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665B1 -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665B1
KR102035665B1 KR1020180084640A KR20180084640A KR102035665B1 KR 102035665 B1 KR102035665 B1 KR 102035665B1 KR 1020180084640 A KR1020180084640 A KR 1020180084640A KR 20180084640 A KR20180084640 A KR 20180084640A KR 102035665 B1 KR102035665 B1 KR 10203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r
position value
terminal
current position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봉
남기석
쫑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텍
Priority to KR1020180084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수신기는, 제1단자와 제2단자,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기의 ID와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수신될 때,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한다.

Description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RECEIVER FOR CHANGING ITS ID USING ITS CURRENT LOCATION VALUE AND WIRELESS CALL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위치를 지시하는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설정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호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은행과 같이 다수의 고객이 존재하는 곳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무선 호출 시스템은 각각이 ID가 할당된 수신기들, 송신기 및 충전기를 포함한다. 수신기가 고객에게 교부된 후, 송신기가 ID를 지정하여 호출 신호를 전송하면, 전송된 ID에 해당하는 수신기는 고객에게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순서가 도래했음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수신기들의 ID는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일부 수신기가 분실되는 경우 등 상기 수신기들의 ID가 변경되어야 할 경우가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0471호 (2009. 06. 29.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신의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자신의 ID를 변경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특히, 충전기로부터 출력된 위치 식별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는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수신기는, 제1단자와 제2단자,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기의 ID와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수신될 때,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수신기는. 제1단자와 제2단자,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기의 ID와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와 ID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기의 ID를 상기 ID 변경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 ID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수신될 때,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현재 위치 값과 상기 대상 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의 ID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수신기들이 충전기에 적층된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들의 ID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는 자신의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복수 개의 수신기들이 충전기에 적층된 경우라 할지라도, 상기 복수 개의 수신기들의 개별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호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충전기 상에 적층된 수신기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ID를 유선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ID를 무선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무선 호출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호출 시스템(10)은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n은 1이상의 자연수)와 충전기(20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수신기(100)라 함은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중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수신기들(100-1~100-n)은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로부터 전송된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들(100-1~100-n)은 수신된 호출 신호에 기초하여 대기 순서가 종료되었음을 디스플레이, 음향, 진동의 방식으로 수신기(100)의 사용자(또는 소지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은 ID를 가질 수 있고,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는 해당하는 수신기의 ID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해당하는 ID의 수신기는 상기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사용자에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00)는 충전기(200)로부터 전력(또는 전압)을 수신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기(100)는 충전기(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유선 방식에 따라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은 순차적으로 충전기(200)에 적층(stack) 또는 거치되고, 충전기(20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충전기(200)는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로 해당하는 수신기의 ID를 포함하는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충전기(200)는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충전기(200)는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의 ID를 개별적 또는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송신기(300)는 수신기(100)로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300)는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의 ID를 개별적 또는 일괄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비록 도 1에는 충전기(200)와 송신기(300)가 별도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와 송신기(300)는 일체로(all-in-one)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충전기(200)는 무선 방식에 따라 호출 신호를 수신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2의 수신기(100)는 도 1의 수신기들(100-1~100-n)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 제2단자(103), 제3단자(105), 제4단자(107), 프로세서(110), 메모리(120), 수신부(130), 알람부(140), 디스플레이(150), 충전 감지부(160), 충전부(170) 및 배터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101)와 제3단자(105)는 음각으로 형성되어 수신기(100)의 후면(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단자(103)와 제4단자(107)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수신기(100)의 전면(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 ACK, ICD 및 LV)를 입출력할 수 있고, 제2단자(103)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 ACK, ICD 및 LV)를 입출력할 수 있다. 