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47B1 -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47B1
KR102035747B1 KR1020190042089A KR20190042089A KR102035747B1 KR 102035747 B1 KR102035747 B1 KR 102035747B1 KR 1020190042089 A KR1020190042089 A KR 1020190042089A KR 20190042089 A KR20190042089 A KR 20190042089A KR 102035747 B1 KR102035747 B1 KR 102035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lock
lock device
control information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2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철식
Original Assignee
옥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옥철식 filed Critical 옥철식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은 할부, 리스, 렌털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함으로써, 장기 할부, 리스, 렌털 등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고, 자금 회수가 용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door lock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할부, 리스(lease), 렌털(rental)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가전제품 또는 상용제품, 산업장비, 차량 등의 제품 판매의 경우 거래방식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할부, 리스, 렌털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나, 지정된 기간에 비용이 지급되지 않더라도, 해당 제품에 대한 법적 채권 확보와 환수 절차가 복잡하여 채권 회수에 많은 비용과 기간 소요 등 어려움이 있는 상태이다.
또한, 게임 영상 콘텐츠는 전형적인 소프트웨어 상품으로서 소비자가 보유한 PC 등과 같은 범용 디바이스를 통해 실행되고, 유통업체에서 게임 콘텐츠가 저장된 CD 등의 기록매체를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 또는 온라인을 통한 다운로드 방식으로 유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VR과 같은 체감형 게임 콘텐츠가 대중화됨에 따라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은 전용 게임 장비나 시뮬레이터와 같은 체감형 컨트롤러 장비를 요구하는 게임 콘텐츠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소비자가 이러한 체감형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게임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고가의 게임 장비를 함께 구매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현재 게임장비시장에서는 게임 시뮬레이터 장비 등을 전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으나, 제품 판매 수익은 일회성에 그치다 보니 제조원가가 비싼 장비의 경우 여러 유통 단계를 거치면서 판매 가격이 매우 비싸지고 판매 이후에는 사실상 사후 업그레이드 관리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일반적인 가전제품 렌털시장에서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 등을 이용한 가전제품 등이 렌털 시장으로 발 빠르게 이동하는 추세이다. 즉, 가전제품의 경우에는 다양한 소비자층 요구의 구매 패턴으로 최근 추세는 구매보다는 렌털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렌털 방식은 렌털시 업체측에서는 매월 납입되는 채권의 연체로 채권의 원활한 회수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5961호 [제목: 무이자 장기 할부에 의한 물품 또는 용역의 판매 또는 대여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할부, 리스, 렌털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은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도어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는 상기 임대 장소의 임대인과 관련한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에 의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와 관련한 도어의 오픈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아무도 없는 시간대에 상기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요금이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될 때, 상기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방법은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일 때,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에 의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 요금이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될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에 의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장소 내의 전자 제품과 연동하여, IoT 기능에 따라 상기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으로 확인될 때, 상기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현재 설정된 변경된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 수행 전의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할부, 리스, 렌털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함으로써, 장기 할부, 리스, 렌털 등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고, 자금 회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화면의 예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은 서버(100), 단말(200) 및 도어락 장치(3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0), 상기 단말(200) 및 상기 도어락 장치(300) 각각은 다른 단말들과의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미도시), 상기 다양한 정보 및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미도시), 각 단말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0)는 상기 단말(200), 상기 도어락 장치(300) 등과 통신한다.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에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임대 장소(또는 임차 장소)는 원룸,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는 상기 임대 장소와 관련해서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계좌이며, 상기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계좌일 수 있다.
즉,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단말(200)에 대응하는 임대 장소에 대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상기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람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도어에 대한 온/오프(또는 열림/닫힘)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서버(100)는 해당 도어에 대한 온/오프 제어할 수 없도록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확인 결과,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될 때까지 상기 잠금 제어 정보의 전송을 연기(delay)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가 상기 도어락 장치(300)와 직접적인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도어락 장치(300)와 근거리 통신 가능한 다른 장치(미도시)에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 요금이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해당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한다.
