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8439B1 -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8439B1
KR100458439B1 KR10-2002-0004903A KR20020004903A KR100458439B1 KR 100458439 B1 KR100458439 B1 KR 100458439B1 KR 20020004903 A KR20020004903 A KR 20020004903A KR 100458439 B1 KR100458439 B1 KR 100458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information
response signa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4141A (ko
Inventor
유하영
현진일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아스텔 주식회사
주식회사 게이트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스텔 주식회사, 주식회사 게이트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아스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0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84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2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4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8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84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의료장비에 센서를 설치하여 의료장비가 인식한 환자의 응급상태 또는 의료장비 자체의 오작동이나 이상을 감지했을 때 자동으로 조작되게 함으로써, 간호사나 의사 등의 관리자에게 응급호출이 통지되도록 한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과 이 장치를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은, 외부의 동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며, 수동조작 및/또는 자동조작에 의해 생성된 응급호출신호가 TDMA 방식에 따라 할당된 시간간격동안 발신됨으로써 각각에서 발신된 동일 주파수대의 응급호출신호가 서로 겹치지 않게 된 다수의 단말기와; 상기 동기신호가 생성되어 외부로 발신되며, 상기 동기신호에 의해 구동된 각각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응급호출신호를 포함한 응답신호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되 소정 회수의 동기신호 내에서는 최초로 응급호출신호를 발신한 단말기 이후 순서의 다른 단말기로부터 응답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본체;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EMERGENCY CALLERS FOR MEDICAL FACILITIES AND CALLING METHODS}
본 발명은, 환자, 환자의 보호자, 또는 의료관계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하거나, 인공호흡기처럼 자동작동 되는 각종 의료장비에 센서를 설치하여 의료장비에 의해 환자의 응급상태가 인식된 경우 또는 의료장비 자체의 오작동, 고장 등을 감지했을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간호사나 의사 등의 관리자에게 응급호출이 통지되도록 한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중대형 병원의 응급실은 통상 수 십개의 병상이 있고, 각 병상에는 기본적으로 인공심장 박동기, 인공호흡기, 심박체크기 등 4∼5종의 의료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의료장비들은 환자의 생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관리 및 감시가 필수적이다.
의료장비와 관련하여 환자에게 치명적인 응급상황은 두 가지 유형으로 발생할 수 있다. 첫째가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어 의사 응급처치가 요구되는 상황이며,둘째가 환자의 상태와 무관하게 의료장비 자체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이다.
첫 번째인 환자의 상태악화 시에 종래의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은, 각 병상에 부저(buzzer)와 같은 개별조작기를 설치하여 인위적으로 상태악화를 통보하거나, 의료장치 자체의 알고리즘에 의해 환자의 이상이 감지되면 의료장비가 경보음을 발하는 등 비상상태를 통보하게 된다. 응급실의 경우, 중요한 의료장비가 병실 당 수 십∼수 백개 설치되어 있어 항시 많은 경보음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과다 경보음 발생은 의료관계인인 의사 또는 간호사로 하여금 어느 병상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했는지 즉각 파악하기 어렵게 할 뿐 아니라 응급실에 있는 모든 사람들에게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육체적으로 매우 부실한 상태(상처 또는 질병)인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위해효과를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번째 유형의 경우는, 환자가 응급상황이 아님에도 응급경보음을 발하거나, 환자가 응급상태인데도 응급경보를 발하지 못하게 되는 케이스이다. 이는 의료 종사자에게 불필요한 노동을 하게 하거나, 환자의 응급상태를 전혀 인식하지 못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대해서는 현재 일관된 관리 시스템이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의료장비의 수가 많은 응급병실에서 어느 병상의 환자에게서 이상상태가 발생했는지, 또는 의료장비 자체가 정상인지 여부를 경보음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고도의 신뢰성을 가진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응급호출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병실이나 의료처치실과 같은 장소개념의 의료시설은 물론 인공호흡기나 투석기와 같은 기계개념의 의료시설에 설치하여, 환자가 자발적으로 응급호출을 하는 경우뿐 아니라 환자가 응급호출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간호사와 같은 관리자에게 응급호출신호가 통지되도록 한 응급호출시스템과 응급호출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응급상태를 무선으로 신뢰성있게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응급호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병실 등에 설치되는 단말기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본체의 크기는 그다지 커지지 않는 콤팩트한 구조의 응급호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관리자가 없는 경우, 병원 구내 또는 병원 외부에 있는 관리자에게 응급호출을 유·무선으로 통지함으로써, 응급호출을 통지 받은 관리자가 응급호출지로 즉시 이동하게 하거나 혹은 응급호출을 받은 관리자가 응급호출지 부근에 있는 또 다른 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해 응급조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이중, 삼중으로 응급신호를 발하여 안전성을 증대시킨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공호흡기와 같은 각종 의료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가자신의 몸을 자의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환자가 의식불명의 상태에 있거나 수면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비가 오작동 되어 환자가 위급한 상황에 빠져 있을 때 관리자에게 자동으로 응급호출신호가 통지될 수 있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의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2는 TDMA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3은 1:1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자발신호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의 개념을 도시한 것이다.