이들 데이터(LID, ACK, ICD 및 LV)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신기(100)는 제3단자(105)를 통해 전력(PW)을 입출력할 수 있고, 제4단자(107)를 통해 전력(PW)을 입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기들(100-1~100-n)이 적층되어 있을 때, 하나의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 ACK, ICD 및 LV)를 아래(예컨대, 충전기(200) 또는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로부터 수신하거나 아래로 출력할 수 있고, 제2단자(103)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 ACK, ICD 및 LV)를 위(예컨대, 위에 위치한 수신기)로 출력하거나 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신기(100)는 제3단자(105)를 통해 전력(PW)을 상기 아래로부터 수신하거나 아래로 출력할 수 있고, 제4단자(107)를 통해 전력(PW)을 상기 위로 출력하거나 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은 단자들(101, 103, 105 및 107)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수신부(130), 알람부(140), 디스플레이(150), 충전 감지부(160), 충전부(170) 및 배터리(180)의 작동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펌웨어를 실행시키고(또는 로드하고), 상기 펌웨어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데이터(LID, ACK, ICD 및 LV)를 제2단자(1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수신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메모리(120)는 수신기(100)의 ID,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 수신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수신기(100)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2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메모리(120)가 프로세서(11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수신부(130)는 외부로부터 무선 방식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처리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부(130)는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호출 신호 또는 데이터(LID 및 ICD)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비록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수신부(130)는 안테나와 모뎀(modulator-demodulator (MODEM))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140)는 프로세서(110)의 제어에 따라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부(130)가 외부로부터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여) 프로세서(110)로 전송하면, 프로세서(110)로부터 전송된 알람 신호에 응답하여 알람부(140)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알람부(140)는 소리, 진동 및 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알림을 수신기(100)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알람부(140)는 버저(buzzer) 등을 이용하여 소리에 기반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고,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진동에 기반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광원(예컨대,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을 이용하여 빛에 기반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수신기(10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디스플레이(150)는 수신기(100)의 I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150)는 가변 숫자 표시기(flexible numeric display (FND))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FND를 이용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충전 감지부(160)는 충전부(170)에 의해 수행되는 충전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부(170)가 단자들(101과 105)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PW)을 이용하여 배터리(180)를 충전시키는 충전 작동을 수행할 때, 충전 감지부(160)는 상기 충전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부(170)는 배터리(180)의 충전 용량의 변화 또는 충전부(170)와 배터리(180) 사이를 흐르는 전류의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충전 작동을 감지할 수 있다.
충전 감지부(160)는 충전부(170)의 충전 작동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감지 신호를 프로세서(1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신호는 충전부(170)의 충전 작동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다라, 프로세서(110)는 충전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충전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상기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가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이 초과하였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10)는 타이머 또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충전부(170)는 단자들(101과 105)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PW)을 이용하여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부(170)는 단자들(101과 105)를 통해 수신되는 전압을 조정(regulate)하고, 조정된 전압을 이용하여 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다.
충전부(170)는 단자들(101과 105)를 통해 수신되는 전력(PW)을 이용하여 프로세서(11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180)에 공급되는 전압과 프로세서(110)에 공급되는 전압은 다를 수 있다.
배터리(180)는 충전부(170)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충전된 전력을 수신기(100)의 각 구성으로 공급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 감지부(160), 충전부(170) 및 배터리(18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충전기(200)는 제1단자(201), 제2단자(203),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입력부(230), 디스플레이(240) 및 전력 공급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는 송신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충전기(200)와 송신기(300)가 일체로 구현되는 경우, 충전기(200)는 송신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단자(201)와 제2단자(203)는 양각으로 형성되어 충전기(200)의 전면(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충전기(2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와 ICD)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충전기(200)는 제2단자(203)를 통해 전력(PW)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는 제1단자(201)를 통해 전력(PW)과 데이터(LID와 ICD)를 위(예컨대, 위에 위치한 수신기)로 출력할 수 있고, 제2단자(203)를 통해 전력(PW)을 상기 위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충전기(200)는 단자들(201과 203)을 통해 수신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충전기(200)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 입력부(230), 디스플레이(240), 전력 공급부(250) 및 송신부(260)의 작동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210)는 메모리(220)에 저장된 펌웨어를 실행시키고(또는 로드하고), 상기 펌웨어의 제어에 따라 충전기(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210)는 제1단자(201)를 통해 데이터(LID와 ICD)를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충전기(200)의 작동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의 작동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및 충전기(200)의 작동에 필요한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비록 도 3에는 메모리(220)가 프로세서(21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220)는 프로세서(2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입력부(230)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을 (처리하여)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의 사용자는 입력부(230)를 통해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입력부(230)는 입력된 명령을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230)는 버튼, 키보드, 터치 패드, 마이크 또는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충전기(200)의 작동은 입력부(230)를 통해 입력된 명령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40)는 충전기(200)의 작동과 관련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예컨대, 디스플레이(240)는 가변 숫자 표시기(FND)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전력을 이용하여 충전기(200)의 각 구성으로 전력을 공급하거나 또는 단자들(201과 203)을 통해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전력 공급부(25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을 변환(또는 조절)하고, 변환된 전압을 공급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력 공급부(250)에 의해 충전기(200) 내부로 공급되는 전압과 출력되는 전압은 상이할 수 있다.
