아우터 환기유로(50)와 아우터 후드 유로(55)는 서로 연통되지 않는 별개의 유로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아우터 환기 유로(50)는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환기 유로(50)는 실외 공기를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로 안내하거나,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에서 배출된 실내 공기를 실외로 안내할 수 있다.
아우터 환기 유로(50)는 양방향 유로(51)와, 환기용 배기유로(52)와, 환기용 급기유로(53)와, 절환 댐퍼(54)를 포함할 수 있다.
양방향 유로(51)는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와 연결될 수 있다. 양방향 유로(51)로는 공기가 양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양방향 유로(51)에는 실내공기가 환기구(141)에서 환기용 배기유로(52)로 유동되거나, 실외공기가 환기용 급기유로(53)에서 환기구(141)로 유동될 수 있다.
양방향 유로(51)의 일 단은 환기구(141)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절환 댐퍼(54)에 연결될 수 있다.
절환 댐퍼(54)는 환기용 배기유로(52)와, 환기용 급기유로(5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절환 댐퍼(54)는 양방향 유로(51)를 환기용 배기유로(52) 또는 환기용 급기유로(53)와 선택적으로 연통시킬 수 있다.
절환 댐퍼(54)에는 절환 댐퍼(54)를 구동시키는 절환 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환기용 배기유로(52)는 양방향 유로(51)의 공기를 실외로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환기용 배기유로(52)의 일 단은 절환 댐퍼(54)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실외와 연통된 아우터 배기부(58)와 연결될 수 있다.
절환 댐퍼(54)에 의해 양방향 유로(51)와 환기용 배기유로(52)가 연통된 경우,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에서 양방향 유로(51)를 통해 환기용 배기유로(52)로 안내된 실내공기는 아우터 배기부(58)로 배출될 수 있다.
환기용 급기유로(53)는 실외 공기를 양방향 유로(51)로 안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환기용 급기유로(53)의 일 단은 절환 댐퍼(54)와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실외와 연통된 아우터 급기부(59)와 연결될 수 있다.
절환 댐퍼(54)에 의해 양방향 유로(51)와 환기용 급기유로(53)가 연통된 경우, 아우터 급기부(59)를 통해 환기용 급기유로(53)로 유입된 실외공기는 양방향 유로(51)로 안내될 수 있고,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로 흡입될 수 있다.
환기용 급기유로(53)에는 아우터 환기 필터(57)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우터 환기 필터(57)는 외기의 유동 방향에 대해 아우터 급기부(59)와 전열교환기(56)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환기 필터(57)는 아우터 급기부(59)에서 유입된 외기를 정화 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환기시스템은 보다 깨끗한 외기를 실내로 공급할 수 있다.
아우터 후드 유로(55)는 전자레인지(10)의 후드 배기구(140)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후드 유로(55)의 일 단은 후드 배기구(140)에 연결될 수 있고, 타 단은 실외와 연통된 아우터 후드 배기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아우터 후드 유로(55)는, 전자레인지(10)의 후드 배기구(140)에서 배출된 조리가스를 아우터 후드 배기부(60)로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은 전열교환기(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열교환기(56)는 아우터 후드 유로(55)와 환기용 급기유로(53)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전열 교환기(56)는 아우터 후드 유로(55)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환기용 급기 유로(53)의 일 단과 타 단 사이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전열교환기(56)에서 교차되는 아우터 후드 유로(55)의 조리 가스와 환기용 급기 유로(53)의 외기는 서로 혼합되지 않고 독립적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는 전열교환기(56)의 구성상 당연한 것이며, 전열 교환기(56)의 구성은 주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열교환기(56)는 아우터 후드 유로(55)를 유동하는 공기(조리가스)와 환기용 급기유로(53)를 유동하는 공기(외기)간의 열교환을 수행할 수 있으며, 실내의 난방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후드 유로(55)의 조리가스는 환기용 급기 유로(53)의 외기에 비해 온도가 높음이 일반적이므로, 전열교환기(56)에서 조리가스의 열에 의해 외기가 가열될 수 있다. 이로써, 환기용 급기 유로(53)를 통해 보다 따듯한 외기가 실내로 공급될 수 있고, 실내의 난방 효율이 증가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아우터 배기부(58), 아우터 급기부(59), 아우터 후드 배기부(60)는 각각 메인 덕트(70)를 통해 실외와 연통될 수 있다. 즉, 환기용 배기유로(52), 환기용 급기유로(53) 및 아우터 후드 유로(55)는 메인 덕트(70)와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덕트(70)는 건물의 내부 또는 벽체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덕트(70)는 기존의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의 후드와 연결되는 덕트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환기 시스템은 기존의 메인 덕트(70)를 그대로 활용하여, 후드 기능뿐 아니라 환기 기능까지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환기 기능을 구현하기위해 기존에 건물에 설치되어 있던 메인 덕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추가 시설공사에 대한 부담이 없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환기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전자레인지(10) 내부에서 작용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환기 시스템은 