도5는 자발신호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에서 비상신호간의 충돌이 일어났을 때의 처리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100...단말기, 200...본체,
300...중계기, 110...검출부,
120, 220, 320...수신부, 130, 230, 330...클록발생부
140, 240, 340...송신부, 150, 250, 350...저장수단,
160, 260, 360...입출력부, 270...표시부,
280...경보수단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응급호출시스템는, 병실 특히 응급병실의 각 병상에 설치된 인공호흡기, 심박감지기, 투석기 등과 같은 의료장비에 유선으로 연결·설치되는 다수의 단말기와; 의료관계인 즉, 의사 또는 간호사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무선휴대형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는 의료장비와 연결되어 의료장비로부터 응급상황을 전달받아 무선으로 응급상황을 본체로 통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본체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응급신호를 의사 또는 간호사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응급호출시스템에는 본체의 기능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중계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의료장비로부터 응급상황 신호를 전달받는다"는 것은, ① 의료장비로부터 비상상황에 해당하는 신호를 전달받거나, ② 의료장비로부터 정상적이라는 신호를 전달받지 못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이란 의료장비 자체에 하자(고장)가 발생했거나 또는 의료장비를 사용중인 환자의 상태가 악화된 상황을 의미하며, "정상적이라는 신호"란 의료장비 자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며 환자의 상태도 악화되지 않았다는 신호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은 상기 단말기와 본체 사이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크게 ① 시분할다중접속(時分割多重接續;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개념의 방식 ② 1:1 응답방식 및 ③ 자발신호방식의 3가지로 나누어지며, 중계기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각각 2가지 씩으로 구분된다. 이하 6종류 각각의 구성 및 작동방식을 상세히 설명한다.
(1) TDMA 방식 응급호출시스템
단말기와 본체 또는 중계기가 모두 동일한 주파수대를 사용해서 시간적으로 중복되지 않도록 분할하고, 각 단말기 마다 고유의 할당된 시간대를 부여하고, 특정 단말기가 응급상황을 감지하면 자신이 할당된 시간대에 신호를 발하거나 발하지 않음으로써 본체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수신부, 클록발생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클록발생부, 송신부, 수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단말기에서, 검출부는 환자, 보호자, 의사, 간호사 등 의료장비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기능을 하며, 의료장비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검출부에는, 의료장비와의 교신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신부는 외부로부터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하며, 수신된 신호의 수신 시점에 대응하여 클록발생부는 클록을 발생시킨다. 이때 모든 단말기에서 클록의 주기는 동일해야 한다.
송신부는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 즉, 연결된 의료장비로부터 전달되는 응급상황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할당된 시간대에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다. 입출력부는 각 단말기에 할당된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간대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각종 정보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요소이다. 제어부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게 되며 각 단말기마다 상기 응답신호 발신을 위한 시간대가 다르게 할당되어 있다.
본체에서, 클록발생부는 단말기들을 동기화시키기 위해 단말기의 것과 동일한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며, 송신부는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시간간격 내에 모든 단말기들의 응답시간대가 할당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간간격은 주기×단말기의 수 보다 긴 간격이어야 한다. 수신부는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며, 저장수단에는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할당된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때 위치정보에는 병상번호,의료장비의 종류, 해당 단말기에 할당된 시간대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이 좋다. 입출력부는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수단이며, 표시부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하여 본체 휴대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 제어부는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한다.