송신부(260)는 무선 방식에 따라 수신기들(100-1~100-n)로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송신부(260)는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수신기들(100-1~100-n)로 호출 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데이터(LID와 ICD)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충전기 상에 적층된 수신기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제1수신기(100-1)는 충전기(200) 위에 적층되고, 제2수신기(100-2)는 제1수신기(100-1)에 적층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에 따라, 제n수신기(100-n)가 최상단에 적층될 때 까지 적층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수신기들이 적층되었을 때, 제1수신기(100-1)의 후면에 위치한 단자들 ― 제1단자(101)와 제3단자(105) ― 은 충전기의 전면에 위치한 단자들 ― 제1단자(201)와 제2단자(203) ― 각각과 결합될 수 있고(A), 제1수신기(100-1)의 전면에 위치한 단자들 ― 제2단자(103)와 제4단자(107) ― 은 제2수신기(100-2)의 후면에 위치한 단자들 ― 제1단자와 제3단자 ― 각각과 결합될 수 있다(B). 이러한 단자들의 결합에 따라, 수신기들(100-1~100-n)은 충전기(200)상에 적층될 수 있다.
수신기들(100-1~100-n)이 충전기(200)상에 적층되었을 때, 수신기들(100-1~100-n)과 충전기(200)는 데이터 또는 전력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로부터 전달된 전력(PW)은 수신기들(100-1~100-n) 각각으로 전달될 수 있고, 데이터(LID, ACK, ICD 및 LV)는 수신기들(100-1~100-n)과 충전기(200) 사이에서 전송되고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200)로부터 전달된 전력이 제1수신기(100-1)로 전달되고, 제1수신기(100-1)는 전달된 전력을 이용하여 제1수신기(100-1)를 충전하고, 제2수신기(100-2)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나머지 수신기들도 이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즉, 충전기(200)로부터 제n수신기(100-n)로 전력(PW)이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200)로부터 데이터(예컨대, LID)가 제1수신기(100-1)로 출력되고, 제1수신기(100-1)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수신기(100-2)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나머지 수신기들도 이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즉, 충전기(200)로부터 제n수신기(100-n)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n수신기(100-n)는 아래의 수신기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고, 순차적으로 제1수신기(100-1) 및 충전기(200)로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현재 위치 값은 충전기(200) 상에 적층된 수신기들(100-1~100-n) 중에서 수신기(100)가 적층된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100)는 충전기(200) 상에 적층되었을 때, 수신기(100)의 현재 (상대적인)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100)는 충전기(200) 상에 적층된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 중에서 자신이 몇 번째에 적층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 대한 설명에서는, 수신기(100)가 충전기(200) 상에 적층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수신한다(S410). 위치 식별 데이터(LID)는 수신 확인 신호(ACK)의 출력을 지시하는 신호일 수 있다.
위치 식별 데이터(LID)는 수신기(100)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또는 충전기)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위치 식별 데이터(LID)는 충전기(200)에 의해 생성되어 출력되고, 수신기들(100-1~100-n)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200)와 수신기(100)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즉, 수신기(100)가 충전기(200) 바로 위에 적층되는 경우), 충전기(200)는 단자들(201과 203)의 전류 또는 전압의 변화에 기초하여 단자들(201과 203)에 수신기가 연결되는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단자들(201과 203)에 수신기가 연결되면, 자동으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단자들(201과 203)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수신되었을 때,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지시하는 수신 확인 신호(ACK)를 제1단자(101)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수신기(100)는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또는 충전기)로부터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수신되면, 상기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로 수신 확인 신호(ACK)를 제1단자(10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신기(100)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는 자신의 위에 수신기(100)가 위치함을 인지할 수 있다.