즉, 상기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해 권리가 있는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과 관련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을 상기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분배하여 입금 처리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사용 요금 중에서 미리 설정된 수수료(예를 들어 5%)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을 분배하여 입금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1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상기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폴더블 단말기(Foldab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서버(100), 상기 도어락 장치(3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한 권리를 가진 임대인이 소유한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200)은 상기 서버(100)에서 수행하는 복수의 기능(예를 들어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잠금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하는 기능, 사용 요금이 연체된 상태에서 미납된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하는 기능 등 포함)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200)은 상기 단말(200)을 소지한 임대인의 사용자 제어(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하여, 해당 임대 장소의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를 설정함으로써, 임대인 보호 기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 요금이 연체된 상태에서 미납된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단말(200)은 상기 단말(200)을 소지한 임대인의 사용자 제어(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서버(100), 상기 단말(200) 등과 통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도어의 일측에 형성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도어의 손잡이에 인접하거나 또는, 상기 손잡이와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미도시)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또는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또는 설정)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이때,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또는 새로운 비밀번호)는 상기 단말(2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도어락 장치(3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고유 제품키)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비밀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초기화 기능, 사용자 제어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 등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비밀번호 변경 이전의 이전 비밀번호와 상기 변경된 새로운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변경 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람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도어에 대한 온/오프(또는 열림/닫힘)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대한 온/오프 제어할 수 없도록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도어의 오픈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시간대가 임차인(또는 세입자)가 실내에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또는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아무도 없는 시간대에),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임대 장소 내의 전자 제품(예를 들어 텔레비전, 세탁기, 에어컨 등 포함) 등과 연동하여,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기능에 따라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원거리 통신 기능이 불가한 지역에 구비되거나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인접한 다른 장치(미도시)(예를 들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구비된 비콘, 스피커폰 등 포함)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장치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사용 요금 입금 날짜까지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상기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임대 장소의 도어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한 사용 요금이 미납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임차인이 소지한 다른 단말(미도시), 임대인이 소지한 상기 단말(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또는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도어에 대한 열림 시도(또는 비밀번호 입력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연결된 인터폰(미도시)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 오픈을 시도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버(100)를 경유하여 상기 임대인이 소지한 상기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또는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도어에 대한 열림 시도(또는 비밀번호 입력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연결된 인터폰(미도시)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알람 정보(또는 알람음)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상기 하드웨어 락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또는 도어락)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또는 설정)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현재 설정된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또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 수행 전의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비밀번호가 재변경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초기화 기능, 사용자 제어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현재 비밀번호를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하는 대신에, 현재 설정된 비밀번호(또는 변경된 비밀번호/새로운 비밀번호)를 상기 임차인이 소지한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은 도어의 온/오프 제어를 위한 지문 인식 장치(미도시), 숫자/문자 키패드(미도시) 등을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 관리 시스템(10)은 상기 지문 인식 장치에서의 타인에 의한 지문 획득 방지나 또는 상기 숫자/문자 키패드 상에서의 터치된 영역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상기 지문 인식 장치의 지문 인식 영역 및/또는 상기 숫자/문자 키패드의 번호 입력 영역에 각각 부착되는 지문 인식 방지 필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부, 리스, 렌털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관리 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에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임대 장소(또는 임차 장소)는 원룸,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사무실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는 상기 임대 장소와 관련해서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계좌이며, 상기 서버(100)에 의해 관리되는 계좌일 수 있다.