본체는 의료 관계자가 휴대하고 있어야 하므로 무선이동형이어야 하며, 필요에 따라 동일한 것이 하나 또는 복수개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단말기가 "응급상황인 경우에만 응답신호를 보내라"고 프로그램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본체는 "응답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표시하라"고 프로그램되며, 응급상황이 아닌 단말기(검출부로부터 응급상황 신호를 전달받지 않은 단말기)는 자신의 응답신호 시간대에 아무런 신호를 발하지 않으며, 본체에는 아무런 표시-응급상황이라는 표시-가 나타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응급상황인 단말기는 자신의 응답신호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고, 본체는 이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단말기에 대응되는 의료장치에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게 된다.
만일 단말기가 "정상상황인 경우에만 응답신호를 보내라"고 프로그램된 경우 이에 대응하여 본체는 "응답신호가 없는 경우에만 표시하라"고 프로그램되며, 응급상황이 아닌 단말기(검출부로부터 응급상황 신호를 전달받지 않은 단말기)는 자신의 응답신호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하며, 본체는 응답신호를 받은 경우에만 아무런 표시-응급상황이라는 표시-를 하지 않게 된다. 반대로 응급상황인 단말기는 자신의 응답신호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하지 않고, 본체는 응답신호가 없는 단말기에 대응되는 의료장치에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단말기 동기화단계, 응답신호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동기화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각 단말기가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클록발생부를 주기적으로 동기화시킨다. 응답신호발신단계에서 상기 각 단말기는, 자신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할당된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게 된다. 이어서 신호표시단계에서 본체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2) 중계기 있는 TDMA 방식 응급호출시스템
TDMA 방식의 호출시스템에서 본체는 항상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에너지(전원)의 소모가 빨라지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래 본체의 기능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중계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수신부, 클록발생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클록발생부, 송신부, 수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기와; 수신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시스템이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계기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중계기에서, 상기 송신부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또한본체에서, 상기 수신부는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며, 표시부는 수신된 중계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점 이외의 각 구성부분들의 기능과 역할은 앞의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단말기 동기화단계, 응답신호발신단계, 중계정보 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단말기 동기화단계와 응답신호발신단계에서는 앞의 (1)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 진행된다. 중계정보발신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신호표시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3) 1:1 응답방식 응급호출시스템
본체가 순차적으로 각 단말기 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호출신호를 발신하고, 각 단말기는 자신에 해당하는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시간대 내에 자신의 상태에 대한 응답신호를 발하거나 발하지 않음으로써 본체에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수신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클록발생부, 송신부, 수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단말기에서,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호출신호가 할당되며, 수신부는 수신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다.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역할은 앞에서 설명한 TDMA 방식에 의한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다.
본체에서, 상기 송신부는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각각의 단말기에 대응하는 특정의 호출신호를 순차적으로 발신한다. 저장수단에는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뿐 아니라 각 단말기에 할당된 호출신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표시부에는, 특정 호출신호 발신 후 소정의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된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이 기능과 역할은 앞에서 설명한 TDMA 방식에 의한 시스템의 것과 같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단말기 호출신호발신단계, 응답신호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호출신호발신단계에서 본체는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소정의 호출신호를 발신하며, 응답신호발신단계에서 상기 단말기는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다. 이어서 신호표시단계에서 상기 본체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4) 중계기 있는 1:1 응답방식 응급호출시스템
1:1 응답방식의 호출시스템에서 본체는 항상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에너지(전원)의 소모가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래 본체의 기능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중계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수신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클록발생부, 송신부, 수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기와; 수신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시스템이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계기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중계기에서, 상기 송신부는, 특정 호출신호 발신 후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또한본체에서, 상기 수신부는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며, 표시부는 수신된 중계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점 이외의 각 구성부분들의 기능과 역할은 앞의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단말기 동기화단계, 응답신호발신단계, 중계정보 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호출신호발신단계와 응답신호발신단계에서는 앞의 (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 진행된다. 중계정보발신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신호표시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5) 자발신호방식 응급호출시스템
각 단말기가 자신의 상태에 대한 고유의 응답신호를 스스로 발하고, 본체는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상기 단말기에게 회신하는 방식으로 응급상황을 전달하는 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이다. 따라서 여기서의 "응답신호"란 "비상신호"를 의미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클록발생부, 수신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수신부, 송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은,단말기에서,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호출신호 및 응답신호가 할당되며, 수신부는 외부로부터의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송신부는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를 발신한다. 이때 각 단말기의 클록은 동기화될 필요는 없으며, 각 단말기의 응답신호 발신 간격(즉, 소정 시간대 간격)은 단말기들 사이에 항상 일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작위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각 단말기가 난수를 발생시켜 그 난수에 해당하는 시간간격으로 응답신호를 발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다른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역할은 앞에서 설명한 TDMA 방식에 의한 시스템의 것과 동일하다.