수신기(100)는 제2단자(103)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출력한다(S420). 출력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는 수신기(100)의 위에 위치한 수신기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바로(directly) 제3단자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수신하고,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생성하여 제3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그대로 제2단자(103)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실질적으로 동일한(즉, 데이터 관점으로 동일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생성하고, 생성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제2단자(10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수신기(100) 또는 프로세서(110)는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제2단자(103)를 통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430).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제2단자(103)의 입출력을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의 결과에 따라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제2단자(103)를 통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프로세서(110)는 타이머 또는 카운터를 이용하여 상기 기준 시간의 도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S430의 NO),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440). 상기 기준 위치 값은 최상단을 지시하는 값이며,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즉, 수신기(100)가 충전기(200) 상에 적층된 수신기들(100-1~100-n)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수신기(100)에 의해 제2단자(103)를 통해 출력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의 수신 대상이 존재하지 않고(수신기(100)의 위에 위치하는 수신기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수신기(100)는 수신 확인 신호(ACK)를 수신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수신 확인 신호(ACK)를 수신하지 못한 수신기는 최상단에 위치한 수신기이다.
반대로, 수신기(100)가 충전기(200) 상에 적층된 수신기들(100-1~100-n) 중에서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수신기(100)에 의해 제2단자(103)를 통해 출력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는 수신기(100)의 위에 위치하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고, 따라서 수신기(100)는 수신 확인 신호(ACK)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신 확인 신호(ACK)를 수신한 수신기는 최상단에 위치한 수신기가 아니다.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수신되었을 때(S430의 YES), 프로세서(110)는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LV)을 이용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S450).
위치 값(LV)은 위치 값(LV)이 출력된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일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위치 값(LV)은 제2단자(103)를 통해 이후에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위치 값(LV)을 수신한 프로세서(110)는 위치 값(LV)에 특정 값(예컨대, 공차(common difference))을 더한 값을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수신기들(100-1~100-n)이 충전기(200) 상에 적층되었을 때,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은 인접하는 수신기로부터 출력된 위치 값(LV)과 공차를 이용하여 자신의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값(LV)의 출력은 최상단 수신기로부터 시작된다.
예컨대, 기준 위치 값이 1이고, 공차가 1이라고 가정한다. 위에서 첫 번째(예컨대, 최상단)에 위치한 수신기는, 단계 S430과 S440에 따라,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예컨대, 1)으로 설정한다. 그 후, 위에서 첫 번째에 위치한 수신기는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수신기로 현재 위치 값(예컨대, 1)을 출력하고, 상기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수신기는 기준 위치 값에 1을 더한 값(예컨대, 1+1=2)을 자신의 현재 위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수신기는 현재 위치 값(예컨대, 2)을 출력하고, 상기 위에서 두 번째에 위치한 수신기는 수신된 값에 1을 더한 값(예컨대, 2+1=3)을 자신의 현재 위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순차적인 방식에 따라, 적층된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의 현재 위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충전 감지부(160)로부터 전송된 충전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초기화 또는 소거(erase)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충전 작동이 수행되지 않음을 지시할 때,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소거할 수 있다. 다만, 이 때,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ID는 소거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수신기(100)가 충전기(20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소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충전기(200) 상에 적층된 복수의 수신기들(100-1~100-n)은 서로 데이터(예컨대,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수신 확인 신호(ACK))를 주고받음으로써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현재 위치 값은 수신기들(100-1~100-n)의 ID를 변경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ID를 유선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100)는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로부터 전송되는 ID 변경 데이터(ICD)에 기초하여 자신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도 6에 대한 설명에서는, 수신기(100)가 충전기(200) 상에 적층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ID 변경 데이터(ICD)를 수신한다(S510).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는 제1단자(201)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ID 변경 데이터(ICD)를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기(200)는 단자들(201와 203)에 수신기(100)가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수신기(100)가 결합될 때 제1단자(201)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ID 변경 데이터(ICD)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ID 변경 데이터(ICD)는 하나의 전송 단위(예컨대, 페이로드(payload) 또는 패킷(packet))로서 전송될 수 있다.