즉,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단말(200)에 대응하는 임대 장소에 대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상기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미도시)를 통해,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람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도어에 대한 온/오프(또는 열림/닫힘)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서버(100)는 해당 도어에 대한 온/오프 제어할 수 없도록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임대인인 홍길동과 임차 관계에 있는 임차인인 철수가 임대 장소인 ABCD 오피스텔 1234호의 사용과 관련해서 미리 설정된 월세 납입 일자인 매월 5일(예를 들어 2019년 04월 05일)까지 상기 홍길동과 관련한 제 1 계좌로 월세(예를 들어 50만원)가 입금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서버(100)는 2019년 04월 06일 오후 01시에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제 1 도어락 장치(300)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1 잠금 제어 정보를 제 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한다(S210).
이후,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미도시)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또는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또는 설정)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한다. 이때,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또는 새로운 비밀번호)는 상기 단말(2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도어락 장치(3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고유 제품키)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비밀번호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초기화 기능, 사용자 제어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 등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비밀번호 변경 이전의 이전 비밀번호와 상기 변경된 새로운 비밀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 변경 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센서부를 통해,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 해당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사람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도어에 대한 온/오프(또는 열림/닫힘) 제어가 가능하므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대한 온/오프 제어할 수 없도록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에 한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도어의 오픈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시간대가 임차인(또는 세입자)가 실내에 없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또는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아무도 없는 시간대에),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임대 장소 내의 전자 제품(예를 들어 텔레비전, 세탁기, 에어컨 등 포함) 등과 연동하여, IoT 기능에 따라 해당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으로 확인되는 경우,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원거리 통신 기능이 불가한 지역에 구비되거나 원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인접한 다른 장치(미도시)(예를 들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구비된 비콘, 스피커폰 등 포함)와 근거리 통신을 통해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다른 장치가 상기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서버(200)로부터 상기 사용 요금 입금 날짜까지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다른 장치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수신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상기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의 사용을 제한하기 위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근거리 통신 방식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이후,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다른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해당 도어락에 대한 잠금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임대 장소의 도어가 잠금 기능이 설정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한 사용 요금이 미납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임차인이 소지한 다른 단말(미도시), 임대인이 소지한 상기 단말(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또는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도어에 대한 열림 시도(또는 비밀번호 입력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연결된 인터폰(미도시)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도어 오픈을 시도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를 상기 서버(100)를 경유하여 상기 임대인이 소지한 상기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상태(또는 새로운 비밀번호의 설정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도어에 대한 열림 시도(또는 비밀번호 입력 시도)가 있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에 연결된 인터폰(미도시)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알람 정보(또는 알람음)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잠금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ABCD 오피스텔 1234호 내에 객체(또는 사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객체가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수신된 제 1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에 미리 설정된 제 1 비밀번호(예를 들어 123456)를 변경하여 새로운 제 2 비밀번호(예를 들어 987234)로 적용한다. 이때, 상기 제 2 비밀번호는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와 관련한 홍길동이 소지한 단말(200)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인 010-1234-5678) 중에서 추출된 제 1 정보(예를 들어 234)와,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예를 들어 9876543) 중에서 추출된 제 2 정보(예를 들어 987)를 혼합하여 생성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제 1 비밀번호(예를 들어 123456) 및 상기 변경된 제 2 비밀번호(예를 들어 987234)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ABCD 오피스텔 1234호의 도어에 대한 비밀번호가 변경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임대 장소에 대한 월세 50만원이 미납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상기 임차인인 영희가 소지한 제 2 단말과, 상기 임대인인 홍길동이 소지한 제 1 단말(200) 등에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 2 단말은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ABCD 오피스텔 1234호의 도어에 대한 비밀번호가 변경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임대 장소에 대한 월세 50만원이 미납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수신 및 표시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단말은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ABCD 오피스텔 1234호의 도어에 대한 비밀번호가 변경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해당 임대 장소에 대한 월세 50만원이 미납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수신 및 표시(310)한다(S220).
이후,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해당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한다.
즉, 상기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과 관련한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되는 경우, 상기 서버(100)는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해 권리가 있는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과 관련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을 상기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분배하여 입금 처리한다.