본체에서, 상기 송신부는 특정의 응답신호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1회 또는 수회 발신한다. 저장수단에는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뿐 아니라 각 단말기에 할당된 확인신호 및 응답신호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이 기능과 역할은 앞에서 설명한 TDMA 방식에 의한 시스템의 것과 같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단말기 응답신호발신단계, 확인신호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응답신호발신단계에서 단말기는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즉, 비상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확인신호발신단계에서 본체는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발신한다. 이어서 신호표시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6) 중계기 있는 자발신호방식 응급호출시스템
자발신호방식의 호출시스템에서 본체는 항상 신호를 발신하고 수신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장치의 부피가 커지고, 에너지(전원)의 소모가 빨라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래 본체의 기능을 상당부분 가지고 있는 중계기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의한 본 발명은, 검출부, 클록발생부, 수신부, 송신부,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단말기와; 수신부, 송신부, 저장수단, 입출력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중계기와; 수신부,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응급호출시스템이다. 이때 단말기는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중계기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는 독립적인 전원공급장치(예를들면, 건전지)로 작동되는 무선이동형이다.
중계기 있는 자발신호방식 응급호출시스템의중계기에서, 상기 송신부는, 특정 응답신호(즉, 비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된다. 또한본체에서, 상기 수신부는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며, 표시부는 수신된 중계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점 이외의 각 구성부분들의 기능과 역할은 앞의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응급호출시스템은 응답신호발신단계, 확인신호발신단계, 중계정보 발신단계, 신호표시단계의 과정을 거쳐 의료 관계자에게 응급상황을 전달하게 된다.
응답신호발신단계와 확인신호발신단계에서는 앞의 (5)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과정이 진행된다. 중계정보발신단계에서 상기 중계기는, 특정 응답신호(비상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게 된다. 신호표시단계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TDMA 방식이나 1:1 응답방식과는 달리 자발신호방식의 응급호출시스템에서는 둘 이상의 단말기가 동시에 응답신호(즉, 비상신호)를 발하는 경우 충돌이 생겨서 본체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는 확인신호를 발하지 못하게되고,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단말기들은 다시 응답신호(비상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그런데, 각 단말기마다 다음 번째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간대가 다르게 설정되므로 2번째에는 응답신호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게 되고, 본체는 순차적으로 응답신호를 인식하여 각각의 확인신호를 발신하고 이와는 별도로 표시부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본체 또는 중계기는 상기 DB에 입력되어 있는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각 신호의 대응관계 등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입출력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입출력부는 딥스위치, 키보드, 버튼, 외부통신 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나 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PC를 활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거나, 저장된 정보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상기 입출력부에는 RS-323 직렬포트, 병렬포트 또는 USB포트용 커넥터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의 사용과정에서, 일단 "응급상황"이 본체의 표시부에 표시된 경우 이를 다시 리셋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겠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응급상황"을 통지받은 의료관계자(예를들면, 본체를 휴대하고 있는 간호사)가 응급상황을 발한 단말기가 연결된 의료장치로 접근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 후, 또는 취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를 리셋시켜 모든 본체에 표시된 상기 단말기 정보를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단말기의 입출력부에는 응급상황 종료를 알리기위한 리셋버튼이 추가되는 것이 좋다. 