ID 변경 데이터(ICD)는 수신기(100)의 ID를 변경을 지시하는 신호로서, 변경 대상이 되는 대상 ID(ID_TAR)와 ID 변경 대상 수신기의 위치를 지시하는 대상 위치 값(LV_TAR)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ID 변경 데이터(ICD)는 ID를 일괄적으로 변경할지(예컨대, 일괄 설정) 또는 개별적으로 변경할지(예컨대, 개별 설정)를 지시하는 데이터(예컨대, 헤더(head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기(100)는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된 위치 식별 데이터(LID)에 응답하여, 제2단자(103)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LID)를 출력한다(S520).
수신기(100) 또는 프로세서(110)는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제2단자(103)를 통해 수신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S530).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S530의 NO),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540).
프로세서(11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이 기준 위치 값으로 설정된 후, ID 변경 데이터(ICD)에 포함된 대상 ID(ID_REF)를 이용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S550).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의 수신에 응답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이 기준 위치 값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현재 위치 값이 상기 기준 위치 값일 때,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ID를 대상 ID(ID_REF)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수신기(100)가 최상단(예컨대, 위에서 첫 번째)에 위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한 후, ID 변경 데이터(ICD)를 (예컨대, 제1단자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데이터(LID)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ACK)가 수신되지 않았을 때(S530의 YES), 프로세서(110)는 이후에 제2단자(103)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값(LV)을 이용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S560).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제2단자(103)를 통해 ID 변경 데이터(ICD)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값(LV)과 ID 변경 데이터(ICD)는 함께 제2단자(103)를 통해 (예컨대, 바로 위의 수신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즉, 수신기(100)가 최상단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프로세서(110)는 제2단자(103)를 통해 (예컨대, 바로 위의 수신기로부터) 수신되는 ID 변경 데이터(ICD)에 응답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에 포함된 대상 ID(ID_TAR)와 설정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S570).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의 수신에 응답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ID를 대상 ID(ID_TAR)와 현재 위치 값을 더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적층된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은 현재 위치 값과 대상 ID(ID_TAR)를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들(100-1~100-n) 각각의 ID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6에는 위치 식별 데이터(LID)와 ID 변경 데이터(ICD)가 함께 수신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들에 따라, ID 변경 데이터(ICD) 만이 별도로 수신될 수 있다. 즉, 이미 수신기들(100-1~100-n)의 현재 위치 값이 설정된 경우, 충전기(200)는 ID 변경 데이터(ICD)를 출력하고, 수신기들(100-1~100-n)은 ID 변경 데이터에 기초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다(S550과 S570).
이 경우, ID 변경 데이터(ICD)는 제2단자(103)가 아닌 제1단자(101)를 통해 (예컨대, 아래에 위치한 수신기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이 설정된 경우, 수신기(100)(또는 프로세서(110))가 ID 변경 데이터(ICD)를 제1단자(101)를 통해 수신하고, 대상 ID(ID_TAR)와 수신기(10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의 ID를 무선 방식으로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에서 설명되는 수신기의 ID의 변경은, 도 5에서 설명된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의 설정이 끝나고 충전기(200)에 적층된 상황을 가정한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수신기(100)는 무선 방식에 따라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로부터 ID 변경 데이터(ICD)를 수신한다(S610). 실시 예들에 따라, 충전기(200) 또는 송신기(300)는 수신기들(100-1~100-n)로 ID 변경 데이터(ICD)를 병렬적으로(in parallel) 전송할 수 있다. 즉, 수신기들(100-1~100-n) 모두는 ID 변경 데이터(ICD)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는 수신된 ID 변경 데이터(ICD)가 개별 설정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620). 실시 예들에 따라,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의 형식에 기초하여 수신된 ID 변경 데이터(ICD)가 개별 설정을 지시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ID 변경 데이터(ICD)가 상기 개별 설정을 지시하지 않을 때(S620의 NO), 즉, ID 변경 데이터(ICD)가 일괄 설정을 지시할 때,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에 포함된 대상 ID(ID_TAR)와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메모리(120)에 저장된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110)는 수신기(100)의 ID를 대상 ID(ID_TAR)와 수신기(100)의 현재 위치 값을 더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ID 변경 데이터(ICD)가 상기 개별 설정을 지시할 때(S620의 YES), 프로세서(110)는 대상 위치 값(LV_TAR)과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이 동일한지 판단할 수 있다(S640).