일 예로, 상기 월세가 미납된 상태에서 2019년 04월 06일 오후 5시 50분에 상기 홍길동과 관련한 제 1 계좌로 월세 50만원이 입금될 때, 상기 서버(100)는 해당 월세를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예를 들어 홍길동에게 100%)를 근거로 상기 홍길동의 예금 계좌로 입금 처리한다. 이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월세 50만원 중에서 미리 설정된 수수료(예를 들어 5%)를 제외한 나머지 금액(예를 들어 475,000원)을 입금 처리할 수도 있다(S230).
또한, 상기 서버(1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도어락 장치(300)에 전송한다.
일 예로, 상기 월세가 미납된 상태에서 2019년 04월 06일 오후 5시 50분에 상기 홍길동과 관련한 제 1 계좌로 월세 50만원이 입금될 때, 상기 서버(100)는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상태를 잠금 상태에서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 1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에 전송한다(S240).
이후,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구비된 상기 하드웨어 락의 동작을 제어하여 해당 도어락 장치(300)가 설치된 도어(또는 도어락)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또는 설정)한다.
즉,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수신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현재 설정된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또는 새로운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 수행 전의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한다. 여기서,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비밀번호가 재변경되는 경우,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에 대한 초기화 기능, 사용자 제어에 의한 비밀번호 변경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상기 현재 비밀번호를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하는 대신에, 현재 설정된 비밀번호(또는 변경된 비밀번호/새로운 비밀번호)를 상기 임차인이 소지한 다른 단말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300)는 해당 도어락 장치(300)와 관련한 임대 장소의 도어가 잠금 기능이 해제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상기 임대 장소에 대한 사용 요금이 정상 납부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임차인이 소지한 다른 단말(미도시), 임대인이 소지한 상기 단말(20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락 장치는 상기 수신된 제 1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현재 도어의 비밀번호인 제 2 비밀번호(예를 들어 987234)를 잠금 상태 이전의 제 1 비밀번호(예를 들어 123456)로 변경한다(S250).
본 발명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할부, 리스, 렌털 등 다양한 옵션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날짜에 결제가 진행되지 않은 경우, 원격에서 해당 제품이나 장소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구동하여 해당 제품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해당 장소의 도어를 잠금 상태로 설정하고, 결제가 진행된 경우 해당 제품의 동작 정지 상태를 해제하거나 장소의 도어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해당 제품이나 장소와 관련한 용도별로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에 따라 해당 결제에 따른 금액을 분배하여, 장기 할부, 리스, 렌털 등이 적용된 제품이나 장소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고, 자금 회수가 용이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도어락 관리 시스템 100: 서버
200: 단말 300: 도어락 장치

Claims (9)

  1.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의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서버; 및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는 상기 임대 장소의 임대인의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에 의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도어의 오픈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 내에 아무도 없는 시간대에 상기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사용 요금이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의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될 때, 상기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하고,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시스템.
  6.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임대 장소의 사용을 위해 미리 설정된 사용 요금 입금 날짜에 임대인의 미리 설정된 계좌로 사용 요금이 입금되지 않은 상태일 때,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위한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도어락 장치에 의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구비된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사용 요금이 미납 상태에서 상기 임대인의 미리 설정된 계좌로 상기 사용 요금이 입금될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사용 요금에 대응하는 금액을 미리 설정된 비용 분배 정보를 근거로 적어도 한 명의 임대인에게 분배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위한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에 의해,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락 장치는,
    상기 수신된 잠금 제어 정보를 근거로 상기 도어락 장치에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를 변경하며,
    상기 변경된 비밀번호는 상기 임대 장소의 임대인의 단말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고유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각각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를 조합하여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장소에 설치된 센서부에 의해,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임대 장소 내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을 때, 상기 서버에 의해, 상기 잠금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임대 장소 내의 전자 제품과 연동하여, IoT 기능에 따라 상기 전자 제품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확인 결과, 전자 제품이 미사용 중으로 확인될 때, 상기 하드웨어 락을 동작시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 대한 잠금 해제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해제 제어 정보를 근거로 현재 설정된 변경된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 수행 전의 이전 비밀번호로 재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락 관리 방법.