리셋과 관련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은 종래기술을 활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준비할 수 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에서, 비상상태가 본체의 표시부에 나타나더라도 부주의에 의해 의료 관계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다 강력한 경고를 위해 상기 상기 본체에 진동장치, 경광장치, 경음장치 등과 같은 경보수단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비상상태임을 본체가 수신했음에도 소정 시간동안 해당 단말기가 리셋(응급상황 해소를 위한 소정의 행위와 동시에 이루어진다)되지 않으면, 본체가 진동하여 경보하고, 계속해서 소정 시간동안 리셋되지 않으면 비상등이 깜빡이도록 하거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동시에 둘 이상의 단말기로부터 "비상사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신호표시가 복잡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신호표시단계는, (a) 소정 시간 동안에는 n 번째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그 다음 소정 시간 동안에는 n+1 번째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만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b) 각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소정 횟수 반복적으로 교차하여 표시하거나, (c) 각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d) 하나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수 또는 그 수+1을 동시에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리셋이 되는 단말기의 정보는 표시부에서 삭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의 단말기, 본체 또는 중계기에는, 방식에 따라서 클록발생부 및/또는 저장수단이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시간에 따른 정보를 추출하기 위하여, 그리고 각종의 기록을 보관하기 위하여 이들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의 설명에서,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의 단말기, 본체 또는 중계기가 방식에 따라서 모두 다른 구조로 되어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제작의 편의를 위해 모든 하드웨어를 동일한 구성으로 제작하고, 단지 내부의 프로그램을 조정함으로써 서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 또는 중계기에는, 상기 본체를 휴대해야 할 관리자가 부재중이거나, 비상상태임에도 소정의 시간동안 아무런 조치(리셋)이 취해지지 않은 경우를 감시감독하거나, 병실의 환자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비상신호를 발신한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또는 시간정보를 외부의 비상연락처로 통지할 수 있는 외부통신수단과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통신수단으로는 근거리에 있는 관리자에게 빠른시간에 알릴수 있는 같은 종류의 무선방식을 이용한 소형 호출기, 국선 연결용의 모뎀이나 인터넷 통신용의 랜-카드가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본체가 외부통신수단을 활용하는 경우, 관리실을 벗어나 있는 관리자가 응급호출사실을 무선으로 통지 받을 수 있으므로, 상기 관리자로 하여금 응급호출지로 즉시 이동하도록 하거나 사정이 여의치 않는 경우에는 다른 관리자에게 연락을 취해 응급처치를 대신토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 및 그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축소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 및 그 설명은 단말기, 본체 및 중계기로 이루어지는 응급호출시스템에 대해서만 하기로 한다. 또한 비상상태일 경우 단말기가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설명한다.
도1 내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는, 간호사나 의사가 소지하고 다니는 복수개의 무선이동형 본체와, 응급실의 병상 등에 설치된 의료장치와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와, 상기 본체 및 단말기 사이의 교신을 중계하는 하나의 중계기로 구성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에서 각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는 다소 상이한 구성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나, 제작의 편의성을 위해 기본적으로 구성이 일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의 가능한 공통구성 및 특수구성을 도시하였다. 도에서 의료장비(센서)와 연결되는 검출부(110)은 단말기 고유의 것이며, 표시부(270) 및 경보수단(280)은 본체 고유의 것이다. 기타 구성요소들은 단말기, 중계기, 본체에 따라, 또는 구체적인 시스템(총 6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각 구성요소들이 기능과 역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 (2) 중계기 있는 TDMA 방식에서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 사이의 사건진행을 도2에 도시하였다.
상기 중계기의 클록발생부(330)에서 생성된 동기신호(f s)가 송신부(340)를 통하여 각 단말기의 수신부(120)에 전송되면, 상기 동기신호(f s)를 수신한 각 단말기가 작동상태로 전환됨과 동시에 각 단말기에 내장된 클록발생부(130)가 동일한 주파수대의 동기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후 (i 번째) 단말기는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타임슬롯. Ti)동안 송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계기의 수신부(320)로 응답신호(f i)를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는다. 각 단말기는,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입력버튼 등을 누르거나, 의료장비 측에 설치해 둔 센서의 작동상태를 검출부(110)가 검출한 후 검출결과를 제어부가 분석하여 비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면 응답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어서, 중계기의 수신부(320)에 Ti에 할당된 응답신호(f i)가 수신되면 저장수단(350)으로부터 (i 번째)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의 중계정보(di; i 번째 단말기가 비상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부(340)를 통해 본체의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중계정보를 수신한 본체는 이를 표시부(270)에 (i 번째) 단말기에 대응하는 의료장비가 비상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가 리셋되지 않으면 경보수단(280)을 통해 추가적인 경보가 발해지게 된다.
물론, 리셋은 반드시 응급처치 등이 행해진 이후 혹은 이전에 의사 또는 간호사가 리셋 버튼을 누름으로서 리셋되며, 또 다른 응급호출 신호는 현재 행해지는 응답신호 생성과는 무관하게 동시 진행하게 된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 (4) 중계기 있는 1:1 방식에서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 사이의 사건진행을 설명한다.