대상 위치 값(LV_TAR)과 현재 위치 값이 동일할 때(S640의 YES), 프로세서(110)는 대상 ID(ID_TAR)를 이용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S650).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들(100-1~100-n)은 수신된 ID 변경 데이터(ICD)에 포함된 대상 위치 값(LV_TAR)과 저장된 현재 위치 값에 기초하여 ID를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들(100-1~100-n)의 ID들은 동일하게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대상 위치 값(LV_REF)과 현재 위치 값이 동일하지 않을 때,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를 무시(ignore)할 수 있다.
ID 변경 데이터(ICD)가 상기 개별 설정을 지시하지 않을 때(S620의 NO), 프로세서(110)는 대상 ID(ID_TAR)과 메모리(120)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수신기(100)의 ID를 변경할 수 있다(S630). 예컨대, 프로세서(110)는 수신기(100)의 ID를 대상 ID(ID_TAR)와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한 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신기들(100-1~100-n)은 위치 변경 데이터(ICD)에 응답하여,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신기들(100-1~100-n)의 ID들은 동일하게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도 6에서 설명된 무선 방식에 따른 ID 변경 방법은 도 5에서 설명되는 유선 방식에 따른 ID 변경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단자(101 또는 103)를 통해 ID 변경 데이터(ICD)를 수신한 수신기(100)(또는 프로세서(110))는 ID 변경 데이터(ICD)가 개별 설정을 지시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단계 S620 내지 S650과 유사한 방법에 따라, 판단의 결과에 따라 ID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무선 호출 시스템
100-1~100-n: 수신기들
200: 충전기
300: 송신기
LID: 위치 식별 데이터
ICD: ID 변경 데이터
PW: 전력

Claims (10)

  1.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제1단자와 제2단자;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기의 ID와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수신될 때,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는,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대상 ID를 포함하는 ID 변경 데이터를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와 함께 수신하고,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이 변경된 후, 상기 대상 ID와 상기 현재 위치 값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기의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이 상기 기준 위치 값일 때, 상기 수신기의 ID를 상기 대상 ID로 변경하고,
    상기 현재 위치 값이 상기 기준 위치 값이 아닐 때, 상기 수신기의 ID를 상기 대상 ID와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위치 값의 합으로 설정하는,
    수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D 변경 데이터가 개별 변경을 지시할 때, 상기 ID 변경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 위치 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위치 값이 상기 현재 위치 값과 일치할 때, 상기 수신기의 ID를 상기 대상 ID로 변경하는,
    수신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충전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 검출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 신호를 수신한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상기 ID 변경 데이터가 수신될 때에만 상기 수신기의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충전 작동이 수행되지 않음을 지시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초기화하는,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현재 위치 값을 위치 값으로서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기.
