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372B1 -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 Google Patents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0372B1
KR101860372B1 KR1020180001535A KR20180001535A KR101860372B1 KR 101860372 B1 KR101860372 B1 KR 101860372B1 KR 1020180001535 A KR1020180001535 A KR 1020180001535A KR 20180001535 A KR20180001535 A KR 20180001535A KR 101860372 B1 KR101860372 B1 KR 101860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ove
coupling
protrusion
pcb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우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0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0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0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커피숍, 레스토랑 등을 포함한 각종 외식업 매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진동벨(일명 무선호출기라고도 하고, 페이져라고도 함)의 단자구조를 적층식으로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적층식 충전구조의 단자구조는 PCB기판을 기준으로 윗 단자와 아랫 단자가 분할 조립된 한 쌍의 통전단자로서, 서로 간에 구비된 돌기핀과 내입홈은 암수 조립되는 형태로 접촉되면서 일체의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특히 한 쌍의 윗 단자와 아랫 단자는 납작한 원통체 형상을 이루면서 면접촉 방식으로 요철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인입부 측에 각각 모서리(chamfer) 경사면이 형성되어 다면적 통전성과 함께 진동벨의 적층시 안착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전기적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단락 문제를 해결(충전 신뢰도 향상)함은 물론 안정적인 구조로 적층이 가능하여 전도(떨어짐, 유동 흔들림) 불안에 의한 제품 파손이나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함은 물론 전기적, 기구적 품질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Terminal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connecting with the thus and radio pager}
본 발명은 커피숍, 레스토랑 등을 포함한 각종 외식업 매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진동벨(일명 무선호출기라고도 하고, 페이져라고도 함)의 단자구조를 적층식으로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적층식 충전구조의 단자구조는 PCB기판을 기준으로 윗 단자와 아랫 단자가 분할 조립된 한 쌍의 통전단자로서, 서로 간에 구비된 돌기핀과 내입홈은 암수 조립되는 형태로 접촉되면서 일체의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특히 한 쌍의 윗 단자와 아랫 단자는 납작한 원통체 형상을 이루면서 면접촉(원주면 면접촉) 방식으로 요철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인입부 측에 각각 모서리(chamfer) 경사면이 형성되어 다면적 통전성과 함께 진동벨의 적층시 안착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는 전기적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단락 문제를 해결(충전 신뢰도 향상)함은 물론 안정적인 구조로 적층이 가능하여 전도(떨어짐, 유동 흔들림) 불안에 의한 제품 파손이나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함은 물론 전기적, 기구적 품질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동벨(다른 지칭으로 '무선 호출기' 또는 무선 수신기' 또는 '페이저' 라고도 함)은 다양한 모양과 디자인 형태로 이미 출시되어 있고 출원되어 있다.
이러한 진동벨은 통상 카드 단말기나 포스 단말기 옆에 단독으로 설치된 송신기가 구비되고, 이러한 송신기는 입력기가 구비되어 버튼 조작에 의해 데이터(번호 설정 등)를 발생시키고 이를 전달받은 진동벨(무선 수신기)은 충전단자대(오로지 충전 역할만 하는 것)에 대기하고 있다가 소비자에게 전달되며 그에 따라 호출용으로 사용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무선호출 시스템의 구성요소는 카드 단말기(또는 포스 단말기) 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출기가 내장되어 있고, 이를 송신부(충전기 역할을 병행함)가 정보를 확인하면 수신부에 해당하는 진동벨에 대하여 데이터(호출 번호)를 전송하여 일반적인 형태로 사용하게 된다.
한편, 통상의 진동벨은 여러가지 충전방식이 있는데 최근에는 적층식 충전구조가 널리 보급되어 있고, 여러 형태로 특허 등록된 사례도 확인할 수 있다.
선행기술 중 특허 출원 제10-2010-0037504호(출원인 주식회사 리텍/ 명칭: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 이하 '선행문헌' 이라 함)는 등록된 특허 사례 중 하나이다.