상기 중계기의 클록발생부(330)에서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간격으로 (i 번째) 단말기에 할당된 호출신호(Ci)를 송신부(340)를 통하여 전송하면, 상기 호출신호(Ci)를 수신한 (i 번째) 단말기가 소정의 시간내에 송신부(140)를 통해 상기 중계기의 수신부(320)로 응답신호(fi)를 전송하거나 전송하지 않는다. 각 단말기는, 환자나 환자의 보호자가 상기 단말기에 설치된 입력버튼 등을 누르거나, 의료장비 측에 설치해 둔 센서의 작동상태를 검출부(110)가 검출한 후 검출결과를 제어부가 분석하여 비상상태인 것으로 판별하면 응답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어서, 중계기의 수신부(320)에 Ti에 할당된 응답신호(f i)가 수신되면 저장수단(350)으로부터 (i 번째)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의 중계정보(di; i 번째 단말기가 비상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부(340)를 통해 본체의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중계정보를 수신한 본체는 이를 표시부(270)에 (i 번째) 단말기에 대응하는 의료장비가 비상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가 리셋되지 않으면 경보수단(280)을 통해 추가적인 경보가 발해지게 된다.
도 4에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 (6) 중계기 있는 자발신호방식에서 단말기, 중계기 및 본체 사이의 사건 진행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i 번째) 단말기의 제어부(160)가 검출부(110)의 신호를 판별하여 비상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 자신에 할당된 특정의 응답신호(비상신호; ei)를 송신부(140)를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 응답신호(비상신호; ei)를 수신한 중계기가 소정의 시간내에 송신부(340)를 통해 응답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확인신호(ai)를 전송한다. 이와는 별도로 상기 중계기는 저장수단(350)으로부터 (i 번째)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의 중계정보(di; i 번째 단말기가 비상상태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출하여, 송신부(340)를 통해 본체의 수신부(220)로 전송한다. 중계정보를 수신한 본체는 이를 표시부(270)에 (i 번째) 단말기에 대응하는 의료장비가 비상상태임을 디스플레이한다. 소정 시간동안 상기 단말기가 리셋되지 않으면 경보수단(280)을 통해 추가적인 경보가 발해지게 된다.
도 5에 본 발명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 (6) 중계기 있는 자발신호방식에서 단말기 사이의 응답신호(비상신호)에서 충돌이 일어난 경우 그 처리과정을 단말기와 중계기 사이의 시간적 흐름에 따라 표시하였다. 즉, 둘 이상의 단말기에서 동시에 비상신호가 발해진 경우의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두 단말기 m과 n에서 동시에 자신들의 고유 응답신호 em과 en이 발해지면 신호가 교란되어 중계기는 누구의 응답신호인지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아무런 확인신호를 발하지 못한다. 자신의 고유한 확인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두 단말기는 재차 고유의 응답신호를 발하게 되는데, 각 단말기마다 다음 번째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간대가 다르게 설정되므로 재차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점은 서로 다르게 된다. 즉, 다음 번째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간대가 짧은 단말기 n에서 먼저 고유 응답신호 en가 재발신되면 중계기가 이를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확인신호 an을 발신하며, 단말기 n은 확인신호 an을 수신하여 자신의 응답신호(비상신호)가 제대로 처리되었음을 확인한다. 이어서 다음 번째 응답신호를 발하는 시간대가 긴은 단말기 m과 중계기 사이에서 동일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 혹시 응답신호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궁극적으로는 응답신호(비상신호)가 전달되어 소정의 응급처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장비의 수가 많은 응급병실 등과 같은 병실에서 어느 병상의 환자에게서 이상상태가 발생했는지, 또는 의료장비 자체가 정상인지 여부를 경보음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고도의 신뢰성을 가진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의료장치의 수가 많아지더라도 증가되는 숫자만큼 단말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추가된 단말기에 대한 정보만 저장수단에 입력해 두면 시스템을 그대로유지할 수 있으므로 확장성 및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응급호출시스템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공호흡기 등의 각종 의료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환자가 자신의 몸을 자의적으로 움직일 수 없는 경우-예를 들면, 환자가 의식불명의 상태에 있거나 수면상태에 있는 경우- 환자의 상태가 악화되거나, 상기 의료장비가 오작동 되어 환자가 위급한 상황에 빠져 있을 때 관계자에게 자동으로 응급호출신호가 통지되어 응급처치를 조기에 받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5)

  1.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외부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점에 대응하여 동일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할당된 시간대에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송신부;
    할당된 시간대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상기 응답신호 발신을 위한 시간대가 다르게 할당됨 - 와:
    (B)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할당된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2. 제 1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본체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각 단말기가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클록발생부를 주기적으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단계;
    (B) 상기 각 단말기가, 자신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할당된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응답신호발신단계;
    (C) 상기 본체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3.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외부의 동기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시점에 대응하여 동일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할당된 시간대에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송신부;
    할당된 시간대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상기 응답신호 발신을 위한 시간대가 다르게 할당됨 - 와:
    (B)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할당된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시간대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계기 -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됨 - : 및
    (C) 상기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중계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4. 제 3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의 시간간격 마다 외부로 동기신호를 발신하며, 상기 각 단말기가 상기 동기신호를 수신하여 자신의 클록발생부를 주기적으로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단계;
    (B) 상기 각 단말기가, 자신의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할당된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응답신호발신단계;
    (C) 상기 중계기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시간대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는 중계정보발신단계;