  8. 호출 신호에 응답하여 알림을 제공하는 수신기에 있어서,
    제1단자와 제2단자;
    프로세서; 및
    상기 수신기의 ID와 상기 수신기의 현재 위치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위치 식별 데이터와 ID 변경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를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위치 식별 데이터가 출력된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 내에 수신 확인 신호가 수신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수신되지 않을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기준 위치 값으로 변경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수신기의 ID를 상기 ID 변경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 ID로 변경하고,
    상기 수신 확인 신호가 상기 기준 시간 내에 수신될 때, 상기 제2단자를 통해 이후에 수신되는 위치 값을 이용하여 현재 위치 값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현재 위치 값과 상기 대상 ID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기의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ID 변경 데이터가 개별 변경을 지시할 때, 상기 ID 변경 데이터에 포함된 대상 위치 값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상기 대상 위치 값이 상기 현재 위치 값과 일치할 때, 상기 수신기의 ID를 상기 대상 ID로 변경하는,
    수신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충전부; 및
    상기 배터리에 대한 충전 작동이 수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충전 작동 여부를 지시하는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충전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감지 신호가 상기 충전 작동이 수행되지 않음을 지시할 때,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현재 위치 값을 초기화하는,
    수신기.
KR1020180084640A 2018-07-20 2018-07-20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KR102035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40A KR102035665B1 (ko) 2018-07-20 2018-07-20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640A KR102035665B1 (ko) 2018-07-20 2018-07-20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665B1 true KR102035665B1 (ko) 2019-10-23

Family

ID=68460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640A KR102035665B1 (ko) 2018-07-20 2018-07-20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6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314A (ko) 2022-01-06 2023-07-13 설현수 센서노드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환자 모니터링 센서 네트워크 구성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439B1 (ko) * 2002-01-28 2004-11-26 아스텔 주식회사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KR100723680B1 (ko) * 2005-08-05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2007295296A (ja) * 2006-04-25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コールシステム、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00037503A (ko) * 2008-10-01 2010-04-09 (주)리텍 무선수신기의 충전장치
KR100978524B1 (ko) * 2009-05-20 2010-08-27 (주)리텍 송신기 일체형 충전장치
KR20180023646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리텍 하이브리드 무선 호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60372B1 (ko) * 2018-01-05 2018-05-23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439B1 (ko) * 2002-01-28 2004-11-26 아스텔 주식회사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KR100723680B1 (ko) * 2005-08-05 2007-05-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실내외 환경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이를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시스템 및 장치
JP2007295296A (ja) * 2006-04-25 2007-11-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ワイヤレスコールシステム、ワイヤレス受信器
KR20100037503A (ko) * 2008-10-01 2010-04-09 (주)리텍 무선수신기의 충전장치
KR100978524B1 (ko) * 2009-05-20 2010-08-27 (주)리텍 송신기 일체형 충전장치
KR20180023646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리텍 하이브리드 무선 호출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860372B1 (ko) * 2018-01-05 2018-05-23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6314A (ko) 2022-01-06 2023-07-13 설현수 센서노드의 추가, 삭제 및 변경이 용이하도록 하는 환자 모니터링 센서 네트워크 구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7360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CN101931250B (zh) 信息处理设备、程序和信息处理系统
JP5238384B2 (ja) 近距離の無線電力伝送方法および装置
US8193764B2 (en) Wireless charging of electronic devices
KR20140086000A (ko) 유무선 충전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충전 방법
CN102760332A (zh) 用于提供无线充电服务的装置和系统
KR102035665B1 (ko)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WO2007043250A1 (ja) Acアダプタ、電子機器及び電源システム
CN103338432A (zh) 广播设备、位置管理系统、广播方法和存储介质
CN111071080B (zh) 车辆及充电系统
CN108146280B (zh) 一种电动汽车充电站
US11469623B2 (en) Power receiver, power transmitter, power transceiver,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09168327B (zh) 用于无线电力传输网络中的交叉连接检测和减轻的方法和装置
KR102012999B1 (ko) 무선 전력전송장치 및 방법
JP2020018146A (ja) 送電装置、無線給電システムおよび送電方法
US1150915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battery
KR20210109916A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103928725A (zh) 一种移动终端及其充电方法和装置
US11038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device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cross-talk between multiple magnetic resonance chargers
US1146293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charging on basis of state of battery
JP6700856B2 (ja) 給電装置、受電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CN107985593B (zh) 提供充电服务的方法、通信基站、无人机和无人机系统
CN107276180B (zh) 充电控制方法、设备、系统和用户设备
CN101854427A (zh) 一种提醒操作启动方法和移动终端
US20160105032A1 (en) Wireless power recep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