이러한 선행문헌의 기술 내용은 위 아래 적층 구조의 무선수신기가 있는데 적층되는 구조에서 각 무선수신기가 충전되는 구성으로 위에서 받아주는 홈(제1단자대)의 직경이 아래에서 올라가는 돌기(충전단자대)의 직경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접촉성이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문헌의 제1단자대와 충전단자대는 반구 형태의 내외형을 갖으면서 접촉되도록 하는 바, 이는 유동에 취약한 상태로서 적층시 진동벨을 제대로 위치시키지 않으면 어느 일방이 들어 올려져 들뜨면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은 접촉 면적이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면촉 면적이 면접촉이 아닌 불안한 형태의 선접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통전 신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1. 대한만국 특허등록 제10-0983822호(2010.09.16.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PCB기판을 기준으로 윗 단자와 아랫 단자가 분할 조립된 한 쌍의 통전단자로서, 서로 간에 구비된 돌기핀과 내입홈은 암수 조립되는 형태로 접촉되면서 일체의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특히 한 쌍의 윗 단자와 아랫 단자는 납작한 원통체 형상을 이루면서 면접촉 방식으로 요철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은 인입부 측에 각각 모서리(chamfer) 경사면이 형성되어 다면적 통전성과 함께 진동벨의 적층시 안착 조립성이 개선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전기적 접촉 면적이 확대되어 단락 문제를 해결(충전 신뢰도 향상)함은 물론 안정적인 구조로 적층이 가능하여 전도(떨어짐, 유동 흔들림) 불안에 의한 제품 파손이나 안전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안전한 사용성을 제공함은 물론 전기적, 기구적 품질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PCB기판(10)을 기준으로 윗 단자(100)와 아랫 단자(200)가 한 쌍의 통전단자를 이루도록 하되, 윗 단자(100) 중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0)는 아랫 단자(200)의 결합홈(210)에 대응되면서 암수 요철 결합 형태로 적층되면서 통전 및 충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윗 단자(1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내부홈(120)이 형성되고, 아랫 단자(2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돌기핀(220)이 형성되어 PCB기판(10)을 기준으로 각각의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이 삽입 결합되면서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와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은 납작한 원통체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는 단부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경사면(111,211: chamfer)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은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되, 조립 후는 원통체의 면접촉에 의해 유동 없이 통전성이 강화되면서 적층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은 암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에는 일자 홈 또는 십자 홈의 드라이버 홈(212)이 형성되어 내부홈(120)에 대하여 돌기핀(220)이 나사 체결시 드라이버로 하여금 조임 해제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는 상하 돌출된 선상 일측에 통전성 확대용 플렌지(112)가 형성되어 진동벨의 상커버(20)와 동일 수평을 이루면서 플렌지(112)의 윗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랫 단자는 결합홈(210)의 외주면에 확장면(213)이 형성되어 진동벨의 하커버(30)와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하되, 확장면(213)의 아랫면은 상기 플렌지(112)와 밀착 통전되도록 아랫면이 노출되면서 통전 면적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진동벨(일명 무선호출기라고도 하고, 페이져라고도 함)의 충전 구조를 적층식 구조로 구성하도록 하되, 상기 적층식 충전 구조는 PCB기판을 기준으로 윗 단자와 아랫 단자로 분할된 한 쌍의 통전단자가 서로 접촉되면서 일체의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이러한 한 쌍의 윗 단자와 아랫 단자는 적층시 삽입 조립성이 좋고 접촉 면적이 넓어 안정적이어서 유동 없이 접촉되어 단락의 문제를 해결하고 충전 신뢰도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윗 단자와 아랫 단자가 나사 체결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되어 탈장착 교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조가 적용된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조의 측단면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조의 분해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구조의 적층식 조립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PCB기판(10)을 기준으로 윗 단자(100)와 아랫 단자(200)가 한 쌍의 통전단자를 이루도록 하되, 윗 단자(100) 중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0)는 아랫 단자(200)의 결합홈(210)에 대응되면서 암수 요철 결합 형태로 적층되면서 통전 및 충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윗 단자(1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내부홈(120)이 형성되고, 아랫 단자(2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돌기핀(220)이 형성되어 PCB기판(10)을 기준으로 각각의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이 삽입 결합되면서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와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은 납작한 원통체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는 단부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경사면(111,211: chamfer)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은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되, 조립 후는 원통체의 면접촉에 의해 유동 없이 통전성이 강화되면서 적층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은 암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에는 일자 홈 또는 십자 홈의 드라이버 홈(212)이 형성되어 내부홈(120)에 대하여 돌기핀(220)이 나사 체결시 드라이버로 하여금 조임 해제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는 상하 돌출된 선상 일측에 통전성 확대용 플렌지(112)가 형성되어 진동벨의 상커버(20)와 동일 수평을 이루면서 플렌지(112)의 윗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랫 단자는 결합홈(210)의 외주면에 확장면(213)이 형성되어 진동벨의 하커버(30)와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하되, 확장면(213)의 아랫면은 상기 플렌지(112)와 밀착 통전되도록 아랫면이 노출되면서 통전 면적이 배가되도록 형성된다.