    (D) 상기 본체가,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5.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외부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송신부;
    할당된 호출신호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호출신호가 할당됨 - 와:
    (B)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소정의 호출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할당된 호출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특정 호출신호 발신 후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6. 제 5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본체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소정의 호출신호를 발신하는 호출신호발신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응답신호발신단계;
    (C) 상기 본체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7.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외부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송신부;
    할당된 호출신호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호출신호가 할당됨 - 와:
    (B)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소정의 호출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할당된 호출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계기 -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특정 호출신호 발신 후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됨 - : 및
    (C) 상기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중계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8. 제 7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간격마다 외부로 소정의 호출신호를 발신하는 호출신호발신단계;
    (B) 상기 단말기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호출하는 신호인 경우,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응답신호를 소정의 시간대에 발신하거나 또는 발신하지 않는 응답신호발신단계;
    (C) 상기 중계기가, 소정의 시간대에 응답신호가 수신되거나 또는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는 중계정보발신단계;
    (D) 상기 본체가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9.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외부의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할당된 확인신호 및 할당된 응답신호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확인신호 및 특정의 응답신호가 할당됨 - 와:
    (B)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대응되는 확인신호 및 응답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특정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10. 제 9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단말기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응답신호발신단계;
    (B) 상기 본체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발신하는 확인신호발신단계:
    (C) 상기 본체가, 특정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11.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에 있어서,
    (A) 사용자의 입력신호 또는 의료장비의 상태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부;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외부의 확인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할당된 확인신호 및 할당된 응답신호에 대한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의료장비 및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단말기 - 각 단말기마다 특정의 확인신호 및 특정의 응답신호가 할당됨 - 와:
    (B)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소정 주기의 클록을 발생시키는 클록발생부;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발신하는 송신부;
    각 단말기의 위치정보 및 각 단말기에 대응되는 확인신호 및 응답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가 기억된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에 기억되는 정보 및 각 구성요소를 초기화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받는 입출력부;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과 유선으로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중계기 - 여기서 상기 송신부는, 특정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외부로 발신하는 기능이 추가됨 - : 및
    (C) 상기 중계기로부터 발신되는 중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상기 중계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 및
    상기 각 구성요소의 작동관계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이동형의 하나 또는 복수개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12. 제 11 항에 의한 응급호출시스템을 이용한 응급호출방법으로서,
    (A) 상기 단말기가,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 간격으로, 상기 확인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검출부로부터의 신호에 대응하여 특정의 응답신호를 발신하는 응답신호발신단계;
    (B) 상기 중계기가, 상기 각 단말기에서 발신된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자신의 클록발생부에 의해 생성된 클록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대에, 수신된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확인신호를 발신하는 확인신호발신단계:
    (C) 상기 중계기가, 특정 응답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저장수단을 참조하여 상기 응답신호가 할당된 단말기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중계정보를 발신하는 중계정보발신단계;
    (D) 상기 본체가 상기 중계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신호표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13. 제 1, 3, 5, 7, 9 및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및 본체 또는 중계기의 입출력부는 딥스위치, 키보드, 버튼, 외부통신 커넥터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14. 제 1, 3, 5, 7, 9 및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진동장치, 경광장치, 경음장치 등과 같은 경보수단이 추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15. 제 2, 4, 6, 8, 10 및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표시단계는,
    (a) 소정 시간 동안에는 n 번째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그 다음 소정 시간 동안에는 n+1 번째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만의 정보를 표시하거나,
    (b) 각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소정 횟수 반복적으로 교차하여 표시하거나,
    (c) 각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모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거나,
    (d) 하나의 응답신호에 대응하는 단말기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응답신호에 대응되는 단말기의 수 또는 그 수+1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호출방법.