KR1020190042089A 2018-10-05 2019-04-10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35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18797 2018-10-05
KR1020180118797 2018-10-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747B1 true KR102035747B1 (ko) 2019-10-23

Family

ID=68460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089A KR102035747B1 (ko) 2018-10-05 2019-04-10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926B1 (ko) * 2020-08-07 2021-04-16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도어락을 이용한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016561A (ko)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017A (ja) * 2006-03-28 2007-10-11 Univ Of Tsukuba 高齢者安否情報生成システム
KR100805961B1 (ko) 2007-01-04 2008-02-25 배은숙 무이자 장기 할부에 의한 물품 또는 용역의 판매 또는 대여방법
KR20140077429A (ko) *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0010B1 (ko) * 2014-10-31 2016-12-28 류대운 도어락을 개폐제어하는 임차인용 키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5017A (ja) * 2006-03-28 2007-10-11 Univ Of Tsukuba 高齢者安否情報生成システム
KR100805961B1 (ko) 2007-01-04 2008-02-25 배은숙 무이자 장기 할부에 의한 물품 또는 용역의 판매 또는 대여방법
KR20140077429A (ko) * 2012-12-14 2014-06-24 주식회사 노키온 디지털 도어락과 연계되는 스마트 그리드를 포함한 에너지 통제용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0010B1 (ko) * 2014-10-31 2016-12-28 류대운 도어락을 개폐제어하는 임차인용 키관리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단말기, 도어락 시스템 및 도어락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6561A (ko) 2020-08-03 2022-02-10 주식회사 스마트큐브 도어락 시스템 및 이를 지원하는 도어락 모듈
KR102240926B1 (ko) * 2020-08-07 2021-04-16 주식회사 시냅틱웨이브 도어락을 이용한 임대차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9099B2 (ja) 駐車場管理方法、携帯端末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
US20050033994A1 (en) Device registration system, device registration server, device registration method, device registration program, storage medium, and terminal device
US20120276845A1 (en) Payment processing
US9324108B2 (en) Control method, system and device
KR102035747B1 (ko) 도어락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10138925A1 (en) Communication system, server, and terminal
CN103544775B (zh) 自动售货机、自动售货系统及其售货方法
US7711614B2 (en) Content delivery method, content delivery service computer, content delivery service system, data discard recognition method, data discard recognition computer, and terminal
CA2549816A1 (en) Digital media review and play system
CN100561515C (zh) 一种多媒体文件下载终端和下载系统
JP2009200537A (ja) ペイテレビ課金システム
KR101844493B1 (ko) 온라인 컨텐츠 중개 시스템
JP5948005B2 (ja) 駐輪又は/及び駐車施設の精算システム
JPWO2007089045A1 (ja) 認証システム
CN113614767A (zh) 广告投放系统、信息处理设备和信息处理方法
JP2015153015A (ja) オンライン決済システム
CN105245517A (zh) 应用的锁定方法、装置及系统
KR101993837B1 (ko) 보안 인증 모듈을 이용한 실시간 전자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89209A (ko)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컨텐츠의 네트워크마케팅 시스템 및그 운영방법
KR102664346B1 (ko) 블록체인 메인넷 토큰 운영 플랫폼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000007066A (ko) 전자 상거래 상품 정보 제공 시스템과 그 제공 방법 및이를 구축한 전자 기록 매체
KR20000037037A (ko) 웹콘텐츠 자판기의 현금.현물 지급장치 및 그 방법
EP148250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ransmiss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N116308502A (zh) 虚拟形象获取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20140066138A (ko) 스마트 단말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전자상거래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