부연하건데, 윗 단자는 진동벨의 상커버에 결합되고, 아랫 단자는 하커버에 결합되는데 이들 상,하커버는 윗 단자와 아랫 단자의 결합홈에 결합돌기가 나사 결합에 의해 조립되면서 결속이 이루어지고, 결합돌기가 관통하는 PCB기판의 접촉단 통공(도체가 원형 링 형태로 된 부분-회로상 전기적으로 연결)을 기준으로 결합홈에 삽입되면서 통전체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윗 단자는 상커버 상에 돌출되는데 필요에 따라 사출 성형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일체로 성형되고, 아랫 단자는 별도로 제작되었다가 마치 볼트 처럼 윗 단자를 향해 하커버의 수납홈(아랫 단자가 자리하는 홈 형상 부분)을 경유하면서 조임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조립성과 교환 교체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PCB기판 20 ... 상커버
30 ... 하커버
100 ... 윗 단자 110 ... 결합돌기
111 ... 경사면 112 ... 플렌지
120 ... 내부홈
200 ... 아랫 단자
210 ... 결합홈 211 ... 경사면
212 ... 드라이버 홈 213 ... 확장면
220 ... 돌기핀

Claims (5)

  1. PCB기판(10)을 기준으로 윗 단자(100)와 아랫 단자(200)가 한 쌍의 통전단자를 이루도록 하되, 윗 단자(100) 중 상측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10)는 아랫 단자(200)의 결합홈(210)에 대응되면서 암수 요철 결합 형태로 적층되면서 통전 및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윗 단자(1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내부홈(120)이 형성되고, 아랫 단자(200)는 PCB기판(10)과 맞닿는 면상에 돌기핀(220)이 형성되어 PCB기판(10)을 기준으로 각각의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이 삽입 결합되면서 통전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와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은 납작한 원통체로 형성되고, 서로 조립되는 단부 외주연과 내주연에는 각각 경사면(111,211)이 형성되어 상호 조립은 원활하게 유도되도록 하되, 조립 후는 원통체의 면접촉에 의해 유동 없이 통전성이 강화되면서 적층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홈(120)과 돌기핀(220)은 암수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체결 방식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 단자의 결합홈(210)에는 일자 홈 또는 십자 홈의 드라이버 홈(212)이 형성되어 내부홈(120)에 대하여 돌기핀(220)이 나사 체결시 드라이버로 하여금 조임 해제 및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윗 단자의 결합돌기(110)는 상하 돌출된 선상 일측에 통전성 확대용 플렌지(112)가 형성되어 진동벨의 상커버(20)와 동일 수평을 이루면서 플렌지(112)의 윗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랫 단자는 결합홈(210)의 외주면에 확장면(213)이 형성되어 진동벨의 하커버(30)와 동일 수평을 이루도록 하되, 확장면(213)의 아랫면은 상기 플렌지(112)와 밀착 통전되도록 아랫면이 노출되면서 통전 면적이 배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KR1020180001535A 2018-01-05 2018-01-05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KR101860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35A KR101860372B1 (ko) 2018-01-05 2018-01-05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1535A KR101860372B1 (ko) 2018-01-05 2018-01-05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0372B1 true KR101860372B1 (ko) 2018-05-23

Family

ID=6245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1535A KR101860372B1 (ko) 2018-01-05 2018-01-05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0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4968A (en) * 1995-06-26 1998-09-29 Long Range Systems, Inc. Battery charger and rechargeable electronic paging device assembly
JP2010080411A (ja) * 2008-09-29 2010-04-08 Beans You Inc 電池及び電池の接続方法
KR20100037504A (ko) * 2008-10-01 2010-04-09 (주)리텍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KR20120026960A (ko) * 2010-09-10 2012-03-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40073387A (ko) * 2012-12-06 2014-06-16 정덕현 휴대단말 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4968A (en) * 1995-06-26 1998-09-29 Long Range Systems, Inc. Battery charger and rechargeable electronic paging device assembly
JP2010080411A (ja) * 2008-09-29 2010-04-08 Beans You Inc 電池及び電池の接続方法
KR20100037504A (ko) * 2008-10-01 2010-04-09 (주)리텍 무선수신기 및 이에 접속하는 충전기의 단자 구조
KR20120026960A (ko) * 2010-09-10 2012-03-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팩
KR20140073387A (ko) * 2012-12-06 2014-06-16 정덕현 휴대단말 충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4414B2 (en) Power connector having regulating member
US6299478B1 (en) Elastic locking device for locking two components together
US10333249B1 (en) Electronic connector with magnetic element and data transmission line using same
US6991497B1 (en) Earphone jack
US709748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silient conductive terminals
US20030096517A1 (en) Electrical connector
TW201714362A (zh) 低輪廓彈簧加載接觸點
CN210517181U (zh) 第一磁性连接器、第二磁性连接器及磁性连接器组合
US755316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258579B2 (en) External communication jack for mobile terminal
US1192955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nector and communication module comprising same
KR101860372B1 (ko) 적층식 충전구조를 갖는 무선호출용 진동벨의 단자구조
JP2003203726A (ja) 電気コネクタの端子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US6508676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insert
US5800212A (en) Plug-in type light bulb
KR10064682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dmb수신안테나용 동축커넥터
US20150214678A1 (en) Three-Plate Coaxial Connector
JP3336921B2 (ja) 圧電共振部品
JPH08321361A (ja) 同軸コネクタ用レセプタクル
US20200076122A1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656895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performance regarding resistance to high voltage penetration
JP2949482B2 (ja) 基板取付型電気コネクタ
US6688918B2 (en) Socket connector for insertion of audio plug
US11283216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50064969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