조리기기(1)에서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한 조리가스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기시키는 후드 모드와, 실내 공기를 환기 시키는 환기 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환기 모드는 실외 공기를 실내로 급기하는 급기 모드와,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환기 시스템은 상기 환기 모드과 상기 후드 모드를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환기 모드와 상기 후드 모드는 동시에 작동되거나 택일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반면, 환기 시스템은 상기 급기 모드와 상기 배기 모드를 택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드 모드가 작동되면, 후드 송풍유닛(40)의 작동에 의해 전자레인지(10)의 후드 배기구(140)로 토출된 조리가스는 아우터 후드 유로(55)로 유동되고, 전열교환기(56)를 통과하여 아우터 후드 배기부(60)로 배기될 수 있다. 아우터 후드 배기부(60)는 실외와 연통되므로, 조리가스는 실외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배기 모드가 작동되면, 환기팬(43)의 작동에 의해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로 토출된 실내공기는 양방향 유로(51)로 유동될 수 있다. 이 때, 절환 댐퍼(54)는 양방향 유로(51)와 환기용 배기유로(52)가 연통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양방향 유로(51)의 실내공기는 환기용 배기유로(52)를 통과하여 아우터 배기부(58)로 배기될 수 있다. 아우터 배기부(58)는 실외와 연통되므로, 실내의 오염된 공기가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상기 급기 모드가 작동되면, 환기팬(43)의 작동에 의해 아우터 급기부(59)로 흡입된 실외 공기는 환기용 급기유로(53)로 유동되고, 아우터 환기 필터(57) 및 전열교환기(56)를 차례로 통과할 수 있다. 실외 공기는 아우터 환기 필터(57)를 통과하며 정화될 수 있다. 또한, 급기 모드와 후드 모드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 실외 공기는 전열교환기(56)를 통과하며 조리 가스와 열교환되며 온도가 상승할 수 있다. 절환 댐퍼(54)는 양방향 유로(51)와 환기용 급기유로(53)를 연통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아우터 환기 필터(57) 및 전열교환기(56)를 통과한 환기용 급기유로(53)의 실외공기는 양방향 유로(51)로 유동될 수 있고, 전자레인지(10)의 환기구(141)를 통과하여 실내로 급기될 수 있다. 이로써, 외기가 실내로 급기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실내의 난방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11: 본체
140: 후드 배기구 141: 환기구
15: 백 플레이트 150: 후드 흡입구
16: 베이스 플레이트 17: 도어
20: 캐비티 30: 조리실
31: 전장실 32: 이너 후드 유로
33: 어퍼 공간 40: 후드 송풍유닛
41: 후드팬 43: 환기팬
44: 환기 덕트 45: 바디부
46: 배관부 47: 환기필터
50: 아우터 환기 유로 51: 양방향 유로
52: 환기용 배기유로 53: 환기용 급기유로
54: 절환 댐퍼 55: 아우터 후드 유로
56: 전열교환기 57: 아우터 환기필터
58: 아우터 배기부 59: 아우터 급기부
60: 아우터 후드 배기부 70: 메인 덕트

Claims (17)

  1. 후드 흡입구와, 후드 배기구와,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이격된 환기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캐비티;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각각 연통된 이너 후드 유로;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키는 후드 송풍유닛;
    상기 환기구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너 후드 유로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환기 덕트; 및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환기 덕트의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 내를 통과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에 구비된 환기 필터를 더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와 연통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부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관부가 관통하거나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어퍼 바디를 포함하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8. 후드 흡입구와, 후드 배기구와,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이격된 환기구를 갖는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상기 환기구에 연결된 아우터 환기 유로; 및
    상기 후드 배기구에 연결된 아우터 후드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상기 후드 흡입구와, 상기 후드 배기구와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된 캐비티;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 및 후드 배기구와 각각 연통된 이너 후드 유로;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키는 후드 송풍유닛;
    상기 환기구과 연통되고 상기 본체의 외부와 연통되며 상기 이너 후드 유로와 독립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하는 환기 덕트; 및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환기 덕트 내부를 유동하는 에어 플로우를 발생시키는 환기팬을 포함하고,
    상기 환기 덕트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본체와 상기 캐비티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이너 후드 유로 내를 통과하는 환기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환기 유로는,
    상기 환기구와 연결된 양방향 유로;
    상기 양방향 유로에 연결된 절환 댐퍼;
    상기 절환 댐퍼에 연결되고, 상기 양방향 유로의 공기를 실외로 안내하는 환기용 배기유로; 및