KR10-2002-0004903A 2002-01-28 2002-01-28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KR100458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03A KR100458439B1 (ko) 2002-01-28 2002-01-28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4903A KR100458439B1 (ko) 2002-01-28 2002-01-28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141A KR20020024141A (ko) 2002-03-29
KR100458439B1 true KR100458439B1 (ko) 2004-11-26

Family

ID=19718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4903A KR100458439B1 (ko) 2002-01-28 2002-01-28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84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CN110519475A (zh) * 2019-08-14 2019-11-29 户永杰 一种医院病房的人性化呼叫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76996B2 (en) 2014-10-15 2019-04-30 Kevin Williams Location tracking power cord and method therefore
US9426612B2 (en) 2014-10-15 2016-08-23 Kevin Williams Location tracking power cord and method therefore
KR101995165B1 (ko) * 2018-03-16 2019-07-01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비콘을 이용한 응급 환자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355A (en) * 1991-03-06 1994-06-07 Russek Linda G Alarm for patient monitor and life support equipment system
US5348008A (en) * 1991-11-25 1994-09-20 Somnus Corporation Cardiorespiratory alert system
US5754111A (en) * 1995-09-20 1998-05-19 Garcia; Alfredo Medical alerting system
JP2001126175A (ja) * 1999-10-22 2001-05-11 Seiko Precision Inc 自動緊急警報付ナースコール装置
KR20020032778A (ko) * 2000-10-27 2002-05-04 강경자 위급 상황 감지 및 송출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355A (en) * 1991-03-06 1994-06-07 Russek Linda G Alarm for patient monitor and life support equipment system
US5348008A (en) * 1991-11-25 1994-09-20 Somnus Corporation Cardiorespiratory alert system
US5754111A (en) * 1995-09-20 1998-05-19 Garcia; Alfredo Medical alerting system
JP2001126175A (ja) * 1999-10-22 2001-05-11 Seiko Precision Inc 自動緊急警報付ナースコール装置
KR20020032778A (ko) * 2000-10-27 2002-05-04 강경자 위급 상황 감지 및 송출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665B1 (ko) * 2018-07-20 2019-10-23 주식회사 리텍 현재 위치 값을 이용하여 id를 변경하는 수신기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호출 시스템
CN110519475A (zh) * 2019-08-14 2019-11-29 户永杰 一种医院病房的人性化呼叫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4141A (ko) 200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0033B1 (en) Medical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EP0969431B1 (en) Improved patient/nurse call system
CN103842942B (zh) 传送患者监测系统上的初级报警通知的系统和方法
US6445299B1 (en) Retrofit for patient call system and method therefor
EP1020827B1 (en) Patient/nurse communication method
US6897780B2 (en) Bed status information system for hospital beds
US7120488B2 (en) Therapy-delivering portable medical device capable of triggering and communicating with an alarm system
US20070004971A1 (en) Caregiver communication system for a home environment
JPH06502270A (ja) 患者監視のための非可聴警報と生命維持装置
KR100458439B1 (ko) 의료용 응급호출시스템 및 응급호출방법
KR20150016687A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CN108235536B (zh) 智能灯及体感监测系统
KR101997225B1 (ko) 노약자 안심케어 시스템
US9761112B2 (en) Assistance terminal for remotely monitoring a person connected to a medical assistance and monitoring device
US10121559B2 (en) Health condition alarm system
US20220384031A1 (en) System for monitoring, tracking and recording safety conditions and status of subjects in a confined area
KR100386702B1 (ko) 응급환자 감시 시스템
JP2002230659A (ja) 在宅療法支援システム
KR20150003027U (ko) 독거인용 케어 시스템
CN103892803A (zh) 用于无线医疗监控的方法和系统以及患者监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