    상기 절환 댐퍼에 연결되고, 실외의 공기를 상기 양방향 유로로 안내하는 환기용 급기유로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에 아우터 환기 필터가 구비된 환기 시스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후드 유로와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에 각각 연결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아우터 후드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와 상기 환기용 급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간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전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는,
    상기 환기구에 구비된 이너 환기 필터를 더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덕트는,
    상기 환기구와 연통된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부로 연장된 배관부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배관부가 관통하거나 상기 배관부의 내부와 연통된 개구가 형성된 환기 시스템.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캐비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후드 흡입구가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상기 캐비티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백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백 플레이트는,
    상기 캐비티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로어 바디; 및
    상기 로어 바디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후드 배기구 및 상기 환기구가 형성된 어퍼 바디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180017220A 2018-02-12 2018-02-12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KR102035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20A KR102035800B1 (ko) 2018-02-12 2018-02-12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220A KR102035800B1 (ko) 2018-02-12 2018-02-12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07A KR20190097607A (ko) 2019-08-21
KR102035800B1 true KR102035800B1 (ko) 2019-10-23

Family

ID=67808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220A KR102035800B1 (ko) 2018-02-12 2018-02-12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8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685Y1 (ko) * 2003-03-19 2003-06-09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레인지 후드 겸용 실내 환기 장치
KR100584309B1 (ko) * 2003-07-16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의 오염물질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100803265B1 (ko) 2007-01-10 2008-02-13 김송이 공동주택의 주방 및 실내 겸용 환기설비와 이에 이용되는3방향댐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13025A (ja) * 1995-05-17 1996-11-29 Hazama Gumi Ltd 厨房用換気設備
KR100577206B1 (ko) * 2004-05-21 2006-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시스템
KR101689882B1 (ko) 2009-12-07 2016-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685Y1 (ko) * 2003-03-19 2003-06-09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레인지 후드 겸용 실내 환기 장치
KR100584309B1 (ko) * 2003-07-16 2006-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 레인지의 오염물질 배출장치 및 배출방법
KR100803265B1 (ko) 2007-01-10 2008-02-13 김송이 공동주택의 주방 및 실내 겸용 환기설비와 이에 이용되는3방향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7607A (ko) 201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0513B2 (ja) 複合調理器システム
KR101291426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US7183529B2 (en) Over-the-range microwave oven that guides air to a suction port
KR102524063B1 (ko) 오븐
EP3309463B1 (en) Oven
JP3898697B2 (ja) フード兼用電子レンジ
KR102075130B1 (ko) 신속 배연기능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AU2020220259A1 (en) Hob system
KR102210370B1 (ko) 오븐
KR101304691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1261646B1 (ko) 후드 겸용 전자 레인지
KR102035800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 시스템
JP2004184059A (ja) 壁掛け型電子レンジ
WO2018070060A1 (ja) 換気ファン付き電子レンジおよび調理システム
KR100826708B1 (ko) 오븐의 공기 배출 시스템
JP2002286267A (ja) 換気装置
JP4155798B2 (ja) 厨房用空気処理装置及び調理装置
KR101055922B1 (ko) 조리기기
KR100889077B1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CN217441746U (zh) 一种吸油烟机
KR2011001822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0239521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전자렌지
KR20220156316A (ko) 레인지 후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KR20110019838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20080049225A (ko) 벽걸이형 전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